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큰입선농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입선농어(Lates calcarifer)는 동인도양과 서태평양의 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어종이다. 호주 원주민 언어에서 유래된 '바라문디'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며, 1980년대 마케팅을 통해 인지도가 높아졌다. 길쭉한 체형과 큰 입, 은색 비늘을 가지며, 최대 1.8m, 60kg까지 성장한다. 육식성으로, 작은 물고기, 갑각류 등을 먹으며, 수컷에서 암컷으로 성전환을 한다. 식용어로 어획되며 루어 낚시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눈볼개과 - 나일농어
    나일농어는 아프리카 원산의 눈볼개과 민물고기로, 거대한 크기와 왕성한 식욕을 가진 최상위 포식자이지만, 빅토리아 호수 생태계 교란과 상업적 가치로 인한 낚시 대상어라는 양면성을 지닌 어종이다.
  • 1790년 기재된 물고기 - 백미돔
    백미돔은 도미목 Lobotidae과에 속하는 어류로,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잎이나 부유물처럼 옆으로 누워 수면에 떠 있는 특이한 행동을 보이고, 다양한 해양 생물을 섭취하는 기회주의적 포식자이며, 상업적 어획 및 낚시 대상어로 인기가 높다.
  • 1790년 기재된 물고기 - 이노플로수스 아르마투스
    오스트레일리아 남부에 서식하는 이노플로수스 아르마투스는 농어목 이노플로수스과의 유일한 현존 종으로, 1790년 존 화이트에 의해 기술되었으며 낚시와 관상어로 인기가 있지만 서식지 파괴와 환경 오염으로 개체 수 감소 위협을 받고 있다.
  • 방글라데시의 물고기 - 제브라피쉬
    제브라피쉬는 남아시아 원산의 잉어과 민물고기로, 청색 줄무늬가 특징이며, 과학 연구의 모델 생물로 널리 사용될 뿐 아니라 관상어로서도 인기가 높다.
  • 방글라데시의 물고기 - 비단잉어
    비단잉어는 일본에서 만들어진 화려한 색과 무늬를 가진 관상용 잉어 품종으로, 식용 잉어의 돌연변이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행운과 번영의 상징으로 여겨지지만 야생에서는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큰입선농어 - [생물]에 관한 문서

2. 어원

바라문디는 호주 원주민 언어에서 차용된 단어로, 퀸즐랜드주록햄프턴 지역 방언에서 유래되었으며 "큰 비늘의 강물고기"를 의미한다.[3][4] 원래 바라문디라는 이름은 ''Scleropages leichardti''와 ''Scleropages jardinii''를 지칭했다.[5]

바라문디 물고기를 묘사한 호주 원주민 암벽화


1980년대 마케팅상의 이유로 이 이름이 차용되면서, 이 물고기의 인지도가 크게 높아졌다.[5] ''L. calcarifer''는 국제적인 과학계에서는 광범위하게 아시아 농어라고 불리지만, 호주 농어 또는 자이언트 시 퍼치(giant sea perch)라고 불리기도 한다.[6][7][8]

관상어로 유통될 때는 수입 국가명을 붙여 오스트레일리안 아카메, 오스트레일리아 아카메, 오스트레일리안 라테스, 인디언 아카메, 인도 아카메, 인디언 라테스 등으로 불린다. '바라만디'라고도 불리지만, 아로와나의 일종인 노던 바라문디 등과는 관련이 없다.

3. 형태

큰입선농어는 길쭉한 체형에 크고 약간 비스듬한 입을 가지고 있으며, 위턱은 눈 뒤까지 뻗어 있다. 전새개골 아래쪽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며 각에 강한 가시가 있다. 아가미덮개에는 작은 가시와 측선 기원 위에 톱니 모양의 플랩이 있다. 비늘은 빗비늘이다.[9]

단면에서 물고기는 압축되어 있으며 등쪽 머리 프로파일은 오목하다. 단일 등지느러미배지느러미는 가시와 연조를, 쌍을 이루는 가슴지느러미와 골반지느러미는 연조만 가지고 있으며, 꼬리지느러미는 연조를 가지고 있고 절단되고 둥글다.

큰입선농어는 큰 은색 비늘을 가지고 있어 환경에 따라 더 어두워지거나 밝아질 수 있다. 몸길이는 최대 1.8m, 무게는 최대 60kg까지 자랄 수 있지만, 평균 길이는 0.6~1.2m 정도이다.[10]

일본에 분포하는 아카메(''L. japonicus'')와 매우 유사하지만, 눈에 조명을 비추면 아카메는 붉게, 큰입선농어는 금색으로 빛난다. 또한, 아카메는 두 번째 등지느러미 가시가 가장 긴 반면, 큰입선농어는 세 번째 가시가 가장 길다.[11][12]

4. 생태

큰입선농어는 페르시아만 동해안에서 중국 남부, 타이완, 남쪽으로는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에 이르기까지, 동인도양과 서태평양의 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염분에 대해 폭넓은 적응성을 보이며, 연안의 얕은 바다, 기수역, 하천을 왕래하며 생활한다. 식성은 육식성으로, 작은 물고기, 갑각류 등을 포식한다. 어린 물고기는 하천의 수생 곤충도 먹는다. 또한, 성장함에 따라 수컷에서 암컷으로 성전환을 한다(자웅동체).

서식지 주변에서는 중요한 식용어로 어획되며, 냄새가 없는 흰 살 생선으로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또한 작은 물고기를 탐식하기 때문에 루어 낚시의 좋은 대상어가 되고 있다.

5. 인간과의 관계

참조

[1] 간행물 "''Lates calcarifer''" 2019
[2] FishBase
[3] 웹사이트 Aboriginal Words in Australian English https://www.japan-iu[...]
[4] 뉴스 Barramundi approval rating rise http://findarticles.[...] Food & Beverage Industry 2003
[5] 웹사이트 Australia's Arrow Fish, Saratoga (The True Barramundi) http://www.sweetwate[...]
[6] 학술지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davirus associated with mass mortality in Asian seabass (Lates calcarifer) from the west coast of India 2014-12-01
[7] 뉴스 The Next Big Fish – The Boston Globe http://archive.bosto[...] Boston Globe 2006-11-26
[8] 웹사이트 Common Names Summary – Lates calcarifer https://www.fishbase[...]
[9] 학술지 Natural Sex Inversion in the Giant Perch (Lates calcarifer) https://www.publish.[...] 1979
[10] 서적 Field guide to the freshwater fishes of Australia https://fishbase.mnh[...] Western Australian Museum 2002
[11] 서적 Field guide to the freshwater fishes of Australia https://fishbase.mnh[...] Western Australian Museum 2002
[12] 서적 Freshwater fishes of Australia https://catalogue.nl[...] T.H.F. Publications 1989
[13] 웹사이트 FISHERIES MANAGEMENT PAPER No. 127 http://www.fish.wa.g[...]
[14] 웹사이트 Barramundi, Lates calcarifer http://www.fishesofa[...]
[15] 웹사이트 Fish stocked dams and weirs search https://www.daf.qld.[...]
[16] 웹사이트 Fisheries and Aquaculture - Global Production https://www.fao.org/[...]
[17] 뉴스 Oceanpick Celebrates a Decade in Sri Lanka https://thefishsite.[...] 2022-09
[18] 뉴스 Sustainable Fish Farming on Sri Lanka https://www.pum.nl/e[...] 2024
[19] 뉴스 A Fish Out of Water https://www.motherjo[...] 2017-01
[20] 학술지 The moonlighting protein fructose 1,6-bisphosphate aldolase as a potential vaccine candidate against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piscicida in Asian sea bass (Lates calcarifer)
[21] 뉴스 Crocodile steals massive barramundi from NT fisherman at the last possible second https://www.abc.net.[...] 2019-03-25
[22] 웹사이트 Sooji http://www.cooksinfo[...]
[23] 웹사이트 Fishing in Thailand http://fishing.phoin[...]
[24] 웹사이트 Ruen Urai, Thai cuisine http://www.ruen-urai[...]
[25] 웹사이트 Giant perch https://www.seafoodw[...] Seafood Watch
[26] 서적 魚の名前 東京書籍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