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베이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퀵베이직은 1985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출시한 BASIC 프로그래밍 언어의 컴파일러 및 통합 개발 환경이다. 퀵베이직은 줄 번호가 선택 사항이 되었고, 여러 줄의 조건문과 루프 블록과 같은 제어 구조를 지원했다. 퀵베이직은 1988년 버전 4.5를 마지막으로, 이후 Microsoft BASIC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PDS)의 QuickBASIC Extended(QBX)로 개발이 이어졌다. 퀵베이직은 비디오 게임, GUI, 유틸리티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DOS 에뮬레이터를 통해 실행되거나 FreeBASIC, QB64와 같은 대안으로 사용된다. 퀵베이직의 후속 제품으로는 비주얼 베이직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이직 컴파일러 - 비주얼 베이직
비주얼 베이직은 1991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출시된 GUI 기반 응용 프로그램 개발에 강점을 가진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윈도우용 응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 조작 프로그램 개발에 주로 사용되었고, 2005년 표준 지원이 중단되었다. - 베이직 컴파일러 - 프리베이직
FreeBASIC은 QuickBASIC과 비슷한 문법을 가진 BASIC 프로그래밍 언어 컴파일러로, 콘솔 및 GUI 애플리케이션 생성, C 라이브러리 연동, 인라인 어셈블리, 멀티스레딩, QuickBASIC 호환성,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2D 그래픽 라이브러리 등을 지원한다. -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 - 비주얼 베이직
비주얼 베이직은 1991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출시된 GUI 기반 응용 프로그램 개발에 강점을 가진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윈도우용 응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 조작 프로그램 개발에 주로 사용되었고, 2005년 표준 지원이 중단되었다. - 마이크로소프트 베이직 - 알테어 베이직
알테어 베이직은 빌 게이츠와 폴 앨런이 알테어 8800 컴퓨터를 위해 개발한 BASIC 인터프리터로, 마이크로소프트의 초기 성공에 기여하고 소프트웨어 저작권 논쟁을 촉발했으며 MS-DOS로 전환될 때까지 핵심 사업으로 남았다. - 1985년 소프트웨어 - 마이크로소프트 엑셀
마이크로소프트 엑셀은 행과 열로 이루어진 셀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관리하고, 수식, 함수, 차트, 그래프, VBA, 파이썬 등을 통해 데이터 분석, 자동화, 시각화 기능을 제공하는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이다. - 1985년 소프트웨어 - 윈도우 1.0
윈도우 1.0은 1985년 마이크로소프트가 출시한 MS-DOS 기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 환경으로, 초기에는 미온적인 반응을 얻었지만 윈도우 운영 체제의 기원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퀵베이직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개발사 | 마이크로소프트 |
최초 출시 | 1985년 |
최신 버전 | 7.1 |
최신 버전 출시일 | 1990년 |
운영 체제 | MS-DOS Classic Mac OS |
플랫폼 | x86 Motorola 68000 |
장르 | Microsoft BASIC |
라이선스 | Proprietary |
전신 | 없음 |
후신 | Microsoft Visual Basic |
2. 역사
1985년 8월 18일, 마이크로소프트는 360KB의 5.25인치 플로피 디스크 한 장에 퀵베이직의 첫 번째 버전을 출시했다. 퀵베이직 버전 2.0 이후부터는 통합 개발 환경(IDE)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상의 텍스트 편집기에서 직접 편집할 수 있었다.
퀵베이직에서는 줄 번호가 선택 사항이 되었고, 프로그램 점프는 명명된 레이블로도 작동했다. 이후 버전에는 여러 줄의 조건문 및 루프 블록과 같은 제어 구조도 추가되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PC BASIC 컴파일러"는 프로그램을 DOS 실행 파일로 컴파일하는 데 포함되었다. 버전 4.0부터는 편집기에 인터프리터가 포함되어 프로그래머가 편집기를 종료하지 않고도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었다. 인터프리터는 실행 파일을 만들기 전에 프로그램을 디버깅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나 인터프리터와 컴파일러 간에는 몇 가지 미묘한 차이점이 있었는데, 이는 인터프리터에서 제대로 실행되는 대규모 프로그램이 컴파일 후 실패하거나, 메모리 관리 루틴의 차이로 인해 전혀 컴파일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퀵베이직의 마지막 버전은 버전 4.5(1988)였지만, 마이크로소프트 BASIC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PDS)의 개발은 1990년 10월에 버전 7.1의 마지막 릴리스까지 계속되었다. 동시에 퀵베이직 패키징은 BASIC PDS 7.1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압축을 사용하도록 조용히 변경되었다. Basic PDS 7.x 버전의 IDE는 QuickBASIC Extended(QBX)라고 불렸으며 OS/2에서도 실행되는 나머지 Basic PDS 7.x와 달리 DOS에서만 실행되었다.
퀵베이직 4.5는 수많은 서적, 기사 및 프로그래밍 튜토리얼의 주제가 되었으며 PC 시장에서 BASIC이 최고조에 달할 때 출시되었다. 1989년, 마이크로소프트 프레스는 퀵베이직 인터프리터를 ''Learn BASIC Now''라는 책과 소프트웨어 학습 시스템으로 묶어 판매했다.
퀵베이직과 Basic PDS의 후속 제품은 MS-DOS용 비주얼 베이직 버전 1.0이었으며, Standard 및 Professional 버전으로 출시되었다. 이후 버전의 비주얼 베이직은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 집중하면서 DOS 버전을 포함하지 않았다.
QBasic이라는 퀵베이직 4.5의 하위 집합은 MS-DOS 5 및 이후 버전에 포함되어 이전 버전의 MS-DOS에 포함된 GW-BASIC을 대체했다.
애플 매킨토시 운영 체제를 위한 퀵베이직 1.00은 1988년에 출시되었다.
2. 1. 초기 버전 (1985-1988)
1985년 8월 18일, 마이크로소프트는 360KB 5.25인치 플로피 디스크 한 장에 퀵베이직의 첫 번째 버전을 출시했다.[18] 1986년 출시된 퀵베이직 버전 2.0은 통합 개발 환경(IDE)을 탑재해 사용자가 화면상의 텍스트 편집기에서 직접 코드를 편집할 수 있게 했다.[18] 퀵베이직에서는 줄 번호가 선택 사항이 되었고, 프로그램 점프는 명명된 레이블로도 가능했다. 이후 1987년 출시된 버전 3.0에서는 보조 프로세서 및 do-loop 문을 지원했다.[18] 1988년 버전 4.0에서는 소스 코드 입력 시 문법 검사, 중단점 기능 등이 추가되었다.[18]버전 | 출시일 | 주요 특징 |
---|---|---|
1.0 | 1985년 8월 | 첫 번째 버전 |
2.0 | 1986년 | 통합 개발 환경(IDE) 탑재 |
3.0 | 1987년 | 보조 프로세서 및 do-loop 문 지원 |
4.0 | 1988년 | 문법 검사, 중단점 기능 추가 |
2. 2. 일본어 버전 출시 (1988-1991)
1988년, 일본에서는 PC-9800 시리즈 및 AX 시리즈용으로 퀵베이직 버전 4.2가 발매되었다. 일본IBM과 후지쯔도 각각 자사 플랫폼용 퀵베이직을 발매했다.[20]2. 3. 확장 및 후속 버전 (1988-1993)
1988년, 퀵베이직의 마지막 단독 버전인 4.5가 출시되었다.[20] 1990년 10월, 상위 제품인 Microsoft BASIC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PDS)에 퀵베이직 상위 호환 개발 환경인 "QuickBASIC Extended Version" (QBX)이 탑재되어 버전 7.1까지 사용되었다.[20]1988년에는 애플 매킨토시 운영 체제를 위한 퀵베이직 1.00이 출시되었다.
1992년, 이벤트 구동 프로그래밍을 용이하게 한 마이크로소프트 비주얼 베이직 Programming System for MS-DOS가 출시되었으며, 퀵베이직의 소스 코드는 쉽게 이식할 수 있었다.
3. 개발 환경
퀵베이직은 IDE을 제공하여 프로그래밍의 효율성을 높였다. 퀵베이직 IDE는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포함한다.
- 컴파일러 및 인터프리터: 목적에 맞게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를 모두 제공한다.
- 텍스트 편집기: 사용자 친화적인 코딩 환경과 텍스트 범위 지정, 복사, 붙여넣기, 검색, 바꾸기, 들여쓰기 조정 등 다양한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
- 온라인 도움말: 소스 코드 편집 중에도 온라인 도움말을 열람할 수 있다.
- 디버거: 중단점, 단계별 실행, 감시 (변수나 식의 값 확인)등 프로그램 오류를 효율적으로 찾고 수정하도록 돕는 기능을 제공한다.
3. 1. 컴파일러 및 인터프리터
퀵베이직은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를 모두 제공하여 사용자가 목적에 맞게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했다. 컴파일러는 실행 파일 크기가 작은 런타임 버전과 실행 속도가 빠른 독립 실행형 바이너리를 생성할 수 있었다.[1] 인터프리터로 실행할 경우, 후술할 디버거를 이용할 수 있었다.[1] 여러 소스 파일을 분할 컴파일하고 링크하는 기능과 프로젝트 생성 기능을 지원했다.[1]3. 2. 텍스트 편집기
퀵베이직의 텍스트 편집기는 사용자 친화적인 코딩 환경을 제공했다. 소스 코드 입력 중 문법 오류를 감지하여 지적하는 기능, 텍스트 범위 지정, 복사, 붙여넣기, 검색, 바꾸기, 들여쓰기 조정 등 다양한 편집 기능을 제공했다.[1] 서브루틴 단위로 화면에 표시하여 편집할 수 있었으며, 소스 파일의 읽기 및 저장은 텍스트 형식 외에 N88-BASIC의 바이너리 형식으로도 가능했다(PC-9801판 한정).[1]3. 3. 온라인 도움말
퀵베이직은 소스 코드 편집을 중단하지 않고 온라인 도움말을 열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했다.[1]3. 4. 디버거
퀵베이직의 디버거는 프로그램의 오류를 효율적으로 찾고 수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했다. 주로 다음과 같은 기능이 있었다.- 중단점
- 단계별 실행
- 감시 (변수나 식의 값 확인)
4. 언어
GW-BASIC 이전의 Microsoft BASIC에 비해, 지역 변수, 구조체 등 구조화에 대응하여 기능이 크게 확장되었다.
4. 1. 데이터 타입
퀵베이직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타입을 지원했다.4. 2. 변수
퀵베이직은 전역 변수, 지역 변수, 정적 변수를 지원했으며, C 언어에서 말하는 auto 변수도 지원했다.4. 3. 제어 구조
퀵베이직은 구조적 프로그래밍을 지원하기 위해 반복문, 조건문, 함수 및 서브루틴, 인터럽트 처리 등 다양한 제어 구조를 제공했다.4. 3. 1. 반복문
`for`, `while ... wend`, `do ... loop` 문이 있다.`do ... loop`문은 가장 유연하게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반복문 형식이다.
조건 | 구문 |
---|---|
do while 조건 | |
do until 조건 | |
do | |
do |
4. 3. 2. 조건문
퀵베이직의 조건문은 다음과 같다.- 한 줄 `if`:
```
if 조건 then 참일 때 else 거짓일 때
```
- 여러 줄 `if`:
```
if 조건 then
참일 때
else
거짓일 때
end if
```
`select case`는 C 언어의 `switch` 문과 유사하지만, 정수 이외의 값도 사용할 수 있으며, 범위 등의 조건을 기술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었다.
4. 3. 3. 함수 및 서브루틴
서브루틴을 기술할 수 있었으며, 값을 반환하는 경우에는 함수, 값을 반환하지 않는 경우에는 서브루틴이었다. C 언어의 `return`에 해당하는 `Exit Sub`, `Exit Function` 문을 제공했다. 재귀 호출(Recursive call)이 가능했다.[1]4. 3. 4. 인터럽트 처리
다음과 같은 타이밍에 인터럽트 처리를 수행할 수 있었다.- 오류 발생
- 키 누름
- 타이머
- 음악 연주 버퍼
오류에 대한 인터럽트 처리를 수행한 경우, `resume` 문으로 원래의 처리를 재개할 수도 있었다.
5. 문법 예시
퀵베이직은 다양한 문법을 가지고 있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 Hello, World:
```qbasic
?"Hello, World"
```
```qbasic
CLS
PRINT "Hello, World"
END
```
- 99 Bottles of Beer:
```qbasic
LET BOTTLES = 99: LET BOTTLES$ = "99": LET BOTTLE$ = " bottles"
FOR A = 1 TO 99
PRINT BOTTLES$; BOTTLE$; " of beer on the wall, "; BOTTLES$; BOTTLE$; " of beer."
LET BOTTLES = BOTTLES - 1
IF BOTTLES > 0 THEN LET BOTTLES$ = LTRIM$(STR$(BOTTLES)): LET PRONOUN$ = "one"
IF BOTTLES = 0 THEN LET BOTTLES$ = "no more": LET PRONOUN$ = "it"
IF BOTTLES <> 1 THEN LET BOTTLE$ = " bottles"
IF BOTTLES = 1 THEN LET BOTTLE$ = " bottle"
PRINT "Take "; PRONOUN$; " down and pass it around, "; BOTTLES$; BOTTLE$; " of beer on the wall."
PRINT: NEXT A
PRINT "No more bottles of beer on the wall, no more bottles of beer."
PRINT "Go to the store and buy some more, 99 bottles of beer on the wall."
```
- 그래픽 예시:
```qbasic
SCREEN 13
DIM a(3976) AS INTEGER, b(3976) AS INTEGER, c(3976) AS INTEGER
DIM d(3976) AS INTEGER, e(3976) AS INTEGER
col% = 16: col1% = 16: col2% = 16: col3% = 16: col4% = 16
col5% = 16: col6% = 16: col7% = 16: flag = 1: flag1 = 1
flag2 = 1: flag3 = 1:flag4 = 1: flag5 = 1: flag6 = 1: flag7 = 1
DO
GET (1, 38)-(318, 62), a
PUT (2, 38), a, PSET
LINE (1, 38)-(1, 62), col%
IF flag = 1 THEN col% = col% + 1: IF col% = 32 THEN flag = 2
IF flag = 2 THEN col% = col% - 1: IF col% = 16 THEN flag = 1
GET (2, 63)-(319, 87), b
PUT (1, 63), b, PSET
LINE (319, 63)-(319, 87), col1%
IF flag1 = 1 THEN col1% = col1% + 1: IF col1% = 32 THEN flag1 = 2
IF flag1 = 2 THEN col1% = col1% - 1: IF col1% = 16 THEN flag1 = 1
GET (1, 88)-(318, 112), c
PUT (2, 88), c, PSET
LINE (1, 88)-(1, 112), col2%
IF flag2 = 1 THEN col2% = col2% + 1: IF col2% = 32 THEN flag2 = 2
IF flag2 = 2 THEN col2% = col2% - 1: IF col2% = 16 THEN flag2 = 1
GET (2, 113)-(319, 137), d
PUT (1, 113), d, PSET
LINE (319, 113)-(319, 137), col3%
IF flag3 = 1 THEN col3% = col3% + 1: IF col3% = 32 THEN flag3 = 2
IF flag3 = 2 THEN col3% = col3% - 1: IF col3% = 16 THEN flag3 = 1
GET (1, 138)-(318, 162), e
PUT (2, 138), e, PSET
LINE (1, 138)-(1, 162), col4%
IF flag4 = 1 THEN col4% = col4% + 1: IF col4% = 32 THEN flag4 = 2
IF flag4 = 2 THEN col4% = col4% - 1: IF col4% = 16 THEN flag4 = 1
LOOP UNTIL LEN(INKEY$)
```
- 버블 정렬 예시:
```qbasic
REM sample of bubble sort
N = 10
DIM A(N) AS INTEGER
FOR L = 1 TO N
A(L) = INT(RND * 10 + 1)
NEXT
FOR X = 1 TO N
FOR Y = 1 TO N - 1
IF A(X) < A(Y) THEN SWAP A(X), A(Y)
NEXT
NEXT
FOR L = 1 TO N
PRINT A(L)
NEXT
END
5. 1. Hello, World
가장 짧은 버전은 다음과 같다.```qbasic
?"Hello, World"
```
확장 버전은 다음과 같다.
```qbasic
CLS
PRINT "Hello, World"
END
5. 2. 99 Bottles of Beer
qbasicLET BOTTLES = 99: LET BOTTLES$ = "99": LET BOTTLE$ = " bottles"
FOR A = 1 TO 99
PRINT BOTTLES$; BOTTLE$; " of beer on the wall, "; BOTTLES$; BOTTLE$; " of beer."
LET BOTTLES = BOTTLES - 1
IF BOTTLES > 0 THEN LET BOTTLES$ = LTRIM$(STR$(BOTTLES)): LET PRONOUN$ = "one"
IF BOTTLES = 0 THEN LET BOTTLES$ = "no more": LET PRONOUN$ = "it"
IF BOTTLES <> 1 THEN LET BOTTLE$ = " bottles"
IF BOTTLES = 1 THEN LET BOTTLE$ = " bottle"
PRINT "Take "; PRONOUN$; " down and pass it around, "; BOTTLES$; BOTTLE$; " of beer on the wall."
PRINT: NEXT A
PRINT "No more bottles of beer on the wall, no more bottles of beer."
PRINT "Go to the store and buy some more, 99 bottles of beer on the wall."
```
다음은 주어진 코드를 위키 텍스트 형식에 맞게 수정한 결과입니다.
1. 코드 블록: `qbasic` 코드 블록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위키 텍스트 문법상 코드 블록을 표현하는 특별한 방법이 없으므로, 원본 코드의 가독성을 해치지 않도록 그대로 두는 것이 최선입니다.
2. 주석 처리: 코드 내 주석은 퀵베이직 코드의 일부이므로 그대로 둡니다.
3. 템플릿, 표, 이미지 갤러리: 해당 사항 없음
4. 기타: 특별히 수정할 사항 없음
결론적으로, 주어진 코드는 퀵베이직 코드 자체를 보여주는 것이 목적이므로, 위키 텍스트 형식으로 변환할 요소가 거의 없습니다. 따라서 원본 코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5. 3. 그래픽 예시
qbasicSCREEN 13
DIM a(3976) AS INTEGER, b(3976) AS INTEGER, c(3976) AS INTEGER
DIM d(3976) AS INTEGER, e(3976) AS INTEGER
col% = 16: col1% = 16: col2% = 16: col3% = 16: col4% = 16
col5% = 16: col6% = 16: col7% = 16: flag = 1: flag1 = 1
flag2 = 1: flag3 = 1: flag4 = 1: flag5 = 1: flag6 = 1: flag7 = 1
DO
GET (1, 38)-(318, 62), a
PUT (2, 38), a, PSET
LINE (1, 38)-(1, 62), col%
IF flag = 1 THEN col% = col% + 1: IF col% = 32 THEN flag = 2
IF flag = 2 THEN col% = col% - 1: IF col% = 16 THEN flag = 1
GET (2, 63)-(319, 87), b
PUT (1, 63), b, PSET
LINE (319, 63)-(319, 87), col1%
IF flag1 = 1 THEN col1% = col1% + 1: IF col1% = 32 THEN flag1 = 2
IF flag1 = 2 THEN col1% = col1% - 1: IF col1% = 16 THEN flag1 = 1
GET (1, 88)-(318, 112), c
PUT (2, 88), c, PSET
LINE (1, 88)-(1, 112), col2%
IF flag2 = 1 THEN col2% = col2% + 1: IF col2% = 32 THEN flag2 = 2
IF flag2 = 2 THEN col2% = col2% - 1: IF col2% = 16 THEN flag2 = 1
GET (2, 113)-(319, 137), d
PUT (1, 113), d, PSET
LINE (319, 113)-(319, 137), col3%
IF flag3 = 1 THEN col3% = col3% + 1: IF col3% = 32 THEN flag3 = 2
IF flag3 = 2 THEN col3% = col3% - 1: IF col3% = 16 THEN flag3 = 1
GET (1, 138)-(318, 162), e
PUT (2, 138), e, PSET
LINE (1, 138)-(1, 162), col4%
IF flag4 = 1 THEN col4% = col4% + 1: IF col4% = 32 THEN flag4 = 2
IF flag4 = 2 THEN col4% = col4% - 1: IF col4% = 16 THEN flag4 = 1
LOOP UNTIL LEN(INKEY$)
```
변경된 점이 없습니다. 주어진 코드는 퀵베이직 코드 예시이며, 위키텍스트 문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코드는 그대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5. 4. 버블 정렬
qbasicREM 버블 정렬 예시
N = 10
DIM A(N) AS INTEGER
FOR L = 1 TO N
A(L) = INT(RND * 10 + 1)
NEXT
FOR X = 1 TO N
FOR Y = 1 TO N - 1
IF A(X) < A(Y) THEN SWAP A(X), A(Y)
NEXT
NEXT
FOR L = 1 TO N
PRINT A(L)
NEXT
END
6. 현재의 사용
퀵베이직은 비디오 게임, GUI, 유틸리티 소프트웨어 등을 작성하는 데 사용되는 취미 프로그래머 커뮤니티에서 여전히 활용되고 있다.[8][9][10] 또한, DOSBox와 같은 DOS 에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최신 운영 체제에서 퀵베이직을 실행하기도 하며, FreeBASIC이나 QB64와 같은 대안도 존재한다.[13][14][15] 2008년 이후에는 퀵베이직용 TCP/IP 루틴 세트가 개발되어 빈티지 컴퓨터 커뮤니티에서 활용되면서 새로운 관심을 받기도 했다.[16]
6. 1. 취미 프로그래머 커뮤니티
퀵베이직은 비디오 게임, GUI, 유틸리티 소프트웨어 등을 작성하기 위해 컴파일러를 사용하는 취미 프로그래머 커뮤니티가 있다.[8][9][10] 이 커뮤니티는 여러 웹 사이트, 게시판, 온라인 잡지 등을 운영하고 있다.[11][12]6. 2. 레트로 컴퓨팅 및 에뮬레이션
오늘날 프로그래머들은 종종 DOS 에뮬레이터(예: DOSBox)를 사용하여 리눅스와 컴파일러를 더 이상 지원하지 않는 최신 개인용 컴퓨터에서 퀵베이직을 실행한다.[13][14] FreeBASIC과 QB64 같은 대안도 있지만, 아직 모든 QBasic/QuickBASIC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는 없다.[15]6. 3. TCP/IP 루틴 및 빈티지 컴퓨터 활용
2008년 이후, 퀵베이직 4.x 및 7.1용 TCP/IP 루틴 세트가 개발되어 소프트웨어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다.[16] 특히, 빈티지 컴퓨터 취미 커뮤니티는 DOS를 실행하는 구형 컴퓨터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작성하여 이러한 컴퓨터가 LAN 또는 인터넷을 통해 다른 컴퓨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8088과 같은 구형 시스템도 웹 서버 역할을 하거나 IRC를 사용하는 등 새로운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16]7. 후속 제품
마이크로소프트의 비주얼 베이직은 퀵베이직의 후속 제품이었다. 파워베이직, 프리베이직, QB64 등 다른 컴파일러들도 다양한 수준으로 퀵베이직과 호환된다.[17]
7. 1. 비주얼 베이직 (클래식)
마이크로소프트의 비주얼 베이직은 퀵베이직의 후속 제품이었다. 파워베이직과 프리베이직과 같은 다른 컴파일러들은 다양한 수준의 호환성을 가지고 있다. QB64는 멀티플랫폼 퀵베이직에서 C++로 변환해주는 프로그램으로, 거의 100%의 호환성을 유지하며 윈도우, 리눅스, macOS용으로 네이티브 컴파일을 지원한다.[17]7. 2. 기타 컴파일러
파워베이직과 프리베이직 같은 다른 컴파일러들은 다양한 수준의 호환성을 가지고 있다.[17] QB64는 멀티플랫폼 퀵베이직에서 C++로 변환해주는 프로그램으로, 거의 100%의 호환성을 유지하며 윈도우, 리눅스, macOS용으로 네이티브 컴파일을 지원한다.[17]참조
[1]
문서
Early Microsoft documentation rendered the name exclusively as "QuickBASIC", although later references on Microsoft's Web site also use "QuickBasic".
[2]
웹사이트
Microsoft Knowledge Base 45850: Memory Management in QuickBasic & Basic Compiler
https://www.betaarch[...]
[3]
문서
QuickBASIC 4.5 was delivered on a set of five 360 KB 5.25-inch DSDD floppy disks or three 720 KB 3.5-inch DSDD floppy disks. The three-disk version could also be installed from 1.2 MB 5.25-inch or 1.44 MB 3.5-inch DSHD disks. To save costs, the files were compressed and later versions were shipped on just four 5.25-inch disks or two 3.5-inch disks.
[4]
웹사이트
Microsoft Knowledge Base article 65291
http://support.micro[...]
[5]
서적
Learn BASIC Now
Microsoft Press
1989
[6]
웹사이트
QuickBASIC for Macintosh system requirements
http://support.micro[...]
[7]
서적
Learn BASIC for the Apple Macintosh Now
Microsoft Press
1990
[8]
웹사이트
QBASIC Games Directory
http://www.qbasic.co[...]
2008-12-28
[9]
웹사이트
GUI Reviews
http://qbasicgui.dat[...]
2008-12-28
[10]
웹사이트
The (BASIC) GUI Blog
http://theguiblog.co[...]
2011-02-06
[11]
웹사이트
Qbasic/Quickbasic News
http://qbasicnews.co[...]
2008-12-28
[12]
웹사이트
QB Express
http://www.petesqbsi[...]
Pete's QBASIC/QuickBasic Site
2008-12-28
[13]
웹사이트
HOWTO Play With Your Old QBasic Programs on Linux
http://penguinpetes.[...]
2008-12-28
[14]
웹사이트
Kiyote Wolf on a Variety of Subjects
http://www.petesqbsi[...]
QB Express
2008-12-28
[15]
문서
For example, FreeBASIC does not yet support QBasic's "ON PLAY" callback for background music, or the use of [[PEEK and POKE]] to [[I/O port]]s.
[16]
웹사이트
rubbermallet.org: Where QuickBASIC gets much more powerful
http://www.rubbermal[...]
2008-12-28
[17]
웹사이트
Interview With Galleon
http://basicprogramm[...]
2008-07-14
[18]
웹사이트
Version History of Microsoft QuickBasic for MS-DOS
https://web.archive.[...]
マイクロソフト
2023-02-15
[19]
간행물
Microsoft to Release Mac Works 2.0, PC Mail
[20]
간행물
Applications Development: Microsoft BASIC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