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털중나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털중나리는 한국 특산 식물로, 섬 지역을 제외한 전국 산지에 분포하며, 깊은 산 숲, 초원지, 고원지 등에서 자란다. 키는 50-60cm 정도 자라며, 6-8월에 황적색 꽃이 피고, 10월에 삭과가 여문다. 어린순, 잎, 비늘줄기는 식용하며, 관상용으로 심기도 하고, 한방에서는 약재로 사용된다. 또한 꽃은 꿀이 많아 밀원 식물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합속 - 산나리
    산나리는 일본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여름에 흰색 꽃을 피우며 식용과 약재로 사용되는 일본 특산의 백합이다.
  • 백합속 - 참나리
    참나리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잎겨드랑이의 주아로 번식하며, 황적색 바탕에 자색 반점이 있는 꽃이 피고 식용 및 관상용으로 재배되지만 고양이에게는 유해하다.
  • 1901년 기재된 식물 - 마가목
    마가목은 한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수로, 붉은 열매와 아름다운 단풍이 특징이며 관상용으로 많이 심고 줄기 껍질은 약재로, 열매는 과실주나 잼 등으로 활용된다.
  • 1901년 기재된 식물 - 솔붓꽃
    솔붓꽃은 봄에 보라색에서 푸른 라벤더색의 꽃을 피우는 붓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건조한 초원 등에서 자생하며 대한민국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관상용 및 약재로도 사용된다.
  • 초본식물 - 시금치
    시금치는 서아시아 등지에서 기원한 녹색 잎채소로,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고, 잎 형태에 따라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에 주의해야 하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 초본식물 - 앵초
    앵초는 얕은 뿌리줄기로 번식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4~5월에 홍자색 꽃을 피우며 긴암술대꽃과 짧은암술대꽃의 이형화주성을 가지고, 동아시아 지역의 습지와 숲에서 자생하며 다양한 원예품종이 개발되었다.
털중나리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털중나리
털중나리
학명Lilium amabile
명명자Palib. 1901
분류
식물계
미분류_문속씨식물군
미분류_강외떡잎식물군
백합목
백합과
백합속
털중나리
이명
기타 정보
라틴어amabile

2. 분포 및 서식지

털중나리는 한국 특산 식물로 섬 지방을 제외한 전국의 산지에 자라는데, 깊은 산 숲 아래나 초원, 깊은 골짜기에서부터 1500m 내외의 산 정상 부근 고원 지대 풀밭에서 자란다. 경기도와 강원 산간, 휴전선 고지 등에 많이 분포하며 백두대간을 따라 백두산 산지 숲 가장자리 초원에서도 자란다. 중국 랴오닝성대한민국이 원산지이다.[3]

3. 생태

털중나리는 50cm-60cm 정도 자라며, 6-8월에 황적색 꽃이 피고 10월에 삭과가 여문다.[1] 가지는 윗부분이 약간 갈라지고 가지 전체에 잔털이 있다.[1]

3. 1. 줄기 및 비늘줄기

줄기는 50-60cm 정도 자란다. 가지는 윗부분이 약간 갈라지고 가지 전체에 잔털이 있으며 비늘줄기는 길이가 2.5cm-4cm 정도이고 계란 모양의 타원형이다.[1] 잎은 어긋나고 피침형이다.[1] 잎자루는 없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엷은 녹색으로 양면에 잔털이 촘촘히 나 있다.[1]

3. 2. 잎

털중나리의 잎은 피침형으로 어긋나게 배열된다. 잎자루는 없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엷은 녹색을 띠고, 양면에 잔털이 촘촘히 나 있다.[1]

3. 3. 꽃

6-8월에 황적색 꽃이 피는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한 개씩 달리고 1-5개가 밑을 향해 핀다. 여섯 개의 수술과 한 개의 암술이 모두 꽃 밖으로 길게 나오며 황적색 꽃밥은 길이가 1-1.3cm 정도 된다.[3] 꽃받침과 꽃잎은 붉은색이며, 때로는 짙은 붉은 오렌지색 또는 노란색을 띤다.[4] 이 식물은 불쾌하고 썩는 냄새가 난다고 묘사된다.[4]

3. 4. 열매

10월에 삭과가 여무는데 삭과는 거꾸러진 계란 모양의 넓은 타원형이며 몇 조각으로 깊게 갈라져서 갈색 씨앗이 나온다.[1]

4. 용도

털중나리는 식용, 관상용, 약용, 밀원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어린순과 잎은 나물로 먹고, 비늘줄기는 약재나 식용으로 쓴다. 화단에 관상초로 심기도 하며, 꽃에 꿀이 많아 양봉 농가의 밀원 식물로도 활용된다. 한방에서는 비늘줄기를 '권단'이라 하여 자양, 강장, 종기, 건위 등에 다른 약재와 함께 처방한다.

4. 1. 식용

어린순과 부드러운 잎, 땅속의 비늘줄기를 나물로 먹으며, 화단에는 관상초로 심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비늘줄기를 권단이라 하여 자양, 강장, 종기, 건위 등에 다른 약재와 같이 처방하여 약으로 쓴다. 꽃에는 꿀이 많아 양봉 농가의 밀원 보조 식물로도 사용된다.

4. 2. 관상용

어린순과 부드러운 잎, 땅속의 비늘줄기를 나물로 먹으며, 화단에는 관상초로 심기도 한다.

4. 3. 약용

어린순과 부드러운 잎, 땅속의 비늘줄기를 나물로 먹으며, 화단에는 관상초로 심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비늘줄기를 권단이라 하여 자양, 강장, 종기, 건위 등에 다른 약재와 같이 처방하여 약으로 쓴다. 꽃에는 꿀이 많아 양봉 농가의 밀원 보조 식물로도 사용된다.

4. 4. 밀원

털중나리는 꽃에 꿀이 많아 양봉 농가의 밀원 보조 식물로 사용된다.[1]

참조

[1] 웹사이트 "''Lilium amabile'' Palib." http://www.theplantl[...] 2014-07-12
[2] 웹사이트 "''Lilium amabile''" http://www.rhs.org.u[...]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4-07-12
[3] 웹사이트 "''Lilium amabile''" http://www.efloras.o[...] eFloras 2014-07-12
[4] 서적 Lily Reaktion Books 2013-08-15
[5] 서적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꽃 백가지2 현암사 2010-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