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태풍 개미 (2006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풍 개미 (2006년)는 2006년 7월 19일 괌 서남서쪽 해상에서 발생하여, 필리핀, 대만, 중국에 영향을 준 태풍이다. 7월 23일 최대 풍속 39m/s의 강도 '강'으로 최성기를 맞았으며, 대만을 관통한 뒤 중국 푸젠성에 상륙하여 소멸했다. 이 태풍은 필리핀, 중국 등에서 인명 피해를 발생시켰으며, 대한민국에는 태풍의 간접적인 영향으로 장마전선을 활성화시켜 46일간의 긴 장마와 기록적인 강우량을 기록하게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대만 - 제43회 금마장
    2006년에 개최된 제43회 금마장은 중화권 영화계의 우수한 작품과 영화인들을 기리는 시상식으로, 영화 《부자》가 최우수 작품상을, 진가신 감독이 《퍼햅스 러브》로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했으며, 곽부성과 주신이 남녀주연상을 수상하는 등 다양한 영화들이 수상했다.
  • 2006년 대만 - 태풍 산산 (2006년)
    태풍 산산 (2006년)은 2006년 9월에 발생하여 일본 열도에 상륙, 강한 바람과 폭우를 동반해 일본과 대한민국에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입힌 태풍이다.
  • 2006년 태풍 - 태풍 에위니아 (2006년)
    태풍 에위니아 (2006년)는 2006년 7월에 발생하여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피해를 주고 전라남도 진도군 해안에 상륙하여 강원도 홍천군 부근에서 소멸했으며, 대한민국에서 40명이 사망하고 1조 8344억 원의 재산 피해를 발생시킨 태풍이다.
  • 2006년 태풍 - 태풍 우쿵 (2006년)
    2006년 태풍 우쿵은 팔라우 동쪽 해상에서 발생하여 일본에 상륙, 동아시아 여러 국가에 영향을 미쳐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발생시켰다.
  • 2006년 7월 - 2006년 FIFA 월드컵
    2006년 FIFA 월드컵은 독일에서 개최되어 이탈리아의 우승, 카드 남발 논란, 그리고 팬 페스트의 성공으로 기억되는 국제 축구 대회이다.
  • 2006년 7월 - 태풍 에위니아 (2006년)
    태풍 에위니아 (2006년)는 2006년 7월에 발생하여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피해를 주고 전라남도 진도군 해안에 상륙하여 강원도 홍천군 부근에서 소멸했으며, 대한민국에서 40명이 사망하고 1조 8344억 원의 재산 피해를 발생시킨 태풍이다.
태풍 개미 (2006년)
기본 정보
7월 23일 최고 강도 직전의 태풍 개미
형성2006년 7월 17일
소멸2006년 7월 27일
일본 기상청 (JMA) 정보
풍속80 노트
기압960 hPa
합동태풍경보센터 (JTWC) 정보
풍속75 노트
기압967 hPa
해역서태평양
피해
연도2006년
사망자32명
피해액4억 5천만 달러
영향 지역캐롤라인 제도
마리아나 제도
타이완
중국
한국 기상청 정보
발생일7월 19일
소멸일7월 26일
최저 기압960 hPa
10분 최대 풍속39 m/s
최대 크기 (직경)600 km
최대 강풍 반경400 km
태풍 사망자32명 사망, 60명 실종
피해 총액4억 5,000만 달러
관련 정보
태풍 시즌2006년 태평양 태풍 시즌
디지털 태풍 정보디지털 태풍: 태풍 200605 (KAEMI) - 일반 정보 (기압 및 경로 차트)
디지털 태풍: 태풍 200605 (KAEMI)

2. 발생 과정



제5호 태풍 개미는 7월 19일 오후 3시 서남서쪽 약 49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1] 이 태풍은 앞서 발생한 제4호 태풍 빌리스와 유사한 진로를 그리며 북서쪽으로 이동하면서 강하게 발달했다. 발생 초기 열대 저기압은 캐롤라인 제도 부근에서 발생했으며, 같은 날 열대 폭풍으로 빠르게 발달했다.[1] 7월 19일, JMA에 의해 ''개미''로 명명되었다.[1] ''개미''는 대한민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한국어로 개미를 의미한다.[1] PAGASA은 이 폭풍을 ''글렌다''로 명명했다.[1]

7월 20일에는 강한 열대 폭풍으로 발달했으며, 24시간 후에는 태풍으로 더욱 세력을 키웠다.[1] 필리핀 마닐라 동북동쪽 약 850 km 부근 해상에 위치했던 7월 23일 오전 3시에는 중심 기압 955hPa, 최대 풍속 39m/s의 강도 '강'의 태풍으로 발달하며 최성기에 접어들었다.[1]

7월 25일 오전에는 대만 남부 해안에 상륙하여 대만을 관통한 뒤, 같은 날 중국 푸젠성에 상륙한 뒤 7월 26일 태풍으로서의 일생을 마쳤다. 개미는 7월 25일 오후 3시 50분 CST에 최소 강도의 태풍으로 중국 푸젠성 롱하이에 상륙했다.[1] 그 직후, JTWC는 개미에 대한 마지막 경고를 발령했고, JMA도 다음 날 같은 조치를 취했다.[1]

2. 1. 발생 및 명칭



제5호 태풍 개미는 7월 19일 오후 3시 서남서쪽 약 49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1] 발생 초기 열대 저기압은 캐롤라인 제도 부근에서 발생했으며, 같은 날 열대 폭풍으로 빠르게 발달했다.[1] 7월 19일, JMA에 의해 ''개미''로 명명되었다.[1] ''개미''는 대한민국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한국어로 개미를 의미한다.[1] PAGASA은 이 폭풍을 ''글렌다''로 명명했다.[1]

2. 2. 발달 및 세력 변화

7월 19일 오후 3시 의 서남서쪽 약 49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1] 이 태풍은 앞서 발생한 제4호 태풍 빌리스와 유사한 진로를 그리며 북서쪽으로 이동하면서 강하게 발달했다.[1] 필리핀 마닐라 동북동쪽 약 850 km 부근 해상에 위치했던 7월 23일 오전 3시에는 중심 기압 955hPa, 최대 풍속 39m/s의 강도 '강'의 태풍으로 발달하며 최성기에 접어들었다.[1] 7월 20일에는 강한 열대폭풍으로 발달했으며, 24시간 후에는 태풍으로 더욱 세력을 키웠다.[1]

2. 3. 상륙 및 소멸

7월 19일 오후 3시 서남서쪽 약 490 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한 제5호 태풍 개미는 앞서 발생한 제4호 태풍 빌리스와 유사한 진로를 그리며 북서쪽으로 이동하면서 강하게 발달했다.[1] 필리핀 마닐라 동북동쪽 약 850 km 부근 해상에 위치했던 7월 23일 오전 3시에는 중심 기압 955hPa, 최대 풍속 39m/s의 강도 '강'의 태풍으로 발달하며 최성기에 접어들었다.[1] 7월 25일 오전에는 대만 남부 해안에 상륙하여 대만을 관통한 뒤, 같은 날 중국 푸젠성에 상륙한 뒤 7월 26일 태풍으로서의 일생을 마쳤다.[1]

개미는 7월 25일 오후 3시 50분 CST에 최소 강도의 태풍으로 중국 푸젠성 롱하이에 상륙했다.[1] 그 직후, JTWC는 개미에 대한 마지막 경고를 발령했고, AMJ도 다음 날 같은 조치를 취했다.[1]

3. 영향

이 태풍은 제4호 태풍 빌리스로 피해를 입었던 지역을 또 다시 강타하며 사망자 32명·실종자 65명을 발생시키는 피해를 야기했다.[6] 또, 대한민국은 태풍 빌리스에 이어 태풍의 간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에 시달려야 했다. 이처럼 태풍은 연속적으로 장마 전선을 활성화시키며 2006년 대한민국에는 평균보다 2주가량 더 긴 46일간의 장마가 찾아왔고, 이 기간 동안 33년 만의 최대 기록인 전국 평균 717.3mm의 강우량의 비가 쏟아졌다.[7]

태풍 빌리스에 이어 태풍의 간접적인 영향으로 장마전선이 활성화되어 2006년 46일간의 장마와 전국 평균 717.3mm의 기록적인 강우량을 기록했다.[7] 이는 33년 만의 최대 기록이다.[7]

태풍 개미는 제4호 태풍 빌리스로 피해를 입었던 필리핀 북부 지역을 다시 강타하며 많은 비를 내리게 하고, 32명의 사망자와 65명의 실종자를 발생시켰다.[6]

타이완에서는 폭우로 인한 홍수가 발생했고, 4명이 경미한 부상을 입었다.[6] 농업 피해는 7,300만 신 타이완 달러(220만 미국 달러)에 달했다.[6]

태풍 개미는 제4호 태풍 빌리스로 피해를 입었던 중국 지역을 다시 강타하여 32명이 사망하고 60명이 실종되는 피해를 야기했다.[6] 타이완의 농업 피해는 7,300만 신 타이완 달러(220만 미국 달러)에 달했다.[3] 개미로 인한 총 피해액은 4억 5천만 달러에 달했다.

타이완에서는 폭우로 인해 홍수가 발생했고 4명이 경미한 부상을 입었다.[2] 또한, 필리핀 북부에도 많은 비가 내렸다.[2] 이 폭풍으로 중국에서 최소 32명이 사망하고 60명이 실종되었다. 타이완의 농업 피해는 7,300만 신 타이완 달러(220만 미국 달러)에 달했다.[3] 개미로 인한 총 피해액은 4억 5천만 달러에 달했다.

3. 1. 대한민국

태풍 빌리스에 이어 태풍의 간접적인 영향으로 장마전선이 활성화되어 2006년 46일간의 장마와 전국 평균 717.3mm의 기록적인 강우량을 기록했다.[7] 이는 33년 만의 최대 기록이다.[7]

3. 2. 필리핀

태풍 개미는 제4호 태풍 빌리스로 피해를 입었던 필리핀 북부 지역을 다시 강타하며 많은 비를 내리게 하고, 32명의 사망자와 65명의 실종자를 발생시켰다.[6]

3. 3. 대만

타이완에서는 폭우로 인한 홍수가 발생했고, 4명이 경미한 부상을 입었다.[6] 농업 피해는 7,300만 신 타이완 달러(220만 미국 달러)에 달했다.[6]

3. 4. 중국

태풍 개미는 제4호 태풍 빌리스로 피해를 입었던 중국 지역을 다시 강타하여 32명이 사망하고 60명이 실종되는 피해를 야기했다.[6] 타이완의 농업 피해는 7,300만 신 타이완 달러(220만 미국 달러)에 달했다.[3] 개미로 인한 총 피해액은 4억 5천만 달러에 달했다.

4.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SAIC ! Digital Transformation https://www.saic.com[...] 2022-08-01
[2] 웹사이트 Trmm Sees Typhoon Kaemi http://trmm.gsfc.nas[...] Trmm.gsfc.nasa.gov 2006-07-21
[3] 웹사이트 http://exploreourpla[...]
[4] 웹인용 Digital Typhoon: Typhoon 200605 (KAEMI) - General Information (Pressure and Track Charts) http://agora.ex.nii.[...] 2021-08-23
[5] 웹인용 Digital Typhoon: Typhoon 200605 (KAEMI) http://agora.ex.nii.[...] 2021-08-23
[6] 뉴스 중국, 사상최악 천재지변 직면 https://news.naver.c[...] 내일신문 2006-08-11
[7] 뉴스 <`지리했던' 올해 장마 특징과 원인>(종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6-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