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텔로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텔로스(τέλος, télos)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서 '목표'를 의미하는 용어로, 특히 시학에서 플롯 구조의 '텔레우테'(끝)와 동의어로 사용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인간 활동에 텔로스가 있다고 보았으며, 정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다른 분야는 정치에 종속된다고 여겼다. 또한, 텔로스는 인간 노력의 최고 목표로 이해될 수 있으며, 테크네(techne)와 연관되어 객체를 생산하거나 목표를 달성하는 데 관련된 합리적인 방법으로 사용된다. 현대 철학에서는 사이버네틱스, 행위 이론, 마르크스주의 등에서 목적론적 어휘로 사용되며, 소셜 미디어 플랫폼 분석에도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그리스 철학의 이론 - 고대 원소
    고대 원소는 엠페도클레스에 의해 체계화되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발전된 흙, 물, 불, 공기로, 서양 철학, 과학, 의학, 연금술에 영향을 미쳤으며, 르네상스 시대 이후 과학적 중요성은 퇴색했으나 인간 심리와 상상력 영역에서 재평가되었고 동양 철학의 유사한 원소 개념에도 나타난다.
  • 목적론 - 목적론적 논증
    목적론적 논증은 우주의 질서와 생명체의 복잡성을 지적 설계자의 결과로 보는 논증으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서 기원하여 종교 신학에서 신의 존재 증명에 사용되었으나, 진화론과 비판론자들에 의해 반박받고, 현대에도 새로운 형태로 제시되면서 다양한 사상적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 목적론 - 결과주의
    결과주의는 행위의 도덕적 가치를 결과에 따라 평가하는 윤리 이론으로, 공리주의, 규칙 결과주의, 국가 결과주의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최선의 결과 추구라는 공통점 아래 '최선의 결과'의 정의와 달성 방식에 대한 다양한 견해와 핵심 쟁점을 가진다.
  • 고대 그리스 형이상학의 개념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고대 그리스 형이상학의 개념 - 질료
    질료는 철학에서 사물의 근본을 이루는 물질적 요소 또는 재료를 의미하며, 고대 철학에서 기원하여 현대 철학, 미학, 디자인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지고 한국 철학에서는 기(氣) 개념과의 관련성을 통해 재해석되고 있다.
텔로스

2.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서의 텔로스

'''텔로스'''(télos/τέλοsgrc)는 아리스토텔레스가 그의 저술에서 일관되게 사용한 용어로, 여러 경우에 '목표'를 의미한다.[4]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 플롯 구조에 대한 담론에서 '텔레우테'(끝)와 동의어로 간주된다.[4]

아리스토텔레스는 ''텔로스''가 모든 형태의 인간 활동을 포괄할 수 있다고 보았다.[5] 예를 들어, 전쟁의 ''텔로스''는 승리이고, 사업의 ''텔로스''는 의 창출이라고 말할 수 있다. 모든 활동이 고유의 목표를 가지므로, 다른 ''텔로스''에 종속되는 ''텔로스''가 존재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이러한 종속적인 ''텔로스''는 더 근본적인 ''텔로스''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5]

이러한 개념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치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다른 모든 분야는 정치에 종속된다고 보았다. 그는 대장장이의 ''텔로스''는 칼을 생산하는 것이고, 그 칼을 도구로 사용하는 검객의 ''텔로스''는 적을 죽이거나 무력화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6] 반면에, 이러한 직업의 ''텔로스''는 국가의 방향과 복지를 감독해야 하는 통치자의 목적의 일부일 뿐이다.[6]

또한, 텔로스는 "인간의 노력의 최고 목표"로 이해될 수 있다.[7] 키케로는 선악의 종말에 관하여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쾌락과 고통은 또한 욕망과 회피의 동기를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행동의 원천이 된다. 그러므로, 행동은 쾌락의 삶을 달성하는 수단으로서만 옳고 칭찬받을 만하다는 것이 분명하게 따른다. 그러나 그 자체로 다른 어떤 것의 수단이 아니고, 다른 모든 것이 그것의 수단이 되는 것은 그리스인들이 텔로스(Telos)라고 부르는 것으로, 최고, 궁극, 또는 최종 선이다. 그러므로 최고선은 유쾌하게 사는 것이라고 인정해야 한다."[8]

2. 1. 텔로스의 의미와 중요성

'''텔로스'''(télos/τέλοsgrc)는 아리스토텔레스가 그의 저술에서 일관되게 사용한 용어로, 여러 경우에 '목표'를 의미한다.[4]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 플롯 구조에 대한 담론에서 '텔레우테'(끝)와 동의어로 간주된다.[4]

아리스토텔레스는 ''텔로스''가 모든 형태의 인간 활동을 포괄할 수 있다고 보았다.[5] 예를 들어, 전쟁의 ''텔로스''는 승리이고, 사업의 ''텔로스''는 의 창출이라고 말할 수 있다. 모든 활동이 고유의 목표를 가지므로, 다른 ''텔로스''에 종속되는 ''텔로스''가 존재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이러한 종속적인 ''텔로스''는 더 근본적인 ''텔로스''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5]

이러한 개념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치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다른 모든 분야는 정치에 종속된다고 보았다. 그는 대장장이의 ''텔로스''는 칼을 생산하는 것이고, 그 칼을 도구로 사용하는 검객의 ''텔로스''는 적을 죽이거나 무력화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6] 반면에, 이러한 직업의 ''텔로스''는 국가의 방향과 복지를 감독해야 하는 통치자의 목적의 일부일 뿐이다.[6]

또한, 텔로스는 "인간의 노력의 최고 목표"로 이해될 수 있다.[7] 키케로는 선악의 종말에 관하여에서 "최고선은 유쾌하게 사는 것"이라고 언급하며, 쾌락과 고통이 욕망과 회피의 동기를 제공하고 행동의 원천이 된다고 설명했다.[8]

2. 2. 정치와 텔로스

2. 3. 키케로의 인용

2. 4. 텔로스와 테크네(techne)

'''텔로스'''(Telos)는 객체를 생산하거나 목표 또는 목적을 달성하는 데 관련된 합리적인 방법인 '''테크네(techne)'''라는 개념과 연관되어 있다.[9] 예를 들어, 테우스/타무스 신화에서 ''테크네''를 다루는 부분은 ''텔로스''와 ''테크네''를 함께 언급했다.[9] 그러나 이 두 가지 방법은 원칙적으로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 글쓰기는 생산 활동의 결과가 그 너머(''para'')에 있기 때문에 ''테크네''의 한 형태로 간주되는 반면, 보기의 경우 활동이 수행되는 순간 그 자체 외에 남는 것이 없다.[10]

마르틴 하이데거는 글쓰기와 보기를 예시로 들어 이를 설명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소피아''(철학적 성찰의 ''아레테'' 또는 탁월함이라고도 함)를 ''테크네''의 완성 또는 최종 원인(''텔로스'')으로 지정했다.[11] 하이데거는 제작자의 영혼인 ''에이도스''(eidos)가 만들어진 것(''에르곤''ergon)의 ''아르케''(arche)로 취급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념화를 설명하려고 시도했다.[12] 이 유추에서 텔로스는 ''아르케(arche)''를 구성하지만, ''테크네''의 처분에 따라 일정 정도 다르다.[12]

3. 현대 철학에서의 텔로스

목적, 즉 텔로스(그리스어: telos/τέλοςgrc)의 개념은 사이버네틱스의 기초를 형성했으며, 현재는 지능적인 소셜 머신으로서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대한 현대적 분석의 일부가 되었다.[13]

행위 이론 또한 목적론적 어휘를 필수적으로 사용한다. 도널드 데이비슨의 관점에서, '행위'는 행위자가 의도를 가지고 하는 어떤 것, 즉 그 행위를 통해 달성될 어떤 목적을 기대하는 것이다.[14] '행위'는 인간의 텔로스를 실현하는 데 필요한 단계로 간주되며, 습관으로 이어진다.[14]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역사적 변화는 사회 경제적 구조 (또는 "법칙")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동시에 계급 투쟁의 텔로스 실현의 전제 조건이자 한계이다.[15]

3. 1. 행위 이론

목적, 즉 텔로스(그리스어: telos/τέλοςgrc)의 개념은 사이버네틱스의 기초를 형성했으며, 현재는 지능적인 소셜 머신으로서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대한 현대적 분석의 일부가 되었다.[13]

행위 이론 또한 목적론적 어휘를 필수적으로 사용한다. 도널드 데이비슨의 관점에서, '행위'는 행위자가 의도를 가지고 하는 어떤 것, 즉 그 행위를 통해 달성될 어떤 목적을 기대하는 것이다.[14] '행위'는 인간의 텔로스를 실현하는 데 필요한 단계로 간주되며, 습관으로 이어진다.[14]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역사적 변화는 사회 경제적 구조 (또는 "법칙")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동시에 계급 투쟁의 텔로스 실현의 전제 조건이자 한계이다.[15]

3. 2. 사이버네틱스와 소셜 미디어

목적, 즉 텔로스(telos)의 개념은 사이버네틱스의 기초를 형성했으며, 현재는 지능적인 소셜 머신으로서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대한 현대적 분석의 일부가 되었다.[13]

행위 이론 또한 목적론적 어휘를 필수적으로 사용한다. 도널드 데이비슨의 관점에서, '행위'는 행위자가 의도를 가지고 하는 어떤 것, 즉 그 행위를 통해 달성될 어떤 목적을 기대하는 것이다.[14] '행위'는 인간의 텔로스를 실현하는 데 필요한 단계로 간주되며, 습관으로 이어진다.[14]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역사적 변화는 사회 경제적 구조 (또는 "법칙")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동시에 계급 투쟁의 텔로스 실현의 전제 조건이자 한계이다.[15]

3. 3. 마르크스주의 철학

목적, 즉 텔로스(telos)의 개념은 사이버네틱스의 기초를 형성했으며, 현재는 지능적인 소셜 머신으로서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대한 현대적 분석의 일부가 되었다.[13] 행위 이론 또한 목적론적 어휘를 필수적으로 사용한다. 도널드 데이비슨의 관점에서, '행위'는 행위자가 의도를 가지고 하는 어떤 것, 즉 그 행위를 통해 달성될 어떤 목적을 기대하는 것이다.[14] '행위'는 인간의 텔로스를 실현하는 데 필요한 단계로 간주되며, 습관으로 이어진다.[14]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역사적 변화는 사회 경제적 구조 (또는 "법칙")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동시에 계급 투쟁의 텔로스 실현의 전제 조건이자 한계이다.[15]

참조

[1] Dictionary telos
[2] encyclopedia Teleological ethics https://britannica.c[...]
[3] 서적 Politics: An Introduction to Modern Democratic Government Broadview Press 2008
[4] 서적 Myth, Telos, Identity: The Tragic Schema in Greek and Shakespearean Drama Rodopi
[5] 서적 Philosophy: Key Texts Palgrave Macmillan
[6] 서적 The History of Philosophy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19
[7]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de Finabus' https://penelope.uch[...] Harvard University Press
[8] 서적 Book I https://penelope.uch[...] Harvard University Press
[9] 서적 Self-Knowledge in Plato's Phaedrus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0] 서적 Time of Life, The: Heidegger and Etho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1] 서적 The Gods and Technology: A Reading of Heidegger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6
[12] 서적 Heidegger and the Question of National Socialism: Disclosure and Gestalt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3] 서적 The shortcut : why intelligent machines do not think like us https://www.worldcat[...] 2023
[14] 서적 Time and the Philosophy of Ac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15] 서적 Volume 3: Philosophy of Action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12
[16] 웹사이트 Teleological ethics https://www.britanni[...] 2008
[17] 서적 Politics: An Introduction to Modern Democratic Government Broadview Press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