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성암은 마그마가 굳어져 생성된 암석으로, 지구 지각의 95% 이상을 차지하며,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화성암은 산출 형태에 따라 심성암과 화산암으로 구분되며, 광물 조성, 조직, 화학 조성에 따라 세분된다. 마그마는 압력 감소, 성분 변화, 온도 상승 등의 요인으로 암석이 녹아 형성되며, 분별 결정 작용, 암석과의 상호 작용, 마그마 혼합 등의 과정을 통해 진화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암석 - 퇴적암
퇴적암은 바람, 빙하, 중력, 유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층상으로 쌓여 압축 및 교결 작용을 거쳐 형성되며, 층리와 화석을 특징으로 하고, 쇄설성, 생화학적, 화학적 퇴적암 등으로 분류된다. - 암석 - 변성암
변성암은 기존 암석이 고온, 고압, 화학적 변화를 겪어 광물 조성과 조직이 변한 암석으로, 재결정 작용에 의한 조직 변화와 엽리 구조를 보이며, 변성 작용 유형과 원암, 광물 조성, 조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지구 지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건축 자재 등으로 활용되지만, 토목 공사나 건강에 위협을 줄 수도 있다. - 화성암 - 용암
용암은 화산 활동으로 지표면에 분출된 액체 상태의 녹은 암석 물질이거나 굳어져 형성된 암석을 뜻하며, 마그마에서 휘발성분이 빠져나온 것으로, 규산염이 주성분이고 온도와 조성에 따라 점성이 달라지며, 파호이호이 용암, 아아 용암 등의 형태가 있다. - 화성암 - 불국사 화강암
불국사 화강암은 경주 불국사의 석조 건축물에 사용된 화강암으로, 불국사의 건축적 아름다움과 역사적 가치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채석지와 종류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암석학 - 변성암
변성암은 기존 암석이 고온, 고압, 화학적 변화를 겪어 광물 조성과 조직이 변한 암석으로, 재결정 작용에 의한 조직 변화와 엽리 구조를 보이며, 변성 작용 유형과 원암, 광물 조성, 조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고 지구 지각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건축 자재 등으로 활용되지만, 토목 공사나 건강에 위협을 줄 수도 있다. - 암석학 - 용암
용암은 화산 활동으로 지표면에 분출된 액체 상태의 녹은 암석 물질이거나 굳어져 형성된 암석을 뜻하며, 마그마에서 휘발성분이 빠져나온 것으로, 규산염이 주성분이고 온도와 조성에 따라 점성이 달라지며, 파호이호이 용암, 아아 용암 등의 형태가 있다.
화성암 | |
---|---|
지질학적 특징 | |
![]() | |
기본 정보 | |
정의 | 마그마 또는 용암이 냉각되고 굳어져 형성된 암석 |
유형 | 심성암 (관입암) 화산암 (분출암) |
형성 과정 | 마그마 냉각 및 결정화 용암 냉각 및 응고 |
주요 성분 | 규산염 광물 장석 석영 각섬석 운모 휘석 감람석 |
색깔 | 밝은 색 (규장질) 어두운 색 (고철질) |
결정 크기 | 현정질 (큰 결정, 심성암) 반정질 (작은 결정, 화산암) |
조직 | 완정질 반상 조직 유리질 다공질 |
분류 | |
화학 조성에 따른 분류 | 규장질 (산성) 중간질 고철질 (염기성) 초고철질 |
조직에 따른 분류 | 완정질 (심성암) 반정질 (화산암) 유리질 (화산암) 다공질 (화산암) |
생성 환경에 따른 분류 | 심성암 (관입암) 화산암 (분출암) |
종류 및 예시 | |
심성암 (관입암) | 섬록암 화강암 섬장암 현무암 반려암 감람암 섬록암 섬장암 |
화산암 (분출암) | 유문암 안산암 현무암 응회암 흑요석 부석 |
생성 환경 | |
마그마 생성 장소 | 맨틀 지각 하부 |
마그마 이동 경로 | 지각의 균열 화산 통로 |
마그마 냉각 장소 | 지표면 (화산암) 지하 심부 (심성암)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마그마 용암 화산 지질학 암석 |
활용 | 건축 자재 조경 자재 도로 포장 재료 |
2. 지질학적 중요성
화성암은 지구 지각의 95% 이상을 차지한다. 다만, 퇴적암이나 변성암이 얇지만 넓게 화성암을 덮고 있어 눈에 잘 띄지 않을 뿐이다.[1] 화성암은 지구 현재 육지 표면의 약 15%를 차지하며, 지구 대부분의 해양 지각은 화성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화성암의 광물 조성과 화학 성분을 통해, 그 화성암을 만든 마그마가 녹아 나온 맨틀이나 지각 암석의 성분 및 생성 당시의 온도·압력 조건을 알 수 있다.[3] 또한, 방사성 연대 측정으로 절대연령을 알 수 있어, 화성암과 접한 퇴적암의 연대를 측정하여 지질사를 절대적인 시간 척도에 맞추어 재구성할 수 있게 한다.
화성암의 특징은 화성암이 형성된 지구조적인 환경에 따라 다르므로, 지구조 재구성에 이용된다.
2. 1. 광물 자원
특수한 조건에서 화성암은 광상을 동반한다. 텅스텐, 주석, 우라늄 등의 광상은 화강암이나 다이오라이트에 동반되어 생기는 경우가 많고, 크롬과 백금의 광상은 반려암에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4][5]3. 산출 형태
화성암은 산출 형태에 따라 크게 심성암(관입암)과 화산암(분출암)으로 구분된다.[1] 마그마가 지하 깊은 곳에서 천천히 식으면 심성암이 되고, 지표면 근처나 지표면에서 빠르게 식으면 화산암이 된다.
3. 1. 심성암 (관입암)
심성암은 마그마가 지하 깊은 곳에서 식어서 고체화된 것을 가리킨다. 다른 암석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천천히 식어가면서 결정이 맨눈으로 보일 만큼 크게 자랄 충분한 시간을 가지게 된다. 심성암체를 그 모양과 위치에 따라 구분하는 것을 산출 형태에 따른 분류라고 하며, 저반, 암맥, 암경, 병반, 암상 등이 있다.[1]거대한 조산대의 중심에는 심성암체가 있으며 이들은 주로 화강암인 경우가 많다. 화강암의 저반은 매우 크고 넓으며, 침식에 의해서 노출된다.[1]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에서 형성된 심성암을 반심성암이라고 구분하기도 한다.[1]
관입암은 대부분의 화성암을 구성하며, 행성 지각 내에서 마그마가 냉각되고 고화되어 형성된다. 관입암체는 ''관입암체''로 알려져 있으며, 기존 암석(''국내암''이라고 함)으로 둘러싸여 있다. 국내암은 우수한 열 절연체이므로 마그마는 천천히 냉각되며, 관입암은 조립질(''현정질'')이다. 이러한 암석의 광물 결정은 일반적으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다. 관입암체는 관입하는 국내암의 층리에 대한 관입체의 모양과 크기 및 관계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전형적인 관입체는 배토리스, 저탁암체, 락콜리스, 암상, 암맥이다. 일반적인 관입암은 화강암, 반려암, 또는 섬록암이다.[2]
주요 산맥의 중심부는 관입 화성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침식에 의해 노출되면 이러한 중심부(''배토리스'')는 지구 표면의 광대한 지역을 차지할 수 있다.[2]
지각 내부 깊이에서 형성되는 관입 화성암은 심성암(또는 ''심해암'')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조립질이다. 지표면 근처에서 형성되는 관입 화성암은 ''반심성암'' 또는 ''천심성암''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입자가 훨씬 더 미세하며, 종종 화산암과 유사하다. 반심성암은 심성암이나 화산암보다 흔하지 않으며, 종종 암맥, 암상, 락콜리스, 로폴리스, 또는 파콜리스를 형성한다.[2]
3. 2. 화산암 (분출암)
화산암(분출암)은 마그마가 지표면에서 식어서 굳어진 암석을 말한다. 마그마가 지표면 밖으로 나오면 용암이라고 부르며, 육지뿐만 아니라 바다에서도 분출될 수 있다.[6]화산에서 분출된 마그마의 행동은 온도, 성분, 광물 조성에 따라 결정되는 점성에 따라 달라진다. 온도가 높은 마그마는 대체로 현무암질인 경우가 많은데, 끈적끈적한 기름과 비슷하게 행동한다. 안산암질의 용암은 화산재, 응회암, 용암이 뒤섞여 분석구를 형성하며, 분출된 용암은 당밀이나 고무 수준의 점성을 보인다. 유문암과 같은 규장질 용암은 일반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분화할 뿐만 아니라 현무암의 용암에 비하여 만 배 이상 점성이 높다. 유문암질 마그마를 동반한 화산은 일반적으로 폭발적인 분화를 보이며, 용암의 분출은 제한적이나, 점성이 높기 때문에 그 가장자리는 급한 경사를 보인다.
유문암질이나 안산암질 마그마는 종종 매우 격렬한 분화를 보이는데, 이는 마그마에 녹아있던 휘발성 기체 성분(주로 수증기와 이산화탄소)이 빠져나가기 때문이다. 분출될 때 함께 나오는 물질들을 테프라라고 부르는데, 응회암, 집괴암, 이그님브라이트가 포함된다. 세립질의 화산재 또한 함께 분출하여 넓은 범위에 걸쳐 화산재층을 형성하기도 한다.
용암은 빨리 식기 때문에 화산암은 세립질이다. 냉각 속도가 더 빨라 결정이 생기지 못할 경우에는 흑요석과 같은 유리질 암석을 만들게 된다. 결정의 크기가 작은 관계로 화산암의 분류는 심성암의 분류에 비하여 더 어려운 경우가 많다. 화산암의 정확한 광물 조성은 박편현미경 관찰을 통해서만 알 수 있기 때문에 야외에서는 근사적인 분류를 하게 된다.


화산암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3. 2. 1. 해저 화산 활동
중앙해령이나 블랙스모커은 해수면 아래에서의 화산 활동의 예이다.[6] 해저 화산 활동으로 매년 분출되는 화산암의 양은 전체의 73%를 차지하며 발산 경계에서 주로 발생한다.[7]4. 분류
화성암은 산출 형태, 조직, 광물 조성, 화학 조성 등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분류를 통해 암석의 기원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화성암 분류에 사용되는 두 가지 중요한 기준은 광물의 크기와 조성이다. 장석, 석영, 준장석(feldspathoid), 감람석, 휘석, 각섬석, 운모는 거의 모든 화성암의 주요 광물이며, 암석 분류의 기초가 된다. 이 외의 광물은 부성분광물로 간주된다. 매우 드물게 탄산염이나 황산염 광물을 포함하는 화성암도 존재한다.[8]
단순화된 분류에서는 장석의 종류, 석영의 유무, 철·마그네슘 광물의 존재 여부에 따라 화성암의 종류를 구분한다. 석영을 포함하는 암석은 이산화규소 포화 상태, 준장석을 포함하는 암석은 이산화규소 불포화 상태로 간주된다. 준장석은 석영과 함께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8]
결정을 눈으로 볼 수 있는 화성암을 '현정질'이라고 하며, 너무 작아서 맨눈으로 볼 수 없는 암석을 '비현정질'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현정질 암석은 심성암, 비현정질은 화산암에 해당한다. 크고 뚜렷한 광물 결정(반정)이 작은 결정들(석기) 사이에 들어있는 조직은 '반상조직'이라고 한다.[8]
4. 1. 조직에 따른 분류
화성암의 조직은 광물 입자의 크기, 형태, 배열 등을 나타내며, 이는 마그마가 식는 속도와 환경에 따라 결정된다.결정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화성암은 '현정질'이라고 하며, 대개 심성암에 해당한다. 반면, 결정이 너무 작아 맨눈으로 볼 수 없는 화성암은 '미정질'이라고 하며, 주로 화산암에서 나타난다.[8]
큰 결정(반정)이 작은 결정(석기) 사이에 섞여 있는 '반상조직'은 마그마가 두 단계의 냉각 과정을 거칠 때 만들어진다. 처음에는 일부 결정이 크게 성장하고, 이후 나머지 성분들이 작은 결정으로 굳어진다.[8]
심성암은 대부분 광물을 눈으로 볼 수 있어 조직보다는 광물 조성이 중요하게 사용된다. 하지만 화산암의 경우에는 조직이 중요한 분류 기준이 된다. 광물 입자의 크기, 모양, 방향, 분포, 입자 간의 관계 등을 통해 응회암, 화산쇄설암, 용암 등을 구분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화학 조성 정보도 함께 필요하다.[8]
4. 2. 광물 조성에 따른 분류
화성암은 장석, 석영, 준장석(feldspathoid), 감람석, 휘석, 각섬석, 운모와 같은 주요 광물들의 종류와 조성 비율에 따라 분류된다. 거의 모든 화성암은 이 광물들을 포함하며, 암석 분류의 기초가 된다. 그 외의 광물들은 부수적인 부성분광물로 간주된다. 매우 드물게 탄산염이나 황산염 광물을 포함하는 화성암도 존재한다.[8]단순화된 분류에서는 장석의 종류, 석영의 유무, 철·마그네슘 광물의 존재 여부에 따라 화성암의 종류를 구분한다. 석영을 포함하는 암석은 이산화규소 포화 상태, 준장석을 포함하는 암석은 이산화규소 불포화 상태로 간주된다. 준장석은 석영과 함께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8]
화성암의 광물 조성은 삼각다이아그램을 사용하여 분류한다. 세 꼭짓점에 세 종류의 광물을 배치하고, 각 광물의 비율에 따라 암석의 종류를 결정한다.
국제지질과학연맹(IUGS)에서는 가능하면 화성암을 광물 조성에 따라 분류할 것을 권장한다.[9] 관입암의 경우, 암석이 초염기성암, 탄산염암, 람프로파이어인지 확인 후, 석영, 알칼리 장석, 사장석, 장석류의 비율을 QAPF 도표에 표시하여 암석의 종류를 결정한다. 디오라이트-반려암-사장석 영역과 같이 추가적인 광물학적 기준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화산암의 경우에도 수정된 QAPF 도표를 사용하여 광물 조성을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유색광물(M)의 함량에 따라서도 분류가 가능하다. 유색광물(M)이 90% 이하인 화성암은 석영(Q), 장석(A), 사장석(P), 준장석(F)의 4종류의 양비에 따라 분류한다. 석영(Q)과 준장석(F)은 공존하지 않으므로, 이들을 양 끝점으로 하는 다이어그램은 사용되지 않는다. 유색광물(M)이 90%를 초과하는 화성암은 감람석, 휘석+각섬석, 사장석의 3성분, 또는 감람석, 각섬석, 휘석의 3성분의 양비에 따라 분류한다.
4. 2. 1. 규장질-고철질 분류
화학 분류에서 사용되는 산성-염기성이라는 용어는 광물학적인 관점에서 규장질-고철질이라는 용어로 바꿔 사용할 수 있다.- 규장질 암석: 이산화규소 함량이 높다. 석영과 알칼리 장석이나 준장석과 같은 규장질 광물들이 주요 광물이다. 규장질 암석(화강암, 유문암)은 일반적으로 밝은 색을 띠고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 고철질 암석: 이산화규소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대신 휘석, 감람석 같은 고철질 광물과 칼슘 사장석이 주요 광물이다. 고철질 암석(현무암, 반려암)은 일반적으로 어두운 색이고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보인다.
- 초고철질암: 이산화규소의 함량이 매우 낮고, 90% 이상이 고철질 광물로 구성되어 있다. (예: 더나이트)
4. 3. 화학 조성에 따른 분류
화성암은 이산화규소(SiO₂) 함량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산성암''' : 63% 이상의 SiO₂를 포함한다. (화강암, 유문암 등)
- '''중성암''' : 52%~63%의 SiO₂를 포함한다. (안산암, 데이사이트 등)
- '''염기성암''' : 45%~52%의 SiO₂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철과 마그네슘 함량이 높다. (반려암, 현무암 등)
- '''초염기성암''' : 45% 이하의 SiO₂를 포함한다. (피크라이트, 코마타이트 등)
과거에는 산성-염기성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되었으나, 현대에는 규장질(felsic)-고철질(mafic)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된다.
화산암의 경우, TAS 도표를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TAS 도표는 가로축에 이산화규소의 질량, 세로축에 알칼리 산화물(Na₂O + K₂O)의 질량을 표시하여 화산암의 종류를 구분하는 도표이다.
성분 | 코마티아이트 | 알칼리 현무암 | 홍수 현무암 | 해양도 현무암 | 심해저 현무암 | 호상열도 현무암 | 안산암 | 데사이트 | 유문암 | 화강암 |
---|---|---|---|---|---|---|---|---|---|---|
SiO₂|이산화규소영어 | 45.8 | 45.4 | 50.01 | 50.51 | 50.68 | 51.9 | 59.2 | 67.2 | 75.2 | 72.2 |
TiO₂|이산화타이타늄영어 | 0.30 | 3.00 | 1.00 | 2.63 | 1.49 | 0.80 | 0.70 | 0.50 | 0.20 | 0.30 |
Al₂O₃|산화알루미늄영어 | 7.30 | 14.7 | 17.08 | 13.45 | 15.60 | 16.0 | 17.1 | 16.2 | 13.5 | 14.6 |
Cr₂O₃|산화크로뮴(III)영어 | 0.20 | - | - | - | - | - | - | - | - | - |
Fe₂O₃|산화철(III)영어 | - | 4.10 | - | 1.78 | - | - | 2.90 | 2.00 | 1.00 | - |
FeO|산화철(II)영어 | 11.2 | 9.20 | 10.01 | 9.59 | 9.85 | 9.56 | 4.20 | 1.80 | 1.10 | 2.40 |
MnO|산화망가니즈(II)영어 | - | - | 0.14 | 0.17 | - | 0.17 | - | - | - | - |
MgO|산화마그네슘영어 | 26.1 | 7.80 | 7.84 | 7.41 | 7.69 | 6.77 | 3.70 | 1.50 | 0.50 | 1.00 |
CaO|산화칼슘영어 | 7.60 | 10.5 | 11.01 | 11.18 | 11.44 | 11.8 | 7.10 | 3.80 | 1.60 | 1.70 |
Na₂O|산화나트륨영어 | 0.70 | 3.00 | 2.44 | 2.28 | 2.66 | 2.42 | 3.20 | 4.30 | 4.20 | 2.90 |
K₂O|산화칼륨영어 | 0.10 | 1.00 | 0.27 | 0.49 | 0.17 | 0.44 | 1.30 | 2.10 | 2.70 | 4.50 |
P₂O₅|오산화이인영어 | - | - | 0.19 | - | - | - | - | - | - | - |
4. 3. 1. 알칼리 계열
알칼리 화성암은 알칼리 (K2O + Na2O) 함량이 5~15%이거나, 알칼리와 이산화규소의 몰 비(比)가 1:6 이상인 화성암이다. 포놀라이트, 트라카이트 등이 이에 해당한다.TAS 도표(화산암을 화학 분류할 때 쓰이는 도표로 가로축은 이산화규소의 질량, 세로축은 알칼리 산화물의 질량이며, 그래프 영역은 여러 화산암 종류가 가지는 화학 조성 영역들로 구분되어 있다.)는 잘 구분되지 않는 경우를 구분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5. 마그마의 기원
마그마는 암석이 부분적으로 녹아 생성되는 액체 상태의 물질이다. 암석은 압력 감소, 성분 변화(예: 물 추가), 온도 상승 또는 이러한 과정들의 조합에 따라 녹을 수 있다.[27]
오늘날에는 운석 충돌로 인한 암석 용융은 중요하지 않지만, 지구의 중력집적 과정에서는 광범위한 암석 용융을 초래했다. 초기 지구의 바깥쪽 수백 킬로미터는 마그마의 바다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수억 년 동안의 대형 운석 충돌은 여러 대규모 화성암 지역의 광범위한 현무암 마그마 활동을 일으킨 한 가지 메커니즘으로 제안되었다.
5. 1. 압력 감소
맨틀 대류에 의해 암석이 상승하면서 압력이 감소하면 솔리더스 온도가 낮아진다. 암석이 충분히 상승하면 녹기 시작하는데, 이를 감압 용융이라고 한다. 녹은 액체 방울들은 서로 뭉쳐져 큰 덩어리를 이루며 위쪽으로 올라간다. 이러한 감압 용융 과정은 지구 진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27]감압 용융은 중앙 해령에서 해양 지각을 생성한다. 또한 하와이와 같은 해도(海島)들은 맨틀 플룸에 의한 상승 과정에서 생긴 감압 용융의 결과이다. 플룸과 관련한 감압 용융은 현무암홍수나 해대 형성의 가장 일반적인 설명으로 받아들여진다.[28]
5. 2. 물과 이산화탄소의 영향
물과 이산화탄소는 암석의 용융점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섭입대에서 해양 지각이 맨틀로 들어가면서 물이 공급되어 마그마가 생성된다.[29] 현무암과 안산암으로 구성된 수화 마그마는 섭입 과정 중 탈수의 직접적, 간접적 결과로 생성된다. 이러한 마그마와 그로부터 유래된 마그마는 환태평양 조산대와 같은 섬호를 형성한다. 이러한 마그마는 칼크알칼리질 계열의 암석을 형성하며, 이는 대륙 지각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이산화탄소 첨가는 물 첨가에 비해 마그마 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훨씬 적지만, 일부 규소 미포화 마그마의 생성은 맨틀 공급원 지역에서 이산화탄소가 물보다 우세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산화탄소가 존재할 경우, 실험 결과에 따르면 페리도타이트의 고용체 온도는 약 70km 깊이에 해당하는 압력 구간에서 약 200 °C 감소한다. 더 깊은 곳에서는 이산화탄소의 영향이 더 클 수 있다. 약 200km 깊이까지는 탄산염 페리도타이트 조성의 초기 용융 온도가 이산화탄소가 없는 동일한 조성에 비해 450 °C~600 °C 더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다.[30] 네펠리나이트, 탄산염암, 킴벌라이트와 같은 암석 유형의 마그마는 약 70km 이상의 깊이에서 맨틀로 이산화탄소가 유입된 후 생성될 수 있는 마그마 중 일부이다.
5. 3. 온도 상승
맨틀에서 상승한 마그마가 지각에 열을 공급하여 지각 암석이 용융될 수 있다.[31] 대륙 지각에서는 온도의 상승이 마그마를 형성하는 가장 일반적인 기작이다. 판 경계에서 압축에 의해 두꺼워진 대륙 지각에서 지각 암석의 고상선을 초과하는 온도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인도판과 유라시아판 사이의 경계는 잘 연구된 예로, 경계 바로 위에 있는 티베트 고원은 지각 두께가 약 80km로, 일반적인 대륙 지각 두께의 약 2배에 달한다. 마그네토텔루릭 데이터에서 추론된 전기 비저항 연구를 통해 티베트 고원 남쪽 가장자리를 따라 중간 지각 내에 최소 1,000km에 걸쳐 규산염 용융체가 포함된 것으로 보이는 층이 발견되었다.[31] 화강암과 유문암은 온도 상승으로 인한 대륙 지각 용융의 생성물로 일반적으로 해석되는 화성암의 종류이다.6. 마그마의 진화
마그마는 대부분 완전히 녹아있는 상태가 아닌, 결정과 용융체, 그리고 때로는 기포의 혼합물이다. 이들은 밀도가 다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분리되며, 마그마는 진화하게 된다.
마그마가 냉각되면서 광물들은 서로 다른 온도에서 결정화(분별결정작용)된다. 광물이 결정화되면서 남아있는 마그마의 성분은 변화한다. 광물이 마그마로부터 분리되면, 남아있는 마그마는 원래 마그마와는 다른 성분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반려암질 마그마에서 광물들이 계속 결정화되어 빠져나가면, 남아있는 마그마는 화강암질이 된다. 반려암은 1200 °C 근처에 솔리더스가 있는 반면, 그로부터 유래된 화강암질 마그마는 리퀴더스가 700 °C에 불과하다. 불호정성원소들은 결정화 과정 동안 끝까지 버티다가 마그마의 끝물에 농축되거나, 아니면 최초로 녹아나오는 액체에 집중적으로 고여 페그마타이트질 마그마를 형성한다. 보엔의 반응계열은 마그마의 분별결정작용을 이상화한 것이다.
마그마의 성분은 부분 용융이나 분별결정작용 이 외의 과정을 통해서도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마는 관입당한 암석과 상호작용을 하는데, 암석을 녹이거나 화학적인 반응을 하기도 한다. 성분이 다른 마그마는 서로 섞일 수 있으며, 드문 경우에 한하여 마그마는 서로 섞일 수 없는 두 성분으로 분화하는 경우도 있다.
참조
[1]
서적
Sedimentary geology : an introduction to sedimentary rocks and stratigraphy
https://archive.org/[...]
Freeman
[2]
논문
Global geologic maps are tectonic speedometers—Rates of rock cycling from area-age frequencies
http://gsabulletin.g[...]
[3]
서적
Principles of igneous and metamorphic petr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4]
논문
The chemistry of hydrothermal tin(-tungsten) ore deposition
1990-05-01
[5]
서적
Uranium: Mineralogy, geochemistry and the Environment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21-02-13
[6]
서적
Volcanism
Springer
2003
[7]
서적
Pyroclastic rocks
Springer-Verlag
1984
[8]
서적
An introduction to igneous and metamorphic petrology
Prentice Hall
2001
[9]
논문
The IUGS systematics of igneous rocks
[10]
논문
Volcanogenic massive sulfide occurrence model: Chapter C in Mineral deposit models for resource assessment
2012
[11]
서적
Petrology : igneous, sedimentary, and metamorphic.
W.H. Freeman
1996
[12]
웹사이트
Mafic magma types
http://courses.washi[...]
University of Washington
2020-12-02
[13]
논문
Andesites: Orogenic andesites and related rocks
1982
[14]
논문
Tectonic Implications of the Composition of Volcanic ARC Magmas
1995
[15]
논문
The origin of the term 'basalt'
http://www.jgeosci.o[...]
2020-08-19
[16]
웹사이트
Granite
https://www.etymonli[...]
Douglas Harper
2020-12-02
[17]
논문
Studien aus den ungarisch-siebenbürgischen Trachytgebirgen
https://babel.hathit[...]
1860
[18]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Mind Over Magma: The Story of Igneous Petrolog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
서적
Igneous Rocks: A Classification and Glossary of Ter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21]
백과사전
Petrology
[22]
서적
Quantitative Classification of Igneous Rock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3]
논문
Of the American Quantitative Igneous Rock Classification: Part 5
2012-01-01
[24]
논문
Classification of Igneous Rock Series
1931-01-01
[25]
논문
A Guide to the Chemical Classification of the Common Volcanic Rocks
2011-02-06
[26]
논문
Trends of differentiation in basaltic magmas
1933-03-01
[27]
서적
Understanding the Earth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Plates vs. Plumes: A Geological Controversy
http://www.wiley.com[...]
Wiley-Blackwell
[29]
논문
The influence of H2O on mantle wedge melting.
[30]
논문
Effect of variable carbonate concentration on the solidus of mantle peridotite
[31]
논문
Crustal rheology of the Himalaya and Southern Tibet inferred from magnetotelluric data
[32]
웹사이트
igneous
https://www.dictiona[...]
2022-10-15
[33]
웹사이트
-eous
https://www.dictiona[...]
2022-10-15
[34]
웹사이트
Volvano
https://www.dictiona[...]
2022-10-15
[35]
웹사이트
ic
https://www.dictiona[...]
2022-10-15
[36]
웹사이트
Pluto
https://www.dictiona[...]
2022-10-15
[37]
웹사이트
ic
https://www.dictiona[...]
2022-10-15
[38]
서적
理科年表 2021
丸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