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크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튀르크어족은 동북아시아 또는 중앙아시아를 기원으로 하는 언어들의 어족이다. 튀르크어족은 튀르크 민족의 이주와 함께 중동 및 유럽 문화와 교류하며 널리 퍼졌으며, 8세기 오르혼 비문과 11세기 카쉬가르리 마흐무드의 저작을 통해 기록되었다. 튀르크어족은 교착어이며 모음조화, 주어-목적어-동사 어순 등의 특징을 가지며, 오구르어파와 공통 튀르크어파로 분류된다. 알타이어족 가설은 논란이 있으며, 일부 언어학자들은 튀르크어족과 한국어 사이의 유전적 관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튀르크어족 - 투르크멘어
투르크멘어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튀르크어족 오구즈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와 유사하며 모음 조화와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진 교착어이고,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 기반의 독자적인 문자 체계로 변화되었다. - 튀르크어족 - 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자 중앙아시아에서 쓰이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받아 카를루크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고 인접 국가와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튀르크어족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튀르크어족 |
지역 | 아나톨리아, 중앙아시아, 중국 서부, 시베리아 남부, 시베리아 동부 등 |
어족 색상 | 알타이어족 |
계통 | 세계의 주요 어족 중 하나 |
조어 | 테르크 조어 |
하위 어파 | 공통 튀르크어파 오구르어파 |
ISO 5 | trk |
민족 | 튀르크족 |
화자 수 | 약 2억 명 |
추정 시기 | 2020년 |
하위 어파 | |
주요 어파 | 카를루크어파 킵차크어파 오구즈어파 시베리아 튀르크어파 아르구어파 |
기타 어파 | 오구르어파 |
관련 정보 | |
참고 문헌 | Dybo A.V., ХРОНОЛОГИЯ ТЮРКСКИХ ЯЗЫКОВ И ЛИНГВИСТИЧЕСКИЕ КОНТАКТЫ РАННИХ ТЮРКОВ, 2007, p.766(러시아어) Juha Janhunen, Personal pronouns in Core Altaic, 2013, p.223 Kenneth Katzner, Languages of the World, Third Edition, Routledge, 2002 L.A. Grenoble, Language Policy in the Soviet Union, Springer, 2003, p.10 Volker Rybatzki, Altaic Languages: Tungusic, Mongolic, Turkic, 2020, pp.22-28 UCLA Language Materials Project: Turkish, 2007(영어) Alexander Vovin, The end of the Altaic controversy: In memory of Gerhard Doerfer, Central Asiatic Journal, 2005, vol.49, no.1, pp.71-132 Stefan Georg, Peter A. Michalove, Alexis Manaster Ramer, Paul J. Sidwell, Telling general linguists about Altaic, Journal of Linguistics, 1999, vol.35, no.1, pp.65-98 |
2. 역사
튀르크어의 조상은 동북아시아 또는 중앙아시아의 내륙 지역을 원향으로 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후 6세기경부터 튀르크족이 이주하면서 상당수 분파가 서쪽으로 이동하여 중동 또는 유럽 문화와 교류하였다. 역사학 연구에 따르면, 원래 튀르크어족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중앙아시아와 몽골 고원에서 시베리아 부근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튀르크어족은 인접한 몽골어족과 퉁구스어족과 몇 가지 언어적 특징을 공유하기 때문에, 이들을 묶어 알타이어족으로 분류하는 견해도 있지만, 많은 언어학자들은 이를 부정하고 있다.[61] 한국어와 연관되어 있다는 설도 여러 학자에 의해 주장된 바 있다.[77][78][79] 과거 우랄어족과의 관계도 논의되었으나 최근 학자들은 우랄어족과의 관련을 부정하고 있다.[80]
각 어군 내에서는 언어 간의 공통점이 커서 의사소통이 용이하다고 알려져 있다. 광대한 분포 지역에 비해 언어 간 차이는 비교적 작아서, 튀르크어 전체를 하나의 언어인 "'''튀르크어'''"로 보고 각 언어를 "튀르크어의 방언"으로 보는 견해도 가능하다.
특히 오구즈어군, 킵차크어군, 카를루크어군 사용자들은 이슬람교를 받아들인 결과, 아랍어와 페르시아어에서 많은 어휘를 차용했기 때문에 어휘상의 공통점이 크다. 정치적 경위로 인해 튀르크어를 제외한 여러 언어는 러시아어에서 차용한 어휘가 매우 많다.
현재의 불가리아인은 슬라브어파에 속하는 불가리아어를 사용하지만, 그 조상인 불가르인은 발칸반도에 오기 전까지는 불가르어파(튀르크 고어)를 사용하는 튀르크계 민족이었다. 불가리아는 이후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던 역사적 경위로 인해 튀르크어 어휘가 많이 유입되어 있다.
2. 1. 기원
튀르크어의 조어는 동북아시아 또는 중앙아시아의 내륙 지역을 원향으로 하는 것으로 추측된다.[13] 튀르크어족의 고향은 트란스카스피아 초원과 동북아시아(만주) 사이 어딘가로 추정되며,[14] 유전적 증거는 남시베리아와 몽골 근처 지역을 튀르크 민족의 "내륙 아시아 고향"으로 지적하고 있다.[15] 유하 야누넨, 로저 블렌치, 매슈 스프리그스를 포함한 여러 언어학자들은 오늘날의 몽골을 초기 튀르크어의 고향으로 제시한다.[16] 튀르크어학자인 피터 벤자민 골든은 원튀르크어 어휘 항목을 바탕으로, 원튀르크어의 원시 고향을 사얀-알타이 지역의 남쪽 타이가-초원 지대에 위치시킨다.[77][78][79]2. 2. 고대 튀르크어와 문자
튀르크어족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8세기경 괴튀르크족이 남긴 오르혼 비문으로, 구튀르크어가 기록되어 있다. 11세기 카라한 왕조의 카쉬가르리 마흐무드가 저술한 『튀르크 방언집성』(《Divânü Lügati't-Türk》)은 튀르크어족에 대한 초기 언어학적 연구 자료이다.[20] 북서부 계통에 관한 『쿠만어 사전』(《Codex Cumanicus》(12~13세기))은 킵차크어와 라틴어로 작성된 또 다른 초기 언어학적 자료이다.[21][22]2. 3. 중세 이후 튀르크어의 발전
6세기~11세기 튀르크 제국의 확장으로 튀르크어는 시베리아에서 지중해에 이르는 중앙아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25] 튀르크어에서 유래한 다양한 용어들이 페르시아어, 우르두어, 우크라이나어, 러시아어,[23] 중국어, 몽골어, 헝가리어 그리고 소량이지만 아랍어[24]로 전파되었다.오스만 제국 이후 유라시아 전역에 걸쳐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민족들의 지리적 분포는 시베리아 북동쪽에서 서쪽의 튀르키예까지 이른다. 수 세기 동안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민족들은 광범위하게 이주하고 끊임없이 혼합되어 왔으며, 그들의 언어는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고 주변 언어, 특히 이란어족, 슬라브어족 및 몽골어족과의 언어 접촉을 통해 영향을 받았다.[26]
이로 인해 각 언어 및/또는 언어군 내의 역사적 발전이 모호해졌고, 그 결과 튀르크어를 분류하는 여러 시스템이 존재한다.
3. 특징
튀르크어족은 주어 생략 언어이며, 모음 조화(모음조화)를 가진다(페르시아어와 타지크어의 강한 영향으로 우즈베크어는 예외). 동사구를 사용하며, 접사와 후치사를 이용한 교착어이고, 관사, 명사류, 문법적 성이 없다.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이 일반적이다. 투바어는 튀르크어족 중에서 모음 조화가 거의 완벽한 반면, 우즈베크어는 가장 조화롭지 않다.[12] 튀르크어족은 1000년 이상의 기록된 언어적 발전 과정을 보이며, 몽골어족, 퉁구스어족, 우랄어족과 함께 모음 조화의 유형이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인다. 특히 우랄어족과 튀르크어족은 '구개 모음 조화'라는 공통된 유형을 가진다.
한국어처럼 조사나 어미가 결합하는 교착어이며, 모음조화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문장 어순도 한국어와 비슷하여 주어-목적어-서술어 순서가 많다.
3. 1. 유형론적 특징
튀르크어족은 주어 생략 언어이며, 모음 조화(모음조화)를 가지고 있다(페르시아어와 타지크어의 강한 영향으로 우즈베크어는 주목할 만한 예외이다).[12] 또한 동사구를 사용하며, 접사와 후치사를 이용한 광범위한 교착을 보이고, 관사, 명사류, 문법적 성이 없다.[12]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은 이 어족에서 보편적이다.[12] 튀르크어족의 모음 조화 수준 측면에서 투바어는 거의 완벽하게 조화로운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반면, 우즈베크어는 가장 조화롭지 않거나 전혀 조화롭지 않다.[12] 기록된 튀르크어족의 역사언어학적 발전 과정을 고려해 볼 때, 비문과 텍스트 모두에서 이 어족은 1000년 이상의 기록된 단계와 언어적 진화 시나리오를 제공하며, 이는 확실하게 정의할 수 있는 궤적을 따라 모음 조화의 진화를 보여준다.[12] 모음 조화는 내륙 유라시아에서 사용되는 주요 어족(즉, 몽골어족, 퉁구스어족, 우랄어족, 튀르크어족)의 공통적인 특징이지만, 그 유형은 서로 다르다.[12] 특히 우랄어족과 튀르크어족은 공통된 유형의 모음 조화( '구개 모음 조화'라고 함)를 가지고 있는 반면, 몽골어족과 퉁구스어족은 다른 유형을 나타낸다.[12]한국어와 마찬가지로 목적어나 서술어에 조사나 어미가 결합하는 교착어이며, 모음조화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문장의 어순도 기본적으로 한국어와 비슷하여 주어-목적어-서술어가 되는 언어가 많다.
3. 2. 모음 조화
튀르크어족은 주어 생략 언어이며, 모음 조화(모음조화)를 가지고 있다(페르시아어와 타지크어의 강한 영향으로 우즈베크어는 주목할 만한 예외이다).[12] 투바어는 튀르크어족 중에서 모음 조화가 거의 완벽한 반면, 우즈베크어는 가장 조화롭지 않거나 전혀 조화롭지 않다.[12] 기록된 튀르크어족의 역사언어학적 발전 과정을 보면, 비문과 텍스트 모두에서 이 어족은 1000년 이상의 기록된 단계와 언어적 진화 시나리오를 제공하며, 이는 확실하게 정의할 수 있는 궤적을 따라 모음 조화의 진화를 보여준다.[12] 모음 조화는 내륙 유라시아에서 사용되는 주요 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 우랄어족, 튀르크어족)의 공통적인 특징이지만, 그 유형은 서로 다르다.[12] 특히 우랄어족과 튀르크어족은 공통된 유형의 모음 조화('구개 모음 조화'라고 함)를 가지고 있는 반면, 몽골어족과 퉁구스어족은 다른 유형을 나타낸다.[12]4. 분류
라르스 요한슨의 분류 체계(1998)에 따르면 튀르크어족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81]
이 분류에서 오구르 튀르크어는 리르-튀르크어라고도 하며, 다른 가지들은 샤즈-튀르크어 또는 공통 튀르크어라는 제목으로 포함된다. 이 두 가지 주요 유형의 튀르크어가 언제 갈라졌는지는 분명하지 않다.[28]
확실하지는 않지만, 남서부, 북서부, 남동부 및 오구르 그룹은 '''서부 튀르크어'''로, 북동부, 키르기스-킵차크 및 아르구(할라즈) 그룹은 '''동부 튀르크어'''로 요약될 수 있다.[29]
지리적 및 언어적으로 북서부와 남동부 아종의 언어는 중앙 튀르크어에 속하고, 북동부와 할라즈 언어는 소위 주변 언어이다.
전통적으로 튀르크어족 언어 분류에 사용되는 등어선(isogloss)은 다음과 같다.[31][27]
- 유음화(Rhotacism) (또는 어떤 견해에서는 치음화(zetacism)) 예를 들어, "아홉"을 의미하는 단어 *tokkuz*의 마지막 자음에서 볼 수 있다. 이는 /r/을 보이는 오구르어파(Oghur branch)를 /z/를 보이는 나머지 튀르크어족에서 분리한다. 이 경우, 유음화는 이 어파에서 *-r/, *-z/, *-d/가 /r/, *-k/, *-kh/로 발달하는 것을 가리킨다.[32] 투르크어의 유음화와 측음화에 대한 논쟁에 대해서는 Antonov와 Jacques (2012)를 참조한다.[33]
- 모음 사이의 *d, 예를 들어 "발"을 의미하는 단어 *hadaq*의 두 번째 자음.
- 접미사 끝의 -G, 예를 들어 접미사 *lIG에서 볼 수 있으며, *tāglïg* 등에서 나타난다.
추가적인 등어선은 다음과 같다.
- 어두 *h의 보존, 예를 들어 "발"을 의미하는 단어 *hadaq*에서 볼 수 있다. 이는 할라즈어(Khalaj)를 주변 언어로 분리한다.
- 구개 *ń의 비음화, 예를 들어 "달"을 의미하는 단어 *āń*에서 볼 수 있다.
4. 1. 오구르어파 (불가르어파)
- 추바시어
- 하자르어 (소멸)
- 볼가르어 (소멸)
- 훈어? (소멸)
Turkic_Avar#Language|튀르크 아바르어영어[64] ("튀르크계"설 이외에 "몽골계"설을 주장하는 학파도 있다. "튀르크계"설에서는 오구르어군에 분류된다.)
4. 2. 공통 튀르크어파
라르스 요한슨의 분류 체계(1998)에 따르면, 공통 튀르크어파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81]어파 | 언어 |
---|---|
남서튀르크어파 | 튀르키예어, 오스만 튀르크어, 가가우즈어, 아제르바이잔어, 투르크멘어, 카슈가이어, 살라르어 |
북서튀르크어파 | 타타르어, 바라바어, 바시키르어, 크림 타타르어, 카라차이-발카르어, 쿠미크어, 카라임어, 크림착어(유대크림타타르어), 우룸어, 카자흐어, 카라칼팍어, 노가이어, 키르기스어, 알타이어(북부알타이어) |
남동튀르크어파 | 우즈벡어, 위구르어 |
북동튀르크어파 | 하카스어, 쇼르어, 후위기르기스어, 출름어, 투바어, 토파어, 야쿠트어/사하어, 돌간어, 서부유구르어 |
아르구어파 | 할라지어 |
5. 다른 어족과의 관계
튀르크어족의 조어는 동북아시아 또는 중앙아시아 내륙 지역을 원향으로 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튀르크어족은 알타이어족을 이룬다는 학설이 있으며, 몽골어족, 퉁구스어족과의 관계가 추측된다. 한국어와 연관되어 있다는 설도 여러 학자에 의해 주장된 바 있다.[77][78][79] 과거 우랄어족과의 관계도 논의되었으나, 최근 학자들은 우랄어족과의 관련성을 부정하고 있다.[80]
일부 언어학자들은 우그르어족과의 관련성을 제시하며 우랄어족과의 연관성을 주장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견해는 주류 언어학자들에 의해 기각되었고, 유사성은 주로 튀르크어에서 우그르어로의 언어 접촉과 차용 때문으로 여겨진다. Stachowski (2015)는 튀르크어와 우랄어 사이의 어떤 관련성도 접촉에 의한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60]
5. 1. 알타이 제어 가설
튀르크어족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알타이어족의 주요 구성원 중 하나였지만, 알타이어족은 현재 대다수 언어학자들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54] 튀르크어족을 다른 어족과 연결하는 이론 중 어느 것도 현재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다. 알타이어족으로 묶인 언어들과 공유하는 특징들은 대부분의 주류 언어학자들에 의해 언어 연합(sprachbund)의 결과로 해석되어 왔다.[54]튀르크어족과 인근의 퉁구스어족, 몽골어족, 한국어족, 일본어족(이전에는 모두 소위 알타이어족의 일부로 널리 여겨졌다) 사이의 몇몇 어휘적 및 광범위한 유형적 유사성은 최근에는 이들 집단 간의 선사 시대 접촉을 보여주는 것으로 간주된다.
5. 2. 한국어와의 관계
알타이어족 가설과는 별개로, 일부 학자들은 튀르크어족과 한국어 사이의 유전적 관계 가능성을 제시한다.[55][56][57]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의 카박(Kabak, 2004)은 튀르크어와 한국어가 유사한 음운론과 형태론을 공유한다고 주장한다. 리 용성(Li Yong-Sŏng, 2014)[56]은 튀르크어와 고대 한국어 사이에 여러 공통 어원이 있다고 제시하며, 이러한 추정되는 공통 어원들이 초기 튀르크어를 재구성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자연, 땅, 지배와 관련된 단어들, 특히 하늘과 별과 관련된 단어들이 공통 어원으로 보인다.최한우(1996)[57]는 형태소가 언어 간에 쉽게 차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들어 한국어와 튀르크어 사이에 밀접한 유전적 친족 관계가 있을 가능성을 강화한다고 하였다.
많은 역사학자들은 튀르크계 민족과 한국인, 특히 돌궐과 고구려 사이의 밀접한 비언어적 관계를 지적한다.[58][59]
참조
[1]
웹사이트
ХРОНОЛОГИЯ ТЮРКСКИХ ЯЗЫКОВ И ЛИНГВИСТИЧЕСКИЕ КОНТАКТЫ РАННИХ ТЮРКОВ
http://altaica.narod[...]
2020-04-01
[2]
서적
Shared Grammaticalization: With Special Focus on the Transeurasian Languages
John Benjamins
2017-04-19
[3]
서적
Languages of the World, Third Edition
Routledge, an imprint of Taylor & Francis Books Ltd.
2002-03-01
[4]
서적
Language Policy in the Soviet Union
Springer
[5]
서적
The Oxford Guide to the Transeurasian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Language Materials Project: Turkish
http://www.lmp.ucla.[...]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2007-02-01
[7]
학술지
The end of the Altaic controversy: In memory of Gerhard Doerfer
2005-01-01
[8]
학술지
Telling general linguists about Altaic
1999-01-01
[9]
서적
Sinor, 1988, p.710
[10]
서적
Handbuch der Orientalistik. Volume 1 Part 10.
BRILL
[11]
서적
Nordische Reisen und Forschungen. V
St.-Petersburg
[12]
서적
Artificial Life 8
https://books.google[...]
MIT Press
2023-08-25
[13]
학술지
The Genetic Legacy of the Expansion of Turkic-Speaking Nomads across Eurasia
2015-04-21
[14]
학술지
The Genetic Legacy of the Expansion of Turkic-Speaking Nomads across Eurasia
2015-04-21
[15]
서적
Archaeology and Language II: Archaeological Data and Linguistic Hypothes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4-09
[16]
간행물
Ethnogenesis in the tribal zone: The Shaping of the Turks
https://www.academia[...]
Ed. Acad. Române
[17]
학술지
Turkic Loanwords in Mongol, I: The Treatment of Non-initial S, Z, Š, Č
1980-01-01
[18]
서적
Introduction to Altaic philology: Turkic, Mongolian, Manchu
http://сувары.рф/nod[...]
Leiden; Boston
[19]
서적
The Turk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11-22
[20]
서적
A History of Inner Asi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03-01
[21]
서적
The Turkic Languages
https://www.taylorfr[...]
Routledge
[22]
학술지
A Volga Bulgarian Classifier: A Historical and Areal Linguistic Study
https://www.research[...]
2020-01-01
[23]
학술지
A Survey of Studies of Turkic Loan-Words in the Russian Language
https://www.jstor.or[...]
2021-11-28
[24]
서적
The Turks in World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4-10-01
[25]
웹사이트
Turkic Language tree
http://www.ethnologu[...]
[26]
서적
Discoveries on the Turkic linguistic map
https://www.academia[...]
Swedish Research Institute in Istanbul
2024-07-17
[27]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urkic
http://www.turkiclan[...]
Routledge
[28]
문서
Oghuric languages
[29]
웹사이트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Fifteenth edition. Language Family Trees – Turkic
http://www.ethnologu[...]
2007-03-18
[30]
학술지
Detecting Regular Sound Changes in Linguistics as Events of Concerted Evolution 10.1016/j.cub.2014.10.064
[31]
웹사이트
http://xn--90ax2c.xn[...]
2018-07-19
[32]
서적
Chuvash
Routledge
[33]
학술지
Turkic kümüš 'silver' and the lambdaism vs sigmatism debate
https://www.academia[...]
[34]
서적
The classification of the Turk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5]
웹사이트
turcologica
http://www.turkiclan[...]
2021-06-18
[36]
웹사이트
Deviating. Historically developed from Southwestern (Oghuz) (Johanson 1998)
http://www.turkiclan[...]
2011-04-08
[37]
서적
The Turkic languages
Routledge
[38]
웹사이트
Urum
https://glottolog.or[...]
2020-12-04
[39]
웹사이트
Krymchak
https://glottolog.or[...]
2021-07-07
[40]
논문
La Classification des Dialectes de la Langue Turque d'Altaï
[41]
서적
Введение в изучение тюркских языков
Nauka
[42]
백과사전
Алтайский язык
https://bigenc.ru/li[...]
2018-07-31
[43]
웹사이트
Ili Turki
https://glottolog.or[...]
2021-06-20
[44]
웹사이트
The Soyot Language
https://lingsib.iea.[...]
UNESCO
2021-07-18
[45]
웹사이트
Northern Altai
http://www.endangere[...]
ELP Endangered Languages Project
2021-07-16
[46]
웹사이트
Kumandin
http://www.endangere[...]
ELP Endangered Languages Project
2021-07-15
[47]
웹사이트
The Kumandin Language
https://lingsib.iea.[...]
UNESCO
2021-07-16
[48]
웹사이트
The Chelkan Language
https://lingsib.iea.[...]
UNESCO
2021-07-16
[49]
웹사이트
The Teleut Language
https://lingsib.iea.[...]
UNESCO
2021-07-16
[50]
서적
Coene 2009
https://books.google[...]
2023-01-15
[51]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4-04-24
[52]
서적
The Mainz Meeting: Proceedings of the Sev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urkish Linguistics, August 3–6, 1994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14-04-24
[53]
문서
In Glottolog, Western Yugur is classified as Enisei-East Siberian Turkic.
[54]
논문
The Unity and Diversity of Altaic
2023-01-17
[55]
논문
Some syntactic similarities between Turkish, Korean, and Japanese
[56]
간행물
SOME STAR NAMES IN MODERN TURKIC LANGUAGES-I
Academy of Korean Studies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MEST) (AKS-2010-AGC-2101) – Seoul National University
[57]
논문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Turkic: Is Korean Altaic?
http://altaica.ru/LI[...]
2019-04-24
[58]
논문
On the ancient relations between the Turkic and Korean peoples
http://journals.mana[...]
2019-04-24
[59]
논문
Relations between ancient Korea and Turkey: An examination of contacts between Koguryŏ and the Turkic Khaganate
https://muse.jhu.edu[...]
2019-04-24
[60]
논문
Turkic pronouns against a Uralic background
https://www.academia[...]
2019-04-24
[61]
논문
The End of the Altaic Controversy In Memory of Gerhard Doerfer
https://www.jstor.or[...]
Harrassowitz Verlag
[62]
웹사이트
turcologica
http://www.turkiclan[...]
2021-06-18
[63]
서적
От Руси к России
Алгоритм
[64]
문서
[[アヴァル語|アヴァール語]]とは全く別の言語である。
[65]
웹사이트
Krymchak
https://glottolog.or[...]
[66]
웹사이트
Urum
https://glottolog.or[...]
[67]
웹사이트
Ili Turki
https://glottolog.or[...]
[68]
웹사이트
Ainu (China)
https://glottolog.or[...]
[69]
논문
The Genetic Legacy of the Expansion of Turkic-Speaking Nomads across Eurasia
2015-04-21
[70]
논문
The Genetic Legacy of the Expansion of Turkic-Speaking Nomads across Eurasia
2015-04-21
[71]
서적
Archaeology and Language II: Archaeological Data and Linguistic Hypothes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72]
저널
Turkic Loanwords in Mongol, I: The Treatment of Non-initial S, Z, Š, Č
1980
[73]
서적
The Turk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4-29
[74]
저널
Transeurasian: A case of farming/language dispersal
2017
[75]
웹사이트
Tracing population movements in ancient East Asia through the linguistics and archaeology of textile production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2020-04-07
[76]
웹사이트
Millet agriculture dispersed from Northeast China to the Russian Far East: Integrating archaeology, genetics, and linguistics
https://www.scienced[...]
2020-04-07
[77]
저널
Some syntactic similarities between Turkish, Korean, and Japanese
1979
[78]
간행물
SOME STAR NAMES IN MODERN TURKIC LANGUAGES-I
Academy of Korean Studies
[79]
저널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Turkic: Is Korean Altaic?
http://altaica.ru/LI[...]
1996
[80]
저널
Turkic pronouns against a Uralic background
https://www.academia[...]
2015
[81]
서적
The History of Turkic
http://www.turkiclan[...]
Routledge
2011-04-08
[82]
문서
Crimean Tatar and Urum are historically Kypchak languages, but have been heavily influenced by Oghuz languages.
[83]
문서
Tura, Baraba, Tomsk, Tümen, Ishim, Irtysh, Tobol, Tara, etc. are partly of different origin
http://www.turkiclan[...]
2011-04-08
[84]
문서
알타이 튀르크어의 기원이다. 그러나 최근 카자흐어와 밀접하다.
http://www.turkiclan[...]
2011-04-08
[85]
문서
http://www.turkiclan[...]
2011-04-08
[86]
문서
일탈 중. 역사적으로 남서튀르크어(오구즈)에서 파생했다.
http://www.turkiclan[...]
2011-04-08
[87]
문서
아이니어는 위구르어 문법과 페르시아어 어휘가 함께 섞여 있다. 거의 일종의 은어다.
[88]
문서
어떤 방언은 키르기즈(Kirghiz)와 밀접하다.
http://www.turkiclan[...]
2011-04-08
[89]
문서
할라지어는 오구즈 언어에게 둘러 싸이지만 특징의 다수가 오구즈어가 아닌 것으로 분류된것이 나타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