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지용은 1902년 충청북도 옥천 출생으로,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선구적인 시인이다. 1920년대부터 시를 발표하며 활동을 시작했으며, 도시샤 대학 영문과를 졸업하고 휘문고등보통학교에서 영어 교사로 재직했다. 1930년대에는 김영랑 등과 함께 시문학 동인으로 활동하고 구인회에 참여하여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광복 후에는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경향신문 주간 등을 역임했으나, 한국 전쟁 중 행방불명되었다. 그의 시는 초기에는 모더니즘과 이미지즘 경향을 보였으며, 후기에는 동양적 사유를 담아 한국 문학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죽향초등학교 동문 - 육영수
육영수는 박정희 대통령의 부인이자 퍼스트레이디로서 사회복지 사업과 민원 해결에 힘썼으며 육영재단 설립 등으로 아동 복지 증진에 기여했으나, 1974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저격으로 사망했다. - 죽향초등학교 동문 - 금동현 (가수)
대한민국의 가수 금동현은 보이 그룹 EPEX의 멤버이며, 《PRODUCE X 101》 출연과 웹드라마 《일진에게 찍혔을 때 2》를 통해 배우로 데뷔하여 연기 활동도 병행하고 있다. - 구인회의 일원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 구인회의 일원 - 이태준
이태준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이자 문학평론가로, 섬세한 문체와 서정적인 분위기로 현실을 그린 단편소설들을 발표하여 주목받았으며, 특히 1930년대 〈달밤〉, 〈까마귀〉, 〈복덕방〉 등의 작품으로 한국 단편소설의 미학을 완성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월북 후 숙청되어 정확한 사망 시기와 장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 - 일제강점기의 출판인 - 최남선
최남선은 1890년에 태어나 1957년에 사망한 대한민국의 문인이자 독립운동가, 언론인, 역사학자이며, 《소년》을 창간하고 신체시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발표하여 현대 한국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3·1 운동 독립선언서 기초, 친일 행적, 단군 연구, 《단군론》, 《불함문화론》 저술 등의 활동을 했다. - 일제강점기의 출판인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정지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정지용 |
한글 표기 | 정지용 |
한자 표기 | 鄭芝溶 |
로마자 표기 | Jeong Jiyong |
일본어 표기 | 히라가나: ていしよう 가타카나: チョン・ジヨン |
아명 | 정지룡(鄭池龍) |
출생일 | 1902년 6월 20일 (음력 5월 15일) |
출생지 | 대한제국 충청북도 옥천군 |
사망일 | 1950년 |
사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 또는 대한민국 경기도 양주군 |
국적 | 대한제국(1902~1910) 대한민국(1948~1950) |
직업 | 시인 |
종교 | 천주교 (세례명: 방지거) |
배우자 | 송재숙(宋在淑) |
자녀 | 장자: 구관(求寬) 차자: 구익(求翼) 삼자: 구인(求寅) 장녀: 구원(求園) |
부모 | 부: 정태국 모: 정미하 |
소속 | 동국대학교 전임교수 서울대학교 강사 |
웹사이트 | 정지용 사이버 문학관 |
학력 | |
모교 | 도시샤 대학교 |
작품 활동 | |
활동 기간 | 1926년 ~ 1949년 |
기타 | |
활동 분야 | 문학 |
장르 | 시 |
특징 | 모더니즘 시 이미지즘 시 |
2. 생애
정지용은 1902년 옥천군에서 한의사 집안의 장남으로 태어나 옥천공립보통학교와 휘문고등보통학교를 거쳐 일본 도시샤대학 영문과를 졸업했다. 휘문고보 시절 박종화, 홍사용 등과 교류하며 문학적 소양을 쌓았고, 3·1 운동 당시 학생운동에 참여하기도 했다. 일본 유학 중에는 학조에 시 카페 프란스 등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고, 귀국 후에는 휘문고등보통학교 영어 교사, 시문학 동인, 구인회 회원, 문장지 추천 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한국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1945년 광복 이후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경향신문 주간, 조선문학가동맹 중앙집행위원 등을 역임했으나,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후 행방불명되었다. 오랫동안 납북되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폭격으로 사망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는 등 정확한 사망 경위는 밝혀지지 않았다.
2. 1. 유년 시절과 학창 시절
1902년 음력 5월 15일, 옥천군 옥천면 하계리 40번지에서 한의사인 정태국과 정미하 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났다.[12] 1910년 옥천공립보통학교(현재 죽향초등학교)에 입학하였다. 1913년 동갑인 송재숙과 결혼하였고, 1914년 옥천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12]1918년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해서 박종화, 홍사용, 정백 등과 교류하였고, 박팔양 등과 동인지 〈요람〉을 펴내기도 했다.[12] 신석우 등과 문우회(文友會) 활동에 참가하여 이병기, 이일, 이윤주 등의 지도를 받았다.[12]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이선근과 함께 '학교 종 빛나를 잘 만드는 운동'으로 반일(半日)수업제를 요구하는 학생대회를 열었고, 이로 인해 무기정학 처분을 받았다가 박종화, 홍사용 등의 구명운동으로 풀려났다.[12]
1922년 휘문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23년 4월 교토에 있는 도시샤대학 영문과에 입학했다.[12] 유학 시절인 1926년 6월 유학생 잡지인 〈학조 學潮〉에 시 〈카페 프란스〉 등을 발표했다.[12] 1929년 졸업과 함께 귀국하여 이후 8·15 해방 때까지 휘문고등보통학교에서 영어 교사로 재직했다.[12]
2. 2. 일본 유학과 문학 활동
1923년 일본 교토시에 있는 도시샤대학 영문과에 입학했으며, 유학 시절인 1926년 6월 유학생 잡지인 〈학조 (學潮)〉에 시 〈카페 프란스〉 등을 발표했다.[12] 1929년 졸업과 함께 귀국하여 이후 8·15 해방 때까지 휘문고등보통학교에서 영어교사로 재직했고, 김도태, 이헌구, 이병기 등과 교류했다.[12] 1930년 김영랑과 박용철이 창간한 〈시문학〉의 동인으로 참가했으며, 1933년 〈가톨릭 청년〉 편집고문으로 있으면서 이상의 시를 세상에 알렸다.[12] 같은 해 모더니즘 운동의 산실이었던 구인회에 가담하여 문학 공개강좌 개최와 기관지 〈시와 소설〉 간행에 참여했다.[12]1939년에는 〈문장〉의 시 추천위원으로 있으면서 박목월, 조지훈, 박두진 등의 청록파 시인을 등단시켰다.[12]
2. 3. 귀국 후 교육 및 문학 활동
1929년 도시샤대학 영문과를 졸업하고 귀국하여 8·15 해방 때까지 휘문고등보통학교에서 영어교사로 재직했다.[12] 1930년 김영랑, 박용철이 창간한 〈시문학〉 동인으로 참가했으며, 1933년 〈가톨릭 청년〉 편집고문으로 있으면서 이상(李箱)의 시를 세상에 알렸다.[12] 같은 해 모더니즘 운동의 산실이었던 구인회(九人會)에 가담하여 문학 공개강좌 개최와 기관지 〈시와 소설〉 간행에 참여했다.[12]1939년에는 〈문장〉의 시 추천위원으로 있으면서 박목월, 조지훈, 박두진 등의 청록파 시인을 등단시켰다.[12]
2. 4. 해방 이후의 활동과 행방불명
1945년 광복 이후, 정지용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및 문과 과장이 되었고, 1946년에는 조선문학가동맹 중앙집행위원 및 가톨릭계 신문인 경향신문 주간이 되어 고정란 '여적'(餘適)과 사설을 맡아보았다.[12]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는 조선문학가동맹 가입 이력 때문에 보도연맹에 가입하여 전향 강연에 종사했다.1950년 한국 전쟁 발발 당시 서울특별시에 남아있었다. 인천 상륙 작전 이후 대한민국 국군이 서울을 수복했을 때 그의 모습은 발견되지 않았다. 오랫동안 그는 납북되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정지용 사이버 문학관에는 계광순의 증언을 바탕으로 '6ㆍ25전쟁이 일어나자 정치보위부로 끌려가 구금됨. 정인택, 김기림, 박영희 등과 서대문형무소에 수용되었다가 평양 감옥으로 이감. 이광수, 계광순 등 33인이 함께 수용되었다가 그 후 폭사당한 것으로 추정'이라고 기술하고 있다.[12]
그러나 전쟁 당시 월북하였다가 2001년 대한민국을 방문한 정지용의 셋째 아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의 아버지 행적을 전혀 알지 못하였고, 2003년 문학평론가 박태상은 그가 납북되던 중 1950년 9월 25일 미군의 동두천 폭격에 휘말려 소요산에서 폭사하였다는 내용의 자료를 공개하여[13] 정지용이 실제 납북되어 북조선에서 활동하였는가에 의문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다만, 박태상이 공개한 자료는 북조선 언론 자료에 기초한 것이어서 남한에서는 신빙성을 크게 인정받지 못하였고, 현재까지 정지용의 정확한 사망 일자나 원인에 대해서는 확실한 사실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3. 작품 세계
정지용은 초기에는 모더니즘과 로마 가톨릭적인 경향의 시를 주로 발표했지만, 널리 알려진 <향수>에서처럼 서정적이고 한국적인 토속적 이미지즘 시를 발표하여 자신만의 시 세계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시는 전통 지향적 자연시 혹은 산수시로 불리기도 한다. 정지용의 작품 세계는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5][6]
정지용은 1935년 『정지용 시집』, 1941년 『백록담』, 1946년 『지용시선』을 출간했고, 1949년에는 『문학독본』과 『산문』을 출간했다.
3. 1. 초기: 모더니즘과 이미지즘
정지용은 초기엔 모더니즘과 종교적 경향의 시를 주로 발표하였다. 그러나 이보다는 널리 알려진 <향수>에서 보이듯이 초기엔 서정적이고 한국의 토속적인 이미지즘의 시를 발표함으로써 그만의 시 세계를 평가받고 있으며 전통지향적 자연시 혹은 산수시라 일컫는다.정지용(鄭芝溶)은 한국의 모더니즘 운동에서 가장 중요한 시인으로 여겨지며, "한국 최초의 근대 시인"으로 묘사되기도 했다.[5] 2007년 한국시인협회는 그를 가장 중요한 10명의 한국 현대 시인 중 한 명으로 선정했다.[6] 그의 시는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1925년경부터 1933년까지의 첫 번째 단계는 감각적인 이미지즘 작품으로 특징지어지는데, 종종 바다를 중심으로 했다.[5] 1933년 시 「불사조」를 시작으로 1935년까지는 그의 가톨릭 신앙에 영향을 받은 종교적 시를 썼다. 이 두 번째 시기는 초기 감각적인 시와 후기의 보다 전통적인 시 사이의 과도기 역할을 했다. 1934년 시 「다른 하늘」과 「또 하나의 다른 태양」 이후 정지용은 이전 작품의 종교적 경향을 버렸다. 1941년 「옹뉴동」과 「구성동」 이후 그의 시에는 미학적으로 동양 사상의 우세가 드러났다. 거의 4년간의 작품 활동 중단 후, 그는 「옹뉴동」, 「봉」, 「구성동」에서 볼 수 있듯이 현실의 고통을 극복하려는 정신에 도달했다.[4]
3. 2. 중기: 종교적 경향과 전통 지향
정지용은 초기에는 모더니즘과 종교적 경향의 시를 주로 발표하였다. 그러나 널리 알려진 <향수>에서 보이듯이 초기에는 서정적이고 한국의 토속적인 이미지즘의 시를 발표함으로써 그만의 시 세계를 평가받고 있으며, 전통 지향적 자연시 혹은 산수시라 일컫는다.[5]1933년 시 「불사조」를 시작으로 1935년까지는 가톨릭 신앙에 영향을 받은 종교적 시를 썼다. 이 시기는 초기 감각적인 시와 후기의 보다 전통적인 시 사이의 과도기 역할을 했다. 1934년 시 「다른 하늘」과 「또 하나의 다른 태양」 이후 정지용은 이전 작품의 종교적 경향을 버렸다.[4] 거의 4년간의 작품 활동 중단 후, 그는 「옹뉴동」, 「봉」, 「구성동」에서 볼 수 있듯이 현실의 고통을 극복하려는 정신에 도달했다.[4]
3. 3. 후기: 동양적 사유와 관조
정지용의 시는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1934년 시 「다른 하늘」(Dareun haneul)과 「또 하나의 다른 태양」(Tto hanaui dareun taeyang) 이후 정지용은 이전 작품의 종교적 경향을 버렸다. 1941년 「옹뉴동」, 「봉」(Bong), 「구성동」 등을 발표하며, 거의 4년간의 작품 활동 중단 후 현실의 고통을 극복하려는 정신에 도달했음을 보여주었다.[4]4. 작품 목록
- 〈향수〉
- 〈유리창〉
- 〈바다9〉
- 〈비〉
- 〈장수산〉
- 소설 〈삼인〉
- 〈춘설〉
- 〈고향〉
- 〈다른 태양〉
'''시집'''
- 정지용 시집 (1935)
- 백록담 (1941)
- 지용시선 (1946)
'''산문집'''
- 문학독본 (1948)
- 산문 (1949)
5. 평가 및 영향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향수〉는 1989년 통기타 가수 이동원과 박인수 서울대학교 교수가 듀엣으로 곡을 붙여 불렀으며, 이 노래는 앨범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에 실렸다.
강원룡은 훗날 회고에서 그가 김구의 지지자라고 했다.[14] 동시에 여운형의 지지자이기도 했다고 한다.[14]
한편 그의 시 〈향수〉는 미국의 요절한 천재 시인 트럼블 스티크니(Trumbull Stickney, 1874-1904)의 시 '므네모시네(Mnemosyne)'를 표절 혹은 번안한 것이 아닌가 하는 논란이 있다.[15]
정지용(Cheong Chi-yong)은 한국 모더니즘 운동에서 가장 중요한 시인으로 여겨지며, "한국 최초의 근대 시인"으로 묘사되기도 했다.[5] 2007년 한국시인협회는 그를 가장 중요한 10명의 한국 현대 시인 중 한 명으로 선정했다.[6] 그의 시는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1925년경부터 1933년까지의 첫 번째 단계는 감각적인 이미지즘(Imagism) 작품으로 특징지어지는데, 종종 바다를 중심으로 했다.[5] 1933년 시 「불사조」(Phoenix)를 시작으로 1935년까지는 가톨릭 신앙에 영향을 받은 종교적 시를 썼다. 이 두 번째 시기는 초기 감각적인 시와 후기의 보다 전통적인 시 사이의 과도기 역할을 했다. 1941년 「옹뉴동」(Ongnyudong)과 「구성동」(Guseongdong) 이후 그의 시에는 미학적으로 동양 사상의 우세가 드러났다. 1934년 시 「다른 하늘」(A Different Heaven, Dareun haneul)과 「또 하나의 다른 태양」(Yet Another Sun, Tto hanaui dareun taeyang) 이후 정지용은 이전 작품의 종교적 경향을 버렸다. 거의 4년간의 작품 활동 중단 후, 그는 「옹뉴동」, 「봉」(Mountain Peak, Bong), 「구성동」에서 볼 수 있듯이 현실의 고통을 극복하려는 정신에 도달했다.[4]
6. 기타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향수〉는 1989년에 통기타 가수 이동원과 박인수 서울대학교 교수가 함께 곡을 붙여 불렀으며, 이 노래는 앨범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에 실렸다.
강원룡은 훗날 회고에서 그가 김구의 지지자였다고 했다.[14] 동시에 여운형의 지지자이기도 했다고 한다.[14]
한편 그의 시 〈향수〉는 미국의 요절한 천재 시인 트럼블 스티크니(Trumbull Stickney, 1874-1904)의 시 '므네모시네(Mnemosyne)'를 표절 또는 번안한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있다.[15]
1933년 6월 10일 천주교 서울교구에서 원 라리보 주교와 주간 윤형중 신부를 중심으로 잡지 가톨릭 청년보를 발간하자, 장발, 이동구, 장면 등과 함께 편찬위원으로 활동하였다.[16]
2019년 6월 17일, 정지용의 117번째 생일에 구글 두들이 그를 기념하여 공개되었다.[7]
- 정지용문학상
참조
[1]
웹사이트
Cheong Chi-yong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
웹사이트
20th-century Korean Poetry
https://web.archive.[...]
[3]
뉴스
[정재정의 독사만필(讀史漫筆)] 정지용, 윤동주, 도시샤대학 ①
http://www.hankookil[...]
2018-04-25
[4]
웹사이트
Seo Jeongju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5]
서적
Who's Who in Korean Literature
Hollym
[6]
뉴스
Top Ten Korean Modern Poets Selected
https://www.koreatim[...]
2007-10-15
[7]
웹사이트
Jeong Ji-yong's 117th Birthday
https://doodles.goog[...]
2019-06-17
[8]
서적
Kankoku bungaku o tabisuru 60shō
https://www.worldcat[...]
2020-12
[9]
웹사이트
鄭芝溶の詩碑建立 同志社大が敷地提供
https://www.mindan.o[...]
2024-04-12 #access date로 추정
[10]
웹사이트
정지용 - 네이버
https://terms.naver.[...]
[11]
뉴스
금주의 시 - 향수
http://www.donga.com[...]
동아닷컴
1998-01-25
[12]
웹인용
정지용 사이버문학관 - 연보
https://web.archive.[...]
2015-08-02
[13]
웹인용
"정지용, 동두천서 美폭격에 사망" 자료공개
http://news.hankooki[...]
2010-12-29
[14]
서적
역사의 언덕에서 1:엑소더스
한길사
2006
[15]
웹사이트
"" # 제목 정보 없음
http://www.yonhapnew[...]
[16]
백과사전
가톨릭청년
http://enc.daum.n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