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부아에란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부아에란섬은 키리바시 공화국에 속하는 환초로, 과거 폴리네시아인들이 거주했으며 1798년 미국 선박에 의해 발견되었다. 1854년 영국 보호령이 되었고, 1888년 공식적으로 영국에 병합되었으며, 1902년부터 태평양 횡단 케이블 기지 역할을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해군의 공격을 받았으며, 1939년 길버트 엘리스 제도 식민지에 편입되었다가 1979년 키리바시의 일부가 되었다. 주요 산업은 코프라 생산과 관광이며, 2010년 인구 감소를 겪었으나 2015년 다시 증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부아에란섬 - 타부아에란 기습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해군 순양함 SMS 뉘른베르크는 영국령 타부아에란 섬의 해저 통신 케이블 기지국을 기습하여 파괴하고 통신을 두절시켜 영국과 식민지 간 통신에 차질을 일으켰다. - 키리바시 - 테라이나섬
테라이나 섬은 태평양에 위치한 키리바시 공화국 소속의 융기된 산호초 환초로, 코코넛 농장 조성과 영국의 합병을 거쳐 1979년 키리바시 독립과 함께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9개의 마을에 1,690명이 거주하며 독특한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 키리바시 - 바나바섬
바나바섬은 키리바시 서쪽에 위치하며 인산염 채굴로 훼손되었고, 멜라네시아 기원의 바나바인들이 원주민이며, 영국령 편입, 일본 점령, 피지 라비 섬 강제 이주 등의 역사를 겪었으며, 현재는 키리바시의 일부로 라비 섬 거주 바나바인들이 자치 행정을 담당한다. - 라인 제도 - 테라이나섬
테라이나 섬은 태평양에 위치한 키리바시 공화국 소속의 융기된 산호초 환초로, 코코넛 농장 조성과 영국의 합병을 거쳐 1979년 키리바시 독립과 함께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9개의 마을에 1,690명이 거주하며 독특한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 라인 제도 - 킹먼 암초
킹먼 암초는 북태평양 라인 제도에 위치한 대부분 물에 잠긴 환초로, 항해에 위험하며 미국 영토로 편입 후 항공 노선 기착지로 활용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해양 국립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타부아에란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북태평양 |
좌표 | 3°51′36″N 159°21′52″W |
소속 국가 | 키리바시 |
섬 의회 | 타부아에란 |
가장 큰 정착지 | 테레이타키 |
군도 | 라인 제도 |
면적 | 33.7km² |
해발 고도 | 3m |
인구 | 1,990명 |
인구 조사 기준 | 2020년 |
인구 밀도 | 68.7명/km² |
언어 | 길버트어 |
민족 | 키리바시인 |
시간대 | UTC+14:00 |
현지명 | Tabuaeran |
![]() | |
지리 정보 | |
면적 (km2) | 33.73 |
최고 높이 (m) | 3 |
인구 정보 | |
인구 (명) | 2539 |
인구 조사 년도 | 2005 |
인구 밀도 (명/km2) | 75.27 |
행정 정보 | |
국가 | 키리바시 |
지역 | 라인 제도 |
시간대 | UTC+14 |
2. 역사
타부아에란에는 폴리네시아인들이 처음 거주했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환초 서쪽에 수백 년 동안 유지된 하나의 큰 마을이 있었고, 환초 전체에 걸쳐 다른 산발적인 생산 및 농업 시설이 있었다.[3]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는 서기 1100년부터 1425년까지의 범위를 나타낸다.[4] 일부 고고학자들은 타부아에란과 키리티마티섬이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임에도 불구하고 기후와 자원이 크게 달라 자원 부족을 해결할 수 있었기 때문에 하나의 공동체로서 두 섬에 걸쳐 생활했다고 주장한다.[4] 석기의 X선 형광 분석은 폴리네시아 전역에 존재했던 무역 네트워크를 보여주며, 타부아에란의 경우 마르키즈 제도의 에이아오에 있는 채석장과 일치하는 결과가 나왔다.[5]
타부아에란은 1798년 6월 11일 미국 선박 '벳시'호의 선장 에드먼드 패닝에 의해 발견되었다.[6] 당시 이 환초는 무인도였다.[6] 패닝 이후 여러 국적의 포경선이 이곳을 방문했으며, 1831년 말이나 1832년 초에는 포경선 해리엇(Harriet)호가 난파되기도 했다.
1854년 헨리 잉글리시(Henry English)[7] 선장과 마니히키 출신의 노동자 150명이 정착하여 수출용 코코넛 오일을 생산하기 시작했다.[7][8] 1855년 10월 16일, HMS 디도(Dido)호의 W. H. 모스헤드(W. H. Morshead) 선장이 이 섬을 영국의 보호령으로 선포했다.[8] 1857년경에는 윌리엄 그리그(William Greig)가 상륙하여 코프라 생산을 확장하기 위해 코코넛 나무를 심었다.[9]
1888년 3월 15일, 윌리엄 와이즈먼(William Wiseman) 선장이 HMS 캐롤라인(Caroline)호를 이끌고 타부아에란을 공식적으로 영국에 병합했다. 그 후 잉글리시 채널(English Channel)이라고 불리는 깊은 수로가 환초 서쪽에 폭파되었다. 타부아에란은 1902년부터 캐나다-호주 구간의 올 레드 라인(All Red Line) 전신 케이블 시스템의 기지국을 운영했다.[10] 1902년 11월 29일에는 패닝 아일랜드 우체국이 개설되었다.[10]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4년 9월, 독일 제국 해군의 경순양함 SMS 뉘른베르크(Nürnberg)호가 케이블 기지국을 방문하여 패닝 급습(Fanning Raid)으로 기지국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11][12]
1939년 이 환초는 영국의 길버트와 엘리스 제도 식민지에 편입되었고, 1979년 독립하여 키리바시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2. 1. 폴리네시아인 정착
타부아에란에는 폴리네시아인들이 처음 거주했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환초 서쪽에 수백 년 동안 유지된 하나의 큰 마을이 있었고, 환초 전체에 걸쳐 다른 산발적인 생산 및 농업 시설이 있었다.[3]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는 서기 1100년부터 1425년까지의 범위를 나타낸다.[4] 일부 고고학자들은 타부아에란과 키리티마티섬이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임에도 불구하고 기후와 자원이 크게 달라 자원 부족을 해결할 수 있었기 때문에 하나의 공동체로서 두 섬에 걸쳐 생활했다고 주장한다.[4] 석기의 X선 형광 분석은 폴리네시아 전역에 존재했던 무역 네트워크를 보여주며, 타부아에란의 경우 마르키즈 제도의 에이아오에 있는 채석장과 일치하는 결과가 나왔다.[5]2. 2. 유럽인 발견과 식민지 시대
타부아에란은 1798년 6월 11일 미국 선박 '벳시'호의 선장 에드먼드 패닝에 의해 발견되었다.[6] 당시 이 환초는 무인도였다.[6] 패닝 이후 여러 국적의 포경선이 이곳을 방문했으며, 1831년 말이나 1832년 초에는 포경선 해리엇(Harriet)호가 난파되기도 했다.1854년 헨리 잉글리시(Henry English)[7] 선장과 마니히키 출신의 노동자 150명이 정착하여 수출용 코코넛 오일을 생산하기 시작했다.[7][8] 1855년 10월 16일, HMS 디도(Dido)호의 W. H. 모스헤드(W. H. Morshead) 선장이 이 섬을 영국의 보호령으로 선포했다.[8] 1857년경에는 윌리엄 그리그(William Greig)가 상륙하여 코프라 생산을 확장하기 위해 코코넛 나무를 심었다.[9]
1888년 3월 15일, 윌리엄 와이즈먼(William Wiseman) 선장이 HMS 캐롤라인(Caroline)호를 이끌고 타부아에란을 공식적으로 영국에 병합했다. 그 후 잉글리시 채널(English Channel)이라고 불리는 깊은 수로가 환초 서쪽에 폭파되었다. 타부아에란은 1902년부터 캐나다-호주 구간의 올 레드 라인(All Red Line) 전신 케이블 시스템의 기지국을 운영했다.[10] 1902년 11월 29일에는 패닝 아일랜드 우체국이 개설되었다.[10]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4년 9월, 독일 제국 해군의 경순양함 SMS 뉘른베르크(Nürnberg)호가 케이블 기지국을 방문하여 패닝 급습(Fanning Raid)으로 기지국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11][12]
1939년 이 환초는 영국의 길버트와 엘리스 제도 식민지에 편입되었고, 1979년 독립하여 키리바시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2. 3. 태평양 횡단 케이블 기지
타부아에란은 1902년부터 캐나다와 호주를 잇는 태평양 횡단 케이블(All Red Line)의 중계 기지 역할을 했다.[10] 잉글리시 채널(English Channel)이라고 불리는 깊은 수로가 환초 서쪽에 건설되었다. 1902년 11월 29일에는 패닝 아일랜드 우체국이 개설되었다.[10]제1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14년 9월, 독일 제국 해군의 경순양함 SMS 뉘른베르크()호가 타부아에란을 방문하여 케이블 기지국을 공격했다(패닝 급습).[11][12] 이 공격으로 기지국은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2. 4. 키리바시 독립
타부아에란은 1939년 영국의 식민지인 길버트 제도와 엘리스 제도(길버트 제도와 엘리스 제도)에 편입되었다. 1979년 키리바시가 독립하면서 키리바시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3. 지리
3. 1. 위치 및 구성
3. 2. 자연 환경
타부아에란 섬 주변 바다는 과도한 어획과 오염으로 영향을 받았다. 북부 라인 제도의 무인도 바다에서는 킹맨 환초(Kingman Reef)에서 최상위 포식자 생물량의 74%(329 g m-2)를 상어가 차지했고, 팔미라 환초(Palmyra Atoll)에서는 57%(97 g m-2)를 차지했지만, 타부아에란과 키리티마티에서는 상어 수가 적게 관찰되었다.[14]4. 인구
타부아에란섬의 마을별 인구는 2005년, 2010년, 2015년 인구 조사에 따라 변화했다. 2005년에는 2,539명, 2010년에는 1,960명, 2015년에는 2,315명으로, 2010년에 인구가 감소했다가 2015년에 다시 증가했다.
번호 | 마을 | 인구 (2005년 인구 조사) | 인구 (2010년 인구 조사) | 인구 (2015년 인구 조사) |
---|---|---|---|---|
1 | 나파리(Napari) | 194 | 0 | 0 |
2 | 테레이타키(Tereitaki) | 438 | 346 | 505 |
3 | 베타니아 | 260 | 175 | 203 |
4 | 파엘라우(Paelau) | 250 | 200 | 257 |
5 | 아온테나아(Aontenaa) | 177 | 190 | 259 |
6 | 테리네(Terine) | 461 | 453 | 406 |
7 | 테레이타난노(Tereitannano) | 249 | 168 | 241 |
8 | 아라마리(Aramari) | 358 | 244 | 274 |
9 | 므와누쿠(Mwanuku) | 152 | 184 | 170 |
타부아에란섬 | 2,539 | 1,960 | 2,315 |
2010년 인구 감소는 중등학교 폐교(현재 재개교), 노르웨이 크루즈 라인의 방문 중단, 아톨 해조류 회사의 운영 축소에 따른 것이다.[2] 2010년의 인구는 대부분 코프라 산업에 종사하기 위해 키리바시 군도 본토에서 이주해 온 길버트 제도 출신 정착민들이다.[2]
주요 식단은 수입 쌀과 통조림 고기이며, 지역 음식인 암초 어류와 조개류, 바바이(`Cyrtosperma merkusii`), 코코넛, 돼지고기, 닭고기, 해조류(리무)로 보충된다.[2] 주요 수출품은 코프라와 수공예품(조개껍데기, 상어 이빨 칼, 키리바시 우표 포함)이다.[13] 호주 공급선과 범선 ''콰이(Kwai)''가 섬에 정박한다.[13]
섬의 행정 중심지는 파엘라우이며, 주요 보건소도 파엘라우에 위치한다. 나파리와 키마리마리(Kimarimari)에는 추가 진료소가 있다.[2]
4. 1. 마을별 인구
타부아에란섬의 마을별 인구는 2005년, 2010년, 2015년 인구 조사에 따라 변화했다. 2005년에는 2,539명, 2010년에는 1,960명, 2015년에는 2,315명으로, 2010년에 인구가 감소했다가 2015년에 다시 증가했다.번호 | 마을 | 인구 (2005년 인구 조사) | 인구 (2010년 인구 조사) | 인구 (2015년 인구 조사) |
---|---|---|---|---|
1 | 나파리(Napari) | 194 | 0 | 0 |
2 | 테레이타키(Tereitaki) | 438 | 346 | 505 |
3 | 베타니아 | 260 | 175 | 203 |
4 | 파엘라우(Paelau) | 250 | 200 | 257 |
5 | 아온테나아(Aontenaa) | 177 | 190 | 259 |
6 | 테리네(Terine) | 461 | 453 | 406 |
7 | 테레이타난노(Tereitannano) | 249 | 168 | 241 |
8 | 아라마리(Aramari) | 358 | 244 | 274 |
9 | 므와누쿠(Mwanuku) | 152 | 184 | 170 |
타부아에란섬 | 2,539 | 1,960 | 2,315 |
2010년 인구 감소는 중등학교 폐교(현재 재개교), 노르웨이 크루즈 라인의 방문 중단, 아톨 해조류 회사의 운영 축소에 따른 것이다.[2] 2010년의 인구는 대부분 코프라(copra) 산업에 종사하기 위해 키리바시(Kiribati) 군도 본토에서 이주해 온 길버트 제도 출신 정착민들이다.[2]
주요 식단은 수입 쌀과 통조림 고기이며, 지역 음식인 암초 어류와 조개류, 바바이(''Cyrtosperma merkusii''), 코코넛, 돼지고기, 닭고기, 해조류(리무)로 보충된다.[2] 주요 수출품은 코프라와 수공예품(조개껍데기, 상어 이빨 칼, 키리바시(Kiribati) 우표 포함)이다.[13] 호주 공급선과 범선 ''콰이(Kwai)''가 섬에 정박한다.[13]
섬의 행정 중심지는 파엘라우(Paelau)이며, 주요 보건소도 파엘라우(Paelau)에 위치한다. 나파리(Napari)와 키마리마리(Kimarimari)에는 추가 진료소가 있다.[2]
5. 경제
타부아에란(Tabuaeran)은 2010년 인구 조사에서 1,960명의 인구를 기록했는데,[2] 주로 패닝 아일랜드 플랜테이션(Fanning Island Plantations, Ltd.)에 의해 키리바시 군도 본토에서 이주해 온 길버트 제도 출신 정착민들이 코프라(copra) 산업에 종사하기 위해 이주해 온 것이다.[2]
2005년 인구 조사 당시 2,539명이었던 인구는 중등학교 폐교(현재 재개교), 노르웨이 크루즈 라인(Norwegian Cruise Line, NCL)의 방문 중단, 아톨 해조류 회사(Atoll Seaweed Company)의 운영 축소에 따라 감소했다.[2]
주요 식단은 수입 쌀과 통조림 고기이며, 지역 음식인 암초 어류와 조개류, 바바이(''babai'') (''Cyrtosperma merkusii''), 코코넛, 돼지고기, 닭고기, 해조류(리무)로 보충된다.[2]
주요 수출품은 코프라와 수공예품(조개껍데기, 상어 이빨 칼, 키리바시(Kiribati) 우표 포함)이다. 호주 공급선이 1년에 2~3회 기항한다. 범선 ''콰이(Kwai)''도 섬에 정박한다.[13]
주요 보건소는 서쪽 파엘라우(Paelau)에 위치하며, 북쪽 나파리(Napari) (Napali) 섬과 남쪽 키마리마리(Kimarimari)에 추가 진료소가 있다.[2] 지역 학교, 교회, 의료 서비스에 관심 있는 유용한 단체로는 퍼시픽 케어 미션(Pacific CARE Missions)과 퍼시픽 아일랜드 에이드(Pacific Island Aid)가 있다.
5. 1. 코프라 생산
타부아에란의 주요 수출품은 코프라(말린 코코넛)이며, 수공예품(조개껍데기, 상어 이빨 칼, 키리바시 우표 포함)도 수출한다.[13] 2010년 인구 조사에서 1,960명의 인구를 기록했는데,[2] 주로 패닝 아일랜드 플랜테이션에 의해 키리바시 군도 본토에서 이주해 온 길버트 제도 출신 정착민들이 코프라(copra) 산업에 종사하기 위해 이주해 온 것이다.[2] 주요 식단은 수입 쌀과 통조림 고기이며, 지역 음식인 암초 어류와 조개류, 바바이(Cyrtosperma merkusii), 코코넛, 돼지고기, 닭고기, 해조류(리무)로 보충된다.[2] 호주 공급선이 1년에 2~3회 기항하며 범선 ''콰이(Kwai)''도 섬에 정박한다.[13]5. 2. 관광 산업
2007년까지 노르웨이안 크루즈 라인(Norwegian Cruise Line) 선박이 호놀룰루를 기항하며 매주 타부아에란을 방문했으나, 미국 국적 선박 도입 및 크루즈 일정 변경으로 방문을 중단했다.[15] 이는 외국 국적 선박에 대한 미국의 항만 요금을 피하기 위한 것이었다.[15] 2010년부터 할랜드 아메리카 라인의 크루즈 선박인 ''로테르담'', ''웨스터담'', ''유로담'', ''볼렌담''이 타부아에란을 정기적으로 방문하고, 시본 크루즈라인(Seaborne Cruiseline)도 2012년부터 정기 방문을 시작하여, 노르웨이안 크루즈 라인의 방문 중단으로 인한 섬의 수입 손실을 회복하는데 기여하고 있다.5. 3. 기타 산업
타부아에란섬의 주요 수출품은 코프라와 조개껍데기, 상어 이빨 칼, 키리바시(Kiribati) 우표를 포함한 수공예품이다.[13] 호주 공급선이 1년에 2~3회 기항하며, 범선 ''콰이(Kwai)''도 섬에 정박한다.[13] 주요 식단은 수입 쌀과 통조림 고기이며, 지역 음식인 암초 어류와 조개류, 바바이(''babai''), 코코넛, 돼지고기, 닭고기, 해조류(리무)로 보충된다.[2]6. 교통
6. 1. 항공
6. 2. 해상 교통
7. 문화
타부아에란은 존 업다이크의 단편 소설 "보스턴의 복된 사람, 할머니의 골무, 그리고 패닝 섬"에 등장한다. 이 소설은 그의 작품집 《비둘기 깃털과 다른 이야기들》과 《초기 단편들》에 수록되어 있다.
8. 교육
타부아에란 섬에는 초등학교 3개, 중학교 1개, 고등학교 1개가 있다. 고등학교는 멜레앙기 타바이 고등학교(Meleangi Tabai High School)이다.[2] 정부는 이전에 키리티마티에 있는 고등학교 캠퍼스를 재개교하려고 시도했다.[16]
9. 보건
10.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Kiribati
[2]
웹사이트
21. Tabuaeran
https://web.archive.[...]
2015-04-28
[3]
논문
Archaeology of the Pacific Equatorial Islands
https://babel.hathit[...]
1934
[4]
논문
An Island for Gardens, and Island for Birds and Voyaging: A Settlement Pattern for Kiritimati and Tabuaeran , Two "Mystery Islands" in the Northern Lines, Republic of Kiribati
2001-06
[5]
논문
Voyaging and Basalt Exchange in the Phoenix and Line Archipelagoes: The Viewpoint from Three Mystery Islands
2001-10
[6]
서적
American Polynesia and the Hawaiian Chain
Tongg Publishing Company
1941
[7]
간행물
Harvest
Nantucket Historical Association
1854-04-22
[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ritish Empire
Rowman & Littlefield
2015
[9]
웹사이트
Islands for Sale – Romantic History of Fanning and Washington
https://nla.gov.au/n[...]
2021-09-27
[10]
웹사이트
Post Office List
https://www.premierp[...]
Premier Postal Auctions
2013-07-05
[11]
서적
Girdle Around the World
[12]
서적
Gentlemen on Imperial Service
[13]
웹사이트
SAILING SHIP KWAI
http://svkwai.com/
[14]
논문
Baselines and Degradation of Coral Reefs in the Northern Line Islands
3 (2) PLoS ONE
2008-02-27
[15]
웹사이트
NCL Announces Jade, Jewel And Gem For Largest Ever European Deployment
http://www.ncl.com/n[...]
[16]
웹사이트
VSA Assignment Description Assignment title English Language Trainer (of Trainers/ Teachers) Country Kiribati
https://vsa.org.nz/a[...]
Volunteer Service Abroad (Te Tūao Tāwāhi)
2018-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