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스투스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스투스속은 약 25종의 식물로 이루어진 속으로, 자주색, 분홍색, 흰색 또는 옅은 분홍색 꽃을 피우는 것이 특징이다. 이 속은 분자 계통학적 분석에 따라 두 개의 계통군으로 나뉘며, 할리미움속과 측계통군을 이룬다. 키스투스속 식물은 지중해성 기후에 적합하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기도 하고, 전통 의학에서 약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자생하지 않지만, 일부 원예 애호가들이 재배를 시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키스투스속
속 정보
''Cistus monspeliensis''
Cistus monspeliensis
학명Cistus L. (1753)
하위 분류34종; 본문 참조
속 정보
이명Halimiocistus 얀흐 (1925)
Halimium 뒤날 (1836)
Ladanium Spach (1836)
Ladanum 라피네스크 (1838), 무효명
Ledonia Spach (1836)
Libanotis 라피네스크 (1838), 무효명
Rhodocistus Spach (1836)
Stegitris 라피네스크 (1838)
Stephanocarpus Spach (1836)
Strobon 라피네스크 (1838)
분류학적 정보
식물계
문 (계급 없음)피자식물
강 (계급 없음)진정쌍떡잎식물군
아욱목
한ニチ花科
일반 정보
Cistaceae
Cistus

2. 분류

키스투스과에서 할리미움속과 키스투스속은 파생된 화합적인 계통군을 형성한다.

키스투스속은 크게 두 개의 계통군으로 나뉘는데, 하나는 자주색과 분홍색 꽃을 가진 그룹(PPC)이고 다른 하나는 흰색 꽃을 가진 그룹(WWPC)이다. ''Cistus parviflorus''는 옅은 분홍색 꽃을 가지고 있지만, 암술대가 매우 짧아 잡종일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키스투스속에는 약 25개의 종이 있으며, 다양한 종간 잡종도 기록되어 있다.

2. 1. 계통군

2005년부터 2011년까지 수행된 분자 계통수 분석에 따르면 키스투스속에 속하는 종들은 크게 두 개의 계통군으로 나뉜다. 첫 번째 계통군은 자주색과 분홍색 꽃(PPC, purple pink clade)으로 구성된다. 두 번째 계통군은 흰색 꽃을 띠며, ''Cistus parviflorus''는 옅은 분홍색 꽃(WWPC, white or whitish pink clade)으로 구성된다. ''C. parviflorus''의 꽃 색은 예외적이지만 암술대는 매우 짧은 편이며, 잡종 기원이 제안되고 있다.

PPC 내에서 ''C. crispus''는 일관적으로 최초 분기종이다. ''C. albidus'', ''C. creticus'', ''C. heterophyllus''는 잘 지지된 계통군을 형성한다. 카나리아 제도 고유의 7개 종은 분석에 따라 다르게 정의된다. WWPC는 ''C. clusii''와 ''C. munbyi''를 이루는 계통군에 대해 약한 지지를 보인다. 다른 종들은 분기가 많거나 분석에 따라 다르게 정의된다. 할리미움속과 키스투스속은 서로 측계통군적인 모습을 보인다.

2. 2. 종

키스투스속에는 약 25개의 종이 있다.

키스투스 알비두스 L.
키스투스 아스페르 Demoly & R.Mesa
키스투스 아틀란티쿠스 (Humbert & Maire) Demoly
키스투스 아트리플리폴리우스 Lam.
키스투스 칼리시누스 L.
키스투스 치나마덴시스 Bañares & P.Romero
키스투스 클루시 Dunal
키스투스 크레티쿠스 L.
키스투스 크리스푸스 L.
키스투스 포르모수스 Curtis
키스투스 그란카나리아에 Marrero Rodr., R.S.Almeida & C.Ríos
키스투스 할리미폴리우스 L.
키스투스 헤테로필루스 Desf.
키스투스 호렌스 Demoly
키스투스 인플라투스 Pourr. ex J.-P.Demoly (동의어 Cistus psilosepalus Sweet)
키스투스 라다니페르 L. (Cistus palhinhae N.D.Ingram 포함) – 검양옻나무
키스투스 라시안투스 Lam.
키스투스 라시오칼리시누스 (Boiss. & Reut.) Byng & Christenh.
키스투스 라우리폴리우스 L.
키스투스 리바노티스 L.
키스투스 마크로칼리시누스 (Pau) Byng & Christenh.
키스투스 몬스펠리엔시스 L. – 몽펠리에 키스투스
키스투스 문비 Pomel
키스투스 오크레아투스 C.Sm.
키스투스 오시모이데스 Lam.
키스투스 오스베키폴리우스 Webb
키스투스 팔리나에 N.D.Ingram
키스투스 팔멘시스 Bañares & Demoly
키스투스 파르비플로루스 Lam.
키스투스 포풀리폴리우스 L.
키스투스 푸졸지 Delile ex Gren. & Godr.
키스투스 살비이폴리우스 L. – 살비아 키스투스
키스투스 신테니시 Litard. (동의어 C. albanicus)
키스투스 심피티폴리우스 Lam.
키스투스 타우리쿠스 C.Presl
키스투스 움벨라투스 L.



그 외에 다음을 포함한 수많은 잡종이 기록되었다:

잡종
Cistus × aguilari O.E.Warb. (C. ladanifer × C. populifolius[37])
Cistus × akamantis Demoly
Cistus × albereensis Gaut. ex Rouy & Fouc.
Cistus × banaresii Demoly
Cistus × cebennensis Aubin & J.Prudhomme
Cistus × clausonii Font Quer & Maire
Cistus × conradiae Demoly
Cistus × corbariensis Pourr. (C. populifolius × C. salviifolius)
Cistus × cyprius Lam. (C. ladanifer × C. laurifolius)
Cistus × dansereaui P.Silva (C. ladanifer × C. inflatus[38])
Cistus × florentinus Lam. (C. monspeliensis × C. salviifolius)
Cistus × incanus L. (C. albidus × C. crispus)
Cistus × laxus Aiton (C. populifolius × C. inflatus ?)
Cistus × ledon Lam. (C. laurifolius × C. monspeliensis)
Cistus × matritensis Carazo Roman & Jiménez Alb.
Cistus × nigricans Pourr. (C. populifolius × C. monspeliensis[39])
Cistus × novus Rouy
Cistus × obtusifolius Sweet (C. inflatus × C. salviifolius)
Cistus × pauranthus Demoly (C. parviflorus × C. salviifolius[40])
Cistus × philothei Sennen & Mauricio
Cistus × platysepalus Sweet (C. monspeliensis × C. inflatus[41])
Cistus × pourretii Rouy & Foucaud
Cistus × purpureus Lam. (C. ladanifer × C. creticus)
Cistus × rodiaei Verg. (C. ladanifer × C. albidus)[42])
Cistus × skanbergii Lojac. (C. parviflorus × C. monspeliensis[43])
Cistus × stenophyllus Link (C. ladanifer × C. monspeliensis[44])
Cistus × verguinii Coste (C. ladanifer × C. salviifolius[45])


2. 3. 잡종

키스투스속에는 다양한 종간 잡종이 기록되어 있다.

잡종명학명교배종
Cistus × aguilariO.E.Warb.C. ladanifer × C. populifolius[37]
Cistus × akamantisDemoly
Cistus × albereensisGaut. ex Rouy & Fouc.
Cistus × banaresiiDemoly
Cistus × cebennensisAubin & J.Prudhomme
Cistus × clausoniiFont Quer & Maire
Cistus × conradiaeDemoly
Cistus × corbariensisPourr.C. populifolius × C. salviifolius
Cistus × cypriusLam.C. ladanifer × C. laurifolius
Cistus × dansereauiP.SilvaC. ladanifer × C. inflatus[38]
Cistus × florentinusLam.C. monspeliensis × C. salviifolius
Cistus × incanusL.C. albidus × C. crispus
Cistus × laxusAitonC. populifolius × C. inflatus ?
Cistus × ledonLam.C. laurifolius × C. monspeliensis
Cistus × matritensisCarazo Roman & Jiménez Alb.
Cistus × nigricansPourr.C. populifolius × C. monspeliensis[39]
Cistus × novusRouy
Cistus × obtusifoliusSweetC. inflatus × C. salviifolius
Cistus × pauranthusDemolyC. parviflorus × C. salviifolius[40]
Cistus × philotheiSennen & Mauricio
Cistus × platysepalusSweetC. monspeliensis × C. inflatus[41]
Cistus × pourretiiRouy & Foucaud
Cistus × purpureusLam.C. ladanifer × C. creticus
Cistus × rodiaeiVerg.C. ladanifer × C. albidus[42]
Cistus × skanbergiiLojac.C. parviflorus × C. monspeliensis[43]
Cistus × stenophyllusLinkC. ladanifer × C. monspeliensis[44]
Cistus × verguiniiCosteC. ladanifer × C. salviifolius[45]
Cistus × aguilariO.E.Warb.C. ladanifer × C. populifolius[4]
Cistus × akamantisDemoly
Cistus × banaresiiDemoly
Cistus × candidus
Cistus × canescensSweet
Cistus × cebennensisAubin & J.Prudhomme
Cistus × cheiranthoidesLam.
Cistus × clausoniiFont Quer & Maire
Cistus × conradiaeDemoly
Cistus × cypriusLam.C. ladanifer × C. laurifolius
Cistus × dansereauiP.SilvaC. ladanifer × C. inflatus[5]
Cistus × escartianusDemoly
Cistus × florentinusLam.C. monspeliensis × C. salviifolius
Cistus × hybridusPourr.
Cistus × incanusL.C. albidus × C. crispus
Cistus × ingwerseniiDemoly
Cistus × laxusAitonC. populifolius × C. inflatus ?
Cistus × ledonLam.C. laurifolius × C. monspeliensis
Cistus × matritensisCarazo Roman & Jiménez Alb.
Cistus × nigricansPourr.C. populifolius × C. monspeliensis[6]
Cistus × novusRouy
Cistus × obtusifoliusSweetC. inflatus × C. salviifolius
Cistus × pauranthusDemolyC. parviflorus × C. salviifolius[7]
Cistus × platysepalusSweetC. monspeliensis × C. inflatus[8]
Cistus × pourretiiRouy & Foucaud
Cistus × purpureusLam.C. ladanifer × C. creticus
Cistus × rodiaeiVerg.C. ladanifer × C. albidus[9]
Cistus × revolii
Cistus × sahucii
Cistus × santae(Sauvage) Demoly
Cistus × skanbergiiLojac.C. parviflorus × C. monspeliensis[10]
Cistus × stenophyllusLinkC. ladanifer × C. monspeliensis[11]
Cistus × timbaliiDemoly
Cistus × verguiniiCosteC. ladanifer × C. salviifolius[12]
Cistus × vinyalsiiSennen



원종은 20종 정도이지만, 종간 교배종뿐만 아니라 키스투스속 등과의 속간 교배종도 만들어지고 있어, 서양에서는 매우 인기 있는 화초 중 하나가 되었다.

3. 형태

키스투스속 식물은 반내한성을 가진 상록 소관목으로, 높이는 50cm~150cm 정도이다. 은 타원형으로 마주나고, 길이는 2cm~8cm이며, 매끄럽고 잎 표면에 방향성 정유를 함유하는 것도 있다. 일부 종(특히 ''C. ladanifer'')의 잎은 라다넘이라고 하는 향이 강한 수지로 덮여 있다.

키스투스속(''Cistus monspeliensis'')의 상록 잎


꽃은 맑은 날 낮에 피며, 꽃 지름 4cm~8cm 정도의 5장 꽃잎을 가지며, 흰색, 등색, 자주색, 분홍색 등이 있고, 옅은 색으로 목 부분에 붉은 기운을 띠는 것도 있다. 또한, 상당히 선명한 하늘색에 가까운 품종도 있다. 만개 시에는 포기가 꽃으로 뒤덮일 정도로 아름답다.

4. 생태

키스투스속은 햇빛이 잘 드는 개방된 지역을 선호하는 호온성 식물이다. 여름 가뭄, 화재, 방목과 같은 환경에 적응한 특징을 보인다. 특히, 휘발성 기름을 방출하여 불에 잘 타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자연 발화로 이어질 수도 있다.[13] 이러한 특성 덕분에 키스투스속 식물은 화재 후 다른 종과의 경쟁이 적은 환경에서 씨앗을 발아시켜 번성할 수 있는 내화 식물로 간주된다.[14]

외균근과 수지상체 균근을 모두 형성할 수 있으며, 40개 속에 속하는 200개 이상의 외균근 형성 곰팡이와 연관되어 있다. 서양송로(''Tuber'')와 균근 결합을 통해 척박한 모래 토양이나 바위에서도 잘 자란다. ''Cistus ladanifer''는 ''Boletus edulis'', ''Boletus rhodoxanthus'', ''Laccaria laccata''와 균근 결합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키스투스속은 Cytinus hypocistis라는 기생 식물의 유일한 숙주 식물이다. 이 기생 식물은 키스투스속 식물의 뿌리에 기생하며, 꽃이 필 때만 눈에 띈다. 하지만 기생 식물의 존재가 숙주 식물의 개체 수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Coleophora confluella''와 ''Coleophora helianthemella''를 포함한 일부 나비목 종 유충의 먹이 식물로도 알려져 있다.

5. 이용

키스투스속 식물은 전통 의학에서 천식, 감기, 독감, 호흡기 감염 등에 사용되었다.[35] 특히 ''Cistus creticus''는 감기, 기침, 월경 이상, 류머티즘 등에 사용되었다.[35]

키스투스 여러 종들의 꽃잎에서는 라다넘이라는 향이 강한 나뭇진이 나오는데, 이는 샤넬 넘버 5와 같은 향수의 원료로 사용된다.

키스투스속 식물은 햇볕이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는 곳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관상용으로도 재배된다.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었으며, 다음은 영국 왕립 원예 학회의 가든 메리트 상(AGM)을 수상한 품종들이다.

품종명특징
C. × aguilarii Maculatus [46][15]
C. × argenteus Peggy Sammons[47][16]분홍색 꽃, 회녹색 잎
C. × bornetianus ‘Jester’ [48][17]
C. × cyprius [49][18]
C. × cyprius var. ellipticus Elma [50][19]
C. × dansereaui Decumbens [51][20]
C. × dansereaui Jenkyn Place [21]
C. × florentinus흰색 꽃
C. × hybridus분홍색 봉오리, 흰색 꽃
C. × laxus ‘Snow White’ [52][23]
C. × lenis Grayswood Pink [53][24]
C. × obtusifolius ‘Thrive’ [54][25]
C. × pulverulentus Sunset [55][26]
C. × purpureus [56][27]중앙 근처에 어두운 반점이 있는 분홍색 꽃잎
C. × skanbergii[57][28]작은 분홍색 꽃
Paladin [22]큰 흰색 꽃, 짙은 녹색 잎
’Gordon Cooper’ [58]
Snow Fire [59][29]
×Halimiocistus Ingwersenii [30]
×Halimiocistus sahucii [31]



''Cistus'' × ''hybridus''


''Cistus'' × ''skanbergii''

6. 재배

키스투스속 식물은 햇볕이 잘 드는 정원과 거의 서리가 내리지 않는 지중해성 기후에 적합하다. 이 종들 중 가장 내한성이 강한 종은 ''C. laurifolius''로, 1895년 영국 왕립 식물원 큐에서 있었던 심한 서리에도 살아남았다. 이 종과 존 트레이드스칸트가 이미 재배했던 흰색 꽃이 피는 두 개의 자연 잡종인 ''C.'' × ''corbariensis''와 19세기에 도입된 ''C.'' × ''loretii''를 제외한 모든 키스투스속 식물이 죽었다.

알칼리성 토양을 좋아하고 고온다습에 약하기 때문에, 한국의 기후에는 적합하지 않아 재배가 쉽지 않다. 그러나 꽤 매력적인 원예종이므로, 재배를 시도할 가치는 있다.

유럽이나 미국의 인터넷 쇼핑몰 등에서 씨앗을 입수하여, 5월 초순경에 파종한다. 복토는 2mm 정도가 좋다. 화단에 심는 경우에는 주변보다 30cm 정도 높게 흙을 돋우고, 고토석회를 1평당 5kg 정도 섞는 것이 좋다. 화분에 심는 경우에는 8치 정도의 옹기에 심고, 물주기는 약간 적게 하여 기른다.

7. 한국에서의 키스투스

키스투스속 식물은 한국에서 자생하지 않지만, 일부 원예 애호가들이 재배를 시도하고 있다. 내한성이 강한 품종을 중심으로 도입 및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정보를 교류하고 있다. 키스투스 재배에는 한국 기후 조건에 맞는 재배법 연구와 품종 개발이 필요하다.

참조

[1] 웹사이트 "''Cistus'' L. {{!}} Plants of the World Online {{!}} Kew Science" http://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2-07-10
[2] 웹사이트 "''Halimium'' (Dunal) Spach"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4-09-19
[3] 웹사이트 "''Halimium'' (Dunal) Spach" https://www.worldflo[...] 2024-09-19
[4] 웹사이트 "''Cistus'' × ''aguilari''" http://www.cistuspag[...] 2015-04-02
[5] 웹사이트 "''Cistus'' × ''dansereaui''" http://www.cistuspag[...] 2015-04-02
[6] 웹사이트 "''Cistus'' × ''nigricans''" https://web.archive.[...]
[7] 웹사이트 "''Cistus'' × ''pauranthus''" http://www.cistuspag[...] 2015-04-02
[8] 웹사이트 "''Cistus'' × ''platysepalus''" http://www.cistuspag[...] 2015-04-02
[9] 웹사이트 The Cistus & Halimium Website https://web.archive.[...]
[10] 웹사이트 "''Cistus'' × ''skanbergii''" http://www.cistuspag[...] 2015-04-02
[11] 웹사이트 "''Cistus'' × ''stenophyllus''" http://www.cistuspag[...] 2015-04-02
[12] 웹사이트 "''Cistus'' × ''verguinii''" http://www.cistuspag[...] 2015-04-02
[13] 간행물 Flammability and Combustibility of Cistus Plant Groups in Tlemcen Region(Algeria) National Forest Research Institute (INRF) 2018
[14] 논문 Effect of fire on viability and germination behaviour of Cistus ladanifer and Cistus salvifolius seeds 2021
[15]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Cistus'' × ''aguilarii'' 'Maculatus'" https://www.rhs.org.[...] 2020-04-15
[16]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Cistus'' × ''argenteus'' 'Peggy Sammons'" http://apps.rhs.org.[...] 2013-07-07
[17] 웹사이트 "RHS Plantfinder - Cistus × bornetianus 'Jester'" https://www.rhs.org.[...] 2018-01-30
[18]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Cistus'' × ''cyprius''" https://www.rhs.org.[...] 2020-04-15
[19]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Cistus'' × ''cyprius'' var. ''ellipticus'' 'Elma'" https://www.rhs.org.[...] 2020-04-15
[20]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Cistus'' × ''dansereaui'' 'Decumbens'" https://www.rhs.org.[...] 2020-04-15
[21] 웹사이트 "''C.'' × ''dansereaui'' 'Jenkyn Place'" https://www.rhs.org.[...] RHS 2020-04-12
[22] 웹사이트 "RHS Plantfinder - ''Cistus'' 'Gordon Cooper'" https://www.rhs.org.[...] 2018-01-30
[23] 웹사이트 "RHS Plantfinder - Cistus × laxus 'Snow White'" https://www.rhs.org.[...] 2018-01-30
[24]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Cistus'' × ''lenis'' 'Grayswood Pink'" https://www.rhs.org.[...] 2020-04-15
[25] 웹사이트 "RHS Plantfinder - ''Cistus'' × ''obtusifolius'' 'Thrive'" https://www.rhs.org.[...] 2020-04-17
[26]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Cistus'' × ''pulverulentus'' 'Sunset'" https://www.rhs.org.[...] 2020-04-15
[27]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Cistus'' × ''purpureus''" https://www.rhs.org.[...] 2020-04-15
[28]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Cistus'' × ''skanbergii''" http://apps.rhs.org.[...] 2013-07-07
[29]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Cistus'' 'Snow Fire'" https://www.rhs.org.[...] 2020-04-15
[30] 웹사이트 "×''Halimiocistus'' 'Ingwersenii'" https://www.rhs.org.[...] RHS 2020-04-12
[31] 웹사이트 "×''Halimiocistus sahucii''" https://www.rhs.org.[...] RHS 2020-04-12
[32] 학술지 An overview of ''Cistus'' ectomycorrhizal fungi 2006
[33] 학술지 Characterization and identification of field ectomycorrhizae of ''Boletus edulis'' and ''Cistus ladanifer'' http://dadun.unav.ed[...] 2006
[34] 서적 Safer Gardens: Plant Flammability & Planning For Fire
[35] 학술지 Leaf Structure of Cistus creticus L. (Rock Rose), a Medicinal Plant Widely Used in Folk Remedies Since Ancient Times https://www.tandfonl[...] 2014-04-03
[36] 서적 366日 誕生花の本 日本ヴォーグ社 1990-11-30
[37] 웹사이트 "''Cistus'' × ''aguilari''" http://www.cistuspag[...] 2015-04-02
[38] 웹사이트 "''Cistus'' × ''dansereaui''" http://www.cistuspag[...] 2015-04-02
[39] 웹사이트 "''Cistus'' × ''nigricans''" https://web.archive.[...]
[40] 웹사이트 "''Cistus'' × ''pauranthus''" http://www.cistuspag[...] 2015-04-02
[41] 웹사이트 "''Cistus'' × ''platysepalus''" http://www.cistuspag[...] 2015-04-02
[42] 웹인용 The Cistus & Halimium Website http://www.cistuspag[...] 2003-05-03
[43] 웹사이트 "''Cistus'' × ''skanbergii''" http://www.cistuspag[...] 2015-04-02
[44] 웹사이트 "''Cistus'' × ''stenophyllus''" http://www.cistuspag[...] 2015-04-02
[45] 웹사이트 "''Cistus'' × ''verguinii''" http://www.cistuspag[...] 2015-04-02
[46] 웹인용 RHS Plant Selector - ''Cistus'' × ''aguilarii'' 'Maculatus' http://apps.rhs.org.[...] 2013-07-07
[47] 웹인용 RHS Plant Selector - ''Cistus'' × ''argenteus'' 'Peggy Sammons' http://apps.rhs.org.[...] 2013-07-07
[48] 웹인용 RHS Plantfinder - Cistus × bornetianus ‘Jester’ https://www.rhs.org.[...] 2018-01-30
[49] 웹인용 RHS Plant Selector - ''Cistus'' × ''cyprius'' http://apps.rhs.org.[...] 2013-07-07
[50] 웹인용 RHS Plant Selector - ''Cistus'' × ''cyprius'' var. ''ellipticus'' 'Elma' http://apps.rhs.org.[...] 2013-07-07
[51] 웹인용 RHS Plant Selector - ''Cistus'' × ''dansereaui'' 'Decumbens' http://apps.rhs.org.[...] 2013-07-07
[52] 웹인용 RHS Plantfinder - Cistus × laxus ‘Snow White’ https://www.rhs.org.[...] 2018-01-30
[53] 웹인용 RHS Plant Selector - ''Cistus'' × ''lenis'' 'Grayswood Pink' http://apps.rhs.org.[...] 2013-07-07
[54] 웹인용 RHS Plantfinder - ''Cistus'' × ''obtusifolius'' ‘Thrive’ https://www.rhs.org.[...] 2018-01-30
[55] 웹인용 RHS Plant Selector - ''Cistus'' × ''pulverulentus'' 'Sunset' http://apps.rhs.org.[...] 2013-07-07
[56] 웹인용 RHS Plant Selector - ''Cistus'' × ''purpureus'' http://apps.rhs.org.[...] 2013-07-07
[57] 웹인용 RHS Plant Selector - ''Cistus'' × ''skanbergii'' http://apps.rhs.org.[...] 2013-07-07
[58] 웹인용 RHS Plantfinder - ''Cistus'' ‘Gordon Cooper’ https://www.rhs.org.[...] 2018-01-30
[59] 웹인용 RHS Plant Selector - ''Cistus'' 'Snow Fire' http://apps.rhs.org.[...] 2013-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