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태강 (하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강은 하나라의 군주로, 사냥을 좋아하고 정치를 소홀히 하여 실정을 거듭했다. 죽서기년에 따르면 진순을 수도로 정하고 즉위했으나, 사냥을 나간 사이 후예에게 수도를 빼앗겼다. 통치 기간에 대한 기록은 사기에는 약 19년, 태평어람에는 29년으로 다르게 전해지며, 일부 기록에서는 호수에서 익사했다고 전해진다. 그의 뒤를 이어 동생 중강과 조카 상이 왕위에 올랐다. 문학 작품에서는 『서경』에 그의 실정을 비판하는 오자지가 수록되어 있으며, 『용비어천가』에서는 경계해야 할 인물로 묘사된다. 허난성의 태강현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능묘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1세기 통치자 - 멘투호테프 3세
    멘투호테프 3세는 이집트 제11왕조의 파라오로 12년간 통치하며 푼트 원정과 건축 사업을 진행했으나 무덤은 발견되지 않았고 '상카레'라는 왕명을 사용했다.
  • 기원전 21세기 통치자 - 멘투호테프 2세
    멘투호테프 2세는 이집트 제11왕조의 파라오로, 이집트 제1중간기를 종식시키고 중왕국 시대를 열었으며, 내전 끝에 이집트를 통일하고 중앙 집권화 정책과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쳤고, 데이르 엘 바흐리에 혁신적인 장례 사원을 건설하여 후대에 영향을 미쳤다.
  • 하나라의 왕 - 망 (하나라)
    망은 하나라의 왕으로 회왕의 아들이며 상나라 신하 자해가 수도를 옮기고 동중국해에서 큰 물고기를 잡았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 하나라의 왕 - 공갑
    폭군으로 알려진 공갑은 미신 숭배와 기괴한 행동으로 제후들의 이반을 초래했으며, 용을 기르려다 실패한 일화와 함께 그의 시대부터 하나라의 세력이 쇠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기원전 22세기 통치자 - 나람신
    나람신은 기원전 23세기 아카드 제국의 왕으로, 정복 활동을 통해 제국 최대 영토를 건설하고 중앙 집권 정책과 신격화를 추진했으나 반란에 직면했으며, 그의 치세는 제국의 번영과 멸망에 대한 전설로 남았다.
  • 기원전 22세기 통치자 - 계 (하나라)
    계는 하나라의 창시자 우의 아들로, 우의 사후 신하들의 추대로 왕위에 올라 16년 동안 재위했으며, 폭력으로 왕권을 장악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태강 (하나라)
기본 정보
이름태강 (太康)
왕조하나라
아버지
후계자중강
통치
재위 기간미상
수도짐심 (斟鄩) (현재의 이리두 유적)
또는 허난성즈톈 진샤오차이 촌
양하 (陽夏)?
개인 정보
하후태강 (夏后太康)
묘호미상
생년미상
몰년미상
능묘태강릉 (허난성저우커우 시타이캉 현 성관 회족 진 왕릉촌)

2. 생애

태강은 사냥을 좋아했고, 정치를 잘 돌보지 않았다.[2]

죽서기년에 따르면 태강은 '계미'년에 왕위에 올랐고, 수도는 진순에 있었다. 즉위 첫 해에 낙수 너머로 사냥을 갔는데, 후예가 나타나 진순을 점령했다.[2] 사기에는 약 19년, 태평어람[3]에는 29년 동안 통치하다가 정권을 잃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의 뒤를 이어 동생 중강과 조카 상이 왕위에 올랐다. 일부 자료에는 태강이 호수에서 익사했다고 기록되어 있다.[4]

2. 1. 즉위와 실정

태강은 사냥을 좋아했고, 정치를 잘하지 못했다.

죽서기년에 따르면,[2] 태강은 계미년에 왕위에 올랐다. 그의 수도는 진순에 있었다. 즉위 첫 해에 그는 낙수 너머로 사냥을 갔는데, 후예가 나타나 진순을 점령했다. 사기에 따르면 그는 약 19년 동안 통치했으며, 그의 정권을 잃었다. 태평어람[3]에 따르면 그는 29년 동안 통치하다가 정권을 잃고 사라진 폭군이었다고 한다. 태강은 4년 후에 죽었고, 여사에 따르면 10년 후에 죽었다.

2. 2. 통치 기간과 최후

태강은 사냥을 좋아했고, 정치를 잘하지 못했다.

사기, 태평어람, 죽서기년 등 사료에 따라 태강의 통치 기간에 대한 기록이 다르다.

사료기록
죽서기년계미년에 왕위에 올라 4년 후에 죽었다.[2]
여사10년 후에 죽었다.[2]
사기약 19년 동안 통치했으며, 정권을 잃었다.
태평어람29년 동안 통치하다가 정권을 잃고 사라진 폭군이었다.[3]



그의 수도는 진순에 있었고, 즉위 첫 해에 낙수 너머로 사냥을 갔는데, 후예가 나타나 진순을 점령했다. 그의 뒤를 이어 그의 동생 중강과 조카 상이 왕위에 올랐다.

일부 자료에 따르면 태강은 호수에서 익사했다.[4]

3. 문학 작품에서의 묘사

태강은 용비어천가에서 본받아서는 안 될 인물로 언급된다.[6]

3. 1. 서경

서경』에는 하(夏)나라의 문서 중 하나로 『오자지가』()가 수록되어 있다(제8장). 서문에 따르면 이 문서는 태강이 나라를 잃었을 때 그의 다섯 동생들이 지은 시를 담고 있다.[5] 용비어천가는 태강을 본받아서는 안 되는 인물로 언급하고 있다.[6]

3. 2. 용비어천가

용비어천가에서는 태강을 본받아서는 안 될 인물로 언급하며,[6] 조선 건국을 정당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그를 경계해야 할 대상으로 삼았다.

4. 기타

태강(太康)은 하나라의 3대 군주로, 의 아들이자 중강의 형이다. 허난성태강현은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그의 능묘 또한 해당 현에 있다.

4. 1. 태강현

허난성태강현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그의 능묘 또한 해당 현에 위치해 있다.

참조

[1] 서적 Bamboo Annals
[2] 서적 竹書紀年
[3] 서적 太平御覽
[4] 서적 The Shape of the Turtle: Myth, Art, and Cosmos in Early China
[5] 서적 Book of Documents
[6] 인용
[7] 서적 夏商西周的社会变迁 北京師範大學出版社 1996-06
[8] 서적 简明中国历史地图集 中國地圖出版社 1991-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