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텐리 올브라이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텐리 올브라이트는 미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자 외과 의사이다. 11세에 소아마비를 앓았음에도 불구하고, 1952년 동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1956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하며 미국 여자 선수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 195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여 미국 여자 선수 최초로 세계 챔피언이 되었으며, 1955년에는 미국, 북미, 세계 선수권 대회를 모두 석권하는 트리플을 달성했다. 선수 생활 은퇴 후에는 하버드 의학대학원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외과 의사로 활동했으며, 하버드 의과대학 교수를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2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딕 버튼
    딕 버튼은 미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올림픽 2회 금메달, 전미 선수권 7연패, 세계 선수권 5회 우승을 하였으며, 해설가 및 제작자로도 활동했다.
  • 1952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존 닉스
    존 닉스는 영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자 코치로, 195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은퇴 후에는 코치로 활동하며 2000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1956년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 - 캐럴 하이스
    캐럴 하이스는 미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자 배우로, 올림픽 메달과 세계 선수권 5연패를 달성했으며 영화 출연 후 피겨 스케이팅 코치로도 활동했다.
  • 1956년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 - 마들렌 베르토
    마들렌 베르토는 임시로 관련 내용을 다루는 인물 또는 항목이며, 추가 정보가 필요하다.
  • 뉴턴 (매사추세츠주) 출신 - 존 크러진스키
    존 크랜신스키는 《오피스》의 짐 핼퍼트 역으로 유명한 미국의 배우, 감독, 작가, 프로듀서이며, 《콰이어트 플레이스》 시리즈 감독 및 제작,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출연, 《굿 뉴스》 웹 시리즈 제작 등 다방면으로 활동하고 있다.
  • 뉴턴 (매사추세츠주) 출신 - 제임스 해리스 사이먼스
    제임스 해리스 사이먼스는 수학자, 헤지 펀드 매니저, 자선 사업가로, 1982년 르네상스 테크놀로지를 설립하여 알고리즘 트레이딩으로 성공했으며, 사이먼스 재단을 통해 다양한 분야를 지원하다가 2024년 사망했다.
텐리 올브라이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53년 올브라이트
1953년 올브라이트
전체 이름텐리 에마 올브라이트
출생일1935년 7월 18일
출생지매사추세츠주 뉴턴 센터
거주지매사추세츠주 체스트넛힐
스케이팅 클럽보스턴 스케이팅 클럽
은퇴1956년
경력
종목여자 피겨 스케이팅
코치마리벨 빈슨
올림픽금메달, 1956 코르티나담페초, 여자 싱글
은메달, 1952 오슬로, 여자 싱글
세계 선수권 대회금메달, 1953 다보스, 여자 싱글
은메달, 1954 오슬로, 여자 싱글
금메달, 1955 빈, 여자 싱글
은메달, 195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여자 싱글
북미 선수권 대회금메달, 1953 클리블랜드, 여자 싱글
금메달, 1955 리자이나, 여자 싱글
동메달, 1951 캘거리, 여자 싱글
기타 정보
명예의 전당 헌액 년도1976년
학력하버드 의과대학

2. 피겨 스케이팅 선수 경력

올브라이트는 11세에 소아마비를 앓았지만[9], 1952년 동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뛰어난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1953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여 미국 여자 선수 최초로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 1956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할 때까지, 올브라이트는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2개, 은메달 2개를 획득했다.

1956년 코르티나담페초 동계 올림픽에서 올브라이트는 올림픽을 2주 앞두고 연습 중 큰 부상을 입었으나, 외과 의사인 아버지의 치료를 받고 본선에서 최고의 연기를 펼쳐 심판 11명 중 10명에게 1위로 평가받아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미국 여자 선수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이었다.

올브라이트는 1956년에 은퇴했다. 대부분의 상위 선수들과 다르게 프로로 전향하지 않고, 하버드 메디컬 스쿨로 진학하여 1961년에 의학박사(M.D.) 학위를 취득한 후 외과의사가 되었다.

1956년 올림픽

2. 1. 어린 시절 및 소아마비 극복

텐리 올브라이트는 매사추세츠주 뉴턴에서 태어났다.[3] 외과 의사인 아버지의 영향으로 스포츠 활동을 시작했고, 아버지는 매년 겨울 집 뒤뜰에 스케이트장을 만들어 주었다. 올브라이트는 아홉 살 때 이미 얼음 위에서 숫자 8을 그릴 수 있을 정도로 스케이팅에 재능을 보였다.

11세 때인 1947년, 올브라이트는 소아마비를 앓았다.[9][4][3] 이로 인해 근육이 약해지고 위축되었지만, 보스턴 스케이팅 클럽에서 훈련하며 재활에 힘썼다. 올브라이트는 훗날 "소아마비는 당신의 근육을 인식하게 하고 다시는 사용하지 않도록 내버려두고 싶지 않게 만들기 때문"이라고 회상하며 재활 과정이 자신에게 큰 활력을 주었다고 말했다.[4][3]

올브라이트는 선수 시절 윌리 프릭과 마리벨 빈슨에게 지도를 받았다.

2. 2. 주요 선수 경력

올브라이트는 선수 시절 윌리 프릭과 마리벨 빈슨에게 지도를 받았다.[9] 11세 때 소아마비를 앓았지만,[4][3] 재활을 위해 보스턴 스케이팅 클럽에서 훈련을 시작했다.[9] 13세에 미국 내셔널 노비스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 14세에 미국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한 후 16세부터 5회 연속 전미 선수권 대회 타이틀을 획득했다.[3]

1952년 동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9] 1953년에 첫 세계 선수권 타이틀을, 1954년에 은메달, 1955년에 두 번째 금메달, 1956년에 네 번째 메달인 은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선수권 타이틀을 획득한 최초의 미국 여자 스케이터가 되었다. 1955년에는 미국, 북미, 세계 선수권 대회를 모두 우승했다. 래드클리프 칼리지에서 예과 학생으로 재학하면서 이 업적을 달성했다.[3]

1956년, 올림픽 훈련 중 얼음 틈에 걸려 넘어지면서 왼쪽 스케이트로 오른쪽 발목 관절을 뼈까지 베었다. 상처는 외과 의사인 아버지에 의해 꿰매졌다. 1956년 동계 올림픽에서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미국 여자 스케이터가 되었다.

올브라이트는 1956년 이후 선수 생활을 은퇴했다. 프로로 전향하지 않았으며,[9] 1982년 미국 올림픽 위원회 부회장이 되었다.[1]

주요 선수 경력
대회/연도1950-511951-521952-531953-541954-551955-56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전미 선수권 대회


3. 은퇴 후 의학 경력

윈저 스쿨을 졸업한 올브라이트는 1953년 래드클리프 칼리지에 예비 의학 전공으로 입학하여, 1956년 올림픽 이후 학업에 집중했다. 1961년 24세의 나이로 하버드 의과대학을 졸업하고,[5] 외과 의사가 되어, 23년 동안 진료하며 하버드 의과대학 교수로 재직했다. 국립보건원의 국립 의학 도서관 이사회를 이끌기도 했다. 화이트헤드 생의학 연구소, 우즈홀 해양학 연구소 등 비영리 단체와 웨스트 제약 서비스, 스테이트 스트리트 은행 등 영리 기업의 이사로도 활동했다.[6]

1976년 미국 동계 올림픽 팀 주치의를 맡았으며, 같은 해 아메리칸 아카데미 오브 어치브먼트에서 골든 플레이트 상을 받았다.[7] 1983년에는 국제 여성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5]

올브라이트는 어린 시절 소아마비로 입원했던 경험을 계기로 의료인의 길을 걷게 되었다고 한다.

4. 개인사

텐리 올브라이트는 보스턴의 저명한 외과 의사인 홀리스 올브라이트의 딸로 태어났다. 1962년부터 1976년까지 변호사이자 윌리엄 튜더 가디너의 아들인 튜더 가디너와 결혼했다. 1981년부터 2021년까지는 전 리츠칼튼 호텔 소유주인 제럴드 블레이클리와 결혼했는데, 그는 우즈 홀과의 인연을 공유했으며 모어하우스 의과대학의 의장이었다. 블레이클리는 2021년 7월 2일에 사망했다.[8]

1961년 12월 31일 결혼하는 텐리 올브라이트와 튜더 가디너

5. 수상 및 영예

1952년 전미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같은 해 오슬로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1953년 세계 피겨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여 미국 여자 선수 최초로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1]

1956년 코르티나 담페초 올림픽에서는 올림픽을 2주 앞두고 연습 중 얼음 틈에 발이 걸려 넘어지는 사고를 당했다. 왼쪽 스케이트가 오른쪽 부츠를 뚫고 들어가 정맥을 절단, 뼈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큰 부상이었다. 그러나 이틀 후 외과 의사인 아버지가 치료했고, 본선에서 최고의 연기를 펼쳐 심판 11명 중 10명에게 1위로 평가받아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미국 여자 선수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이었다.[1]

6. 주요 경기 결과

대회195119521953195419551956
올림픽2위1위
세계 선수권 대회6위기권1위2위1위2위
북미 선수권 대회3위1위1위
전미 선수권 대회2위1위1위1위1위1위
동부 구역 선수권 대회1위1위


참조

[1] Sports-Reference Tenley Albright https://www.sports-r[...]
[2] 웹사이트 10 women honored at Hall of Fame induction http://www.democrata[...] 2015-10-03
[3] 서적 Women in sports : the complete book on the world's greatest female athletes General Publishing Group 1997
[4] 간행물 Life Magazine 1953-03-02
[5] 서적 Women in sports : the complete book on the world's greatest female athletes General Pub. Group 1997
[6] 웹사이트 Tenley E. Albright, MD http://web.mit.edu/c[...] 2017-07-21
[7]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8] 웹사이트 http://investing.bus[...] 2013-07-23
[9] 간행물 Life Magazine 1953-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