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만의 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만의 서는 1100년대에서 1300년대 초에 걸쳐 헝가리, 이탈리아 도시 국가, 쿠만족 간의 소통을 위해 제작된 킵차크어 관련 사본이다. 이 책은 라틴어, 페르시아어, 쿠만어 사전과 더불어 쿠만어 문법, 종교적 내용을 담고 있으며, 쿠만족의 언어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특히 튀르크 민속 연구에 중요한 수수께끼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주기도문 비교를 통해 언어적 특징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쿠만의 서 | |
---|---|
일반 정보 | |
이름 | 코덱스 쿠마니쿠스 |
다른 이름 | 쿠만인의 책 |
유형 | 필사본 |
언어 | 라틴어 페르시아어 쿠만어 고지 독일어 |
날짜 | 1303년 |
현재 소장처 | 이탈리아 베네치아 산 마르코 국립 도서관 |
보관 번호 | Ms. Marc. Lat. D. 49 (832) |
내용 | |
종류 | 언어 학습 교재 |
목적 | 가톨릭교 선교사들을 위한 쿠만어 학습 |
구성 | 쿠만어-라틴어 사전 독일어 색인 쿠만어 수수께끼 종교적 텍스트 |
2. 기원과 내용
이 사본은 시간에 따라 발전했다. 11세기 중엽 쿠만족의 패권 시대에 헝가리의 상업, 정치, 종교 지도자들은 쿠만족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추구했다. 제노바 같은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은 흑해 해안선을 따라 거래소와 식민지를 구축하기 시작했으며, 킵차크어를 배우는 것은 상업을 위한 도구의 필요성으로 급격하게 증가했다.
2. 1. 초기 판본
쿠마니쿠스 사본의 가장 초판은 1100년대나 1200년대에 비롯했을 것으로 여기고 있다. 내용은 시간이 지나면서 대폭 덧붙여졌다. 베니스에서 복사 보존은 1300년대 초부터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생각된다. 독립적인 일의 수에 따라 사본의 구성은 결국 하나로 합쳐졌다.[2]2. 2. 구성 요소
쿠만어의 어원과 내용은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부분은 라틴어, 페르시아어, 쿠만어로 된 라틴 문자 사전과 쿠만어 동사, 이름, 대명사의 라틴어 의미를 담은 열로 구성되어 있다. 두 번째 부분은 쿠만어-중고 독일어 사전, 쿠만어 문법 정보, 페트라르카의 시로 구성되어 있다.[2] 그러나 이 코덱스는 이 언어를 "타타르어"(tatar til)라고 지칭했다.[3]코덱스 쿠마니쿠스의 첫 번째 부분은 언어 학습을 돕기 위한 실용적인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두 번째 부분은 쿠만족 사이에서 기독교를 전파하기 위해 작성되었으며, 종교 서적에서 발췌한 다양한 구절이 쿠만어 번역과 함께 제공되었다. 같은 부분에는 단어, 구절, 문장과 약 50개의 수수께끼, 그리고 종교 지도자들의 삶과 업적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2]
3. 정확도
이 사본은 대체로 정확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킵차크어의 다른 출처와는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사본과 헝가리 쿠마니아 문서의 주기도문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1]
3. 1. 주기도문 비교
쿠만어 | Atamız kim köktäsiñ. Alğışlı bolsun seniñ atıñ, kelsin seniñ xanlığıñ, bolsun seniñ tilemekiñ — neçik kim köktä, alay [da] yerdä. Kündeki ötmäkimizni bizgä bugün bergil. Dağı yazuqlarımıznı bizgä boşatqıl — neçik biz boşatırbız bizgä yaman etkenlergä. Dağı yekniñ sınamaqına bizni quvurmağıl. Basa barça yamandan bizni qutxarğıl. Amen! |
---|---|
영어 | Our Father which art in heaven. Hallowed be thy name. Thy kingdom come. Thy will be done in earth as it is in heaven. Give us this day our daily bread. And forgive us our sins as we forgive those who have done us evil. Amen. |
크림 타타르어 | Atamız kim köktesiñ. Alğışlı olsun seniñ adıñ, kelsin seniñ hanlığıñ, olsun seniñ tilegeniñ — nasıl kökte, öyle [de] yerde. Kündeki ötmegimizni bizge bugün ber. Daa yazıqlarımıznı (suçlarımıznı) bizge boşat (bağışla) — nasıl biz boşatamız (bağışlaymız) bizge yaman etkenlerge. Daa şeytannıñ sınağanına bizni qoyurma. Episi yamandan bizni qurtar. Amin! |
사본의 주기도문은 일반적으로 정확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킵차크어의 다른 출처와는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사본의 주기도문은 다음과 같다.[1]
: ''Atamız kim köktesiñ. Alğışlı bolsun seniñ atıñ, kelsin seniñ xanlığıñ, bolsun seniñ tilemekiñ – neçikkim kökte, alay [da] yerde. Kündeki ötmegimizni bizge bugün bergil. Dağı yazuqlarımıznı bizgä boşatqıl – neçik biz boşatırbiz bizge yaman etkenlerge. Dağı yekniñ sınamaqına bizni quurmağıl. Basa barça yamandan bizni qutxarğıl. Amen!''
아나톨리아 터키어는 다음과 같다.[1]
: ''Atamız sen göktesin. Alkışlı (kutlu) olsun senin adın, gelsin senin hanlığın, olsun senin dileğin– nasıl ki gökte, ve yerde. Gündelik ekmeğimizi bize bugün ver. Ve de yazıklarımızdan (suçlarımızdan) bizi bağışla– nasıl biz bağışlarız bize yaman (kötülük) edenleri. Ve de şeytanın sınamasından bizi koru. Tüm yamandan (kötülükten) bizi kurtar. Amin!''
개신교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기도문은 다음과 같다.[1]
: ''하늘에 계신 우리아버지여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 나라이 임하옵시며 뜻이 하늘에서 이룬 것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오늘날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옵시고 우리가 우리에게 죄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옵시고 우리를 시험에 들게하지 마옵시고 다만 악에서 구하옵소서 아멘.''
헝가리의 쿠마니아 문서에서는 같은 본문을 다음과 같이 읽는다.[1]
: ''Bezen attamaz kenze kikte, szenleszen szenadon, dsn szenkklon, nicziegen gerde ali kekte, bezen akomazne oknemezne ber bezge pitbtr kngon...''
주기도문의 번역본 전체를 헝가리의 쿠만어로는 다음과 같이 한다.[1]
: ''Bezen attamaz kenze kikte szen lészen szen adon dösön szen küklön nitziengen gerde ali kikte bezen akomezne oknemezne bergezge pitbütör küngön ill bezen menemezne neszen bezde jermez berge utrogergene illme bezne algyamanna kutkor bezne algyamanna szen börsön boka csalli batson igye tengria. Ámen.''
4. 수수께끼
안드레아스 티에체는 "쿠만 수수께끼"를 튀르크 민족의 공통 유산을 구성하는 수수께끼 유형의 가장 오래된 변형이라고 언급했다.[1]
4. 1. 예시
Aq qoynıñ avuzı yoq. Ol yumurtqa.kum: "하얀 양은 입이 없다(앞부분). 그것은 달걀이다."
Kecak ut(a)hi kegede semirrir. Ol huvun.kum
: "내 새파란 아이는 줄을 맸다. 자라고 뚱뚱해진다, 멜론."
Oturğanım oba yer basqanım baqır canaq. Ol zengi.kum
: "나는 조금 높은 곳에 앉는다. 나는 구리 그릇을 밟았다. 등자."
참조
[1]
서적
Кыпчакские языки: куманский и армяно-кыпчакский
https://www.academia[...]
Наука
1987
[2]
웹사이트
Codex Cumanicus (Kumanlar Kitabı)
http://atalarmirasi.[...]
[3]
서적
The Other Europe in the Middle Ages: Avars, Bulgars, Khazars and Cumans
2007
[4]
웹사이트
MCCCIII die XI Iuly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