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노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나르는 바이킹 시대에 사용된 화물선으로, 튼튼한 참나무로 제작되어 최대 30톤의 화물을 실을 수 있었다. 1개의 돛과 6명의 승무원으로 운용되었으며, 롱쉽보다 폭이 넓고 흘수가 깊어 북아메리카 탐험과 정착, 무역 활동에 사용되었다. 1962년 덴마크 로스킬레 피오르드에서 발견된 크나르는 고고학적 가치를 지니며, 현대에는 요트 디자인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킹 선박 - 랑스킵
랑스킵은 바이킹 시대의 길고 좁은 배로, 노와 돛을 사용하여 얕은 물 항해와 해변 상륙에 용이하며, 속도와 육로 수송 가능성을 겸비하여 군사 및 상업적 목적으로 활용된 스네케, 스케이드, 드레키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는 배이다. - 바이킹 선박 - 바이킹 배 박물관 (로스킬레)
덴마크 로스킬레에 위치한 바이킹 배 박물관은 바이킹 시대의 선박 기술과 해양 문화를 보여주는 곳으로, 스쿨델레프 선박을 비롯한 다양한 바이킹 시대 선박 전시와 선박 복원, 항해 재현 등의 활동을 통해 바이킹 시대의 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박물관이다.
크노르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상선 |
시대 | 바이킹 시대 |
건조 재료 | 나무 |
추진 방식 | 돛 또는 노 |
특징 | |
선체 구조 | 클링커 방식 |
용도 | 무역, 탐험, 정착 |
크기 | 다양함 |
다른 배와의 관계 | 랑스킵 (전투용 군함) 카르브 (소형 선박) 페링 (소형 보트) |
2. 구조
크노르는 남부 스칸디나비아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참나무로 만들어졌는데, 이는 매우 튼튼하고 유연한 재료였다.[2] 참나무 선체는 깊고 넓게 제작되어 안정성이 뛰어났으며, 겹쳐지는 판자를 리벳으로 고정하는 클링커 방식으로 제작되어 거친 바다에도 잘 견딜 수 있었다.[3] 크노르는 길이 약 16m, 최대 30ton의 화물을 실을 수 있었고, 돛을 사용하여 단 6명의 승무원으로도 운항이 가능했다.[4]
사가에 따르면, 레이프 에릭손이 북아메리카로 항해할 때 비아르니 헤르욜프손에게서 구입한 배가 크노르였다고 한다. 어떤 배의 용골은 여러 세대에 걸쳐 계승되기도 했는데, 이는 배를 만드는 데 드는 시간, 돈,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크노르는 한자동맹의 코그선 구조에도 영향을 미쳤지만, 코그선의 전체적인 구조는 크노르와 상당히 달랐다.
2. 1. 특징
크노르는 전투에 사용된 노르웨이의 롱쉽보다 짧고, 폭이 넓으며, 빔이 넓고, 흘수가 깊었다. 바이킹의 롱쉽에 비해 무게가 있었다. 크노르는 1개 마스트의 무역선으로, 그 추진력은 단지 1장의 가로 돛에 의존했다. 갑판은 절반만 있었으며,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조립식 선미루와 둥근 선미, 선미 기둥이 있었다. 가로 돛을 사용하는 배라는 점, 그리고 용골이 없다는 점은 좁은 각도로 항해(바람을 거슬러 돛을 사용하여 항해)할 때 약점이 되었지만, 추진력으로 노에 의존하지 않아도 되었다.[4]남부 스칸디나비아에서 널리 구할 수 있었던 참나무는 매우 튼튼하고 유연하여 크나르를 짓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2] 참나무로 된 선체는 훨씬 깊게 제작되었으며, 더 넓은 선체와 결합하여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안정적인 상선을 만들었다. 이러한 개조를 통해 부드러운 항해가 가능했으며, 가장 거친 파도에도 잘 견딜 수 있었다. 더욱이 바이킹들은 겹쳐지는 판자를 선체에 리벳으로 고정하여 클링커 선체를 만들었는데, 이는 거친 바다에 더 적합했다.[3] 따라서 크노르는 길이가 약 16m였으며 최대 30ton의 화물을 실을 수 있었다. 돛을 추가했기 때문에 관리가 매우 쉬운 배였으며, 단 6명의 승무원만으로 관리할 수 있었다.[4]
각 배에 얽힌 일화가 있다. 사가에 따르면, 레이프 에릭손이 북아메리카로 항해했을 때, 그는 비아르니 헤르욜프손영어의 배를 샀다. 이 배는 비아르니가 바람에 휩쓸려 그린란드에서 서쪽으로 북아메리카로 운반되었을 때와 같은 배라고 한다. 어떤 배의 용골이 여러 세대에 걸쳐 계승되어,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배가 다시 만들어졌다는 이야기가 바다를 항해하는 특별한 배의 신화가 되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어떤 배의 용골을 사용하는 것은 조선에 드는 시간, 돈, 에너지를 절약하는 결과를 가져왔을지도 모른다.
크노르는 한자동맹에 의해 발트해에서 사용된 코그선의 구조에도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코그선의 전체 구조는 상당히 달랐다.
2. 2. 롱쉽과의 비교
크나르는 롱쉽보다 짧고, 폭이 넓으며, 빔이 넓고, 흘수가 깊었다. 바이킹의 롱쉽에 비해 무게가 있었다. 크나르는 1개의 마스트를 가진 무역선으로, 단지 1장의 가로 돛에만 의존하여 추진했다. 갑판은 절반만 있었으며,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조립식 선미루와 둥근 선미, 선미 기둥을 갖추고 있었다. 가로 돛을 사용하는 배이고 용골이 없다는 점은 좁은 각도로 항해할 때(바람을 거슬러 돛을 사용) 약점이 되었지만, 노를 젓지 않아도 추진력을 얻을 수 있었다.3. 역사적 의의
크노르는 바이킹 시대 탐험과 무역에 큰 영향을 미친 중요한 배이다. 그린란드인 사가와 에이리크 사가는 크노르를 이용한 바이킹의 빈란드 항해와 발견을 기록하고 있다.[5] 1960년 랑스 오 메도스에서 발견된 바이킹 정착지는 이를 뒷받침한다.[6] 크노르는 정착에 필요한 물품을 운반하고,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등 다른 정착지와의 교류에도 사용되었다.
1962년 덴마크 로스킬레 피오르드에서 다른 배들과 함께 발견된 크노르는 해협 봉쇄를 위해 의도적으로 침몰된 것으로 추정된다. Skuldelev ships|스칼데레브 선영어으로 알려진 이 배들은 현재 로스킬레의 Viking Ship Museum in Roskilde|로스킬레 바이킹 선박 박물관영어에 보관되어 있다.
3. 1. 북대서양 탐험과 정착
그린란드인 사가와 에이리크 사가는 오늘날의 뉴펀들랜드인 빈란드에 대한 바이킹의 항해와 발견에 대한 심층적인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5] 이러한 모험담은 수백 년 동안 구두로 전해지다가 13세기경에 익명의 작가에 의해 기록되었다. 1960년, 탐험가 헬게 잉스타드와 그의 아내이자 고고학자인 안네 스틴 잉스타드는 사가와 지도와 같은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여 뉴펀들랜드의 랑스 오 메도스에서 바이킹 정착지를 발견했다.[6] 이 혁신적인 발견은 바이킹이 북아메리카에 도달했다는 것을 확고히 했으며, 사가가 어느 정도 진실성을 가지고 있음을 증명했다. 오늘날에도 이 지역은 계속 조사되고 있으며, 새로운 현장 기술을 사용하여 더욱 훌륭한 발견이 이루어지고 있다.[7] 크나르는 빈란드에서의 바이킹 정착에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정착에 필요한 식량, 도구, 가축 등을 운반할 수 있는 유일한 배 중 하나였기 때문이다. 크나르는 빈란드 뿐만 아니라 그린란드와 아이슬란드와 같은 다른 노르드 정착지로도 화물을 운송했을 것이다.크나르는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뉴펀들랜드 섬으로의 식민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북아메리카로 건너간 최초의 유럽인들이 사용한 것도 아마 같은 종류의 범선일 것이다.
3. 2. 무역 활동
그린란드인 사가와 에이리크 사가는 오늘날의 뉴펀들랜드인 빈란드에 대한 바이킹의 항해와 발견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5] 1960년, 탐험가 헬게 잉스타드와 그의 아내이자 고고학자인 안네 스틴 잉스타드는 뉴펀들랜드의 랑스 오 메도스에서 바이킹 정착지를 발견했다.[6] 크나르는 빈란드에서의 바이킹 정착에 필요한 화물을 운송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크나르는 식량, 도구, 가축 등을 이 신세계로 운반했을 것이다. 크나르는 빈란드의 정착을 도울 뿐만 아니라 그린란드와 아이슬란드와 같은 다른 노르드 정착지로도 화물을 운송했을 것이다.발견과 정착 외에도 크나르 선박은 바이킹 세계 전역의 무역로에도 참여했을 것이다. 발트해에서 북대서양에 이르기까지 바이킹 무역로는 복잡하고 흔히 이용되었다. 발트해에서는 따뜻한 달에는 배로, 겨울에는 도보나 썰매로 1년 내내 무역이 가능했다.[8] 이러한 무역로를 통해 바이킹은 유럽에서 아시아에 이르는 다양한 상인들과 교역할 수 있었다. 바이킹이 강과 바다를 통한 무역을 선호했기 때문에 크나르는 대부분의 강과 수로에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작아서 완벽한 후보였다. 무역은 바이킹을 주변 세계와 연결했을 뿐만 아니라 문화로서의 상호 연관성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했다. 모피, 식량, 무기 등과 함께 어류 무역은 크나르의 도움을 받아 북대서양 무역로 발전에 필수적이었다.[9]
4. 고고학적 발견
1962년 덴마크 로스킬레 피오르드의 얕은 해협에서 보존 상태가 좋은 크나르가 발견되었다. 이때 2척의 전투함, 발트해의 상선 및 연락선도 함께 발견되었다. 고고학자들은 이 배들이 적의 침략에 대비해 해협을 봉쇄하기 위해 침몰된 것으로 추정한다. 스칼데레프 선(Skuldelev ships)으로 알려진 이 5척의 배는 로스킬레의 바이킹 선박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11]
크나르는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뉴펀들랜드 섬으로의 식민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북아메리카로 건너간 최초의 유럽인들이 사용한 것도 아마 같은 종류의 범선일 것이다.
4. 1. 스칼데레프 1호선
1962년 덴마크 슐데레프에서 수 세기 동안 얕은 물에 잠겨 있던 난파선 발굴 작업이 시작되었다. 수년 전에 발견되었지만, 전설에 따르면 15세기 덴마크 마르그레테 1세 여왕의 침몰한 배라고 했다. 그러나 발굴 결과 여왕의 배는 아니었고, 5척의 바이킹 선박이 발견되었다. 총 5척의 침몰 선박이 발견되면서 이 발굴은 최초의 크나르 발견으로 이어졌고, '스칼데레프 1호'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발굴 결과, 이 배들은 약 11세기에 침입자들을 막기 위해 의도적으로 돌로 채워 침몰시킨 것으로 밝혀졌다.[10] 일부 학자들은 스칼데레프 1호의 발견이 각 크나르가 이 설명에 부합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많은 역사학자들은 모든 크나르가 비슷한 크기였을 것이라는 데 동의한다. 추정 길이는 약 16m였으며, 30톤 이상의 화물을 실을 수 있었을 것이다. 현재 슐데레브 선박은 로스킬레의 바이킹 선박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11]5. 영향 및 현대적 계승
크나르는 한자 동맹이 발트해에서 사용한 코그선의 구조에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코그선의 전체 구조는 크나르와 상당히 달랐다. 크나르는 전투에 사용된 노르웨이의 롱쉽보다 짧고 폭이 넓었으며, 빔이 넓고 흘수가 깊었다. 바이킹의 롱쉽에 비해 무게가 더 나갔다. 크나르는 1개의 마스트를 가진 무역선으로, 추진력은 1장의 가로 돛에만 의존했다. 갑판은 절반만 있었으며,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조립식 선미루와 둥근 선미, 선미 기둥이 있었다. 가로 돛을 사용하는 배라는 점과 용골이 없다는 점은 좁은 각도로 항해(바람을 거슬러 돛을 사용하여 항해)할 때 약점이 되었지만, 노에 의존하지 않아도 되었다는 장점이 있었다.
5. 1. 코그선에 미친 영향
크나르는 한자동맹에 의해 발트해에서 사용된 코그선의 구조에도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코그선의 전체 구조는 상당히 달랐다. 크나르의 선체는 전투에 사용된 노르웨이의 롱쉽보다 짧고, 폭이 넓으며, 빔이 넓고, 흘수가 깊었다. 바이킹의 롱쉽에 비해 무게가 있었다. 크나르는 1개 마스트의 무역선으로, 그 추진력은 단지 1장의 가로 돛에 의존했다. 갑판은 절반만 있었으며,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조립식 선미루와 둥근 선미, 선미 기둥이 있었다. 가로 돛을 사용하는 배라는 점, 그리고 용골이 없다는 점은 좁은 각도로 항해(바람을 거슬러 돛을 사용하여 항해)할 때 약점이 되었지만, 추진력으로 노에 의존하지 않아도 되었다.5. 2. 현대 요트 디자인
현대의 크나르는 버뮤다 돛을 갖춘 긴 용골의 요트이다. 1943년 노르웨이의 에어링 L. 크리스토퍼센이 설계했다. 전통적으로 목조로 제작되었으며, 선체를 완성한 후 고정 틀 위에 뒤집어 놓고 철제 용골을 부착했다. 선체의 판재는 끝을 요철로 만들어 서로 맞대어 접착한다. 1973년 이후에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으로 제작되었으나, 목재 크나르와 동일한 무게 분포를 갖도록 제작되었다. 크나르는 노르웨이, 덴마크, 그리고 미국의 샌프란시스코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북독일에는 연대별 크나르가 있으며, 역사적인 스칸디나비아 범선 번호 클래식을 달고 있다. 1969년 이후 매년 국제 대회가 열리고 있다. 현재, 크나르는 독일의 조선 회사에서 제작하고 있다.사양:
항목 | 값 |
---|---|
전체 길이 | 9.28m |
수선 길이 | 6.21m |
전체 폭 | 2.12m |
흘수 | 1.3m |
건현 | 0.6m |
전체 중량 | 2250kg |
용골 중량 | 1300kg |
돛 면적 (지브) | 9m2 |
돛 면적 (주범) | 17.6m2 |
참조
[1]
서적
Routledge Revivals: Trade, Travel and Exploration in the Middle Ages (2000):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7-07-05
[2]
서적
The Age of the Vikings
Princeton University Press
[3]
간행물
At the Threshold of the Viking Age
https://www.scienced[...]
2020
[4]
서적
The Archaeology of Ships: Ships of the Vikings
Arch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5]
서적
The Vinland Sagas
Cornell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Viking Discovery of America
Checkmark Books
[7]
간행물
New Horizons at L’Anse aux Meadows
https://www.jstor.or[...]
2019
[8]
서적
The Viking Eastern Baltic
ARC Humanities Press
[9]
서적
Fish Trade in Medieval North Atlantic Societies
Amsterdam University Press
[10]
서적
Five Viking Ships from Roskilde Fjord
National Museum
[11]
서적
Viking-Age War Fleets
Viking Ship Museu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