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夏)나라는 중국 고대 왕조로, 『서경』, 『죽서기년』, 『사기』 등 고대 문헌에 기록되어 있으나, 그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전통적으로는 우(禹) 임금이 건국하고 세습 왕조를 시작했으며, 멸망 시기는 상(商)나라의 탕왕에게 멸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나라의 영역은 구주(九州)로 나뉘었으며, 관료 제도와 법률, 농업, 교통 시스템이 발달했다. 그러나 하(夏)나라의 존재를 뒷받침할 만한 고고학적 증거는 부족하며, 특히 문자 자료가 발견되지 않아 얼리터우 문화를 하(夏)나라와 동일시하는 것에 대한 논란이 있다. 의심고대학파는 하(夏)나라의 역사적 기록에 의문을 제기했으며, 하(夏)나라가 주(周)나라에 의해 만들어졌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나라 - 명하
    14세기 중반 명옥진이 충칭을 수도로 건국한 명하는 홍건적 출신 장수가 세운 한족 국가였으나, 명나라에 의해 멸망하고 명승 대에 복속되었다.
  • 하나라 - 설 (상나라)
    설은 상나라의 시조로, 제곡의 비 간적이 현조의 알을 삼켜 잉태하여 태어났다는 설화가 있으며, 우의 치수를 도와 순 임금으로부터 상나라 땅에 봉해지고 자(子)라는 성을 받았다고 전해지지만, 갑골문 연구에서는 실존 인물이 아닐 가능성도 제기된다.
  • 중국 신화 - 제지
    중국 신화와 역사 기록에 등장하는 제지는 삼황오제 시대 인물로, 사기에는 고황제의 아들로 폭정을 펼친 것으로, 다른 기록에는 황제의 뒤를 이어 통치한 인물로 기록되어 그 통치 기간과 성격에 대한 기록이 엇갈린다.
  • 중국 신화 - 옥황상제
    옥황상제는 도교의 최고신으로 하늘을 다스리고 천상 세계의 질서를 유지하며, 인간으로서 선행을 쌓아 신이 된 존재로 숭배받고, 음력 1월 9일에 탄생을 기념하는 제사가 지내진다.
하나라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하 왕조의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
존속 기간기원전 2070년경 – 기원전 1600년경
정치 체제군주제
수도안읍 (우왕 통치 기간)
양성
진순 (태강 통치 기간부터)
상구 (하나라 상 통치 기간부터)
역사
건국 시기기원전 2070년경
멸망 시기기원전 1600년경
이전 국가삼황오제
다음 국가상나라
군주
초대 군주
마지막 군주
군주 칭호
언어
공용어고대 중국어
문화
문화얼리터우 문화
기타
한자夏朝
로마자 표기법Xià cháo

2. 역사적 배경

중국 전설상의 왕조인 하나라는 오제(五帝) 중 한 명인 요임금 말년에 시작되었다. 당시 큰 홍수가 일어났는데, 우임금이 치수 사업에 성공하면서 백성들의 신임을 얻었다. 순임금이 죽은 후, 제후들이 우를 받들어 왕위에 오르게 함으로써 하 왕조가 시작되었다.[61] 우는 원래 제위를 현자에게 양도하려 했으나, 제후들이 우의 아들 를 추대하면서 선양제가 폐지되고 상속제에 의한 왕조가 출현했다.[62]

『사기(史記)』와 『예기(禮記)』에 따르면, 하나라의 창시자 우는 황제(黃帝)의 손자인 전욱(顓頊)의 손자라고 한다. 그러나 우의 아버지가 전욱의 5대손이라는 다른 기록도 존재한다.[1] 사마천은 우가 하사받은 봉토의 이름을 자신의 성과 국가의 이름으로 사용했다고 기록했다.[1]

우의 아버지 곤은 요 임금에게 황하의 범람을 막도록 임명받았으나, 제방 건설에 실패하고 순에게 처벌받았다.[1] 이후 우가 순에게 발탁되어 치수 사업을 이어받았다. (이후의 내용은 하위 섹션 "요순시대와 우의 치수"와 중복되므로 간략하게 축약) 우는 치수에 성공하고 순에게 왕위를 물려받아 하나라를 건국하고 아들 계에게 왕위를 물려주면서 세습제가 시작되었다.

전통적인 중국 역사 서술에서 하 왕조의 대략적인 위치(분홍색). 기록의 부족으로 하 왕조의 존재를 증명할 수 없다.


하 왕조는 여러 차례 수도를 옮겼다. 다음은 전통적인 기록에 따른 하 왕조의 수도들이다.[10][11][12][13]

하(夏)의 수도들
수도현재 위치
우(禹)낙하(大夏)산서성 일부
숭(崇)숭(崇), 허난성
우(禹)고밀(密都)허난성 신안(新安)[14]
양성(陽城陽翟)허난성 고성(高城), 등봉(登封)
양재(陽城陽翟)허난성 쉬창
진양(晉陽平陽)산서성 진원(晋源), 태원
평양(晉陽平陽)산서성 임분(临汾) 남서부
안읍(安邑)산서성 운성(运城) 하현(夏县)
혜(契), 태강(太康)양재(陽翟)-
태강(太康), 중강(仲康)진훈(斟鄩)낙양 동쪽 18km의 얼리터우(二里頭) 유적지로 추정
상(相)적구(商丘) 또는 상구(商丘)허난성 북양(濮阳) 남서부
진훈(斟鄩)
소강(少康)륜읍(綸邑)허난성 유청현(虞城縣)
하읍(夏邑)허난성 하현(夏县)
상구(商丘)
축(杼)원(原)허난성 기원
축(杼), 회(槐), 망(芒), 사(泄), 부강(不降), 종(扃)노구(老丘)허난성 개봉
금(金), 공가(孔甲), 고(皋), 파(發)서하(西河)허난성 안양으로 추정
걸(桀)진훈(斟鄩)



세 번째 하 왕 태강은 사냥을 즐겼지만 무능한 통치자로, 후예에게 수도를 빼앗기는 사건이 발생했다.[5] 이후 후예는 한착에게 살해되었고, 한착은 왕위를 찬탈했다.[5] 상의 아들 소강은 부족장의 도움으로 도망쳐 성장한 후, 여러 제후들과 연합하여 한착을 물리치고 하 왕조를 부흥시켰다. 소강과 그의 아들 주의 통치는 하 왕조 역사상 가장 번영했던 시기로 여겨진다.[6]

하 왕조는 17대 걸왕 때 멸망했다. 걸왕은 포악한 정치로 민심을 잃었고, 상(商)나라의 탕왕(湯王)에게 멸망당했다.[62] 탕왕은 하씨 잔당에게 기(杞)라는 작은 나라의 봉토를 주었다고 전해진다.[7][8] (하 왕조의 멸망 과정은 하위 섹션 "하 왕조의 쇠퇴와 멸망" 과 중복되므로 간략하게 축약)

『서경(書經)』에 따르면, 우는 나라를 구주(九州)로 나누었다. 구주는 기(冀), 연(兗), 청(青), 서(徐), 양(揚), 경(荊), 예(豫), 양(梁), 용(雍)이며, 각 주는 토질, 생산성 등에 따라 묘사되었다.[9]

묵자』에는 하(夏)와 삼묘(三苗)(묘족)[50]에 관한 전설이 기록되어 있다. 밤에 태양이 나타나고 핏빛 비가 내리는 등 기이한 현상이 일어난 후, 벼락과 함께 새를 동반한 자가 묘족의 지도자를 쏘았고, 이후 하 왕조가 건국되었다는 내용이다.

이 전설은 다른 사서의 기록과 비교해 볼 때, 황제(黄帝)가 치우(蚩尤) 민족을 토벌하고(탁록의 싸움)[52], 패배한 치우 민족이 묘족과 리족으로 분열된 사건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묘족은 양자강 유역에 살았고, 황하(黄河) 유역의 용산문화(龍山文化) 집단과 대립했다. 이 용산문화 집단이 하 왕조로 이어진 것으로 추정된다.[53]

2. 1. 요순시대와 우의 치수

요 시대에 황하의 치수 사업에 실패한 아버지의 뒤를 이어 치수 사업을 맡았고, 순에게 추천받아 큰 공적을 세워 인정받았다.[1] 우의 아버지는 황하 범람을 막기 위해 제방을 건설했지만 실패하고 순에게 처벌받았다.[1]

한(漢)나라 석각 부조에 묘사된 우(禹)


순은 우를 신뢰하여 범람을 막는 임무를 맡겼고, 우는 여러 부족 사람들을 조직하여 운하를 파고 물길을 바다로 빼내는 방식으로 치수에 성공했다. 이 과정은 13년이 걸렸고, 우는 그동안 세 번이나 집 앞을 지나면서도 쉬지 않았다고 한다.[2]

순은 우에게 왕위를 물려주었고, 우는 하(夏) 왕조를 시작했다. 우는 아들 에게 왕위를 물려주어 세습 제도의 전례를 세웠다.[3]

2. 2. 계의 왕위 계승과 세습 왕조의 시작

우(禹)는 이전의 왕위 계승 방식과 달리, 자신의 아들 (啟)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3] 이는 중국 역사상 최초의 왕위 세습으로, 가장 유능한 후계자가 아닌 혈연에 따라 왕위를 잇는 세습 제도의 시작이었다. 이로써 하(夏) 왕조는 가족 또는 씨족 중심의 지배 시대를 열었다. 계는 즉위 후 자신에게 복종하지 않는 유호씨를 토벌하였다.

이러한 세습 왕조의 시작은 한국사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과 비교할 수 있다. 고조선 역시 단군왕검이 아들 부루에게 왕위를 물려주면서 세습 왕조가 시작되었다.

2. 3. 하 왕조의 쇠퇴와 멸망

공갑은 성격이 음란하고 귀신을 흉내내는 것을 좋아해 백성들의 마음이 하 왕조로부터 멀어져 갔다.[49] 걸은 인덕이 부족하여 무력으로 제후와 백성을 억압해 인심을 잃었다. 또한 상나라을 투옥시켰으나, 탕은 덕으로 나라를 다스려 제후들의 지지를 얻었고, 결국 걸을 몰아냈다. 걸은 명조로 도망쳤지만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 걸에 관한 전설은 상나라 주와 매우 비슷하여 후대에 만들어진 이야기라는 주장도 있다.[49]

마지막 왕이 계속 방탕한 생활을 하여 천벌이나 반란으로 멸망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최근 고고학 조사에 따르면, 기원전 1628년 테라 섬의 분화로 지구 전체의 기후가 변동되었고, 역사책에도 걸 왕 때의 기후 이상이 기록되어 있다. 하 왕조의 유적지인 왕경루 유적에서는 상나라에 의한 파괴와 학살의 흔적이 발견되었는데, 궁궐을 제외한 모든 것이 파괴되었고 출토된 유골 대부분이 심각한 피해를 입은 상태였다. 이러한 점들을 볼 때, 실제로는 상나라가 힘으로 하 왕조를 멸망시켰음을 알 수 있다.[49]

상나라 탕왕은 즉위 후 하나라의 혈통을 이은 사람들을 하정(夏亭)에 봉했다. 주나라 때에는 기(杞)의 제후로 봉해졌다.[49]

3. 역대 군주

하나라 역대 군주
대수시호성명재위 기간(년)비고
1우(禹)문명(文命)45[36]곤(鯀)의 아들, 하나라 건국
2계(啓)계(啓)10[37]/39?우(禹)의 아들, 부자상속제 확립
3태강(太康)태강(太康)29/4?계(啓)의 아들, 후예에게 쫓겨남[63]
4중강(中康)중강(中康)13/7태강(太康)의 동생, 후예에 의해 옹립[64]
5상(相)상(相)28중강(中康)의 아들, 후예에게 살해됨[70]
-후예(后羿)(무왕)-하나라 제후, 왕위 찬탈, 한착에게 살해됨
-한착(寒浞)(무왕)40/20여후예의 부하, 왕위 찬탈, 소강에게 살해됨
6소강(少康)소강(少康)21상(相)의 아들, 하나라 부흥[65]
7저(杼)저(杼)17소강(少康)의 아들
8괴(槐)괴(槐)26/44저(杼)의 아들
9망(芒)망(芒)18/58괴(槐)의 아들
10설(泄)설(泄)16/25망(芒)의 아들
11불강(不降)불강59/25설(泄)의 아들
12경(扃)경(扃)21/18설(泄)의 아들, 불강(不降)의 동생
13근(廑)근(廑)/윤갑(胤甲)21/8경(扃)의 아들
14공갑(孔甲)공갑(孔甲)31/9불강(不降)의 아들, 근(廑)의 사촌
15고(皐)고(皐)11공갑(孔甲)의 아들
16발(發)발(發)11/7고(皐)의 아들
17걸(桀)걸(桀)/이계(履癸)52/31발(發)의 아들, 하나라 마지막 왕, 상나라 탕왕에게 멸망


4. 하나라의 도읍지

2. 하남성 공의시 서남쪽 29km 지전진 초시촌상(相)제구(帝丘)하남성 복양시 서남쪽.짐심윗줄과 동일.예(羿)서(鉏)일설로는 현재 하남성 활현예, 한착(寒浞)궁석(窮石)하남성 낙양시 남쪽.소강(少康)윤(綸)하남성 상구시 우성현 서쪽.하읍(夏邑)하남성 상구시 하읍현제구(帝丘)윗줄과 동일.저(杼)원(原)일설로는 현재 하남성 제원시 서북쪽 2 km 묘가(廟街) 원성(原城)저, (槐), 망(芒), 설(泄), 불강(不降), 경(扃)노구(老丘)하남성 개봉시 개봉현 진류진(廑), 공갑(孔甲), (皋), (發)서하(西河)일설로는 현재 하남성 안양시 동남쪽.걸(桀)짐심윗줄과 동일.하남(河南)일설로는 현재 하남성 낙양시 노성구 동쪽 18km 이리두 유적



하 왕조는 반유목, 반농경 사회의 특성에 따라 도읍지나 거주지를 자주 이동했으며, 이동할 때마다 젊은 남자가 수령의 지위를 맡아 이주를 주도하였다.[10][11][12][13]

얼터우 유적(검은색)과 전통적인 자료에서 확인된 하나라의 도읍지(붉은색, 《죽서기년》의 도읍지는 번호로 표시됨)

5. 하나라의 정치와 사회

하(夏) 왕조는 여러 중국 고전에 기록되어 있으며, 기원전 1천년기에 역사적 왕조로 여겨졌다. 사마천의 『사기』와 『예기』에 따르면, 하나라의 창시자 는 황제(黃帝)의 후손이다. 우는 황하의 범람을 막기 위해 여러 부족을 연합하여 치수 사업에 성공하였고, 이 과정에서 13년 동안 집에도 돌아가지 않고 헌신했다.[2]

전통적인 기록에 따르면, 하나라는 중앙 집권적인 정치 체제를 갖추고 있었다. 하 왕조는 지배 씨족인 하족(夏族)이 통치하는 작은 영역과, 그 외곽에 방국(方國)이라 불리는 여러 부족들이 존재했다. 방국 부족들은 각자 영토에서 독립적인 통치권을 누렸지만, 하 왕에게 복속과 조공의 의무를 가졌다.[16] 는 하족과 방국 부족 간의 관계를 정립하고, 부족들의 위치에 따라 5가지 영역으로 구분했다. 이는 『서경』의 「우전(禹典)」에 기록되어 있다.[17]

하 왕조는 농업이 번성했으며, 관개 시설과 배수 시스템을 개선하여 농작물 생산량을 늘렸다.[18] 얼리터우 유적에서 발견된 금속 파편들은 하 왕조가 청동기 시대로 접어들었음을 보여준다.[19]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우는 수레, 배, 썰매, 말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을 활용하고 도로를 건설하여 조공과 경제 관계를 개선했다.[20]

5. 1. 구주(九州)와 지리적 영역

우(禹)는 그의 나라를 구주(九州)로 나누었는데, 이는 『서경(書經)』에 기록되어 있다.[9] 기(冀), 연(兗), 청(青), 서(徐), 양(揚), 경(荊), 예(豫), 양(梁), 용(雍)의 아홉 주로, 각 주는 토질, 생산성 등 지리적 특징에 따라 묘사되었다.[9] "우의 조공(Tribute of Yu)" 장에 따르면, 구주는 현대 중국 지역에 각각 다음과 같이 해당한다.[9]

주(州)현대 지역
기주(冀州)하북성, 산서성, 랴오닝성 일부
연주(兗州)산둥성과 하북성의 일부
청주(青州)태산 동쪽의 산둥성 일부
서주(徐州)장쑤성, 안후이성 북부, 산둥성 남부
양주(揚州)장쑤성 남부, 안후이성 남부, 절강성 북부, 강서성 북부
경주(荊州)호남성과 강서성 북서부 일부
예주(豫州)허난성, 호북성 북부, 산시성 남동부, 산둥성 남서부
양주(梁州)쓰촨성, 감숙성 남부, 산시성
용주(雍州)산시성, 감숙성, 닝샤 후이족 자치구, 칭하이성 일부



전통적인 중국 기록에 따르면, 방국(方國) 부족들은 하나라의 직접적인 통치 영역 밖에 있던 정치체였다.[15] 이들은 대부분 대규모 부족 사회였지만, 일부는 하나라와 견줄 만한 복잡한 사회 구조를 가진 작은 국가였다.[15] 많은 부족들이 하나라 왕실과 동맹 또는 적대 관계를 맺으며 정기적인 관계를 맺었다.[15]

『서경(書經)』의 「우전(禹典)」에 따르면, 하나라의 직접적인 통치 영역은 지배 씨족이 통제하는 작은 지역으로 제한되었다.[16] 하족(夏族)을 제외한 다른 부족 지도자들은 각자의 영토에서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통치권을 누렸으며, 하왕(夏王)에게 복속과 조공의 형태로 상호 관계를 표명하였다.[16] 우(禹)는 하족과 방국(方國) 부족 간의 관계를 정립하고, 부족들의 하씨족 거주지와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5가지로 구분했다고 『서경』에 기록되어 있다.[17]

5. 2. 관료 제도와 법률

서경(書經), 예기(禮記), 맹자(孟子)와 같은 경전들은 하(夏)나라가 하씨족의 국가 관리를 돕는 여러 직책을 포함한 발달된 관료 제도를 확립했으며, 국가 내 사회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법률도 제정했음을 보여준다.

『서경(書經)』의 「우전(禹典)」에 따르면, 하(夏)나라의 직접적인 통치 영역은 지배 씨족이 통제하는 작은 지역으로 제한되었다. 하족(夏族)을 제외한 다른 부족 지도자들은 각자의 영토에서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통치권을 누렸으며, 하왕(夏王)에게는 복속과 조공의 형태로 상호 관계를 표명하였다.[16] 『서경』에는 우(禹)가 하족과 방국(方國) 부족 간의 관계를 정립하고, 부족들의 하씨족 거주지와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5가지로 구분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5. 3. 경제와 교통

는 즉위 후 무기 생산을 중단하고 궁전 증축을 재고하였으며, 관문과 시장의 세금을 면제했다. 또한 지방에 도시를 건설하고 번잡한 제도를 폐지해 행정을 간소화했다. 그 결과 중국 내외에서 조공을 바치러 왔다. 우는 하천을 정비하고 토지를 경작하여 초목을 육성했다.[1]

전통적인 기록에 따르면 하(夏) 왕조는 농업이 번성했다. 논어는 우 임금이 관개 시설에 전념하여 농작물 경작을 위한 배수 시스템을 개선했다고 기록한다. 하 왕조 백성들은 술 제조에 능했으며, 전설적인 인물인 두강(杜康)은 소강(少康)과 동일시된다. 인구는 채소와 쌀을 주식으로 했고, 고기는 주로 제사에 사용되었다.[18] 상품 제조와 외부 부족과의 무역도 번창했다. 얼리터우(二里頭) 유적에서는 많은 금속 파편이 발견되어 하 왕조 시대가 청동기 금속 가공을 특징으로 했음을 보여준다.[19]

우 임금은 홍수를 통제하면서 교통 시스템도 개선했다. 사마천사기(史記)에서 우 임금이 육로 이동에는 수레를, 강을 건널 때는 배를, 진흙길에는 썰매를, 산을 넘을 때는 말을 이용했다고 기록했다. 그는 땅을 측량하고 지리적 위치를 통해 길을 개척하여 부족장들이 하 왕조에 조공을 바치기 편리하게 했다. 9주(九州)를 연결하는 도로 건설을 조직하여 부족 간 조공 및 경제 관계를 개선했다.[20] 전통 문헌에는 하 왕조의 교통 시스템이 수평으로 최소 500리에서 600리, 수직으로 300리에서 400리에 달했다고 기록되어 있다.[21] 국어(國語)에는 하 왕조가 9월에 도로 개설을 명령하고 10월에 다리를 완공하도록 했다는 기록도 있다.

5. 4. 인구 추정

夏朝중국어 시대의 인구는 청동기 시대의 기록이 없어 정확히 알 수 없지만, 후대의 기록을 바탕으로 추정할 수 있다. 『후한서(後漢書)』는 황복미(黃復米)의 『제왕세기(帝王世紀)』를 인용하여, (禹)가 구주(九州)를 정비했을 때 총인구가 13,553,923명이었다고 주장한다.[22] 그러나 이는 황복미가 진(秦), 한(漢), 진(晉)(266-420)의 인구 통계를 바탕으로 추정한 수치이므로 매우 불확실하다.

현대 중국 학자들은 고대 문헌 기록을 통해 하 왕조의 인구를 추정하려 노력했다. 태강(太康)이 룬(鄘)을 수도로 삼았을 때, 그 정착지는 약 1루(lu), 즉 500명(군인만 포함)이었다는 기록이 있다.[23] 송전호(宋振豪)는 이 수치를 수정하고 다른 유형의 사람들을 추가하여 당시 도시 인구가 1,500~2,500명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는 인구가 많은 도시의 수를 추산하여 최종적으로 200만 명 이상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왕유민(王育民)은 순(舜)임금 시대의 인구 통계를 이용하여 하 왕조의 인구가 약 210만 명이었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24]

6. 하나라의 문화



얼터우 주 그릇


중국 고고학자들은 현대 안양 근처에 있는 후기 상(商)나라의 수도(은허) 발견에 영감을 받아 황하 유역에서 더 이전의 수도들을 찾기 시작했다. 1959년, 서서성은 전해지는 기록에서 하(夏)나라의 도읍지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는 곳으로 확인했던 의-낙 유역을 조사했다. 그의 발견 중에는 현대 옌스 근처에 있는 대규모 청동기 시대 유적지인 얼터우가 있었다. 이 유적지는 도시 중심지였으며, 여러 건물의 다짐판 토대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궁전이나 사원으로 해석되었다.

20세기 후반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은 오차 범위가 컸으며, 얼터우 문화를 기원전 2100년에서 기원전 1300년 사이로 추정했는데, 이는 하(夏)나라의 전통적인 연대와 잘 맞았다. 대부분의 중국 고고학자들은 하(夏)나라를 얼터우 문화와 동일시하지만, 많은 서구 고고학자들은 전통적인 기록에 검증 가능한 세부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그러한 동일시와 하(夏)나라의 존재 자체가 증명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하·상·주 연대기 프로젝트에서 사용된 정밀한 연대 측정 기술은 얼터우 문화의 기간을 기원전 1880년에서 기원전 1520년으로 좁혔다. 이 프로젝트는 얼터우 문화의 네 단계를 모두 하(夏)나라로 분류하고, 기원전 1600년경 옌스와 정저우에서 성곽 도시 건설을 상(商)나라로의 이행으로 확인했다. 고고학적 기록에서 이에 상응하는 문화적 변화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지씨협곡에서 발생한 대규모 폭발 홍수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는 황하 상류의 라자 유적지를 파괴한 홍수를 으로 측정했다. 이 시기는 룽산 문화의 쇠퇴 이후 중부 황하 유역의 얼터우 문화와 산둥의 월씨 문화의 부상 직전이다. 저자들은 이 홍수가 후대의 의 신화의 기초가 되었고, 얼터우 시대로의 문화적 변화에 기여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그들은 또한 그 시기가 하(夏)나라를 얼터우 문화와 동일시하는 것에 대한 추가적인 증거라고 주장한다.[32] 그러나 북중국 평원에서 동시대에 광범위하게 홍수가 발생했다는 증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33]

6. 1. 얼리터우 문화와의 관련성

얼리터우 문화는 탄소 14연대 측정 결과 하나라의 연대와 거의 일치한다. 허난성 옌스시 얼리터우 촌의 얼리터우 유적과 신미시의 신자이 유적 등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79] 중국 고고학회는 얼리터우 문화 1기부터 2기까지를 하 왕조, 3기 이후를 상나라로 추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중국 학자들은 하나라가 얼리터우 문화와 연관되었다고 주장하면서도, 구체적으로 어떤 유적이 하나라의 것인지는 명확히 밝히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의 중국 고고학자들은 하나라를 얼리터우 문화와 동일시하지만, 서구 학자들은 전통적인 기록에 검증 가능한 세부 정보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이러한 동일시에 대해 비판적이며, 하나라의 존재 자체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입장을 보인다.

하·상·주 연대기 프로젝트는 얼리터우 문화의 네 단계 모두를 하나라로 분류하고, 기원전 1600년경 옌스와 정저우에서 성곽 도시 건설을 상나라로의 이행으로 보았다. 그러나 고고학적 기록에서는 이에 상응하는 문화적 변화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얼리터우 유적에서는 징, 토기와 청동으로 만든 작은 딸랑이 방울, 구멍이 하나 있는 훈 등의 악기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남아 있는 악기가 매우 드물고, 하나라에 대한 내용이 불확실하여 이 시대의 음악을 추정하기는 어렵다.

지씨협곡에서 발생한 대규모 폭발 홍수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는 기원전 1920년경으로 추정되며, 이는 룽산 문화의 쇠퇴 이후 얼터우 문화와 월씨 문화의 부상 직전 시기이다. 일부 학자들은 이 홍수가 신화의 기초가 되었고, 얼터우 시대로의 문화적 변화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북중국 평원에서 동시대에 광범위한 홍수가 발생했다는 증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얼리터우 유적은 신석기 시대 유적으로, 당시 인구가 2만 명 이상으로 추정되는 대규모 집락이었다. 터키석으로 만든 , 동작(銅爵), 궁전 구역, 용 문양이 새겨진 옥장(玉璋) 등이 발굴되었다.

"1호 궁전"은 회랑으로 둘러싸여 있고, 내부에는 넓은 "중정(中庭)"과 정면에 "정전(正殿)"이 배치된 구조이다. 이는 후대 중국 역대 왕조의 궁전 구조와 유사하며, 이곳에서 '''궁정 의례'''가 시작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으로 만든 용은 얼리터우 문화 이전에 번성했던 요하 유역의 흥륭와 문화와 홍산 문화에서도 발굴되어, 요하 유역 문화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용은 역대 왕조에서 왕의 권위를 상징하는 것으로 사용되었고, 얼리터우 문화가 역대 왕조에 영향을 준 문화라는 점에서 하나라와 동일시하는 견해도 많다.

얼리터우 유적 주변 토양에서 발견된 종자 분석 결과, , 기장, , , 오곡을 재배했던 흔적이 발견되었다. 이를 통해 기후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식량 공급이 가능했을 것으로 보이며, 이는 이후 (殷)(상)으로 추정되는 얼리강 문화로 이어지는 중국 문화의 원류가 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6. 2. 음악

얼터우 유적에서 발견된 유일한 악기는 징, 토기청동으로 만든 작은 딸랑이 방울 두 개, 그리고 구멍이 하나 있는 훈이다.[30][31] 남아 있는 악기가 극히 드물고 하(夏)나라에 대한 대부분의 내용이 불확실하기 때문에, 이 시대의 음악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구성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29]

6. 3. 문자

은(殷)의 갑골문과 같은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었는지는 아직 불명확하지만, 고고학자 서중서(徐中舒)는 巴蜀图语|바촉문자중국어를 하(夏)나라 문자의 잔재가 아닌가 하는 견해를 제시했고, 더 나아가 서조룡(徐朝龍)은 저서 『장강문명의 발견』에서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 및 가설을 제시하고 있다.[57][58]

량저문화(良渚文化)는 벼농사 도시 문명을 형성했다. 약 1000년의 번영을 거쳐 홍수로 이 문화는 붕괴된다. 량저문화 집단의 일부는 북상하여 황하 중류 지역에서 하(夏)나라를 건국했다. 이 변천 과정에서 량저문화에서 탄생한 그림 문자(회화문자 그래피티)는 여러 가지 융합을 거쳐 북쪽 황하 중류 지역으로 전해졌고, 일시적으로 하(夏)나라의 문자가 되었으며, 거기서 갑골문과 접촉했다.

결국 하(夏)나라는 지배하에 있던 동이(東夷) 후예(后羿) 부족에 의해 멸망한다. 하(夏)나라 유족의 일부는 북서쪽으로 도망치고(아래 흉노(匈奴) 참조), 후에 사천분지(四川盆地)로 이주하여 성성퇴문화(三星堆文化)(고촉국(古蜀國))를 건설했다. 나중에 량저 문자는 바(巴)족과 촉(蜀)족에 의해 가공되어 바촉문자(巴蜀文字)가 되었다.

7. 연구 및 논란



이전에는 하나라의 실재를 확실하게 증명할 고고학적 발견이 없어 전설상의 왕조로 여겨졌지만, 사기 등 중국의 여러 고대 사서에 등장하고, 얼리터우 문화와의 연관성이 제기되면서 실존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탄소 14연대 측정법으로 허난성 옌스시 얼리터우 촌의 얼리터우 유적과 신미시의 신자이 유적 등에서 발견된 얼리터우 문화가 하나라의 추정 연대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9]

중국 고고학회는 얼리터우 문화 1기부터 3기까지를 확대기, 4기를 쇠퇴기로 정의하고, 1기부터 2기까지가 하 왕조, 3기 이후에는 상나라로 접어든다고 추정했다. 중국 학자들은 하나라가 얼리터우 문화와 연관되었다고 주장하지만, 그 가운데 어떤 것이 하나라 유적인지는 명확하게 판별하지 못하고 있다.

의심고대학파 창시자 구제강(顧頡剛)


하 왕조의 존재 시기와 최초 기록 간의 시간적 차이는 하 왕조의 역사적 실재성과 전통적인 역사 서술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게 만든다.

그러나 얼리터우 유적의 도시 문화는 문자 출토 자료가 없고, 후세의 개념인 왕조·국가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는지는 불명확하다. 중국에서는 얼리터우 유적을 문헌 사료가 전하는 "하 왕조"와 동일시하는 연구자가 많은 반면, 일본에서는 유적과 문헌상의 "하 왕조"를 동일시하는 것에는 신중을 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가 주류이다.[40][41][42][43] 미야모토 카즈오(宮本一夫)는 "하에 해당하는 시대에 정치 세력 비슷한 것이 실재했던 것"이 증명된 것이, 사서에 전해지는 "하 왕조가 실재했던 것"을 증명할 수 없다고 말한다. 대만 거주 중국 고대사 학자인 간화이전(甘懷真)(국립대만대학)은 "하 왕조의 존재는 의심스럽다"고 말하고 있으며,[44] 중국의 고고학자 중에도 논문에서 얼리터우 문화에 언급할 때 "하 왕조"라는 단어 대신 "하 문화" 등의 애매한 표현을 사용하는 연구자가 있다.[43] 또한 일본의 고대 중국사 학자 오치아이 준시(落合淳思)는 문헌 자료에 나타난 고대 하의 통치 범위는 "중국 구주" 즉 연해 지역의 연주, 청주, 서주, 또는 장강 유역의 양주, 형주, 량주 등에 걸쳐 있는 데 비해, 얼리터우 문화의 정치 세력은 황하 중류 지역을 지배했을 뿐이라는 점에서, 전설상의 하 왕조와 얼리터우 문화에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고 하며, "일본에서는 이것이 잘 이해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45]

7. 1. 의심고학파의 주장

1920년대 구제강(顧頡剛)이 이끈 의심고대학파는 중국 초기 역사의 전통적인 이야기에 대해 체계적으로 의문을 제기한 학자 집단이었다. 구제강은 중국 초기 역사 서술의 발전 과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시간이 늦어질수록 초기 역사의 전설적인 시대는 더욱 길어진다 […] 초기 중국 역사는 여러 세대에 걸쳐 전해지고 다시 이야기된 이야기이며, 그 과정에서 새로운 요소들이 앞부분에 추가되었다."라는 결론을 내렸다.[1]

일부 역사학자들은 주(周) 왕조 통치자들이 상(商) 왕조 정복을 정당화하기 위해 하 왕조를 지어냈다고 주장한다. 상 왕조가 하 왕조를 대체했듯이, 주 왕조가 상 왕조를 대체했다는 논리이다.[1] 중국 고고학자들이 하 왕조와 청동기 시대 얼리터우 문화(二里頭文化)를 연결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하 왕조의 존재는 여전히 증명되지 않았다.[1]

구제강을 비롯한 다른 역사학자들은 하 왕조의 전통적인 역사 서술과 상 왕조의 역사 서술 사이에 특정한 유사점이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는 주 왕조 시대에 하 왕조의 역사가 만들어졌거나 적어도 과장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운 쿤 리(Yun Kuen Lee)는 삼대(三代) 연대기 설명에서 나타나는 민족주의적 정서에 대한 비판에서 고고학적 연구와 역사적 연구가 제공하는 증거의 이분법, 특히 고고학적 얼리터우 문화가 역사적 하 왕조와 동일하다는 주장에 초점을 맞춘다. "고고학적 연대와 역사적 연대를 어떻게 융합할 것인가는 초기 문명의 모든 연대기 연구에 대한 과제이다."[1]

사라 앨런(Sarah Allan)은 저서 ''거북이의 형태: 신화, 예술, 그리고 초기 중국의 우주''에서 하 왕조의 많은 측면이 상 왕조의 상징적 특징과는 정반대임을 지적했다. 앨런은 상 왕조 신화 체계의 함축적인 이원론은 상 왕조가 태양, 하늘, 새, 동쪽, 생명을 상징하는 반면, 하 왕조는 달, 수중 세계, 용, 서쪽, 죽음을 상징한다는 것이다. 앨런은 이러한 신화적인 하 왕조가 주 왕조에 의해 상 왕조를 대체한 통치 왕조로 재해석되었으며, 이는 주 왕조가 상 왕조를 대체한 것과 유사하다고 주장한다.[1]

다른 학자들은 상 왕조 지배 계층의 잔재가 초기 주 왕조 시대에도 존재했기 때문에, 주 왕조 통치자들이 상 왕조의 잔재를 달래기 위해 하 왕조의 존재를 완전히 만들어냈다고 주장하기는 어렵다고 주장한다. 이는 이전 역사를 기억하는 상 왕조의 잔재들이 이를 믿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25] 예를 들어, ''시경(詩經)''에는 상 왕조의 강력한 송(宋)나라[26]를 대표하는 "상송(商頌)"이 보존되어 있다.[27] 이 송가 중 "장발(長發)"은 "무왕(武王)" 탕(湯)왕이 위(韋), 고(顧), 군우(昆吾), 하걸(桀)을 상대로 승리한 것을 기념한다.[28] 후대 송나라(宋朝) (960-1279년)에는 고대 청동 유물인 "숙이종(叔夷鐘)"이 발굴되었는데, 여기에는 상 왕조의 창시자 탕이 하 왕조를 전복한 과정이 새겨져 있다. 이 유물의 소유주인 숙이는 춘추시대 기(齊)나라의 고위 관리였으며, 실제로는 송나라 통치자의 직계 후손이었으므로 상나라 사람들의 후손이었다. 이 청동 유물은 그의 상나라 조상들을 기리는 데 사용되었다. 이 비문은 주 왕조가 하 왕조의 존재를 만들어냈다는 가설에 반박한다.[29]

상(商) 왕조의 갑골문에는 하 왕조에 대한 언급이 없지만, 일부 학자들은 갑골문에 언급된 정치 세력이 하 왕조의 잔재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곽말약(郭沫若)은 여러 비문에 언급된 방(方)나라 중에서 적대국인 도방(塗方)을 하 왕조로 동일시했다.[30] 역사가 심창운(沈昌雲)은 전통적인 기록에 따르면 하 왕조의 패배한 왕족이 세운 기(齊)나라와 같은 이름의 기(齊)를 언급하는 네 개의 비문을 지적한다.[31]

7. 2. 고고학적 증거와 문헌 기록의 불일치

과거에는 하나라의 존재를 뒷받침하는 고고학적 증거가 부족하여 전설상의 왕조로 여겨졌으나, 사기 등 고대 중국 사서에 자주 등장하고 얼리터우 문화와의 연관성이 제기되면서 실존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허난성 옌스시 얼리터우 촌의 얼리터우 유적과 신미시의 신자이 유적 등에서 발견된 얼리터우 문화는 탄소 연대 측정 결과 하나라의 추정 연대와 거의 일치한다.[79]

중국 고고학계에서는 얼리터우 문화 1기~3기를 하나라, 4기를 상나라로 추정하기도 하지만, 어떤 유적이 하나라의 것인지 명확히 밝혀내지는 못하고 있다.

하지만, 하 왕조의 존재 시기와 최초 기록 간의 시간 차이, 그리고 주나라가 상나라 정복을 정당화하기 위해 하나라를 만들어냈다는 주장 등은 하나라의 역사적 실재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1920년대 구제강(顧頡剛)이 이끈 의심고대학파는 중국 초기 역사 서술의 신뢰성에 대해 체계적으로 의문을 제기했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주나라가 상나라를 정복한 것처럼, 하나라가 상나라에 의해 멸망했다는 이야기를 만들어냈다고 주장한다. 또한 구제강 등은 하나라와 상나라 역사 서술의 유사성을 지적하며, 하나라의 역사가 주나라 시대에 만들어졌거나 과장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운 쿤 리(Yun Kuen Lee)는 고고학적 연구와 역사적 연구 간의 증거 불일치를 지적하며, 특히 얼리터우 문화와 하나라를 동일시하는 주장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다. 그는 "고고학적 연대와 역사적 연대를 어떻게 융합할 것인가는 초기 문명의 모든 연대기 연구에 대한 과제이다."라고 언급했다.[25]

반면, 사라 앨런(Sarah Allan)은 하나라의 많은 특징이 상나라와 대조적이라는 점을 들어, 주나라가 상나라를 대체한 것처럼 하나라를 상나라의 이전 왕조로 재해석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상나라 지배 계층의 잔재가 주나라 초기까지 존재했기 때문에, 주나라가 하나라의 존재를 완전히 만들어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반론도 있다. 시경(詩經)에 상나라의 송(宋)나라[26]를 대표하는 "상송(商頌)"이 보존되어 있다는 점,[27] 후대 송나라(宋朝)에서 발견된 "숙이종(叔夷鐘)"에 상나라 탕왕이 하나라를 멸망시킨 내용이 새겨져 있다는 점[29] 등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한다.

상나라 갑골문에는 하나라에 대한 언급이 없지만, 일부 학자들은 갑골문에 등장하는 특정 정치 세력이 하나라의 잔재일 수 있다고 추정한다.

하상주단대공정은 얼리터우 문화의 연대를 기원전 1880년~기원전 1520년으로 좁히고, 얼리터우 문화 전체를 하나라로 분류했다. 그러나 고고학적 기록에서 이에 상응하는 문화적 변화가 발견되지 않아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34]

지씨협곡에서 발생한 대규모 폭발 홍수가 발생했다는 고고학적 증거는 우의 신화와 얼리터우 문화로의 전환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제기되지만,[32] 북중국 평원에서 동시대의 광범위한 홍수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33]

중국과 서구 학자들 간의 연구 방향 차이도 논쟁의 한 원인이다. 중국 학자들은 전통적인 하나라 이야기를 바탕으로 발굴된 증거를 해석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서구 학자들은 물리적 발견이 반드시 실제 사회적, 정치적 단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고 보는 경향이 있다.[35]

일본에서는 얼리터우 유적을 "하 왕조"와 동일시하는 것에 신중해야 한다는 견해가 주류이며,[40][41][42][43] 미야모토 카즈오(宮本一夫)는 "하에 해당하는 시대에 정치 세력 비슷한 것이 실재했던 것"이 증명된 것이, 사서에 전해지는 "하 왕조가 실재했던 것"을 증명할 수 없다고 말한다.

7. 3. 하상주단대공정

1920년대 구제강(顧頡剛)이 이끈 의심고대학파는 중국 초기 역사의 전통적인 이야기에 대해 체계적으로 의문을 제기했다. 구제강은 "시간이 늦어질수록 초기 역사의 전설적인 시대는 더욱 길어진다 […] 초기 중국 역사는 여러 세대에 걸쳐 전해지고 다시 이야기된 이야기이며, 그 과정에서 새로운 요소들이 앞부분에 추가되었다."라고 결론 내렸다.[21]

일부 역사학자들은 주(周) 왕조 통치자들이 상(商) 왕조 정복을 정당화하기 위해 하 왕조를 지어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중국 고고학자들이 하 왕조와 청동기 시대 얼리터우 문화(二里頭文化)를 연결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하 왕조의 존재는 여전히 증명되지 않았다.

운 쿤 리(Yun Kuen Lee)는 고고학적 연구와 역사적 연구가 제공하는 증거의 이분법, 특히 고고학적 얼리터우 문화가 역사적 하 왕조와 동일하다는 주장에 초점을 맞춘다. 그는 "고고학적 연대와 역사적 연대를 어떻게 융합할 것인가는 초기 문명의 모든 연대기 연구에 대한 과제이다."라고 말한다.[16]

사라 앨런(Sarah Allan)은 하 왕조의 많은 측면이 상 왕조의 상징적 특징과는 정반대임을 지적했다. 앨런은 상 왕조가 태양, 하늘, 새, 동쪽, 생명을 상징하는 반면, 하 왕조는 달, 수중 세계, 용, 서쪽, 죽음을 상징한다고 주장한다. 앨런은 이러한 신화적인 하 왕조가 주 왕조에 의해 상 왕조를 대체한 통치 왕조로 재해석되었다고 주장한다.[73]

다른 학자들은 상 왕조 지배 계층의 잔재가 초기 주 왕조 시대에도 존재했기 때문에, 주 왕조 통치자들이 하 왕조의 존재를 완전히 만들어냈다고 주장하기는 어렵다고 본다.[25] 예를 들어, ''시경(詩經)''에는 상 왕조의 강력한 송(宋)나라[26]를 대표하는 "상송(商頌)"이 보존되어 있다.[27] 이 송가 중 "장발(長發)"은 "무왕" 탕(湯)왕이 위(韋), 고(顧), 군우(昆吾), 하걸(桀)을 상대로 승리한 것을 기념한다.[28] 후대 송나라(宋朝) (960-1279년)에는 고대 청동 유물인 "숙이종(叔夷鐘)"이 발굴되었는데, 여기에는 상 왕조의 창시자 탕이 하 왕조를 전복한 과정이 새겨져 있다. 이 유물의 소유주인 숙이는 춘추시대 기(齊)나라의 고위 관리였으며, 실제로는 송나라 통치자의 직계 후손이었으므로 상나라 사람들의 후손이었다. 이 청동 유물은 그의 상나라 조상들을 기리는 데 사용되었다. 이 비문은 주 왕조가 하 왕조의 존재를 만들어냈다는 가설에 반박한다.[29]

갑골문에는 하 왕조에 대한 언급이 없지만, 일부 학자들은 갑골문에 언급된 정치 세력이 하 왕조의 잔재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곽말약(郭沫若)은 여러 비문에 언급된 방(方)나라 중에서 적대국인 도방(塗方)을 하 왕조로 동일시했다.[30] 역사가 심창운(沈昌雲)은 전통적인 기록에 따르면 하 왕조의 패배한 왕족이 세운 기(齊)나라와 같은 이름의 기(齊)를 언급하는 네 개의 비문을 지적한다.[31]

참조

[1] 서적 https://ctext.org/sh[...]
[2] 백과사전 Ancient China https://www.worldhis[...] 2017-10-15
[3] 백과사전 Xia dynasty
[4] 간행물 The Dating of the Wangchenggang Walled-site in Dengfeng County and Related Issues http://www.kaogu.cn/[...] Chinese Archaeology 2020-01-13
[5] 서적 Dragons and Dynasties: An Introduction to Chinese Mythology Penguin
[6] 서적 The Chinese Heritage https://archive.org/[...] Crown
[7] 웹사이트 夏朝遗民流布情况概说 http://zonghe.17xie.[...] Zonghe.17xie.com 2014-08-16
[8] 웹사이트 夏代是杜撰的吗——与陈淳先生商榷 沈长云 http://www.cnki.com.[...] Cnki.com.cn 2013-06-21
[9] 서적 中国商业史 上海书店
[10] 서적 Social Changes in Xia, Shang and Western Zhou Dynasties Beijing Normal University Press. 1996-06
[11] 서적 Concise Chinese Historical Atlas China Map Publishing House 1991-10-01
[12] 서적 Jiangxi Education Press
[13] 서적 The Commercial Press
[14] 서적 中国古史的传说时代 广西师范大学出版社
[15] 서적 中国夏商王国文明与方国文明试论. 《考古》 中国北京: 中国社会科学院考古研究所考古杂志社
[16] 서적 The Nature of Early Chinese States Henan University Press 1999-10
[17] 서적 Book of Documents http://www.public-li[...]
[18] 서적 中国饮食史 华夏出版社 1999-10-01
[19] 서적 中国法制通史•夏商周 法律出版社 1999-01
[20] 서적 中国古代道路交通史 人民交通出版社 1994-01
[21] 서적 中国交通史. 上海书店
[22] 문서 南朝梁·劉昭注解晋·司马彪之《续汉书·郡国志一》引自晋·皇甫谧之《帝王世紀》
[23] 서적 夏商社会生活史 中国社会科学出版社 1994-09
[24] 서적 中国人口史 江苏人民出版社 1995-11
[25] 간행물 夏商世系探索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9-11-01
[26] 서적 A Handbook of Old Chinese phonology Mouton de Gruyter
[27] 웹사이트 The Regional State of Song 宋 http://www.chinaknow[...] 2018-11-01
[28] 서적 Classic of Poetry https://ctext.org/bo[...]
[29] 웹사이트 http://www.guoxue.co[...]
[30] 웹사이트 再论卜辞"土方"与夏人的相关问题 http://www.wanfangda[...] 郭沫若学刊
[31] 웹사이트 http://www.xianqin.o[...]
[32] 논문 Outburst flood at 1920 BCE supports historicity of China's Great Flood and the Xia dynasty
[33] 뉴스 Massive flood may have led to China's earliest empire https://www.scienc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16-08-05
[34] 논문 Shui shi Lushan zhenmianmu: Jianqiao Zhongguo shanggushi duhou 誰識廬山真面目—〈劍橋中國上古史〉讀後 2001-04-21
[35] 논문 Erlitou and Xia: A Dispute between Chinese and Overseas Scholars https://www.sociostu[...] 2018-09
[36] 서적 The great encounter of China and the West, 1500-1800 Rowman & Littlefield
[37] 서적 Huaxia Quming Yishu 華夏取名藝術 Zhishu-fang Chuban Jituan 知書房出版集團
[38] 웹사이트 古代史 https://web.archive.[...] 中华人民共和国年鉴 2021-04-09
[39] 문서 기원전 2000년경설
[40] 서적 中国史 1 山川出版社 2000-10
[41] 서적 中国考古学概論 同成社 2003
[42] 서적 中国の歴史を知るための60章 明石書店 2011-01
[43] 서적 中国古代史研究の最前線 星海社
[44] 간행물 東北亞古代の移民與王權發展:以樂浪郡成立為中心 http://www.his.ncku.[...] 国立成功大学 2009-06
[45] 서적 殷 中国史最古の王朝 中央公論社
[46] 학술지 Outburst flood at 1920 BCE supports historicity of China’s Great Flood and the Xia dynasty http://science.scien[...] 2016-08-05
[47] 뉴스 解説:黄河に古代の大洪水跡、伝説の王朝が実在? 「ノアの大洪水に相当するほど重要」と研究者、中国最古の夏王朝の裏づけか https://natgeo.nikke[...] 2016-08-09
[48] 뉴스 中国・伝説の大洪水、初の証拠を発見 文明史書き換えか https://www.afpbb.co[...] 2016-08-05
[49] 비디오 NHKスペシャル 中国文明の謎第2集 漢字誕生 王朝交代の秘密 https://www.nhk-onde[...] 2012
[50] 문서 묘족과 삼묘, 초, 오의 민족과의 관련성 2016-09-09
[51] 문서 참고문헌 2016-09-09
[52] 문서 려족과 묘족의 조상 2016-09-09
[53] 문서 참고문헌 2016-09-09
[54] 서적
[55] 서적 1971
[56] 웹사이트 後漢書六夷伝のうち南匈奴伝 http://www2u.biglobe[...] 2009-09-16
[57] 서적
[58] 웹사이트 第三百三十一夜 徐朝龍 長江文明の発見 https://1000ya.isis.[...] 2001-07-09
[59] 서적
[60] 웹사이트 네이버 책 정보 http://book.naver.co[...]
[61] 문서 하 왕조의 실존 주장
[62] 백과사전 하 왕조
[63] 문서 태강, 중강, 소강의 칭호
[64] 문서 태강, 중강, 소강의 칭호
[65] 문서 태강, 중강, 소강의 칭호
[66] 문서 태강 재위 기간
[67] 문서 중강 재위 기간
[68] 문서 소강 재위 기간
[69] 문서 상(少康) 재위 기간
[70] 문서 상(少康) 재위 기간
[71] 문서 기원전 1895년~기원전 1893년 2년상(喪)
[72] 문서 기원전 1876년~기원전 1874년 2년상(喪)
[73] 문서 기원전 1772년~기원전 1771년 1년상(喪)
[74] 문서 기원전 1746년~기원전 1743년 3년상(喪)
[75] 문서 기원전 1666년~기원전 1663년 3년상(喪)
[76] 문서 기원전 1655년~기원전 1653년 2년상(喪)
[77] 문서 기원전 1644년~기원전 1642년 2년상(喪)
[78] 문서 기원전 1639년~기원전 1637년 2년상(喪)
[79] 웹사이트 http://book.naver.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