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태평양먹장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평양먹장어는 뱀장어와 유사한 길고 가느다란 몸을 가진 무악류로, 최대 63cm까지 성장하며 짙은 갈색, 회색 또는 갈색을 띤다. 특징적으로 턱이 없고, 흡반 모양의 입과 8개의 수염, 그리고 점액 생성 능력을 가지고 있어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한다. 북동 태평양에 분포하며, 좁은 틈새를 통과하거나 몸을 묶는 등 독특한 생존 방식을 보인다. 어업으로 가죽이 이용되기도 하지만, 보존 상태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8년 기재된 물고기 - 가이양
    가이양은 메콩강과 짜오프라야강 유역이 원산지인 대형 메기로, 식용 및 관상용으로 양식되거나 유통되지만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야생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 1878년 기재된 물고기 - 인도양모래뱀상어
    죄송합니다. 주어진 정보가 부족하여 인도양모래뱀상어에 대한 위키백과 "개요" 섹션 내용을 요약할 수 없습니다.
태평양먹장어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학명Eptatretus stoutii
명명자Lockington, 1878
이명Bdellostoma stoutii Lockington, 1878
Polistotrema stoutii (Lockington 1878)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미분류유두동물
먹장어강
먹장어목
먹장어과
먹장어속
보존 상태
IUCN 적색 목록DD
IUCN 참고참고

2. 분류 및 형태

태평양먹장어는 길고 뱀장어와 같은 몸을 가지고 있지만, 뱀장어와는 밀접한 관련이 없다. 최대 몸길이는 63cm로 보고되었으며,[4] 성체의 전형적인 길이는 약 42cm이다. 짙은 갈색, 회색 또는 갈색을 띠며 종종 파란색 또는 보라색을 띤다. 배는 더 밝고 때로는 더 큰 흰색 반점이 있다. 진정한 지느러미는 없지만 등 지느러미 주름이 있다. 모든 무악류와 마찬가지로 머리에는 턱이 없으며, 흡반 모양의 입은 항상 열려 있고,[5] 주변에 8개의 수염이 있다. 눈은 보이지 않는다.[4] 먹장어는 또한 입 위에 위치한 콧구멍이 하나만 있다.[6]

태평양 먹장어 머리.


몸 길이의 약 4분의 1 지점부터 10~14개의 아가미 구멍이 있다.[4]

먹장어는 헐렁한 피부를 가지고 있으며, 점액 생성 능력으로 악명이 높다. 방해를 받으면 피부의 점액선에서 단백질이 스며 나와 물에 반응하여 끈적한 외부 코팅이 되고, 거대한 덩어리의 점액으로 팽창한다. 이것은 이 물고기를 포식자에게 매우 혐오스럽게 만들며, 심지어 포식성 물고기의 아가미를 막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태평양먹장어는 불과 몇 분 만에 많은 양의 점액을 생성할 수 있다.[7] 이 점액은 낚시 도구와 장비에서 제거하기 어렵기로 악명이 높으며, 태평양 어부들은 이 종에게 '점액 뱀장어'라는 별명을 붙였다.[8]

먹장어의 점액 생성은 에너지 소모가 많은 과정이며, 재생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 새로운 점액을 생성하는 데 제한적인 요인은 점액 단백질의 실을 대체하는 것이며, 연구에 따르면 재생을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대략 24~28일이다. 이 기간이 끝나기 전에 점액을 분출할 수 있지만, 완전한 선을 사용할 때보다 물질이 적다.[9]

태평양먹장어의 눈은 다른 척추동물에 비해 매우 기본적인 형태이다. ''Eptatretus stoutii'' 눈 조직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먹장어의 눈은 척추동물 눈의 기저 형태를 나타내지 않으며, 대신, 먹장어의 눈은 현대 척추동물의 공통 조상에 존재했던 더 복잡한 기저 척추동물 눈의 퇴화된 형태일 가능성이 높다.[10] 태평양먹장어는 또한 눈 위에 덮인 투명한 피부 창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물고기에서 흰색 반점으로 나타난다. 눈의 내부 구조(망막 및 광수용체) 역시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복잡하다.[10] ''Eptatretus stoutii''에서 발견된 눈의 복잡성 증가는 이들의 생태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이 속의 일부 종은 포식 사냥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10]

속명 ''Eptatretus''는 "일곱 개의 구멍"을 의미하며, 이 속에 속하는 다른 먹장어인 ''E. cirrhatus''의 일곱 개의 아가미 구멍을 가리킨다. 종소명 ''stoutii''는 캘리포니아 과학 아카데미의 전 외과 의사이자 서기였던 아서 B. 스투트(Arthur B. Stout)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11] 태평양먹장어는 처음에는 칼 폰 린네가 이 생물을 "창자 벌레"로 잘못 분류하여 과학자들을 혼란스럽게 했다.[11]

2. 1. 형태적 특징

태평양먹장어는 길고 뱀장어와 같은 몸을 가지고 있지만, 뱀장어와는 밀접한 관련이 없다. 최대 몸길이는 63cm로 보고되었으며,[4] 성체의 전형적인 길이는 약 42cm이다. 짙은 갈색, 회색 또는 갈색을 띠며 종종 파란색 또는 보라색을 띤다. 배는 더 밝고 때로는 더 큰 흰색 반점이 있다. 진정한 지느러미는 없지만 등 지느러미 주름이 있다. 모든 무악류와 마찬가지로 머리에는 턱이 없으며, 흡반 모양의 입은 항상 열려 있고,[5] 주변에 8개의 수염이 있다. 눈은 보이지 않는다.[4] 먹장어는 또한 입 위에 위치한 콧구멍이 하나만 있다.[6]

몸 길이의 약 4분의 1 지점부터 10~14개의 아가미 구멍이 있다.[4]

먹장어는 헐렁한 피부를 가지고 있으며, 점액 생성 능력으로 악명이 높다. 방해를 받으면 피부의 점액선에서 단백질이 스며 나와 물에 반응하여 끈적한 외부 코팅이 되고, 거대한 덩어리의 점액으로 팽창한다. 이것은 이 물고기를 포식자에게 매우 혐오스럽게 만들며, 심지어 포식성 물고기의 아가미를 막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태평양먹장어는 불과 몇 분 만에 많은 양의 점액을 생성할 수 있다.[7] 이 점액은 낚시 도구와 장비에서 제거하기 어렵기로 악명이 높으며, 태평양 어부들은 이 종에게 '점액 뱀장어'라는 별명을 붙였다.[8]

먹장어의 점액 생성은 에너지 소모가 많은 과정이며, 재생에 오랜 시간이 걸린다. 새로운 점액을 생성하는 데 제한적인 요인은 점액 단백질의 실을 대체하는 것이며, 연구에 따르면 재생을 완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대략 24~28일이다. 이 기간이 끝나기 전에 점액을 분출할 수 있지만, 완전한 선을 사용할 때보다 물질이 적다.[9]

태평양먹장어의 눈은 다른 척추동물에 비해 매우 기본적인 형태이다. ''Eptatretus stoutii'' 눈 조직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먹장어의 눈은 척추동물 눈의 기저 형태를 나타내지 않으며, 대신, 먹장어의 눈은 현대 척추동물의 공통 조상에 존재했던 더 복잡한 기저 척추동물 눈의 퇴화된 형태일 가능성이 높다. 태평양먹장어는 또한 눈 위에 덮인 투명한 피부 창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물고기에서 흰색 반점으로 나타난다. 눈의 내부 구조(망막 및 광수용체) 역시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복잡하다.

2. 2. 유사 종

칠성장어(Eptatretus deani)는 첫 번째 아가미 구멍이 머리에 더 가깝다.[4] 세가락칠성장어(Lampetra tridentata)는 눈이 보이며 아가미 구멍이 7개이다. 먹장어(Myxine limosa)는 하나의 외부 연결부를 가진 아가미 주머니가 있다.[4]

3. 분포 및 서식지

태평양먹장어는 북동부 태평양에서 알래스카 남동부부터 멕시코의 바하칼리포르니아까지 분포한다.[4] 이들은 대륙붕과 상부 경사면의 미세한 실트와 점토질 바닥에 서식하며, 수심 16~966m에서 발견된다. 이 종은 서식 범위 내에서 풍부하게 서식하는 것으로 보인다.[1] 2015년 코스타리카 해안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이들의 서식 범위를 이전보다 약 3,500km 더 남쪽으로 확장시킨 것이다. 이것이 최근 종의 확장인지, 아니면 이 개체군이 표본 채취되지 않았던 것인지는 불분명하다.[13]

4. 생태



=== 번식 ===

태평양먹장어는 암컷이 알을 낳은 후 외부수정을 한다. 암컷은 평균적으로 지름이 약 5mm인 알을 약 28개 낳으며, 수정 후 알을 가지고 다닌다. 암컷은 이 기간 동안 알의 보호를 위해 굴에 머물려고 한다.[24] 태평양먹장어는 대략 1:1의 성비를 보인다. 이 종은 약간의 성적 이형성을 나타내어, 암컷이 수컷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성장한다. ''E. stoutii''는 반복 산란을 하며 불규칙한 시간에 산란한다. 이러한 주기는 새로운 산란을 하기 전에 최대 2~3년이 걸릴 수 있다.[12] 태평양먹장어의 유체는 자웅동체를 나타내며 성체가 된 후에야 별개의 성으로 분화된다.[12]

=== 먹이 및 섭식 ===

태평양먹장어는 다모류와 다른 무척추동물을 해저에서 섭취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죽어가거나 죽은, 혹은 활동이 둔화된 큰 물고기의 입이나 항문을 통해 들어가 내장을 먹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4][5] 다른 먹장어 종의 식단에는 새우, 소라게, 두족류, 불가사리, 경골어류, 상어, 조류, 고래 살 등이 포함되지만, 태평양먹장어의 식단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부족하다. 태평양먹장어의 피부는 아미노산을 흡수할 수 있다.[14] 또한, 먹장어는 내부 염분 농도가 주변 해수와 일치해야 하므로 물을 적극적으로 마시지 않는다.[15]

먹장어의 섭식 장치는 어류 중에서 독특하며 주로 부드러운 조직과 눈에 띄는 치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물기를 전달하기 위해 여러 개의 뼈가 있는 경골어류와 대조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먹장어는 턱이 있는 척추동물과 유사한 물기 힘을 낼 수 있다.[16] 치판은 측면으로 열리고 닫히는 두 개의 대칭적인 반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판의 사용은 실제적으로 잡고 찢는 동작과 유사하며 머리 뒤쪽에서 뻗어있는 근육에 의존한다. 먹장어는 근육을 부착할 뼈가 없기 때문에, 이 섭식 근육에 대한 총칭은 하이드로스타트라고 불린다.[17] 또한, 어린 개체는 유생 단계를 거치지 않고 작은 성체와 유사하다. 이는 어린 개체가 성체와 같은 방식으로 먹이를 먹지만, 소량의 음식만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17]

=== 산소 부족 환경에서의 생존 ===

먹장어는 어류 중 가장 낮은 신진대사율을 보인다.[18] 이러한 낮은 신진대사율 덕분에 먹장어는 산소 함량이 낮거나 없는 수역에서 생존할 수 있다. 용존 산소 수준이 낮은 대형 어류나 포유류 사체 내부, 또는 해저 퇴적물에 구멍을 낼 때에도 낮은 산소 수준을 견딜 수 있다.[18]

=== 움직임 및 방어 기제 ===

태평양먹장어는 몸을 묶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자체 점액을 제거하거나 먹이를 찢는 과정에 유용하다.[19] 이러한 매듭은 척추가 없고 유연한 연골 척삭과 마찰이 적은 피부 덕분에 가능하다.[20]

먹장어가 몸을 묶는 모습
''Eptatretus'' 속의 먹장어는 바다뱀이나 곰치보다 더 자주 매듭 행동을 하며, 특히 태평양먹장어는 휴식을 취할 때 코일 자세를 선호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20]

태평양먹장어는 몸 너비의 절반보다 작은 틈새도 통과할 수 있는데,[21] 이는 높은 혈액량, 큰 피하 정맥동, 느슨한 피부 등의 요인 덕분이다.[21]
바위 틈새에 있는 태평양먹장어
특히 피하 정맥동은 몸 전체를 둘러싸고 있어 혈액을 신체의 다른 부분으로 밀어내어 작은 구멍을 통과할 수 있게 해준다.[21] 이는 포식자로부터 탈출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된다.
또한, 느슨한 피부는 찔린 상처로부터 내부 장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22]

태평양먹장어는 뱀장어와 같은 몸 구조를 가지고 있어 뱀장어형 수영 방식을 사용한다. 머리에서 시작하여 몸의 길이를 따라 파동을 전달하여 앞으로 나아가며, 반대 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다.[23]

4. 1. 번식

태평양먹장어는 암컷이 알을 낳은 후 외부수정을 한다. 암컷은 평균적으로 지름이 약 5mm인 알을 약 28개 낳으며, 수정 후 알을 가지고 다닌다. 암컷은 이 기간 동안 알의 보호를 위해 굴에 머물려고 한다.[24] 태평양먹장어는 대략 1:1의 성비를 보인다. 이 종은 약간의 성적 이형성을 나타내어, 암컷이 수컷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성장한다. ''E. stoutii''는 반복 산란을 하며 불규칙한 시간에 산란한다. 이러한 주기는 새로운 산란을 하기 전에 최대 2~3년이 걸릴 수 있다.[12] 태평양먹장어의 유체는 자웅동체를 나타내며 성체가 된 후에야 별개의 성으로 분화된다.[12]

4. 2. 먹이 및 섭식

태평양먹장어는 다모류와 다른 무척추동물을 해저에서 섭취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죽어가거나 죽은, 혹은 활동이 둔화된 큰 물고기의 입이나 항문을 통해 들어가 내장을 먹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4][5] 다른 먹장어 종의 식단에는 새우, 소라게, 두족류, 불가사리, 경골어류, 상어, 조류, 고래 살 등이 포함되지만, 태평양먹장어의 식단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부족하다. 태평양먹장어의 피부는 아미노산을 흡수할 수 있다.[14] 또한, 먹장어는 내부 염분 농도가 주변 해수와 일치해야 하므로 물을 적극적으로 마시지 않는다.[15]

먹장어의 섭식 장치는 어류 중에서 독특하며 주로 부드러운 조직과 눈에 띄는 치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물기를 전달하기 위해 여러 개의 뼈가 있는 경골어류와 대조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먹장어는 턱이 있는 척추동물과 유사한 물기 힘을 낼 수 있다.[16] 치판은 측면으로 열리고 닫히는 두 개의 대칭적인 반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판의 사용은 실제적으로 잡고 찢는 동작과 유사하며 머리 뒤쪽에서 뻗어있는 근육에 의존한다. 먹장어는 근육을 부착할 뼈가 없기 때문에, 이 섭식 근육에 대한 총칭은 하이드로스타트라고 불린다.[17] 또한, 어린 개체는 유생 단계를 거치지 않고 작은 성체와 유사하다. 이는 어린 개체가 성체와 같은 방식으로 먹이를 먹지만, 소량의 음식만 섭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17]

4. 3. 산소 부족 환경에서의 생존

먹장어는 어류 중 가장 낮은 신진대사율을 보인다.[18] 이러한 낮은 신진대사율 덕분에 먹장어는 산소 함량이 낮거나 없는 수역에서 생존할 수 있다. 용존 산소 수준이 낮은 대형 어류나 포유류 사체 내부, 또는 해저 퇴적물에 구멍을 낼 때에도 낮은 산소 수준을 견딜 수 있다.[18]

4. 4. 움직임 및 방어 기제

태평양먹장어는 몸을 묶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자체 점액을 제거하거나 먹이를 찢는 과정에 유용하다.[19] 이러한 매듭은 척추가 없고 유연한 연골 척삭과 마찰이 적은 피부 덕분에 가능하다.[20] ''Eptatretus'' 속의 먹장어는 바다뱀이나 곰치보다 더 자주 매듭 행동을 하며, 특히 태평양먹장어는 휴식을 취할 때 코일 자세를 선호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20]

태평양먹장어는 몸 너비의 절반보다 작은 틈새도 통과할 수 있는데,[21] 이는 높은 혈액량, 큰 피하 정맥동, 느슨한 피부 등의 요인 덕분이다.[21] 특히 피하 정맥동은 몸 전체를 둘러싸고 있어 혈액을 신체의 다른 부분으로 밀어내어 작은 구멍을 통과할 수 있게 해준다.[21] 이는 포식자로부터 탈출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된다. 또한, 느슨한 피부는 찔린 상처로부터 내부 장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22]

태평양먹장어는 뱀장어와 같은 몸 구조를 가지고 있어 뱀장어형 수영 방식을 사용한다. 머리에서 시작하여 몸의 길이를 따라 파동을 전달하여 앞으로 나아가며, 반대 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다.[23]

5. 인간과의 관계

미국 서부 해안에서는 태평양먹장어 어업이 발달하여 주로 아시아 가죽 시장에 공급된다. 먹장어 가죽 의류, 벨트 또는 기타 액세서리는 "멋쟁이 가죽" 또는 "뱀장어 가죽"으로 광고되고 판매된다.[24][1]

5. 1. 어업 및 상업적 이용

미국 서부 해안에서는 먹장어 어업이 발달하여 주로 아시아 가죽 시장에 공급된다. 먹장어 가죽으로 만든 의류, 벨트 또는 기타 액세서리는 "멋쟁이 가죽" 또는 "뱀장어 가죽"으로 광고되고 판매된다.

5. 2. 한국에서의 꼼장어

미국 서부 해안에서는 먹장어 어업이 발달하여 주로 아시아 가죽 시장에 공급된다. 먹장어 가죽 의류, 벨트 또는 기타 액세서리는 "멋쟁이 가죽" 또는 "뱀장어 가죽"으로 광고되고 판매된다.[24][1]

5. 3. 보존 상태

이 종의 보존 상태는 자료 부족이다.[1] 먹장어에 대한 수요는 제한적인 어획량 평가 데이터에도 불구하고 증가했으며, 정보에 입각한 관리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생식 생태에 대한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 그러나 먹장어의 낮은 번식률은 활발한 어업의 건강에 우려를 준다.[12]

참조

[1] 간행물 "''Eptatretus stoutii''" 2011
[2] 웹사이트 Myxinidae http://www.fishbase.[...]
[3] 논문 Family-group names of Recent fishes 2014-11-11
[4] 서적 National Audubon Society Field Guide to Fishes https://archive.org/[...] Knopf
[5] FishBase
[6] Citation Pacific hagfish, Eptatretus stouti, and black hagfish, E. deani: the Oregon Fishery and Port sampling observations, 1988-92 http://findarticles.[...] 2010-04-21
[7] 논문 Hagfish predatory behaviour and slime defence mechanism
[8] 논문 The olfactory system in the Pacific hagfishes ''Eptatretus stoutii'', ''Eptatretus deani'', and ''yxine circifrons''.
[9] 논문 Cellular mechanisms of slime gland refilling in Pacific hagfish (Eptatretus stoutii) https://journals.bio[...] 2018-01-01
[10] 논문 Vertebrate features revealed in the rudimentary eye of the Pacific hagfish (Eptatretus stoutii) 2021-01-13
[11] 논문 The Pacific Hagfish https://pubmed.ncbi.[...] 2022-03-18
[12] 논문 Reproductive biology and ecology of Pacific hagfish (Eptatretus stoutii) and black hagfish (Eptatretus deani) https://onlinelibrar[...] 2021
[13] 논문 Hagfish feeding habits along a depth gradient inferred from stable isotopes https://www.int-res.[...]
[14] 웹사이트 Digestion under Duress: Nutrient Acquisition and Metabolism during Hypoxia in the Pacific Hagfish. http://connection.eb[...] 2011-12-06
[15] 논문 Drinking and water permeability in the Pacific hagfish, Eptatretus stoutii https://link.springe[...] 2017-12-01
[16] 논문 Morphology and kinematics of feeding in hagfish: possible functional advantages of jaws https://journals.bio[...] 2007-11-15
[17] 논문 Ontogenetic scaling of the morphology and biomechanics of the feeding apparatus in the Pacific hagfish Eptatretus stoutii https://onlinelibrar[...] 2012-01
[18] 논문 Anoxic survival of the Pacific hagfish (Eptatretus stoutii) https://link.springe[...] 2011-04-01
[19] 웹사이트 'Aquarium of the Pacific {{!}} Online Learning Center {{!}} Pacific Hagfish' http://www.aquariumo[...] 2017-09-27
[20] 논문 Characterization of body knotting behavior used for escape in a diversity of hagfishes https://zslpublicati[...] 2020
[21] 논문 Hagfish Houdinis: biomechanics and behavior of squeezing through small openings https://journals.bio[...] 2017-01-01
[22] 논문 On the fit of skin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biomechanics of loose skins of hagfishes https://cdnsciencepu[...] 2020-12
[23] 논문 Diverse anguilliform swimming kinematics in Pacific hagfish (Eptatretus stoutii) and Atlantic hagfish (Myxine glutinosa) http://www.nrcresear[...] 2015
[24] 간행물 The Olfactory System of Hagfishes http://link.springer[...] Springer Netherlands 1998
[25] 저널 인용 "''Eptatretus stouti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