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킴벌라이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킴벌라이트는 선캄브리아기에 발생한 조산 운동과 관련하여 생성된 화산암의 일종이다. 맨틀 기원의 암석으로, 매우 짧은 시간 안에 격렬한 화산 폭발을 통해 지표면 부근까지 분출하며, 다이아몬드를 포함한 다양한 광물을 함유하고 있어 다이아몬드 탐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킴벌라이트는 지구 맨틀의 구성과 내부 역동적인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주요 분포 지역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러시아, 앙골라, 중국, 미국 등이다. 경제적으로 다이아몬드의 주요 공급원이며, 탐사는 지표 광물 샘플링, 지구물리 탐사, 3차원 모델링 기법을 통합하여 수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성암 - 용암
    용암은 화산 활동으로 지표면에 분출된 액체 상태의 녹은 암석 물질이거나 굳어져 형성된 암석을 뜻하며, 마그마에서 휘발성분이 빠져나온 것으로, 규산염이 주성분이고 온도와 조성에 따라 점성이 달라지며, 파호이호이 용암, 아아 용암 등의 형태가 있다.
  • 화성암 - 불국사 화강암
    불국사 화강암은 경주 불국사의 석조 건축물에 사용된 화강암으로, 불국사의 건축적 아름다움과 역사적 가치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채석지와 종류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킴벌라이트
지질학적 정보
미국의 킴벌라이트
기본 정보
종류화성암
구성 성분포스터라이트 감람석
탄산염 광물
미량의 마그네슘 티탄철석
크롬 파이로프
알만딘-파이로프
크롬 다이옵사이드
금운모
엔스타타이트
티탄이 적은 크롬철광
추가 특징때때로 다이아몬드를 포함함

2. 생성 요인

킴벌라이트는 선캄브리아기에 발생한 전 세계적인 조산 운동과 관련이 있다. 킴벌라이트 마그마는 맨틀 깊은 곳에서 기원하며, 매우 빠른 속도로 지표면까지 분출하는 격렬한 화산 폭발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2. 1. 생성 환경

킴벌라이트는 맨틀 내부의 고온 고압 환경에서 형성되었음을 나타내는 다양한 광물 종을 함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이한 화성암이다. 크롬 디옵사이드(휘석류), 크롬 스피넬, 마그네슘 일메나이트, 크롬이 풍부한 피로프 가닛과 같은 광물들은 다른 대부분의 화성암에는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킴벌라이트를 지시하는 지표 광물로 특히 유용하다.

킴벌라이트


킴벌라이트는 선캄브리아기에 발생한 전 세계적인 조산 운동에 의해 생성되었다. 따라서 킴벌라이트의 분포는 대륙의 비교적 내륙 지역이며, 오래된 지질 조건이 유지되고 있는 지역에 한정된다. 암석의 재료는 맨틀 기원이며, 매우 짧은 시간 안에 지표 부근까지 분출한 격렬한 화산 폭발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3. 형태 및 화산학

아프리카의 킴벌라이트 파이프 분포. 크라톤: CA-중앙아프리카(카사이), SA-남아프리카(칼라하리), WA-서아프리카; 킴벌라이트(빨간 점으로 표시): B-바난코로, Cu-쿠앙고 계곡, Do-도콜와요, F-핀치, G-고페, J-콰넨, Ja-야거스폰테인, k-코이두, Kb-킴벌리, Ko-코피폰테인, L-레틀하카네, Le-렛센, Lu-룬다, M-미츠익, Mb-음부지마이, Mw-므와두이, O-오라파, P-프리미어, R-리버 랜치, V-베네티아.


많은 킴벌라이트 구조는 관 모양, 즉 당근 모양의 수직 관입 형태를 띤다. 킴벌라이트 마그마는 이산화탄소(CO₂)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깊은 곳에서 폭발적인 비등을 일으켜 수직으로 확장된다.[1] 킴벌라이트는 서로 다른 암석 암상의 인식에 기반하여 분류되며, 이는 특정한 마그마 활동 방식(분화구, 다이아트렘 및 저반심성암 암석)과 관련이 있다.[2][3]

킴벌라이트 관은 매우 깊은 맨틀에서 기원한 폭발적인 다이아트렘 화산 작용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화산 폭발은 깊은 마그마 저수지에서 수직으로 암석 기둥을 상승시키며, 주변 암석을 파쇄하여 변하지 않은 크세노리스인 페리도타이트를 지표면으로 가져온다. 이는 지질학자들에게 맨틀의 상태와 구성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4][5] 지표면에서는 마르 화산과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지만, 그 모습은 거의 보존되지 않는다.

킴벌라이트는 선캄브리아기에 발생한 전 세계적인 조산 운동에 의해 생성되었다. 따라서 킴벌라이트는 대륙의 비교적 내륙 지역, 즉 오래된 지질 조건이 유지되고 있는 지역에 분포한다. 암석은 맨틀에서 기원했으며, 매우 짧은 시간 안에 지표 부근까지 분출한 격렬한 화산 폭발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3. 1. 킴벌라이트 관의 형태

많은 킴벌라이트 구조는 "관"이라고 하는 당근 모양의 수직 관입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전적인 당근 모양은 CO2(H2O는 더 적은 양)를 상당량 함유한 킴벌라이트 마그마의 복잡한 관입 과정으로 인해 형성되는데, 이는 깊은 폭발적인 비등 단계를 유발하여 상당한 수직 확장을 일으킨다.[1]

킴벌라이트 관의 형태와 고전적인 당근 모양은 매우 깊은 맨틀 기원의 근원에서 폭발적인 다이아트렘 화산 작용의 결과이다. 이러한 화산 폭발은 깊은 마그마 저수지에서 상승하는 수직 암석 기둥을 생성한다. 지표면으로부터 이내에서 고압의 마그마는 위쪽으로 폭발하여 원추형 또는 원통형 다이아트렘을 형성하고 지표면으로 분출한다. 킴벌라이트 다이크와 암맥은 얇을 수 있지만(1~4미터), 관의 직경은 약 75미터에서 1.5킬로미터까지 다양하다.[6]

4. 암석학

킴벌라이트는 역사적으로 암석학적 관찰에 기초하여 "현무암질"과 "운모질" 두 가지로 분류되었다.[7] 이후 C. B. Smith는 네오디뮴(Nd), 스트론튬(Sr), Pb 동위원소 친화성을 이용하여 "그룹 I"과 "그룹 II"로 재분류하였다.[8] 로저 미첼은 그룹 I, II 킴벌라이트가 서로 뚜렷한 차이를 보여, 밀접하게 관련되지 않았을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그룹 II 킴벌라이트가 그룹 I 킴벌라이트보다 람프로이트와 더 유사하다고 제안하며, 혼란을 피하기 위해 그룹 II 킴벌라이트를 오렌자이트로 재분류하였다.[9]

4. 1. 그룹 I 킴벌라이트

I군 킴벌라이트는 포스터라이트 감람석과 탄산염 광물이 우세하며, 마그네슘 일메나이트, 크롬 피로프, 알만딘-피로프, 크롬 디옵사이드(일부 경우에는 아석회질), 플로고파이트, 엔스타타이트 및 Ti가 부족한 크로마이트를 미량 광물로 포함하는 CO₂가 풍부한 초염기성암 포타슘 화성암이다.[10] I군 킴벌라이트는 감람석, 피로프, 크롬 디옵사이드, 마그네슘 일메나이트 및 플로고파이트의 대결정(0.5~10mm)에서 거대결정(10~200mm)까지의 현저한 불균질 입상 조직을 나타낸다.[10]

화성암의 실제 조성을 더욱 밀접하게 반영하는 기질 광물학은 탄산염과 상당량의 포스터라이트 감람석이 우세하며, 소량의 피로프 가닛, Cr-디옵사이드, 마그네슘 일메나이트 및 스피넬이 포함되어 있다.

4. 2. 감람석 람프로이트 (그룹 II 킴벌라이트)

감람석 람프로이트는 이전에 남아프리카에서만 발견된다는 잘못된 믿음 때문에 II군 킴벌라이트 또는 오렌자이트라고 불렸다. 그러나 이들의 산출과 암석학은 전 세계적으로 동일하며 킴벌라이트로 잘못 언급되어서는 안 된다.[11] 감람석 람프로이트는 초알칼리성, 과알칼리성 화성암으로 휘발성 성분(주로 H2O)이 풍부하다. 감람석 람프로이트의 특징적인 특징은 금운모(phlogopite) 반정과 미반정과 함께, 조성이 금운모에서 "사철금운모"(비정상적으로 Al이 부족하고 사면체 자리에 Fe가 들어가는 금운모)까지 다양한 기질 운모이다. 흡수된 감람석 반정과 기질 감람석의 완정형 일차 결정은 일반적이지만 필수 구성 성분은 아니다.

기질의 특징적인 일차 상으로는 대상 휘석(디옵사이드 핵이 Ti-애기린으로 가장자리가 둘러싸인), 스피넬 그룹 광물(마그네슘 크롬철석에서 티탄철석까지), Sr과 희토류 원소가 풍부한 페로브스카이트, Sr이 풍부한 인회석, 희토류 원소가 풍부한 인산염(모나자이트, 다칭산석), 칼륨이 풍부한 바륨 홀란다이트 그룹 광물, Nb을 함유한 루틸, Mn을 함유한 일메나이트가 포함된다.

5. 지구화학

킴벌라이트는 지구 맨틀 깊은 곳에서 기원한 것을 반영하여 다른 화성암과 구별되는 독특한 지구화학적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은 맨틀의 구성과 킴벌라이트 마그마의 형성 및 분출에 관여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킴벌라이트는 마그네슘 산화물(MgO) 함량이 매우 높고, 알루미늄 산화물(Al₂O₃)에 대한 칼륨 산화물(K₂O)의 몰 비율이 3보다 큰 초고칼륨성 암석이다. 니켈(Ni), 크롬(Cr), 코발트(Co)와 같은 원시적인 원소가 풍부하고, 희토류 원소(REEs) 및 칼륨, 바륨, 스트론튬 등 대이온 친석 원소(LILE)가 풍부하다.[12][13] 또한, 물(H₂O)과 이산화탄소(CO₂) 함량이 높아 킴벌라이트 분출이 폭발적으로 일어나게 한다.[14]

5. 1. 구성 성분

킴벌라이트는 일반적으로 12%를 초과하고, 종종 15%를 넘는 높은 마그네슘 산화물(MgO) 함량 때문에 초염기성암으로 분류된다. 이처럼 높은 MgO 농도는 감람석과 다른 마그네슘이 풍부한 광물이 풍부한 맨틀 기원을 나타낸다. 또한, 킴벌라이트는 초고칼륨성 암석으로, 알루미늄 산화물(Al₂O₃)에 대한 칼륨 산화물(K₂O)의 몰 비율이 3보다 크며, 이는 맨틀 원암 지역에서 상당한 변질이나 농집 과정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5. 2. 미량 원소

킴벌라이트는 니켈(Ni), 크롬(Cr), 코발트(Co)와 같은 거의 원시적인 원소가 풍부하다. 니켈은 종종 400ppm, 크롬은 1000ppm, 코발트는 150ppm을 초과하는 농도를 보인다. 이러한 높은 수치는 맨틀의 원시적인 근원을 반영하며, 최소한의 분화를 거쳤음을 나타낸다.[12]

킴벌라이트는 희토류 원소(REEs)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12] 이는 킴벌라이트의 생성과 진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희토류 원소와 함께 칼륨, 바륨, 스트론튬 등 대이온 친석 원소(LILE)[13]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점은 유체에 의해 암석의 조성이 변화된 맨틀의 섭입 작용을 받은 곳에서 기원했음을 시사한다.

5. 3. 휘발성 성분

킴벌라이트는 휘발성 성분, 특히 물(HO)과 이산화탄소(CO)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휘발성 성분은 킴벌라이트 분출이 폭발적으로 일어나게 하고, 지구 맨틀 깊은 곳에서 지표면까지 다이아몬드를 운반하는 것을 돕는다. 높은 수준의 HO와 CO는 킴벌라이트가 이러한 화합물이 더 풍부한 깊은 맨틀에서 기원했음을 보여준다.[14]

6. 탐사 기법

킴벌라이트 탐사는 지질학적, 지구화학적, 지구물리학적 방법을 통합하여 다이아몬드 함유 광상의 위치를 찾고 평가한다.[15]

6. 1. 지표 광물 샘플링

킴벌라이트 탐사는 킴벌라이트 관의 존재와 잠재적인 다이아몬드 매장량과 관련된 지표 광물을 확인하고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둔다. 퇴적물 샘플링은 기본적인 접근 방식으로, 킴벌라이트 지표 광물(KIMs)은 융기, 침식, 빙하 작용과 같은 지질 과정을 통해 지형에 분산된다. 토양 샘플링과 충적층 샘플링은 각각 토양과 하천 퇴적물에서 KIMs를 회수하는 데 사용된다. 고대 배수 패턴과 지질학적 피복층을 이해하면 KIMs를 원천 킴벌라이트 관으로 추적하는 데 도움이 된다. 빙하 지역에서는 에스커 샘플링, 빙퇴석 샘플링, 충적층 샘플링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두꺼운 빙하 퇴적물 아래에 매장된 KIMs를 회수한다. 수집된 중광물은 손으로 분리 및 분류하여 지표 광물을 식별하고, 화학 분석을 통해 정체성을 확인한다. 온압계와 같은 기술은 광물이 형성된 조건과 지구 맨틀 내 기원 위치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지표와 지질 곡선을 분석하여 킴벌라이트 관에서 다이아몬드를 발견할 가능성을 추정하고, 귀중한 다이아몬드 매장지를 찾기 위한 시추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활용한다.[16][17]

6. 2. 지구물리 탐사

지구물리탐사 방법은 풍화층이 두껍거나 풍화 작용으로 인해 킴벌라이트를 직접 찾기 어려운 지역에서 특히 유용하다. 킴벌라이트 암체와 주변 암석 사이의 물리적 특성 차이를 이용해, 킴벌라이트가 있을 가능성이 있는 곳을 나타내는 미세한 이상 현상을 탐지한다.[15][18]

항공 및 지상 탐사(자력, 전자기, 중력 탐사 포함)는 넓은 지역에서 지구물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얻는 데 사용된다. 자력 탐사는 킴벌라이트 속 자성 광물 때문에 생기는 지구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데, 킴벌라이트는 주변 암석에 비해 뚜렷한 자기적 특징을 보인다. 전자기 탐사는 전기 전도도의 변화를 측정하며, 전도성이 높은 킴벌라이트 암체는 이상 반응을 일으킨다. 중력 탐사는 킴벌라이트와 주변 암석 사이의 밀도 차이 때문에 생기는 중력의 변화를 감지한다.[15][18]

지구물리학자들은 이러한 지구물리적 이상 현상을 분석하고 해석하여, 시추와 같은 추가 조사를 할 킴벌라이트 탐사 대상을 찾는다. 그러나 지구물리 데이터 해석에는 주변 지질의 특성과 잠재적인 가리움 효과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정확한 위치 선정과 다이아몬드 발견을 위해서는 지구물리 결과를 다른 탐사 기술과 통합하는 것이 중요하다.[15][18]

6. 3. 3차원 모델링

3차원 모델링은 다이아몬드 매장 가능성이 있는 광상 내부 구조와 주요 지질 특징의 분포를 이해하는 포괄적인 틀을 제공한다. 이 과정은 시추 자료, 지표 지구물리 탐사 및 지질 조사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 세트의 수집 및 통합으로 시작된다. 그런 다음 이러한 데이터 세트는 종종 지질 모델링에 맞춤화된 전문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활용하여 일관된 디지털 플랫폼에 통합된다. 고급 시각화 기술을 통해 지질학자는 지하 지질의 상세한 3D 표현을 만들 수 있으며, 이는 킴벌라이트 암체의 분포와 기하학적 형태를 단층, 균열 및 암석 경계와 같은 다른 중요한 지질 특징과 함께 강조 표시한다.[19] 시추 코어 데이터와 지구물리 탐사의 신중한 해석을 통해 식별된 다양한 상(facies), 암반 크세놀리스(xenolith) 및 맨틀 크세놀리스(xenolith)를 모델에 통합하여 킴벌라이트 파이프의 내부 단계를 정확하게 묘사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 검증이 완료되면 3D 모델은 다이아몬드 매장 가능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고우선순위 시추 목표를 식별하고, 성공적인 다이아몬드 발견의 가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탐사 전략을 안내하는 귀중한 의사 결정 도구 역할을 한다.[20]

7. 주요 분포 지역

국가광산
남아프리카 공화국프리미어 광산(칼리난 광산)
러시아 시베리아미르 광산, 우다치나야 광상
앙골라
중화인민공화국
미국


8. 역사적 중요성

킴벌라이트는 지구 맨틀의 구성과 그 내부에서 일어나는 역동적인 과정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킴벌라이트 연구는 지구 심부의 지구화학적 순환과 지구 맨틀 내부의 비정상적으로 뜨거운 암석의 상승류인 맨틀 플룸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기여했다.[21]

킴벌라이트는 지구 맨틀의 물질을 지표면으로 운반하는 독특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크세놀리스 운반'으로 알려진 이 과정을 통해 지질학자들은 접근이 불가능한 지구 맨틀의 샘플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샘플 분석은 지구 내부의 물리적 조건, 구성, 그리고 행성의 진화 역사를 포함한 지구 심부에 대한 지식을 크게 발전시켰다.

킴벌라이트는 다이아몬드 탐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이아몬드는 지구 맨틀의 고온, 고압 조건에서 형성되며, 킴벌라이트는 이러한 다이아몬드를 지구 표면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1870년대 킴벌리에서 다이아몬드를 함유한 킴벌라이트가 발견되면서 다이아몬드 러시가 일어났고, 이 지역은 세계 최대 다이아몬드 생산 지역 중 하나로 변모했다.[22][23]

킴벌라이트는 또한 지구의 과거를 들여다볼 수 있는 창 역할을 하며, 대륙 형성과 우리 행성을 형성하는 역동적인 과정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 킴벌라이트의 분포와 연령은 고대 대륙 이동과 초대륙의 형성과 분열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24]

9. 경제적 중요성

킴벌라이트는 가장 중요한 1차 다이아몬드 공급원이다. 많은 킴벌라이트 파이프는 풍부한 충적층 또는 풍화층 다이아몬드 사광상을 생성하기도 한다. 전 세계적으로 약 6,400개의 킴벌라이트 파이프가 발견되었으며, 그중 약 900개가 다이아몬드 함유층으로 분류되었고, 그중 30개가 넘는 곳에서만 다이아몬드 광산 채굴이 경제적으로 타당했다.[25][26]

1990년대 초 캐나다 북부에서 다이아몬드가 풍부한 킴벌라이트 파이프가 발견된 것은 이러한 광상의 위치를 찾기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이 경우 파이프는 얼음으로 뒤덮인 얕은 연못 아래에 숨겨져 있었는데, 이 연못은 주변의 더 단단한 암석보다 약간 더 빠르게 침식된 부드러운 킴벌라이트 암석에 의해 형성된 함몰 지대를 채우고 있었다.[27]

킴벌리(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있는 광상은 최초로 인식되었고, 명칭의 기원이 되었다. 킴벌리 다이아몬드는 원래 풍화된 킴벌라이트에서 발견되었는데, 리모나이트에 의해 노란색으로 착색되어 "황토(yellow ground)"라고 불렸다. 더 깊은 곳에서는 변형이 덜 된 암석인 사문암화된 킴벌라이트가 발견되었는데, 광부들은 이를 "청토(blue ground)"라고 부른다. 황토 킴벌라이트는 쉽게 부서지므로 최초로 다이아몬드가 채굴된 곳이었다. 청토 킴벌라이트는 다이아몬드를 추출하기 위해 암석 분쇄기를 통과해야 한다.[28]

청토와 황토는 모두 다이아몬드를 다량 생산했다. 19세기 후반 황토가 고갈된 후 광부들은 우연히 청토를 발견하고 다량의 보석급 다이아몬드를 발견했다. 당시 경제 상황은 다이아몬드가 쏟아져 나오면서 광부들이 서로 가격을 깎아내려 결국 짧은 시간 안에 다이아몬드 가치가 원가 수준으로 떨어졌다.[29]

'''주요 킴벌라이트 광산'''

국가광산
남아프리카 공화국프리미어 광산(칼리난 광산)
러시아 시베리아미르 광산
우다치나야 광상
앙골라
중화인민공화국
미국



미르 광산

10. 관련 암석


  • 람프로이트
  • 람프로파이어
  • 네펠린섬장암
  • 초알칼리성 화성암
  • 칼실리틱암

참조

[1] 논문 Lamproites and other potassium-rich igneous rocks: a review of their occurrence, mineralogy and geochemistry 1987
[2] 논문 A comparative geological study of some major kimberlite pipes in the Northern Cape and Orange free state University of Cape Town 1982
[3] 논문 A textural-genetic classification of kimberlites 1985
[4] 논문 Kimberlite Volcanism https://www.annualre[...] 2013-05-30
[5] 웹사이트 kimberlite eruption volcanism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7-14
[6] 서적 Proceedings of Exploration 07: Fifth Decennia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neral Exploratio Decennial Mineral Exploration Conferences 2018-03-01
[7] 서적 The diamond fields of South Africa Transvaal Leader 1914
[8] 논문 Lead, strontium, and neodymium isotopic evidence for sources of African Cretaceous kimberlite 1983
[9] 서적 Kimberlites, Orangeites, and Related Rocks Springer US 1995
[10] 논문 Derivation of Lamproites and Kimberlites from a Common Evolving Source in the Convective Mantle: the Case for Southern African 'Transitional Kimberlites' http://dx.doi.org/10[...] 2023-06-20
[11] 논문 Kimberlites and aillikites as probes of the continental lithospheric mantle 2009-04
[12] 논문 The morphology and nature of primary diamondiferous occurrences https://doi.org/10.1[...] 1995-03
[13] 논문 Depletion of gold and LILE in the lower crust: Lewisian Complex, Scotland http://dx.doi.org/10[...] 1994-09
[14] 논문 The origin of cratonic diamonds — Constraints from mineral inclusions https://doi.org/10.1[...] 2008-09
[15] 논문 Diamond Exploration and Resource Evaluation of Kimberlites https://doi.org/10.2[...] 2019-12-01
[16] 간행물 Mantle-derived indicator mineral compositions as applied to diamond exploration 2010
[17] 간행물 Indicator mineral methods in mineral exploration Vuorimiesyhdistys 2011
[18] 학술대회 2023 IEEE XVI Internat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Conference Actual Problems of Electronic Instrument Engineering (APEIE) IEEE 2023-11-10
[19] 논문 3D geological modelling of the Renard 2 kimberlite pipe, Québec, Canada: from exploration to extraction https://doi.org/10.1[...] 2018-12-01
[20] 학술대회 International Kimberlite Conference Extended Abstracts: 2017 2017-09-18
[21] 논문 Diamonds sampled by plumes from the core–mantle boundary https://www.nature.c[...] 2010-07
[22] 논문 Global Rough Diamond Production Since 1870 http://dx.doi.org/10[...] 2007-06-01
[23] 논문 The deep carbon cycle and melting in Earth's interior https://www.scienced[...] 2010-09-15
[24] 논문 Chapter 2 New global palaeogeographical reconstructions for the Early Palaeozoic and their generation http://dx.doi.org/10[...] 2013-01
[25] 웹사이트 Diamond investing FAQ http://www.mining.co[...] 2014-02-18
[26] 웹사이트 Kimberlite Deposits and Geology Formation of Diamonds https://www.911metal[...] 2024-04-11
[27] 웹사이트 Secrets Beyond the Sparkle https://www.american[...] 2024-09-05
[28] 서적 Gemston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Sterling 2022-07-15
[29] 뉴스 South Africa: A New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the Diamond Fields New York Times 1902
[30] 간행물 学術用語集 地学編 https://jglobal.jst.[...] 日本学術振興会 1984
[31] 웹사이트 世界の天然ダイヤモンド採掘量(生産量)とその採掘方法 https://nanboya.com/[...] なんぼや 2023-1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