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니다 (200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풍 니다 (2009년)는 2009년 11월 말에 발생하여 12월 초까지 존재했던 태풍으로, 2009년 전 세계 열대 저기압 중 가장 강력한 세력을 보였다. 11월 21일 괌 남동쪽 해상에서 열대 저기압으로 시작되어, 11월 25일 태풍으로 발달, 11월 26일 최대 풍속 57.0 m/s, 최저 기압 905 hPa를 기록하며 최성기를 맞았다. 이후 세력이 약화되어 12월 3일 소멸되었으며, 미크로네시아 연방에 열대폭풍 및 태풍 주의보가 발령되었으나, 직접적인 피해는 없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9년 태풍 - 태풍 켓사나 (2009년)
2009년 태풍 켓사나는 필리핀,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태국에 큰 피해를 입혀 수백 명의 사망자와 수십만 명의 이재민을 발생시키고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여 이름이 제명된 강력한 태풍이다. - 2009년 태풍 - 태풍 루핏 (2009년)
2009년 8월에 발생한 태풍 루핏은 매우 강한 세력까지 발달했으나 필리핀 상륙 시 세력이 약화되었고, 10월에 일본 도쿄 해상에서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어 소멸되었다. -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태풍 - 태풍 에위니아 (2006년)
태풍 에위니아 (2006년)는 2006년 7월에 발생하여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피해를 주고 전라남도 진도군 해안에 상륙하여 강원도 홍천군 부근에서 소멸했으며, 대한민국에서 40명이 사망하고 1조 8344억 원의 재산 피해를 발생시킨 태풍이다. -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태풍 - 태풍 하이옌 (2013년)
태풍 하이옌 (2013년)은 2013년 11월 필리핀 등지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 강력한 태풍으로, 6,3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발생시키고 이름이 삭제되었다.
태풍 니다 (2009년) | |
---|---|
태풍 정보 | |
종류 | 열대 |
해역 | 북서태평양 |
태풍 이름 | 200922 니다 (NIDA) |
![]() | |
발생일 | 2009년 11월 21일 |
소멸일 | 2009년 12월 3일 |
최저 기압 | 905 |
10분 최대 풍속 | 115 |
10분 최대 풍속 (KMA) | 57 |
1분 최대 풍속 | 155 |
최대 크기 (직경) | 780 |
최대 강풍 반경 (KMA) | 530 |
인명 피해 (사망·실종) | 0명 |
2. 태풍의 진행
11월 21일,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는 괌 남동쪽 880 km 해상에서 상승기류가 계절풍 저기압을 저항했다는 보고를 했다. 이후 열대저기압 발생경고가 내려졌고 일본 기상청(JMA)은 열대 저기압으로 승격시켰고 JTWC는 26W으로 명명하였다. 11월 22일에 이 저기압은 계속 약한 상태로 유지하였으나 JMA는 이 열대저기압을 태풍번호 0922, 국제명 NIDA로 이름을 붙였다.
11월 24일에는 JTWC가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 제1등급으로 격상시켰다. 이 때 JTWC는 1분최대풍속을 160 km/h으로 기록하였으나 JMA는 10분최대풍속 110 km/h으로 기록하여 강한 열대폭풍의 상태로 놓여졌다. 11월 25일에는 드디어 강한 열대폭풍의 단계에서 태풍의 단계로 올렸고 이리하여 2009년의 태풍의 단계에 든 태풍의 수는 13개에 이르렀다. 같은 날 태풍 니다는 태풍이 발달하기 좋은 조건을 갖춘 태평양에서 빠르게 강력해졌으며 10분최대풍속 195 km/h, 중심기압 905 hPa까지 떨어져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다음날 JTWC도 이전의 18시간동안 계속 발달하여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 제5등급에 도달하고 이때 1분최대풍속은 285 km/h까지 된 상태였다. 조금 지나서 JTWC는 태풍 니다가 약간 더 발달해 1분최대풍속 290 km/h을 찍은 상태라고 보고했다.
태풍 니다는 약해졌다가 다시 강해져 제5등급이 된 후 1분최대풍속이 269 km/h, 145 kt을 기록하였다. 하지만 사피어-심프슨 허리케인 등급 제4등급으로 약화된 후 11월 27일, 세 번째로 제5등급으로 강력해진 이후 이틀동안 정체하다가 12월 3일, 열대 저기압 상태로 약해졌다. 결국 이 태풍은 12월 3일, 소멸되었다.
2. 1. 발생 초기 (11월 21일 ~ 11월 24일)
2. 2. 급격한 발달과 최성기 (11월 25일 ~ 11월 29일)
2. 3. 약화와 소멸 (11월 30일 ~ 12월 3일)
3. 태풍의 시간별 정보
대한민국 기상청(KMA)의 자료에 따르면, 태풍 니다는 11월 23일 12시 (UTC)에 열대폭풍으로 발생하여 점차 발달하며 이동했다. 11월 26일 0시에는 최대 풍속 57.0 m/s, 최저 기압 905 hPa를 기록하며 가장 강력한 세력에 도달했다. 이후 세력이 약화되면서 12월 3일 0시에 소멸했다.
태풍 니다의 시간별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형태 | 날짜 및 시간 (UTC) | 위도 (°N) | 경도 (°E) | 이동속도 (km/h) | 기압 (hPa) | 최대풍속 (m/s) |
---|---|---|---|---|---|---|
열대폭풍 | 11월 23일 12시 | 8.8 | 147.0 | 17 | 1000 | 18.0 |
열대폭풍 | 11월 23일 18시 | 9.0 | 146.3 | 14 | 998 | 18.0 |
열대폭풍 | 11월 24일 0시 | 9.0 | 145.8 | 10 | 995 | 20.0 |
열대폭풍 | 11월 24일 6시 | 8.8 | 145.5 | 7 | 990 | 24.0 |
강한 열대폭풍 | 11월 24일 12시 | 9.2 | 145.3 | 9 | 985 | 27.0 |
강한 열대폭풍 | 11월 24일 18시 | 9.7 | 144.3 | 21 | 980 | 31.0 |
태풍 | 11월 25일 0시 | 10.7 | 143.8 | 21 | 950 | 43.0 |
태풍 | 11월 25일 6시 | 11.6 | 143.0 | 23 | 930 | 50.0 |
태풍 | 11월 25일 12시 | 12.6 | 142.2 | 24 | 910 | 56.0 |
태풍 | 11월 25일 18시 | 13.6 | 141.4 | 24 | 910 | 56.0 |
태풍 | 11월 26일 0시 | 14.5 | 140.7 | 21 | 905 | 57.0 |
태풍 | 11월 26일 6시 | 15.2 | 140.0 | 19 | 910 | 56.0 |
태풍 | 11월 26일 12시 | 15.8 | 139.7 | 13 | 910 | 56.0 |
태풍 | 11월 26일 18시 | 16.3 | 139.3 | 12 | 915 | 54.0 |
태풍 | 11월 27일 0시 | 16.9 | 139.2 | 12 | 915 | 54.0 |
태풍 | 11월 27일 6시 | 17.8 | 139.2 | 17 | 915 | 54.0 |
태풍 | 11월 27일 12시 | 18.3 | 139.0 | 10 | 915 | 54.0 |
태풍 | 11월 27일 18시 | 18.7 | 139.0 | 8 | 915 | 54.0 |
태풍 | 11월 28일 0시 | 19.0 | 139.0 | 6 | 925 | 51.0 |
태풍 | 11월 28일 6시 | 19.1 | 139.2 | 4 | 925 | 51.0 |
태풍 | 11월 28일 12시 | 19.0 | 139.3 | 3 | 925 | 51.0 |
태풍 | 11월 28일 18시 | 19.2 | 139.4 | 5 | 925 | 51.0 |
태풍 | 11월 29일 0시 | 19.3 | 139.4 | 2 | 925 | 51.0 |
태풍 | 11월 29일 6시 | 19.5 | 139.3 | 5 | 925 | 51.0 |
태풍 | 11월 29일 12시 | 19.5 | 139.2 | 2 | 935 | 48.0 |
태풍 | 11월 29일 18시 | 19.6 | 139.4 | 4 | 940 | 46.0 |
태풍 | 11월 30일 0시 | 19.7 | 139.5 | 3 | 950 | 43.0 |
태풍 | 11월 30일 6시 | 19.7 | 139.1 | 7 | 950 | 43.0 |
태풍 | 11월 30일 12시 | 20.0 | 138.9 | 7 | 960 | 40.0 |
태풍 | 11월 30일 18시 | 20.0 | 138.4 | 9 | 960 | 40.0 |
태풍 | 12월 1일 0시 | 20.2 | 138.2 | 6 | 965 | 38.0 |
태풍 | 12월 1일 6시 | 20.5 | 137.8 | 9 | 970 | 36.0 |
태풍 | 12월 1일 12시 | 20.7 | 137.6 | 6 | 970 | 36.0 |
태풍 | 12월 1일 18시 | 20.9 | 137.5 | 5 | 975 | 34.0 |
태풍 | 12월 2일 0시 | 21.1 | 137.3 | 6 | 975 | 34.0 |
강한 열대폭풍 | 12월 2일 6시 | 21.0 | 135.8 | 27 | 985 | 27.0 |
열대폭풍 | 12월 2일 12시 | 21.1 | 134.8 | 18 | 990 | 24.0 |
열대폭풍 | 12월 2일 18시 | 22.0 | 134.3 | 19 | 995 | 20.0 |
소멸 | 12월 3일 0시 | 21.7 | 134.2 | 6 | 1000 |
4. 대비와 피해
4. 1. 미크로네시아 연방
11월 24일, 미국 기상 서비스 센터에서는 파라울렙 섬에 열대폭풍 주의보를 내렸고 다음날인 11월 25일에는 파이스 섬과 울리시 섬에도 내렸다. 태풍 니다가 JTWC에 의해 태풍의 단계로 승격됨에 따라 파라울렙 섬도 열대폭풍 주의보에서 태풍 주의보로 격상되었다. 이날 이후 태풍 니다가 북서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파라울렙 섬이 주의보는 해제되었고 파이스와 울리시 섬의 열대폭풍 주의보고 해제되었다. 태풍이 미크로네시아 연방 중심부를 통과하지 않았기 때문에 피해는 없었다.5. 기록
태풍 니다는 이례적으로 가을인 11월 말기에 발생해 겨울인 12월까지 존재하였고 또 매우 강한 태풍이었다. 태풍 니다의 최성기에 해당하는 중심기압의 수치가 905 hPa로 나타나 2009년에 발생한 전 세계의 열대 저기압 중에서 가장 강력한 태풍이었다. 이 수치는 허리케인 릭의 906 hPa의 기록보다 1 hPa 낮게 나타났다.
참조
[1]
디지털 태풍
NIDA
[2]
웹인용
Digital Typhoon: Typhoon 200922 (NIDA)
http://agora.ex.nii.[...]
2021-0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