코뿔소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뿔소속(Rhinoceros)은 코뿔소를 포함하는 속으로, 속명은 그리스어 'rhis'(코)와 'keras'(짐승의 뿔)의 합성어에서 유래했다. 현생종으로는 인도코뿔소와 자와코뿔소가 있으며, 인도코뿔소는 인도 아대륙에, 자와코뿔소는 동남아시아에 서식한다. 멸종된 종으로는 시발리스코뿔소, 플라티리누스코뿔소, 중국코뿔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코뿔소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속 정보 | |
![]() | |
![]() | |
| 학명 | Rhinoceros |
| 명명자 | 린네, 1758 |
| 속의 기준 종 | Rhinoceros unicornis |
| 기준 종 명명자 | 린네, 1758 |
| 하위 분류 계급 | 종 |
| 하위 분류 | R. unicornis R. sondaicus |
| 생물학적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말목 |
| 아목 | 유각아목 (Ceratomorpha) |
| 상과 | Rhinocerotoidea |
| 과 | 코뿔소과 |
| 보존 상태 | |
| 화석 범위 | |
2. 어원
속명 ''Rhinoceros''는 고대 그리스어 ῥίς|rhis|"코"grc와 κέρας|keras|"짐승의 뿔"grc의 합성어이다.[2][3]
코뿔소속(''Rhinoceros'')에는 인도코뿔소와 자바코뿔소가 현생종으로 속해 있으며, 멸종된 종으로는 시발리스코뿔소, 플라티리누스코뿔소, 중국코뿔소 등이 있다.[1] 이 속의 가장 오래된 유해는 후기 마이오세에서 알려져 있으며, 약 800만~900만 년 전 미얀마의 지층에서 발견된 미확인 종의 유해 등이 있다.[9]
3. 하위 종
코뿔소속
분류:코뿔소과
분류:아시아의 포유류
분류:인도의 포유류
분류:인도네시아의 포유류
분류:플라이오세 동물군
분류:플라이스토세 동물군
분류:1758년 기재된 동물
분류: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3. 1. 현생종
인도코뿔소( ''Rhinoceros unicornis'')와 자와코뿔소( ''Rhinoceros sondaicus'')가 현생종이다.[1][15]는 인도 아대륙에 서식하며,[4][16]는 동남아시아에 서식한다.
3. 2. 멸종종
4. 계통 분류
코뿔소속(''Rhinoceros'')은 인도코뿔소와 자바코뿔소를 포함하며, 여러 멸종된 종들도 포함한다. 이 속의 가장 오래된 유해는 약 800만~900만 년 전 후기 마이오세 미얀마 지층에서 발견된 미확인 종이다.[9]
- 멸종종
- †시발리스코뿔소 (''R. sivalensis''): 인도 아대륙 북부 (시왈릭 구릉)의 플라이오세-초기 플라이스토세 지층에서 발견되었다.
- †플라티리누스코뿔소 (''R. platyrhinus''): 인도 아대륙 상부 시왈릭의 초기 플라이스토세~초기 중기 플라이스토세 지층에서 발견되었으며, 이 속에서 가장 큰 종이다.[5]
- †중국코뿔소 (''R. sinensis''): 쓰레기 분류군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중국 플라이스토세 코뿔소 화석에 사용되었으나, 다양한 표본들이 다른 ''Rhinoceros'' 종, ''쌍코뿔소속'', ''스테파노리누스속''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6][7][8] 하지만 ''Rhinoceros sinensis''로 분류된 일부 유해는 유효하고 별개의 ''Rhinoceros'' 종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다.[5]
필리핀의 초기 중기 플라이스토세에서 발견된 ''"Rhinoceros" philippinensis'' 종과 타이완의 초기-중기 플라이스토세에서 발견된 "''Rhinoceros" sinensis hayasakai'' 종은 ''네소리누스속''으로 이관되었으며, ''Rhinoceros''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10] 중국 남부의 초기 플라이스토세에서 발견된 ''Rhinoceros fusuiensis''는 ''쌍코뿔소속''으로 이관되었다.[10][12]
4. 1. 분자 계통학적 분석
2021년 류(Liu) 등의 연구에 따르면 핵 DNA를 기반으로 한 후기 플라이스토세 및 현생 코뿔소 속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13]2023년 판돌피(Pandolfi)의 베이지안 형태학적 계통 발생 분석에서는 현생 아프리카 코뿔소 종은 제외되었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14]
{| class="wikitable"
|-
! colspan="2" | 코뿔소족
|-
|
| Gaindatherium browni |
| Lartetotherium sansaniens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네소리누스속''
! '코뿔소속'
|-
|
| 네소리누스 하야사카이 |
| 네소리누스 필리피넨시스 |
|
|}
|
{| class="wikitable"
|-
! ''쌍코뿔소속''
|-
|
{| class="wikitable"
|-
| ''쌍코뿔소속 그웨비넨시스''
|-
|
| 쌍코뿔소속 후수이엔시스 |
| 수마트라코뿔소 |
|}
|
{| class="wikitable"
|-
| ''디홀플러스 슐라이어마케리''
|-
|
{| class="wikitable"
|-
| ''"Dihoplus" pikermiensis''
|-
|
{| class="wikitable"
|-
! ''털코뿔소속''
|-
|
{| class="wikitable"
|-
| ''털코뿔소속 티베타나''
|-
|
{| class="wikitable"
|-
| ''털코뿔소속 니호와넨시스''
|-
|
| 털코뿔소속 톨로고이엔시스 |
| 털코뿔소 |
|}
|}
|
{| class="wikitable"
|-
! ''플리오리누스속''
! ''스테파노리누스속''
|-
|
| 플리오리누스 메가리누스 |
| 플리오리누스 미구엘크루사폰티 |
|
{| class="wikitable"
|-
| ''Stephanorhinus jeanvireti''
|-
|
{| class="wikitable"
|-
| ''Stephanorhinus etruscus''
|-
|
{| class="wikitable"
|-
| ''Stephanorhinus hundsheimensis''
|-
|
| 스테파노리누스 헤미토에쿠스 |
| 머크코뿔소 |
|}
|}
|}
|}
|}
|}
|}
|}
|}
|}
|}
4. 2. 형태학적 분석
''Rhinoceros''영어 속 코뿔소의 형태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멸종종:
- †시발리스코뿔소( ''R. sivalensis''): 인도 아대륙 북부(시왈릭 구릉)의 플라이오세~초기 플라이스토세 지층에서 발견되었다.[5]
- †플라티리누스코뿔소( ''R. platyrhinus''): 인도 아대륙 상부 시왈릭의 초기 플라이스토세~초기 중기 플라이스토세 지층에서 발견되었으며, 이 속에서 가장 큰 종이다.[5]
- †중국코뿔소( ''R. sinensis''): 중국 플라이스토세 코뿔소 화석에 사용되었으나, 다양한 표본들이 다른 ''Rhinoceros'' 종, ''쌍코뿔소속'', ''스테파노리누스속''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6][7][8] 일부 유해는 유효한 ''Rhinoceros'' 종일 가능성이 있다.[5]
이 속의 가장 오래된 유해는 약 800만~900만 년 전 후기 마이오세 미얀마 지층에서 발견된 미확인 종이다.[9]
2023년 판돌피(Pandolfi)는 베이지안 형태학적 계통 발생 분석을 통해 코뿔소족의 계통 관계를 제시했다. 이 분석에는 현생 아프리카 코뿔소 종은 포함되지 않았다.[14]
참조
[1]
서적
Caroli Linnæi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æ,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Salvius
[2]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Clarendon Press
[3]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Clarendon Press
[4]
서적
Mammalogie, ou, Description des espèces de mammifères
Mme Agasse
[5]
학술지
Reassessment of the largest Pleistocene rhinocerotine ''Rhinoceros platyrhinus'' (Mammalia, Rhinocerotidae) from the Upper Siwaliks (Siwalik Hills, India)
http://www.rhinoreso[...]
2016-02-06
[6]
학술지
Taphonomy, life history, and human exploitation of ''Rhinoceros sinensis'' at the Middle Pleistocene site of Panxian Dadong, Guizhou, China
2010
[7]
학술지
Pleistocene and Holocene rhinocerotids (Mammalia, Perissodactyla) from the Indochinese Peninsula
2012-03
[8]
학술지
Evolution of the non-Coelodonta dicerorhine lineage in China
2012-11
[9]
학술지
New fossil remains of Rhinocerotidae (Perissodactyla) from the early Late Miocene Tebingan area, central Myanmar
https://www.tandfonl[...]
2024-08-02
[10]
학술지
A new rhinoceros clade from the Pleistocene of Asia sheds light on mammal dispersals to the Philippines
[11]
학술지
New remains of Rhinoceros (Rhinocerotidae, Perissodactyla, Mammalia) associated with Gigantopithecus blacki from the Early Pleistocene Yanliang Cave, Fusui, South China
https://linkinghub.e[...]
2014-12
[12]
학술지
Reassessing the phylogeny of Quaternary Eurasian Rhinocerotidae
https://onlinelibrar[...]
2023-01-19
[13]
학술지
Ancient and modern genomes unravel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rhinoceros family
2021-09-16
[14]
학술지
Reassessing the phylogeny of Quaternary Eurasian Rhinocerotidae
2023-04
[15]
서적
Caroli Linnæi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æ,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Salvius
[16]
서적
Mammalogie, ou, Description des espèces de mammifères
Mme Agasse
[17]
학술지
Reassessment of the largest Pleistocene rhinocerotine ''Rhinoceros platyrhinus'' (Mammalia, Rhinocerotidae) from the Upper Siwaliks (Siwalik Hills, India)
http://www.rhinoreso[...]
2016-02-06
[18]
학술지
Taphonomy, life history, and human exploitation of ''Rhinoceros sinensis'' at the Middle Pleistocene site of Panxian Dadong, Guizhou, China
2010
[19]
학술지
Pleistocene and Holocene rhinocerotids (Mammalia, Perissodactyla) from the Indochinese Peninsula
2012-03
[20]
학술지
Evolution of the non-Coelodonta dicerorhine lineage in China
2012-11
[21]
학술지
A new rhinoceros clade from the Pleistocene of Asia sheds light on mammal dispersals to the Philippines
[22]
학술지
New remains of Rhinoceros (Rhinocerotidae, Perissodactyla, Mammalia) associated with Gigantopithecus blacki from the Early Pleistocene Yanliang Cave, Fusui, South China
https://linkinghub.e[...]
2014-12
[23]
학술지
Reassessing the phylogeny of Quaternary Eurasian Rhinocerotidae
https://onlinelibrar[...]
2023-01-19
[24]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Clarendon Press
[25]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Clarendon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