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회 기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통회 기도는 가톨릭 교회에서 고해성사의 일부로, 죄를 뉘우치고 다시 죄를 짓지 않겠다는 다짐을 담은 기도이다. 가톨릭 교회는 완전한 통회와 불완전한 통회 두 가지 형태를 인정하며, 다양한 형태의 통회 기도가 존재한다. 성공회는 공동 기도문에 수록된 통회 기도를 사용하며, 루터교회는 성사의 면죄 중에 낭독하는 참회 기도문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가톨릭교회의 기도 - 고백 기도
고백 기도는 가톨릭교회와 루터교에서 죄를 고백하고 용서를 구하는 기도이며, 가톨릭에서는 미사 시작 부분에, 루터교에서는 예배 시작 시에 사용한다. - 로마 가톨릭교회의 기도 - 토타 풀크라 에스
호세 마우리시오 누네스 가르시아가 16세에 작곡한 안티폰인 토타 풀크라 에스는 그의 가장 초기 작품이며, 모리스 뒤뤼플레는 이를 "그레고리 주제에 의한 네 개의 모테트" 중 두 번째 곡으로 사용했다. - 가톨릭 기도문과 전례문 - 그레고리오 성가
그레고리오 성가는 서방 기독교 전례에서 사용되는 무반주 일성부 성가로, 로마와 갈리아 성가의 통합을 거쳐 서방 기독교 세계의 표준 성가로 자리매김했으며, 교회 선법 체계화 및 네우마 기보법 발달과 함께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가톨릭 기도문과 전례문 - 성모송
성모송은 가브리엘 대천사와 엘리사벳의 인사말에 기반하여 하느님 찬양과 성모 마리아에게 애원과 찬미를 드리는 가톨릭교회의 대표적인 기도로, 묵주기도의 기본이 되며 다양한 언어 번역본과 음악 작품으로 널리 사용된다.
통회 기도 | |
---|---|
기도 정보 | |
이름 | 통회 기도 |
로마자 표기 | Tonghoe Gido |
라틴어 | Oratio Contritionis |
목적 | 죄에 대한 뉘우침을 표현 |
기원 | 기독교 (가톨릭 교회, 성공회, 루터교, 개혁 교회) |
내용 | 자신의 죄를 뉘우치고 하느님의 용서를 청하는 간청 |
가톨릭 교회 통회 기도문 (한국어) | |
내용 | 내 하느님, 제가 죄를 지음으로써 당신 마음을 상해 드리고 당신 사랑을 입을 자격을 잃었사오니 진심으로 뉘우치며 마땅히 받아야 할 벌을 기꺼이 받겠나이다. 더욱이 당신을 사랑하올 뿐 아니라 죄를 미워하오니 이제부터는 죄를 멀리하고 당신 뜻대로 살기로 굳게 다짐하나이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저를 용서하여 주소서. |
가톨릭 교회 통회 기도문 (라틴어) | |
내용 | Deus meus, ex corde paenitet me omnium meorum peccatorum, et detestor illa, quia peccando, non solum poenas a Te iuste statutas promereor, sed praesertim quia offendi Te, summum bonum, ac dignum qui super omnia ameris. Ideo firmiter propono, Te adiuvante, de cetero me non peccare et fugere omnes occasiones peccandi. Amen. |
성공회 통회 기도문 (한국어) | |
내용 | 전능하신 하느님, 저희는 주님의 법을 어기어 생각과 말과 행실로 죄를 지었나이다.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지 않고 해서는 안 될 일을 하였나이다. 주여, 저희를 불쌍히 여기소서. 회개하는 마음으로 주님께 돌아오는 저희를 용서하시고 긍휼을 베푸시어, 주님의 뜻에 합당하게 살며 주님을 기쁘게 하는 사람이 되게 하소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하나이다. 아멘. |
성공회 통회 기도문 (영어) | |
내용 | Almighty God, Father of our Lord Jesus Christ, maker of all things, judge of all men; We acknowledge and bewail our manifold sins and wickedness, Which we, from time to time, most grievously have committed, By thought, word, and deed, Against thy Divine Majesty, Provoking most justly thy wrath and indignation against us. We do earnestly repent, And are heartily sorry for these our misdoings; The remembrance of them is grievous unto us; The burden of them is intolerable. Have mercy upon us, Have mercy upon us, most merciful Father; For thy Son our Lord Jesus Christ’s sake, Forgive us all that is past; And grant that we may ever hereafter Serve and please thee In newness of life, To the honor and glory of thy Name; Through Jesus Christ our Lord. Amen. |
루터교 통회 기도문 (한국어) | |
내용 | 전능하신 하느님, 저는 당신의 자비로운 사랑을 의지하며 당신 앞에 나아갑니다. 저는 죄인이며 삶에서 당신의 뜻을 어겼습니다. 저의 모든 죄를 용서하시고 저를 깨끗하게 하시고 새로운 삶으로 인도하여 주소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
2. 가톨릭 교회
가톨릭 교회에서 통회 기도는 고해성사의 중요한 부분이다. 사제가 보속을 부과한 후, 참회자는 통회 기도를 통해 자신의 죄를 뉘우치고 하느님께 용서를 구한다. 또한, 잠자리에 들기 전에도 통회 기도를 바치는 것이 일반적이다.[3]
풀턴 쉰은 요한 비안네에 관한 이야기를 통해, 극심한 상황에서도 통회 기도를 통해 하느님의 자비를 구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남편이 자살한 것에 슬퍼하는 과부에게 "다리와 물 사이에는 약간의 거리가 있다는 것을 기억하세요."라고 말하며, 남편에게 통회 기도를 할 시간이 있었음을 암시했다.[4] 이는 "말 안장과 땅 사이에서, 그는 무언가를 찾고 무언가를 발견했다"라는 인용구처럼, 자비를 구하는 이에게 자비가 주어짐을 보여준다.
이 기도는 개인의 애정과 의지를 담은 "행위"를 표현한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 따르면, "참회자의 행위 중 통회가 첫 번째"이며, "영혼의 슬픔이며, 범죄에 대한 혐오와 다시는 죄를 짓지 않겠다는 결심"이다.[5] 하느님을 향한 사랑에서 비롯된 '완전한 통회'는 경죄를 사하며, 고해 성사에 참여하겠다는 결심이 있다면 대죄의 용서도 얻는다.
가톨릭 가르침은 "불완전한" 통회 역시 하느님의 선물이며, 영원한 멸망이나 형벌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될지라도 유효한 통회 기도가 될 수 있다고 본다.[6]
2. 1. 라틴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
가톨릭 교회에서는 전통적으로 라틴어로 통회 기도를 작성했으며, 이를 여러 언어로 번역하여 사용해 왔다. 한국 천주교에서는 별도의 한국어 번역본을 사용하고 있다.2. 1. 1. 라틴어 원문
Deus meus, ex toto corde paenitet me omnium meorum peccatorum,eaque detestor, quia peccando,
non solum poenas a te iuste statutas promeritus sum,
sed praesertim quia offendi te,
summum bonum, ac dignum qui super omnia diligaris.
Ideo firmiter propono,
adiuvante gratia tua,
de cetero me non peccatorum peccandique occasiones proximas fugiturum.
Amen.la[18]
2. 1. 2. 한국어 번역
가톨릭 교회에서 "통회 기도"는 여러 버전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5][6]- 슬픔의 표현
- 잘못에 대한 인정
- 삶을 개선하고 죄를 피하겠다는 약속
다음은 한국 천주교에서 사용되는 통회 기도문이다.
'''한국 천주교 통회 기도'''
> 하느님
> 제가 죄를 지어
> 참으로 사랑받으셔야 할
> 주님의 마음을 아프게 하였사오니
> 악을 저지르고 선을 소홀이한 모든 잘못을
> 진심으로 뉘우치나이다.
> 또한 주님의 은총으로 속죄하고
> 다시는 죄를 짓지 않으며
> 죄지을 기회를 피하기로 굳게 다짐하오니
> 우리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 공로를 보시고
> 저에게 자비를 베풀어주소서.
> 아멘.
'''영어 통회 기도문'''
> 오, 하느님, 제 마음을 다하여 죄를 뉘우칩니다.
> 잘못을 저지르고 선을 행하지 않음으로써,
> 제가 무엇보다 사랑해야 할 당신께 죄를 지었습니다.
> 당신의 도우심으로, 저는 속죄하고, 다시는 죄를 짓지 않으며, 죄로 이끄는 모든 것을 피하기를 굳게 다짐합니다.
> 저희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저희를 위해 고난받으시고 죽으셨습니다.
> 그분의 이름으로, 제 하느님, 자비를 베푸소서. 아멘.[3][11]
2. 2. 다양한 형태의 통회 기도
가톨릭 교회에서 "통회 기도"라는 용어는 종종 특정 기도문에 적용되지만, 대사 핸드북에는 명시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다. 1973년에 개정된 참회 예식에서는 일반적인 공식 기도문 외에도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한다.[15]다음은 몇 가지 참회 행위 공식이다.
- 저의 주님, 저는 모든 죄에 대해 진심으로 뉘우칩니다. 예수님처럼 살고 다시 죄를 짓지 않도록 도와주소서. 아멘.
- 오, 나의 하느님, 제가 당신을 거스려 죄를 지은 것을 뉘우칩니다. 당신은 너무나 선하시기에, 당신의 도움으로, 다시는 죄를 짓지 않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아멘.
- 오, 나의 하느님, 당신은 너무나 선하시기에, 제가 당신을 거스려 죄를 지은 것을 매우 뉘우칩니다. 그리고 당신의 은총으로, 저는 다시 죄를 짓지 않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아멘.
-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예수님, 모든 것 위에 있는 나의 사랑이시여. 당신을 거스른 적이 있는 것을 온 마음으로 뉘우칩니다. 다시는 당신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을 허락하지 마소서. 제가 항상 당신을 사랑하도록 허락하소서. 그러고 나서 당신의 뜻대로 저를 하소서. - 알폰소 리구오리[16]
3. 개신교
개신교에서도 통회 기도는 사용된다. 각 교파마다 고유한 형태의 기도문을 가지고 있으며, 예배나 개인 기도 시간에 활용된다. 성공회와 루터교가 대표적인 예이다.[17]
3. 1. 성공회
성공회는 잉글랜드 교회, 미국 성공회 등을 포함하며, 기도서에 수록된 통회 기도를 사용한다. 이는 예배 중에 회중 전체가 함께 읊는 형태로, 죄를 고백하고 새로운 삶을 살겠다는 다짐을 담고 있다.[17] 1662년 ''공동 기도문''에는 두 가지 버전이 있다.첫 번째 버전은 아침 기도와 저녁 기도에 사용되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능하시고 가장 자비로우신 아버지;
우리는 길 잃은 양처럼 주의 길에서 벗어나 헤맸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마음의 꾀와 욕망을 너무 많이 따랐습니다.
우리는 주의 거룩한 율법을 어겼습니다.
우리는 행해야 할 일은 행하지 않았고;
해서는 안 될 일들을 행했습니다.
그리고 우리에게는 건강함이 없습니다.
그러나 오 주님, 불쌍한 죄인인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자신의 잘못을 고백하는 자들을 용서하소서.
참회하는 자들을 회복시키소서.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인류에게 선포된 주의 약속에 따라.
그리고 오 가장 자비로우신 아버지, 그를 위하여, 우리가 이후로 경건하고 의로우며 절제된 삶을 살도록 허락하소서, 주의 거룩하신 이름을 영광스럽게 하소서. 아멘.
두 번째 버전은 성찬 예식 중에 사용되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능하신 하나님,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
만물의 창조주, 모든 사람의 심판자;
우리는 우리의 다양한 죄와 악행을 인정하고 슬퍼하며,
우리는 때때로 가장 심각하게 저질렀습니다,
생각, 말, 그리고 행동으로,
주의 거룩하신 권능에 거스르며,
주의 진노와 분노를 우리에게 가장 정당하게 불러일으키는.
우리는 진심으로 회개하며,
우리의 이러한 잘못을 진심으로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
그것들을 기억하는 것은 우리에게 고통스럽습니다;
그것들의 짐은 견딜 수 없습니다.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가장 자비로우신 아버지;
주의 아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위하여,
지난 모든 것을 용서하소서;
그리고 우리가 앞으로 항상
새로운 삶으로 주님을 섬기고 기쁘게 해 드리도록 허락하소서,
주의 이름의 영광을 위하여;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아멘.
현대화된 통회 기도 형태는 다른 성공회 기도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3. 2. 루터교
루터교는 성사의 면죄 중에 낭독되는 참회 기도문을 가지고 있다. 다음은 루터교 예배서 (2006년)에 수록된 기도문이다.[1]:오 전능하신 하나님, 자비로우신 아버지,
:저는 가련하고 비참한 죄인으로서,
:제가 당신을 거스르고, 이제와 영원히 당신의 벌을 받아 마땅한
:모든 죄와 악행을 당신께 고백합니다.
:그러나 저는 그것들을 진심으로 뉘우치고, 진실로 회개합니다.
:그리고 당신의 무한한 자비로우심을 간구하며,
:거룩하고 무죄하며,
:당신의 사랑하는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고통과 죽음을 통하여,
:가련한 죄인인 저에게 은혜와 자비를 베풀어 주시옵소서.[1]
4. 통회 기도의 신학적 의미
통회 기도는 고해성사의 한 부분으로, 사제가 보속을 부과한 후 참회자가 사죄를 받기 전에 바치는 기도이다. 밤에 잠자리에 들기 전에도 통회 기도를 바치는 것이 일반적이다.[3] 사람들은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통회 기도에 의지하기도 한다. 풀턴 쉰은 요한 비안네와 관련된 일화를 소개했는데, 남편이 다리에서 뛰어내려 자살한 것에 슬퍼하는 과부에게 "부인, 다리와 물 사이에는 약간의 거리가 있다는 것을 기억하세요."라고 위로했다. 이는 남편에게 통회 기도를 할 시간이 있었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4] 이는 "말 안장과 땅 사이에서, 그는 무언가를 찾고 무언가를 발견했다"라는 격언과도 유사하며, 자비를 구하면 자비를 얻을 수 있음을 뜻한다.
이 기도는 개인의 깊은 마음과 의지를 담은 표현이다.
4. 1. 완전한 통회와 불완전한 통회
가톨릭 교회에서 "통회 기도"라는 용어는 종종 특정 기도문에 적용되는데, 이는 대사 핸드북에 명시적으로 언급되어 있지는 않다.''가톨릭 교회 교리서''는 "참회자의 행위 중 통회가 첫 번째를 차지한다. 통회는 '영혼의 슬픔이며, 범죄에 대한 혐오와 다시는 죄를 짓지 않겠다는 결심'이다. 하느님을 모든 것 위에 사랑하는 사랑에서 비롯될 때, 통회는 '완전한 통회'(사랑의 통회)라고 불린다. 이러한 통회는 경죄를 사하며, 가능한 한 빨리 고해 성사에 참여하겠다는 굳은 결심을 포함한다면 대죄의 용서도 얻는다" (CCC 1451–1452)라고 설명한다.[5]
가톨릭 가르침은 "불완전한" 통회 역시 하느님의 선물이라고 본다. 영원한 멸망이나 다른 형벌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효한 통회 기도를 하기에 충분하다.[6]
참조
[1]
서적
Christianity: The Complete Guide
https://books.google[...]
Continuum
2015-07-14
[2]
웹사이트
Enchiridion Indulgentiarum quarto editur
https://www.vatican.[...]
2009-12-05
[3]
웹사이트
Dohogne, David J., "Act of Contrition can be very personal", Roman Catholic Diocese of Springfield-Cape Girardeau
http://dioscg.org/in[...]
2016-11-16
[4]
서적
Life is Worth Living
https://books.google[...]
Ignatius Press
[5]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http://ccc.usccb.org[...]
2019-03-25
[6]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1453"
http://ccc.usccb.org[...]
2019-03-25
[7]
웹사이트
Thesaurus Precum Latinarum
http://www.preces-la[...]
Preces-latinae.org
2012-03-17
[8]
간행물
Rituale romanum ex Decreto sacrosancti oecumenici concilii Vaticani II instauratum auctoritate Pauli PP. VI promulgatum. Ordo paenitentiae. Editio typica
Typis Poliglottis Vaticanis
[9]
뉴스
Act of Contrition
https://www.vaticann[...]
Vatican News
2020-03-31
[10]
서적
A Manual of Prayers: For the Use of the Catholic Laity
https://archive.org/[...]
Catholic Publication Society Company
2019-04-15
[11]
웹사이트
Canadian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http://www.cccb.ca/s[...]
Cccb.ca
2012-03-17
[12]
웹사이트
Act of Contrition Prayer Cards
https://docs.google.[...]
2013-03-20
[13]
서적
The most R. Dr. James Butler's catechism; revised, enlarged, approved and recommended by the four R.C. Arch. of Ireland
https://books.google[...]
The Catholic Book society, Dublin
[14]
문서
Sacrosanctum concilium
https://www.vatican.[...]
1963-12-04
[15]
서적
Embracing the Vision: Sacramental Catechesis for First Reconciliation and First Communion
https://books.google[...]
Twenty-Third Publications
[16]
서적
Confession: Finding Freedom and Forgiveness
https://books.google[...]
Paraclete Press
[17]
서적
Common Worship Reconciliation of a Penitent Form One
https://books.google[...]
Church House Publishing
[18]
웹사이트
Thesaurus Precum Latinarum
http://www.preces-l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