쿤다바이 피라티야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쿤다바이 피라티야르는 10세기 촐라 왕조의 공주로, 촐라 황제 파란타카 2세의 딸이자 라자라자 1세의 누이이다. 그녀는 자이나교 사원을 건립하고, 촐라 비문에 언급될 정도로 종교 활동과 자선 사업에 헌신했으며, 조카 라젠드라 1세의 멘토 역할을 수행했다. 쿤다바이는 예술, 음악, 문학에도 조예가 깊어 다른 왕족 여성들을 가르쳤으며, 촐라 제국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세기 인도의 여자 - 아카데비
- 촐라 사람 - 엘랄란
엘랄란은 촐라 왕족 출신으로 기원전 205년 아누라다푸라 왕국을 침공하여 왕이 되었으며, 공정한 통치로 백성의 신망을 얻었으나 두투가무누 왕자에게 패배한 후 타밀 문학에서 정의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인물이다. - 촐라 사람 - 발라바라이얀 반디야데반
발라바라이얀 반디야데반은 소설 《폰니인 셀반》의 주요 인물로, 용감하고 모험심이 강한 전사이자 왕자로, 쿤다바이 공주의 연인이자 아디티야 카리칼란의 경호원으로서 소설 속 여러 사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쿤다바이 피라티야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원래 이름 | Ālvār Sri Parāntakan Sri Kundavai Nachiyar |
| 신상 정보 | |
| 출생 | 945년 |
| 출생지 | 촐라 제국 티루코일루르 (현재의 인도 타밀나두주) |
| 사망지 | 촐라 제국 파잘하라이 (현재의 인도 타밀나두주) |
| 배우자 | 발라바라이얀 반디야데반 |
| 가문 | |
| 왕조 | 촐라 왕조 (출생) 바나 (결혼) |
| 아버지 | 파란타카 2세 |
| 어머니 | 바나반 마하데비 |
| 친인척 | 아디티야 2세(친정 오빠) 라자라자 1세(친정 남동생) 라젠드라 1세(친정 조카) 아린자야(친정 할아버지) 간다라디티야(친정 큰할아버지) 웃타마(친정 5촌 숙부) |
| 칭호 | |
| 직함 | 탄자부르의 공주 |
| 종교 | |
| 종교 | 힌두교 (시바파 종파) |
2. 생애
쿤다바이는 945년 촐라 황제 파란타카 2세와 황후 바나반 마하데비 사이에서 외동딸로 태어났다. 그녀에게는 형인 아디티야 촐라 2세와 동생인 라자라자 촐라 1세가 있었다.
쿤다바이는 티르탕카라, 비슈누, 시바 등 다양한 신을 위한 사원을 건립하고, 자이나교 승려와 베다 점술가들을 후원하는 등 종교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녀의 이러한 활동은 촐라 비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23][24][25][26]
쿤다바이는 탄자부르 비문에 언급된 촐라의 봉신인 바나 왕조의 일원인 발라바라이얀 반디야데반과 결혼했다.[24] 그는 라자라자 1세 치세에 스리랑카에서 전투를 벌인 촐라군의 사령관이기도 했다. 그의 휘하에 있던 영토는 '발라바라이야나두', 때로는 '브라마데삼'으로 불렸다.
쿤다바이는 증조모 셈비얀 마하데비와 함께 조카 라젠드라 1세를 키웠는데, 그는 라자라자 1세와 코둠발루르의 공주 티리푸바나 마데비야르의 아들이었다. 라젠드라 1세는 어린 시절의 대부분을 쿤다바이와 셈비얀 마하데비와 함께 파자이야라이에서 보냈다.
쿤다바이는 라자라자 1세의 멘토로 칭송받는다. 그녀가 라젠드라 1세를 양육하는 것을 도왔을 때, 그녀의 영향은 다음 세대까지 계속되었다. 황실 여성들이 동맹을 맺기 위해 사용되었던 그녀의 시대에 독특하게, 쿤다바이의 아버지는 그녀가 자유 의지를 행사하도록 허용했고, 따라서 공주는 일생 동안 촐라 제국에 머물기로 결심했다. 그녀의 취향과 학문으로 촐라 제국 전역에서 존경을 받았던 쿤다바이는 예술, 음악, 그리고 문학에서 그들을 가르치면서, 다른 황실 가족의 딸들을 돌보라는 요청을 받았다.
3. 종교 활동 및 자선
> "...금, 은, 진주로 만들어진 그릇과 장식품들은 폰말리가툰지야데바르(파란타카 순다라 촐라)의 딸인 파란타칸 쿤다바이 피라티야르 공주가 지은 쿤다바이-비나가르-알바르, 이라비쿨라마니카-이스와라, 쿤다바이 지날라야의 사원에 바쳐졌다."[27]
> "피란타칸-쿤다바이-피라티야르 공주가 쿤다바이-빈나가르-알바르 사원에 등불을 선물한 양을 기록하고 있다. 사원의 관리를 맡았던 세나파티인 뭄무디-촐라 브라마마라야르도 언급되고 있다."[29][30]
이 외에도 쿤다바이는 조상이나 우상을 세우기도 했다.[31]
3. 1. 주요 유적
쿤다바이는 티르탕카라, 비슈누, 시바를 위해 많은 사원들을 건립했다.[23][24] 그녀는 많은 자이나교 승려들과 베다 점술가들을 존경했다.[5][6]
그녀가 지은 자이나교 사원 중 기록이 남아있는 것은 최소 두 곳으로, 하나는 나중에 다라수람으로 알려진 라자라제스와람에 있고 다른 하나는 티루말라이에 있다.[26][8]

쿤다바이는 탄자부르에 빈나가르 아투라 살라이라는 그녀의 아버지를 따라 병원을 짓고 유지를 위해 광대한 땅들을 기부했다.[28][33][10][15] 그녀는 남동생 라자라자 촐라 1세와 조카 라젠드라 촐라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브리하데스와라 사원에 많은 기부를 했다.[32]
다음은 라자라자 29년에 브리하데스와라르 사원에 대한 그녀의 선물 목록 중 일부이다.
> 만세! 번영이여! 코-라자케사리바만의 별명인 스리-라자야데바가 29년(재위)까지..- 아르바르 파란타칸 쿤다바이야르는, 군주 스리라자야데바의 존경하는 누나이자, 발라라이야르 반디야데바르의 위대한 왕비이다 ...(단다바니라는) 금 표준보다 순도가 4분의 1이나 뛰어난 금 3500카란주와, 단다바니보다 순도가 1(정도) 떨어지는 금 1500카란주를 주어, 모두 5000카란주의 금을 주었다.[32][14]
> 만세! 번영을! 스리-라젠드라-소라데바 군주라는 별칭을 가진 코-파라케사리바르만의 (통치) 3년째 되는 해까지-. (스리-라자라자데바 경의) 유서 깊은 누이이자 발라바라이야르 반디야데바의 위대한 왕비였던 아르바르 파라타칸 쿤다바이야르는...
>
> ...하나의 신성한 거들 (티루 파티 가이), (포함) 97카란주 반, 4만자디, 금의 10분의 9. 반점, 균열, 붉은 점, 검은 점, 불에 탄 흔적 등을 포함하여 가장자리가 매끄러운 크고 작은 다이아몬드 667개가 (그 안에) 세팅되어 있었고, 무게는 2카란주와 (만자디의) 1/4과 1/6이었다. 크고 작은 루비 83개, 즉 우수한 품질의 할라할람 22개, 할라할람 20개, 매끄러운 루비 20개, 푸른빛이 도는 루비 9개, 사탐 2개, 광택이 없는 루비 10개, - 충치, 상처, 구멍, 흰 반점, 흠 등이 여전히 광석에 붙어 있는 것을 포함하여 - 무게는 10카란주와 3/4, 3만자디와 2/10이었다. 둥근 진주, 둥근 진주, 광택이 나는 진주, 작은 진주, 님볼람, 암부무두, 빛나는 물과 붉은 물의 (진주), (그리고) 선, 얼룩, 붉은 점, 흰 반점, 주름이 있는 진주 등 광석에 아직 붙어 있는 상태에서 연마한 진주를 포함하여 끈으로 묶거나 꿰맨 진주의 무게는 18카란주와 2만자디였다. (거들의) 총 무게는 1029카란주와 (마나디의) 10분의 7로, 4500카수의 가치에 해당한다.
>
> 여신의 발을 위한 반지 하나, (포함) 71개의 카란주와 금의 반과 2개의 마자디. 가장자리가 매끄러운 다이아몬드 459개와 반점, 균열, 붉은 점, 검은 점, 불에 탄 자국 등 가장자리가 매끄러운 작은 정사각형 다이아몬드 9개를 (그 안에) 세팅했는데, 무게는 (1) 카란주 반, 3만자디, 9/10이었다. 크고 작은 루비 39개, 즉 우수한 품질의 할라할람 10개, 할라할람 8개, 매끄러운 루비 9개, 푸른빛이 도는 루비 3개, 연마되지 않은 루비 9개, - 충치, 상처, 구멍, 흰 이삭, 결점 등이 여전히 광석에 붙어 있는 것을 포함하여 - 무게는 3카란주와 3/4, 3만자디, 6/10이었다. 전체적으로 (반지의) 무게는 777카란주, 4만자디, (1) 쿤리로 500카수의 가치에 해당한다.[32][14]
4. 비문 기록
쿤다바이는 티르탕카라, 비슈누, 시바를 위해 많은 사원들을 지었고, 많은 자이나교 승려들과 베다 점술가들을 숭배했다.[23][24] 그녀는 촐라 비문에 언급된다.[25][26]
폰말리가툰지야데바르(파란타카 순다라 촐라)의 딸인 파란타칸 쿤다바이 피라티야르 공주가 지은 쿤다바이-비나가르-알바르, 이라비쿨라마니카-이스와라, 쿤다바이 지날라야의 사원에는 금, 은, 진주로 만들어진 그릇과 장식품들이 바쳐졌다.[27]
그녀는 많은 자이나교 사원을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적어도 두 개의 자이나교 사원은 그녀가 지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하나는 나중에 다라수람이라고 알려진 라자라제스와람에 있고 다른 하나는 티루말라이에 있다.[26] 탄자부르에 빈나가르 아투라 살라이라는, 그녀의 아버지를 기리는 병원을 지었고 그 유지를 위해 광범위한 땅들을 기부했다.[28][33] 그녀는 그녀의 남동생 라자라자 촐라 1세와 그녀의 조카 라젠드라 촐라 1세의 통치 기간 동안 브리하데스와라 사원에 많은 기부를 했다.
피란타칸-쿤다바이-피라티야르 공주가 쿤다바이-빈나가르-알바르 사원에 램프를 선물한 양을 기록하고 있으며, 사원의 관리를 맡았던 세나파티인 뭄무디-촐라 브라마마라야르도 언급되고 있다.[29][30]
쿤다바이 공주가 설정한 이미지나 우상은 다음과 같다:[31]
4. 1. 브리하데스와라 사원 기증 목록 (일부)
위 기록들을 통해 쿤다바이가 브리하데스와라 사원에 막대한 양의 금, 다이아몬드, 루비, 진주 등을 기증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장신구에 사용된 보석의 종류와 세공 상태, 무게 등을 상세하게 기록하여 당시의 세공 기술과 쿤다바이의 재력을 짐작할 수 있다.
5. 정치적 영향력
쿤다바이는 라자라자 1세의 멘토로 칭송받는다. 라젠드라 1세를 양육하는 것을 도왔으며, 그녀의 영향은 다음 세대까지 계속되었다. 황실 여성들이 동맹을 맺기 위해 사용되었던 시대에 독특하게, 쿤다바이의 아버지는 그녀가 자유 의지를 행사하도록 허용했고, 따라서 공주는 평생 촐라 제국에 머물기로 결심했다. 쿤다바이는 취향과 학문으로 촐라 제국 전역에서 존경받았으며, 예술, 음악, 문학을 가르치면서 다른 황실 가족의 딸들을 돌보라는 요청을 받았다.[24]
6. 현대의 평가
칼키 크리슈나무르티가 쓴 역사 소설 폰니 셀반(1955년)은 라자라자 1세, 아디타 카리칼란 암살에 얽힌 미스터리, 우타마의 촐라 왕조 왕위 계승을 다룬다.[1] 트리샤 크리쉬난은 영화 폰니 셀반: 파트 1과 폰니 셀반: 파트 2에서 쿤다바이 피라티야르 역을 연기했다.[2]
참조
[1]
간행물
Lalit kalā, Issue 15
[2]
간행물
Early Chola art
[3]
간행물
A Topographical List of Inscriptions in the Tamil Nadu and Kerala States: Thanjavur District
[4]
간행물
Worshiping Śiva in medieval India: ritual in an oscillating universe
[5]
간행물
Women in Indian life and society
[6]
간행물
South Indian Inscriptions – Vol II-Part 1 (Tanjore temple Inscriptions)
[7]
간행물
Śrīnidhiḥ: perspectives in Indian archaeology, art, and culture
[8]
간행물
Encyclopaedia of Jainism
[9]
간행물
A topographical list of inscriptions in the Tamil Nadu and Kerala states, Volume 2
[10]
간행물
Ancient system of oriental medicine
[11]
간행물
A topographical list of inscriptions in the Tamil Nadu and Kerala states, Volume 2
[12]
간행물
Portrait sculpture in south India
[13]
간행물
Middle Chola temples:Rajaraja I to Kulottunga I (A.D. 985–1070)
[14]
간행물
South Indian inscriptions: Volume 2, Parts 1–2
[15]
간행물
Great women of India
[16]
간행물
Encyclopaedia of Status and Empowerment of Women in India: Status and position of women in ancient, medieval and modern India
[17]
간행물
Middle Chola temples: Rajaraja I to Kulottunga I (A.D. 985–1070)
[18]
간행물
Śāṅkaram: recent researches on Indian culture
[19]
간행물
A Topographical List of Inscriptions in the Tamil Nadu and Kerala states: Thanjavur district
T. Mahalingam
[20]
간행물
Early Chola art
[21]
간행물
A Topographical List of Inscriptions in the Tamil Nadu and Kerala States: Thanjavur District
[22]
간행물
Worshiping Śiva in medieval India: ritual in an oscillating universe
[23]
간행물
Women in Indian life and society
[24]
간행물
South Indian Inscriptions – Vol II-Part 1 (Tanjore temple Inscriptions)
[25]
간행물
Śrīnidhiḥ: perspectives in Indian archaeology, art, and culture
[26]
간행물
Encyclopaedia of Jainism
[27]
간행물
A topographical list of inscriptions in the Tamil Nadu and Kerala states, Volume 2
[28]
간행물
Ancient system of oriental medicine
[29]
간행물
A topographical list of inscriptions in the Tamil Nadu and Kerala states, Volume 2
[30]
간행물
Portrait sculpture in south India
[31]
간행물
Middle Chola temples:Rajaraja I to Kulottunga I (A.D. 985–1070)
[32]
간행물
South Indian inscriptions: Volume 2, Parts 1–2
[33]
간행물
Great women of India
[34]
간행물
Encyclopaedia of Status and Empowerment of Women in India: Status and position of women in ancient, medieval and modern India
[35]
간행물
Middle Chola temples: Rajaraja I to Kulottunga I (A.D. 985–107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