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릴로스 6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릴로스 6세는 1902년 이집트에서 태어나 1971년 사망한 콥트 정교회의 교황이다. 그는 수도 생활을 거쳐 1959년 콥트 정교회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며, 주교를 거치지 않고 교황이 된 유일한 인물로 기록되었다. 재위 기간 동안 성 미나 수도원 건설, 성 마르코 콥트 정교회 대성당 건설, 성 마가 복음사가의 유해를 베네치아에서 가져오는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에티오피아 정교회와의 관계를 강화하고 동방 정교회와의 대화를 주도했다. 키릴로스 6세는 1968년 자이툰의 성모 발현 사건을 겪었으며, 2013년 콥트 정교회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 교황 - 타와드로스 2세
    타와드로스 2세는 2012년 콥트 정교회 118대 교황으로 즉위한 이집트 종교 지도자로, 교회 개혁, 콥트 교회 입지 강화, 종교 간 화합을 위해 노력하며 기독교 교파 간 관계 증진을 위한 국제 활동도 펼치고 있다.
  •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 교황 - 셰누다 3세
    셰누다 3세는 1971년부터 2012년까지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의 117대 교황이자 총대주교로서, 이집트 기독교인 권익 보호, 이슬람 세계와의 대화, 에큐메니즘 운동에 힘썼으며, 북미 지역 콥트 정교회 확장과 저술 활동을 통해 신학적 논쟁에도 참여했다.
  • 1971년 사망 - 임흥순
    임흥순은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국회의원과 서울시장을 역임했으며, 친일 행적으로 인해 친일파 명단에 등재되었다.
  • 1971년 사망 - 카를로스 P. 가르시아
    필리핀의 정치인이자 변호사, 시인이었던 카를로스 P. 가르시아는 부통령를 거쳐 대통령직을 승계받아 필리피노 우선 정책과 긴축 정책을 추진하고 미군 기지 임대 기간 단축, 국제 벼 연구소 설립 제안, 공화국 문화상 제정 등 외교적, 문화적 발전에 기여했다.
  • 1902년 출생 - 정지용
    정지용은 충청북도 옥천 출생으로 모더니즘 문학을 선도했으며, 시문학 동인과 구인회 활동을 거쳐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등을 역임했으나 한국 전쟁 중 행방불명되었다.
  • 1902년 출생 - 찰스 린드버그
    찰스 린드버그는 1927년 단독 무착륙 대서양 횡단 비행에 성공하여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나, 아들 유괴 사건, 나치 독일과의 관계, 반유대주의적 발언 등 논란과 과학 연구, 저술 활동 등 복잡한 삶을 살았던 미국의 비행사이자 저술가이다.
키릴로스 6세
기본 정보
키릴로스 6세
콥트 아이콘 속의 교황 키릴로스 6세
존경 대상오리엔탈 정교회
축일30 메시르 (콥트력)
시성일2013년 6월 20일 (그레고리력)
시성 장소카이로, 이집트
시성자교황 타와드로스 2세
주요 성지성 미나 수도원, 알렉산드리아, 이집트
직책
칭호알렉산드리아 교황
재임 시작1675년 2 파숀스 (1959년 5월 10일)
재임 종료1687년 30 메시르 (1971년 3월 9일)
이전 교황교황 요셉 2세
다음 교황교황 셰누다 3세
개인 정보
출생 이름아제르 유세프 아타
출생1618년 26 에피프 (1902년 8월 2일)
출생지다만후르, 이집트
사망1687년 30 메시르 (1971년 3월 9일)
사망 장소카이로, 이집트
매장지성 미나 수도원, 알렉산드리아, 이집트
국적이집트인
종교오리엔탈 정교회
거주지1959-1968 성 마르코 콥트 정교회 대성당 (아즈바케야)

2. 초기 생애와 수도 생활

키릴로스 6세는 1902년 이집트 다만후르에서 콥트 정교회 중산층 가정의 아들로 태어났다. 속명은 아제르 유세프 아타였다. 교황이 되기 전에는 바빌론 엘-다라그의 성모 교회에서 기도하곤 했다.[1]

2. 1. 수도사가 되기까지

아제르 유세프 아타는 이집트 다만후르에서 콥트 정교회 중산층 가정의 부제(집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1927년 7월(파오니-에피프 1643), 그는 공무원직을 사임하고 수도사가 되기로 결심했다.[1] 그는 수습 기간을 거쳐 1928년 2월 24일(메시르 21일 1644) 파로미오스 수도원에서 수도 서원을 하고 미나 엘-바라모시 신부(파로미오스 수도원의 미나 신부)라는 이름을 받았다.[1] 그는 미나 장로 신부로도 알려졌다.[1]

2. 2. 은둔 생활과 풍차

알렉산드리아의 요한 19세 교황은 엘 바라무스 수도원장과 일부 장로 수사들 간의 갈등 해결에 도움을 준 그에게 이집트의 무함마드 알리 시대에 구 카이로에 건설된 풍차 중 하나에서 살도록 요청했다. 그는 고독을 사랑하여 문과 지붕도 없는 풍차에서 시간을 보냈다. 그 후 사제들과 인근 교회의 "아르콘"(평신도 지도자)의 압력으로 더 나은 생활 환경을 위해 풍차를 개조했다. 1층은 미나 신부가 거주하는 곳으로 사용되었고, 윗층에는 매일 전례를 위해 기도하는 제단이 있는 성소를 설치했다. 그는 잠시 풍차에 머물다가 성 사무엘 고백자 수도원으로 이주했다. 그의 사후, 풍차 주변에 교회가 세워졌다.[1]

2. 3. 성 미나 수도원 건설

1944년 그는 성 사무엘 고백자 수도원의 원장으로 지명되었으며, 엘 자우라의 수도원 센터를 건설하고, 수도원의 고대 교회를 개조하고, 새로운 수사 거실을 건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1947년, 미나 신부는 카이로에 성 미나 교회를 지었다.[1]

3. 콥트 정교회 교황

1959년 5월 10일 미나 신부는 콥트 정교회의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즉위식에서 그는 콥트 교회 신자들에게 다음과 같이 연설했다.[3]

>여러분에게 제 마음을 열어 모든 사람에 대한 깊은 사랑을 깨닫게 되기를 바랍니다. 이것은 우리를 사랑하시고 피로 우리를 구원하신 우리 구세주의 마음에서 나오는 사랑입니다. 그러므로, 저는 여러분 모두에게 교회의 안전과 제 연약함, 그리고 모든 고생하는 종들을 위해 끊임없이 기도해 주시기를 간청합니다.

교황 키릴로스 6세는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대주교의 직위를 총대주교 카톨리코스(Patriarch-Catholicos)로 격상시켰다. 요셉 2세가 초대 에티오피아인 출신 대주교로 임명한 아부나 바실리오스는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의 초대 총대주교가 되었다. 키릴로스 6세는 하이레 셀라시에 황제로부터 그랜드 코돈(Grand Cordon) 훈장을 받았다.

1971년 3월 9일, 키릴로스 6세는 짧은 투병 끝에 선종했다. 장례식은 성 마르코 콥트 정교회 대성당에서 거행되었고, 유해는 대성당 제단 아래 임시 묘에 안치되었다. 이후 그의 유해는 유언에 따라 교황 셰누다 3세에 의해 1971년 11월 마리우트에 있는 성 미나 수도원으로 옮겨졌다. 셰누다 3세는 선임 교황에 대해 "키릴로스 6세처럼 많은 전례를 드릴 수 있었던 사람은 교회 역사상 없었습니다. 그는 12,000개 이상의 전례를 드렸습니다. 이런 일은 알렉산드리아 교황이나 세계, 심지어 수도사들 사이에서도 전에 없었던 일입니다. 그는 기도에 있어서 놀라웠습니다."라고 회고했다. 2013년 6월 20일, 키릴로스 6세는 선종 42년 만에 콥트 정교회 성 시노드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4]

3. 1. 교황 선출과 전통

1959년 5월 10일 미나 신부는 콥트 정교회의 교황이 되었다. 콥트 교회 전통에 따라, 교황 키릴로스 6세는 20세기에 주교를 역임하지 않고 교황직에 발탁된 유일한 수도사였다. 키릴로스 6세 이전의 교황인 요한 19세 (1928~1942), 마카리우스 3세 (1942~1944), 요셉 2세 (1946~1956)는 모두 주교를 역임하고 교황직에 올랐다. 그의 후임 교황인 셰누다 3세 역시 교황이 되기 전에 주교였다.[2]

3. 2. 교황으로서의 업적

1959년 11월, 키릴로스 6세는 마리우트 사막에 새로운 성 미나 수도원의 초석을 놓았다.[2]

키릴로스 6세의 재임 기간 동안 이집트에서는 자이툰의 성모 발현(1968년 4월 2일부터 시작)이 있었다.[4]

키릴로스 6세는 교황좌를 카이로 아즈바키야에서 성 마르코 콥트 정교회 대성당으로 이전했다. 1968년, 그는 카이로에 성 마르코 콥트 정교회 대성당을 건설했다. 성당 취임식에는 이집트 대통령 가말 압델 나세르, 에티오피아 황제 하이레 셀라시에 등 여러 교회 대표들이 참석했다.[4]

키릴로스 6세 교황과 가말 압델 나세르, 1967년 5월


1968년 6월, 키릴로스 6세는 성 마가 복음사가의 유해를 베네치아로부터 반환받아 새 대성당에 안치했다.[4]

3. 3. 나세르와의 관계



1968년, 키릴로스 6세는 카이로에 성 마르코 콥트 정교회 대성당을 건설했다. 그의 취임식에는 이집트 대통령 가말 압델 나세르, 에티오피아 황제 하이레 셀라시에, 그리고 여러 다른 교회 대표들이 참석했다.[2]

4. 교회 간 관계

키릴로스 6세는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와의 관계를 강화하고 동방 정교회와의 대화를 증진하는 데 힘썼다. 그는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대주교의 직위를 총대주교-가톨리코스로 격상시켰으며, 1965년 아디스아바바에서 동방 정교회 교회 위원회를 주재하여 현대에 열린 이러한 교회들의 첫 번째 비칼케돈파 에큐메니컬 시노드를 개최했다.

4. 1. 에티오피아 정교회와의 관계 강화

키릴로스 6세는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대주교의 직함을 총대주교-가톨리코스로 격상시켰다. 요셉 2세 교황에 의해 에티오피아 대주교로 임명된 최초의 에티오피아인이었던 아부나 바실리오스는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의 초대 총대주교가 되었다. 키릴로스 6세는 하이레 셀라시에 황제로부터 솔로몬의 별 대훈장을 받았다.

4. 2. 동방 정교회와의 대화

1965년 1월, 키릴로스 6세는 아디스아바바에서 동방 정교회 교회 위원회를 주재하고 현대에 열린 이러한 교회들의 첫 번째 비칼케돈파 에큐메니컬 시노드를 개최했다.

5. 사망과 시성

키릴로스 6세는 1971년 3월 9일 짧은 질병으로 사망했다.[4] 그의 장례식은 성 마르코 콥트 정교회 대성당에서 거행되었으며, 대성당 제단 아래 임시 묘에 묻혔다. 이후 그의 시신은 그의 뜻에 따라 교황 셰누다 3세에 의해 1971년 11월 마리우트에 있는 성 미나 수도원으로 옮겨졌다. 교황 셰누다 3세는 그의 선임자에 대해 "키릴 6세 교황처럼 많은 전례를 드릴 수 있었던 사람은 교회 역사상 없었습니다. 그는 12,000개 이상의 전례를 드렸습니다. 이런 일은 알렉산드리아 교황이나 세계, 심지어 수도사들 사이에서도 전에 없었던 일입니다. 그는 그의 기도에 있어서 놀라웠습니다."라고 말했다. 2013년 6월 20일, 그가 사망한 지 42년 만에 콥트 정교회 성 시노드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4]

참조

[1] 웹사이트 St Mary Mons http://www.st-mary-m[...]
[2] 서적 History of the Coptic Church
[3] 간행물 Papal Pastoral Letter of Anba Kyrillos https://accot.stcyri[...] Archive of Contemporary Coptic Orthodox Theology, Sydney, NSW: St Cyril's Coptic Orthodox Theological College 1959-04/05
[4] 웹사이트 Coptic Church's Synod Recognizes Two Modern Saints http://mideasti.blog[...] 2013-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