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트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트론(TEPP)은 살충제로 사용되었던 유기인산염 화합물이다. 1854년 블라디미르 모쉬닌에 의해 처음 합성되었으며, 필리프 드 클레르몽도 TEPP 연구에 기여했다. TEPP는 트리에틸 인산과 인산옥시염화물 또는 오산화 인의 반응, 인산 디에틸 클로라이드의 가수분해, 디벤질인산의 탈수 반응 등의 방법으로 합성된다.
TEPP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 억제제로 작용하며, 온혈동물에게 매우 유독하여 호흡 부전 또는 심정지를 일으킬 수 있다. 냉혈동물에게는 적혈구 및 백혈구 감소, 마비 등의 영향을 미친다.
과거에는 진딧물, 진드기 등 해충 방제에 사용되었으며, 중증 근무력증 치료에도 사용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50년에 농약으로 등록되어 사용되었으나, 1969년에 농약 등록 효력이 상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틸 에스터 - 암로디핀
암로디핀은 디히드로피리딘계 칼슘 채널 차단제로, 고혈압과 협심증 치료에 사용되며 혈관을 이완시켜 혈압을 낮추고 심근으로의 산소 공급을 증가시키지만, 말초 부종이나 현기증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특정 질환에서는 사용이 금지된다. - 에틸 에스터 - 다비가트란
다비가트란은 심방세동 환자의 뇌졸중 및 전신색전증 예방, 심부정맥혈전증 및 폐색전증 위험 감소에 사용되는 직접 트롬빈 억제제이지만, 와파린과 효과는 유사하나 출혈 위험이 다르며 안전성 문제가 제기된 약물이다. - 피로인산염 - 유리딘 이인산
- 피로인산염 - 고에너지 인산 결합
고에너지 인산 결합은 인산 유도체가 탈수되어 형성되는 산 무수물 결합으로, ATP 가수분해 시 에너지를 방출하며 세포 과정에 에너지를 제공하고 물질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결합이다. -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 억제제 - 다이아지논
다이아지논은 1952년 스위스에서 개발된 살충제로,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 억제제로 작용하며 척추동물에 독성이 있어 주거용 사용이 금지되었다. -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 억제제 - 도네페질
도네페질은 알츠하이머 치매 증상 진행 억제제로 사용되며 인지 기능 개선 효과가 있고, 루이체 치매 치료제로 승인받았으며 기능성 소화 불량에도 사용될 수 있다.
테트론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 | |
PIN | 테트라에틸 다이포스페이트 |
기타 이름 | 테트라에틸 피로포스페이트 TEPP |
식별자 | |
CAS 등록번호 | 107-49-3 |
ChEMBL | 293787 |
EC 번호 | 203-495-3 |
UNII | 28QKT80KX2 |
RTECS | UX6825000 |
UN 번호 | 3018 2783 |
ChEBI | 82149 |
KEGG | C19017 |
PubChem | 7873 |
ChemSpider ID | 7585 |
SMILES | O=P(OP(=O)(OCC)OCC)(OCC)OCC |
InChI | 1/C8H20O7P2/c1-5-11-16(9,12-6-2)15-17(10,13-7-3)14-8-4/h5-8H2,1-4H3 |
InChIKey | IDCBOTIENDVCBQ-UHFFFAOYAI |
표준 InChI | 1S/C8H20O7P2/c1-5-11-16(9,12-6-2)15-17(10,13-7-3)14-8-4/h5-8H2,1-4H3 |
표준 InChIKey | IDCBOTIENDVCBQ-UHFFFAOYSA-N |
속성 | |
분자식 | C8H20O7P2 |
몰 질량 | 290.189 |
겉모습 | 무색에서 호박색 액체 |
냄새 | 희미한 과일 향 |
밀도 | 1.19 g/mL (20°C) |
녹는점 | -32°C |
끓는점 | 분해됨 |
용해도 | 혼화성 |
증기압 | 0.0002 mmHg (20°C) |
위험성 | |
GHS 그림 문자 | |
신호어 | 위험 |
H-구 | H300 H310 H400 |
P-구 | P262 P264 P270 P273 P280 P301+310 P302+350 P310 P321 P322 P330 P361 P363 P391 P405 P501 |
NFPA 704 | 건강: 4 화재: 1 반응성: 1 기타: 해당 없음 |
PEL (허용 노출 한도) | TWA 0.05 mg/m3 [피부] |
IDLH (즉시 위험한 농도) | 5 mg/m3 |
REL (권장 노출 한도) | TWA 0.05 mg/m3 [피부] |
LDLo (최저 치사량) | 0.5 mg/kg (쥐, 경구) 2.3 mg/kg (기니피그, 경구) 3 mg/kg (생쥐, 경구) |
2. 합성
TEPP는 다양한 방법으로 합성될 수 있다. 드 클레르몽과 모스닌은 알렉산더 윌리엄슨(윌리엄슨 에테르 합성)의 이전 연구를 기반으로 합성을 진행했다.[17] 관련된 테트라벤질피로인산염은 디벤질인산의 탈수 반응으로 제조된다.[10]
:2(RO)2P(O)OH → [(EtO)2P(O)]2O + H2O
2. 1. 드 클레르몽과 모스닌의 합성
아이오딘화 에틸과 은 염을 사용하여 피로인산염과 함께 에스테르를 형성한다.[6]:Ag4P2O7 + 4EtI → [(EtO)2P(O)]2O + 4AgI
2. 2. 상업적 생산
테트라에틸피로인산(TEPP)의 상업적 생산 경로는 종종 슈라더, 우드스톡 및 토이가 개발한 방법을 사용한다. 트리에틸 인산은 인산옥시염화물(슈라더의 방법) 또는 오산화 인(우드스톡의 방법)과 반응한다.[7][8] 인산 디에틸 클로라이드의 제어된 가수분해를 통해 화합물을 얻을 수도 있다.[20][9]2. 3. 기타 합성법
관련된 테트라벤질피로인산염은 디벤질인산의 탈수 반응으로 제조된다.[10]3. 가수분해
TEPP와 대부분의 다른 유기인산염은 가수분해에 민감하다.[11] 가수분해되면 디에틸 포스페이트가 생성된다.[11][12]
4. 독성
TEPP는 사람을 포함한 모든 온혈 동물에게 매우 유독하며,[13] 냉혈 동물에게는 그 영향이 약간 다르다.
4. 1. 작용 기전
TEPP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 억제제로 생리 활성을 나타낸다. 활성 부위에서 세린 하이드록실기와 반응하여 이 효소가 정상적인 기질인 신경 전달 물질 아세틸콜린에 작용하는 것을 막는다.[13]TEPP는 사람을 포함한 모든 온혈 동물에게 매우 유독하며,[13] 실험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의 영향이 나타났다.
사망은 주로 호흡 부전으로 인해 발생하며, 일부 경우에는 심정지로 이어진다. 흡수 경로는 특정 시스템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의 원인이 될 수 있다.[14]
냉혈 동물에게는 그 영향이 약간 다르다. 개구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급성 노출은 혈액 내 적혈구 양의 감소를 유발했다. 백혈구, 특히 중성 과립구와 림프구의 감소도 있었다. 혈구 손실을 설명할 혈관 손상은 보이지 않았다. 또한 온혈 동물에서와 같은 과다 타액 분비나 눈물과 같은 징후는 없었지만, 저긴장증으로 인한 마비가 있었다.[15] 온혈 동물에 대해서도 강한 독성을 나타내며, 경구 섭취, 근육 내 섭취를 통해 중추 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파라티온과 유사한 독성을 나타낸다. 급성 독성은 경구 투여의 경우, LD50 7mg/kg (마우스에서의 값)이다.
4. 2. 급성 독성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 억제제인 테트라에틸 피로포스페이트(TEPP)는 온혈 동물에 대해 강한 독성을 나타내며, 경구 및 근육 내 섭취 시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파라티온과 유사한 독성을 보인다.[13]실험 연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의 영향이 나타났다.[14]
사망은 주로 호흡 부전으로 인해 발생하며, 일부 경우에는 심정지로 이어진다. 흡수 경로는 특정 시스템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의 원인이 될 수 있다.[14]
4. 3. 냉혈 동물에 대한 영향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 억제제인 TEPP는 냉혈 동물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개구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급성 노출은 혈액 내 적혈구 감소를 유발했다. 백혈구, 특히 중성 과립구와 림프구의 감소도 있었다. 혈구 손실을 설명할 혈관 손상은 보이지 않았다. 또한 온혈 동물에서와 같은 과다 타액 분비나 눈물과 같은 징후는 없었지만, 저긴장증으로 인한 마비가 있었다.[15]5. 역사
TEPP는 1854년 아돌프 부르츠와 함께 연구하던 블라디미르 모쉬닌에 의해 처음 합성되었다. 동료 학생인 필리프 드 클레르몽은 두 개의 출판물에서 모쉬닌의 우선성을 인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종종 TEPP의 발견자로 잘못 알려져 있다.[1]
TEPP의 잠재적 독성에 대한 무지는 드 클레르몽 자신이 TEPP의 맛을 불쾌한 맛과 독특한 냄새로 묘사한 데서 드러난다.[17] 그 후 수년 동안 다른 화학자들에 의해 TEPP가 반복적으로 합성되었지만, 1930년대까지 어떤 유해한 영향도 관찰되지 않았다. 필리프 드 클레르몽은 90세에 사망할 때까지 가족으로부터 아픈 보고를 받은 적이 없다. 한편, 유기 인 화합물 화학은 A. W. 폰 호프만, 칼 아르놀트 아우구스트 미카엘리스, 알렉산드르 아르부조프의 도움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18]
1932년에 TEPP와 유사한 화합물의 첫 번째 유해한 영향이 보고되었다. 빌리 랑에와 게르다 폰 크루거가 그러한 영향을 처음 보고했다.[19]
1935년부터 독일 정부는 새로운 독성 물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시작했고, 그중 일부는 독일 국방부에 의해 기밀로 분류되었다.[18] 게르하르트 슈레이더는 유기 인 살충제와 신경 가스에 대한 연구로 유명해졌으며, TEPP를 연구한 화학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생물학적 측면에 대한 연구에서 이 시약이 살충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이는 이 화합물을 기밀로 분류하는 것이 상업 회사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했다.[18]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 무렵 TEPP는 콜린에스테라제의 효소 억제제임이 밝혀졌다.[17] 슈레이더는 1939년 TEPP의 작용 메커니즘을 처음 인식한 에버하르트 그로스의 연구를 언급했다. 한스 그레멜스의 연구를 포함한 더 많은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그는 그로스의 연구를 확인했다.[18] 그레멜스는 당시 신경 가스 개발에도 참여했다. 그의 연구에는 여러 종의 동물과 인간 자원 봉사자가 참여했다. 그 무렵 아트로핀은 TEPP의 항콜린에스테라제 활성에 대한 가능한 해독제로 발견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슈레이더는 다른 많은 독일 과학자들과 함께 영국 과학자들의 심문을 받았다. 전쟁 중 영국은 적을 놀라게 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화학 무기를 개발하고 있었다. 이 심문에서 TEPP 및 기타 살충제의 존재가 공개되었다. 그러나 슈레이더에 의해 공개된 신경 가스의 존재는 군대에 의해 비밀로 유지되었다.[20]
6. 응용
TEPP는 진딧물, 진드기, 거미, 깍지벌레, 멸구, 노린재, 총채벌레, 잎채집벌레 및 기타 여러 해충에 대한 살충제이다.[4] TEPP 및 기타 유기인산염은 효과가 좋고, 쉽게 분해되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적어 미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살충제이다.
TEPP는 자가면역 질환인 중증 근무력증 치료에 사용되었다. 이 치료법은 근력을 증가시킨다.[5]
7. 대한민국에서의 사용
1950년 8월 3일 유기 인계 농약 첫 번째 제품으로 등록되었다. "테프"나 "니카린"이라는 상품명으로 벼의 멸구, 과수, 화훼, 채소의 진딧물, 뽕나무의 뽕나무이나 잎벌레 구제 등에 사용되었지만, 1969년 12월 31일에 효력이 상실되었다.
참조
[1]
간행물
0590
PGCH
[2]
간행물
TEPP
IDLH
[3]
서적
Insect Control
Ullmann's
[4]
논문
Tests with Acaricides against the Brown Wheat Mite12
[5]
논문
Some Ocular Effects of a new Anticholinesterase Agent*
https://doi.org/10.1[...]
1950-06-20
[6]
논문
History of organophosphorus cholinesterase inhibitors & reactivators
[7]
서적
Thin-Layer and Liquid Chromatography and Pesticides of International Importance: Analytical Methods for Pesticides and Plant Growth Regulator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1973
[8]
서적
Report on "no Residue" and "zero Tolerance".
https://books.google[...]
National Academies
1965
[9]
논문
Reactions of Dialkyl Phosphites. Synthesis of Dialkyl Chlorophosphates, Tetraalkyl Pyrophosphates, and Mixed Orthophosphate Esters
[10]
논문
Tetrabenzyl Pyrophosphate
[11]
논문
Enzymes involved in the detoxification of organophosphorus, carbamate and pyrethroid insecticides through hydrolysis
2002-03-10
[12]
논문
Biotransformation of organophosphorus compounds
2001-09-25
[13]
웹사이트
Benfluralin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SDB Database
http://toxnet.nlm.ni[...]
2016-03-08
[14]
서적
Veterinary Toxicology
Bailliere Tindal
[15]
논문
Hematological effects of organophosphate insecticides in the frog (Rana pipiens)
1965-06-01
[16]
서적
The Chemistry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Springer
[17]
논문
The synthesis of phosphor ethers: who was Franz Anton Voegeli?
2009-04-01
[18]
서적
Cholinesterases and Anticholinesterase Agent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963
[19]
논문
Toxicity of phosphor esters: Willy Lange (1900-1976) and Gerda von Krueger (1907-after 1970)
2010-10-01
[20]
논문
The Preparation of Tetraethyl Pyrophosphate and Other Tetraalkyl Pyrophosphates
[21]
간행물
0590
PGCH
[22]
간행물
TEPP
IDL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