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오도르 키텔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오도르 키텔센은 노르웨이의 화가로, 낭만주의와 소박파 화풍으로 노르웨이 국민 예술가로 존경받는다. 그는 1857년 노르웨이 크라게뢰에서 태어나 어려운 환경 속에서 성장했으며, 17세에 미술 학교에 입학하여 독일과 프랑스에서 유학했다. 노르웨이로 돌아와 풍경화, 삽화, 트롤 그림 등 다양한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특히 노르웨이 민담 삽화로 유명세를 얻었다. 1899년부터 1910년까지 시그달에 스튜디오를 짓고 활동했으며, 말년에는 건강 악화로 1914년 사망했다. 키텔센의 작품은 노르웨이의 자연과 민속을 담아내며, 블랙 메탈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삽화가 - 메우드 안헬리카 벤
메우드 안헬리카 벤은 노르웨이 국왕의 손녀이자 왕위 계승 서열 5위인 왕족으로, 슈타이너 교육을 받고 작가로 데뷔하여 베스트셀러 1위를 기록했으며, 아버지의 자살 이후 정신 질환 인식 개선에 기여한 공로로 상을 받았다. - 노르웨이의 화가 - 크리스티안 크로그
크리스티안 크로그는 노르웨이의 화가, 저술가, 언론인으로, 사실주의에 기반하여 사회의 어두운 면모를 그림으로 표현하고 소설 《알베르틴》을 통해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 - 노르웨이의 화가 - 앙스 아르퉁
앙스 아르퉁은 독일 출신의 추상 미술가로, 바우하우스와 러시아 구성주의의 영향을 받아 추상 미술을 시작, 앵포르멜 운동에 참여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으며 20세기 미술사에 큰 발자취를 남겼다. - 1914년 사망 - 장 조레스
프랑스의 사회주의 정치인이자 역사가, 철학자인 장 조레스는 사회주의로 전향하여 프랑스 사회당의 지도자가 되었고, 드레퓌스 사건 옹호, 반전 운동을 펼치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 암살당했다. - 1914년 사망 - 존 뮤어
존 뮤어는 스코틀랜드 출신으로 시에라네바다 산맥 지형 형성 연구 등 지질학적 업적을 남기고 요세미티 국립공원 설립에 기여했으며 자연 보호 운동을 이끈 자연주의자, 작가, 환경운동가이다.
테오도르 키텔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테오도르 세베린 키텔센 |
출생 | 1857년 4월 27일 |
출생지 | 노르웨이 텔레마르크주 크라게뢰 |
사망 | 1914년 1월 21일 (56세) |
사망지 | 노르웨이 외스트폴주 이엘뢰위아 |
국적 | 노르웨이 |
직업 | 화가, 삽화가 |
경력 | |
활동 기간 | (정보 없음) |
고용주 | (정보 없음) |
소속 | (정보 없음) |
영향 | (정보 없음) |
영향 받은 인물 | (정보 없음) |
후원자 | 디트리히 마리아 올 |
작품 스타일 | |
장르 | 풍경화, 전설 및 설화 삽화 |
학력 | |
교육 | 뮌헨 미술 아카데미 |
모교 | (정보 없음) |
수상 | |
수상 내역 | 성 올라프 훈장 (1908년) |
2. 생애
테오도르 키텔센은 어린 시절 아버지를 여의고 어려운 환경 속에서 성장했다. 11살에 시계공 견습생이 되었고, 17세에 디데리히 마리아 알의 도움으로 미술 교육을 받게 되었다. 뮌헨에서 공부했으나 경제적 어려움으로 삽화가로 일하며 돈을 벌어야 했다. 파리 유학 후 노르웨이로 돌아와 자연에서 영감을 얻어 그림을 그렸으며, 로포텐 제도에서 여동생 부부와 함께 살기도 했다. 1889년에는 잉가 크리스틴 달과 결혼했다.
1899년, 키텔센 가족은 프레스트포스 근처 라우블리아에 정착하여 최고의 예술적 시기를 보냈다. 노르웨이 민담 삽화 작업에 참여했고, 1908년에는 노르웨이 왕립 성 올라브 훈장 기사 작위를 받았다. 그러나 건강 악화로 1910년 라우블리아를 떠나야 했고, 1911년 예술가 보조금을 받았다. 키텔센의 그림은 낭만주의와 나이브 페인팅 사이에 분류되며, 노르웨이에서는 국민 화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2. 1. 초기 생애
테오도르 키텔센은 노르웨이 크라게뢰의 한 연안 도시에서 부르주아 가정의 8남매 중 둘째로 태어났다. 상인이었던 아버지는 키텔센이 어렸을 때 사망하여, 키텔센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 성장했다. 11살 때 아렌달에서 시계 제조업을 배웠다. 17살이 되던 1874년, 변호사이자 예술 협회장인 디데리히 마리아 알(Diderich Maria Aall)에 의해 그의 예술적 재능이 발견되었고, 알의 지원으로 크리스티아니아(현재의 오슬로)의 빌헬름 폰 한노스(Wilhelm von Hannos) 그림 학교에 입학하게 되었다. 1876년에는 알의 지원으로 독일 뮌헨 미술원에서 풍속화를 공부했다. 그러나 1879년, 알의 지원이 끊기자 키텔센은 독일 신문과 잡지 외판원으로 돈을 벌어야 했다.1882년, 키텔센은 장학금을 받아 프랑스 파리로 유학을 갔지만, 생활이 어려워 1883년 가을에 다시 뮌헨으로 돌아갔다. 1887년, 노르웨이로 돌아온 키텔센은 자연에서 많은 영감을 얻어 풍경화와 삽화를 그렸다. 그 해 스웨덴의 민담 모음집이나 덴마크 출판사의 동화책에 삽화를 그리기도 했다. 이후 2년 동안 로포텐 제도의 어느 등대에서 여동생과 등대지기였던 처남과 함께 살며 많은 풍경화를 그렸다. 1889년에는 잉가 크리스틴 달(Inga Kristine Dahl)과 결혼하여 9명의 자녀를 두었다.
2. 2. 예술 활동
1882년, 키텔센은 국비 장학금을 받아 프랑스 파리에서 공부했다. 그러나 이듬해 자비로 독일 뮌헨으로 돌아갔다.[3] 1887년, 그는 영감을 얻을 수 있는 노르웨이의 자연 속에서 살기 위해 완전히 귀국했다. 그 후 2년 동안 로포텐 제도에서 누이와 매형과 함께 살면서 그림에 맞는 글을 쓰기 시작했다.[4]
1899년, 키텔센과 그의 가족은 프레스트포스 근처에 라우블리아라고 부르는 집과 화실에 정착했고, 그곳에서 그의 최고의 예술적 시기를 보냈다. 이 기간 동안 키텔센은 페테르 크리스텐 아스비외르센과 예르겐 모에의 노르웨이 민담에 삽화를 그리는 일을 맡았다. 1908년에는 노르웨이 왕립 성 올라브 훈장 기사 작위를 받았다. 그러나 건강 악화로 인해 1910년 라우블리아를 팔고 떠나야 했다.[5] 1911년에는 예술가 보조금을 받았다.
2. 3. 말년
키텔센은 1899년부터 1910년까지 가족과 함께 부스케루주 시그달에 있는 라우블리아(Lauvlia)라는 스튜디오에서 살았으며, 현재 이 스튜디오는 키텔센 박물관으로 쓰이고 있다. 시그달에서의 삶은 키텔센 특유의 풍경화와 익살스러운 트롤 그림을 그리는 데 많은 영감을 주었다. 그는 노르웨이 민속집 등 여러 그림을 그리며 최고의 시절을 보냈다. 1908년에는 노르웨이 왕립으로부터 기사 훈장을 받았다.1910년, 건강이 악화되어 스튜디오를 팔고 다른 곳으로 이주했으며, 결국 1914년, 5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화풍 및 평가
키텔센은 신낭만주의와 소박파 화가였으며 노르웨이에서는 유명하지만, 세계적으로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6] 그의 화풍은 신낭만주의와 소박 미술의 요소를 가지고 있었다.[6] 그는 국민 예술가로서 노르웨이에서 존경받고 널리 알려져 있지만, 국제적인 주목은 그다지 받지 못했다.[6] 이 때문에 그의 이름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화가 및 예술가 명단에 자주 포함되지 않는다.[6]
4. 주요 작품
테오도르 키텔센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4. 1. Svartedauen (흑사병)
5. 키텔센 박물관
키텔센은 가족과 함께 1899년부터 1910년까지 부스케루주 시그달에 있는 라우블리아(Lauvlia)라는 이름의 스튜디오에서 살았으며, 현재 이 스튜디오는 키텔센 박물관으로 쓰이고 있다.[7] 시그달에서의 삶은 키텔센 특유의 풍경화와 익살스러운 트롤 그림을 그리는 데 많은 영감을 주었다. 1910년 건강이 악화되어 자신의 스튜디오를 팔고 다른 곳으로 이주하였다.
- '''라우블리아''': 1899년부터 1910년까지 키텔센의 집이었던 라우블리아는 시그달에 있으며, 프레스트포스 북쪽 287번 국도를 따라 소네렌 호수의 아름다운 경치를 감상할 수 있다. 특히 호수를 내려다보는 몇 킬로미터 북쪽에 있는 안데르스나텐 산은 키텔센의 가장 유명한 풍경화의 영감이 되었다. 오늘날 라우블리아는 키텔센의 원본 작품을 전시하는 개인 박물관이다. 라우블리아는 키텔센이 직접 조각한 목각 작품과 벽화로 장식되어 있다. 매년 어린이들을 위한 그림 그리기와 드로잉 활동과 함께 키텔센 원본 작품의 새로운 전시회가 열린다. 전시된 그림들은 매년 교체된다.[7]
- '''블로파르베르케트의 테오도르 키텔센 박물관''': 코발트 광산 옆 스쿠테루드호이덴 능선에 있다. 자연, 숲, 산, 그리고 트롤에 대한 키텔센의 시적인 해석은 조각된 가구, 유화, 수채화, 그리고 드로잉 형태로 전시되어 있다. 매년 새로운 전시회가 열린다.
- '''키텔센의 생가''': 크라게뢰에서 키텔센이 자란 집 또한 현재 그의 유산을 기리는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6.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블랙 메탈 및 포크 메탈 밴드인 부르줌, 엠피리움, 오티그, 사티리콘 등이 키텔센의 그림 중 일부를 앨범 아트에 사용했는데, 특히 키텔센의 책 『Svartedauen|검은 죽음no』에 수록된 삽화들이 많이 사용되었다.[8] 뮤지션 필 엘버럼은 2017년 앨범 A Crow Looked at Me의 열 번째 곡 제목을 키텔센의 그림 "소리아 모리아(Soria Moria)"에서 따왔으며, 이를 자신의 슬픔을 표현하는 삽화로 사용했다. 키텔센의 160번째 생일은 2017년 4월 27일 구글 두들로 기념되었으며, 이를 통해 노르웨이 밖에서도 어느 정도 인지도를 얻게 되었다.[8]
7. 삽화를 그린 책
테오도르 키텔센이 삽화를 그린 책은 다음과 같다.[9][14]
제목 | 연도 |
---|---|
소소한 상황에서의 삶 1-2 | 1889–1890 |
로포텐에서 1-2 | 1890–1891 |
마법 | 1892 |
글레메보겐 | 1892 |
동물에게 영혼이 있을까? | 1894 |
걸레 수집가 | 1894 |
동물의 왕국에서 | 1896 |
격언 | 1898 |
흑사병 | 1900 |
그림과 말 | 1901 |
사람과 트롤. 기억과 꿈 | 1911 |
소리아 모리아 성 | 1911 |
거짓말과 저주받은 시 | 1912 |
헤임스크링글라 | 1914 |
참조
[1]
웹사이트
Theodor Kittelsen – tusenkunstneren fra Kragerø
http://www.kittelsen[...]
2008-05-13
[2]
웹사이트
Theodor Kittelsen
https://nbl.snl.no/T[...]
2020-12-01
[3]
웹사이트
Kittelsen, Theodor - English Sparebankstiftelsen
https://sparebanksti[...]
[4]
웹사이트
Theodor Kittelsen
https://nkl.snl.no/T[...]
2020-12-01
[5]
웹사이트
Theodor Kittelsen
http://www.gonorway.[...]
[6]
웹사이트
Theodor Severin Kittelsen 150th Anniversary
http://www.posten.no[...]
2007-04-27
[7]
웹사이트
Lauvlia - Theodor Kittelsen's Home
http://www.olavsrosa[...]
[8]
웹사이트
Theodor Kittelsen’s 160th Birthday
https://doodles.goog[...]
2023-03-17
[9]
서적
Theodor Kittelsen: Drawings and Watercolours
Dreyer
1975
[10]
웹사이트
Theodor Kittelsen – tusenkunstneren fra Kragerø
http://www.kittelsen[...]
2008-05-13
[11]
웹사이트
Theodor Kittelsen
http://www.gonorway.[...]
[12]
웹사이트
Theodor Severin Kittelsen 150th Anniversary
http://www.posten.no[...]
2007-04-27
[13]
웹사이트
Lauvlia - Theodor Kittelsen's Home
http://www.olavsrosa[...]
[14]
서적
Theodor Kittelsen: Drawings and Watercolours
Dreyer
197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