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플 크라운 (농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리플 크라운 (농구)은 농구에서 한 시즌 동안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의미하며, 유럽 프로 농구와 대한민국 프로 농구에서 다르게 정의된다. 유럽 프로 농구에서는 자국 리그, 컵 대회, 유럽 대항전에서 모두 우승하는 것을 트리플 크라운으로 칭하며, 마카비 텔아비브가 6회로 가장 많이 달성했다. 대한민국 프로 농구에서는 선수 개인 트리플 크라운은 정규리그 MVP, 올스타전 MVP, 챔피언 결정전 MVP를 모두 수상하는 것이고, 구단 트리플 크라운은 정규리그 우승과 MVP, 신인상 배출을 모두 달성하는 것이다. 김주성이 선수 개인 트리플 크라운을, 대구 오리온스가 구단 트리플 크라운을 유일하게 달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리플 크라운 (농구) | |
|---|---|
| 유럽 농구 트리플 크라운 | |
![]() | |
| 정보 | |
| 스포츠 | 농구 |
| 국가 | 유럽 |
| 참가 자격 | 우승 유로리그 유로컵 농구 챔피언스 리그 |
| 가장 최근 우승 | 파나티나이코스 B.C. (2009) |
| 최다 우승 | 레알 마드리드 발론세스토 (2회) |
| 기타 | |
| 첫 번째 우승 | ASK 리가 (1960) |
2. 유럽 프로 농구 트리플 크라운
2. 1. 트리플 크라운 달성 클럽 목록
| 시즌 | 클럽 | 리그 | 컵 | 유럽 대회 |
|---|---|---|---|---|
1964-65 | 레알 마드리드 | 스패니시 내셔널 리그 | 스패니시 헤네랄리시모스 컵 | FIBA 유러피언 챔피언스 컵 |
1969-70 | 바레세 (이그니스) | 이탈리안 A1 리그 | 이탈리안 컵 | FIBA 유러피언 챔피언스 컵 |
1972-73 | 바레세 (이그니스) | 이탈리안 A1 리그 | 이탈리안 컵 | FIBA 유러피언 챔피언스 컵 |
1973-74 | 레알 마드리드 | 스패니시 내셔널 리그 | 스패니시 헤네랄리시모스 컵 | FIBA 유러피언 챔피언스 컵 |
1976-77 | 마카비 텔아비브 | 이스라엘리 프리미어 리그 | 이스라엘리 스테이트 컵 | FIBA 유러피언 챔피언스 컵 |
1980-81 | 마카비 텔아비브 | 이스라엘리 프리미어 리그 | 이스라엘리 스테이트 컵 | FIBA 유러피언 챔피언스 컵 |
1984-85 | 키보나 | 유고슬라브 퍼스트 페더럴 리그 | 유고슬라브 컵 | FIBA 유러피언 챔피언스 컵 |
1986-87 | 올림피아 밀라노 (트레이서) | 이탈리안 A1 리그 | 이탈리안 컵 | FIBA 유러피언 챔피언스 컵 |
1989-90 | 스플리트 (유고플라스티카) | 유고슬라브 퍼스트 페더럴 리그 | 유고슬라브 컵 | FIBA 유러피언 챔피언스 컵 |
1990-91 | 스플리트 (팝 84) | 유고슬라브 퍼스트 페더럴 리그 | 유고슬라브 컵 | FIBA 유러피언 챔피언스 컵 |
1991-92 | 파르티잔 | 유고슬라브 퍼스트 페더럴 리그 | 유고슬라브 컵 | FIBA 유러피언 리그 |
1996-97 | 올림피아코스 | 그리크 A1 리그 | 그리크 컵 | FIBA 유로리그 |
2000-01 | 비르투스 볼로냐 (킨더) | 이탈리안 A1 리그 | 이탈리안 컵 | 유로리그 |
| 마카비 텔아비브 | 이스라엘리 프리미어 리그 | 이스라엘리 스테이트 컵 | FIBA 슈프로리그 | |
2002-03 | FC 바르셀로나 | 리가 ACB | 코파 델 레이 | 유로리그 |
2003-04 | 마카비 텔아비브 | 이스라엘리 프리미어 리그 | 이스라엘리 스테이트 컵 | 유로리그 |
2004-05 | 마카비 텔아비브 | 이스라엘리 프리미어 리그 | 이스라엘리 스테이트 컵 | 유로리그 |
2005-06 | CSKA 모스크바 | 러시안 슈퍼 리그 | 러시안 컵 | 유로리그 |
2006-07 | 파나티나이코스 | 그리크 A1 리그 | 그리크 컵 | 유로리그 |
2008-09 | 파나티나이코스 | 그리크 A1 리그 | 그리크 컵 | 유로리그 |
2013-14 | 마카비 텔아비브 | 이스라엘리 프리미어 리그 | 이스라엘리 스테이트 컵 | 유로리그 |
2014-15 | 레알 마드리드 | 스패니시 내셔널 리그 | 스패니시 헤네랄리시모스 컵 | 유로리그 |
2000-01 시즌에는 마카비 텔아비브가 FIBA 슈프로리그에서, 킨더 볼로냐가 유로리그에서 우승하며 두 팀이 유럽 챔피언으로 기록되었다. 사루나스 야시케비시우스는 FC 바르셀로나(2002-03), 마카비 텔아비브(2003-04, 2004-05), 파나티나이코스(2008-09) 소속으로 총 4번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 유일한 선수이다.
2. 2. 클럽별 트리플 크라운 달성 횟수
wikitable| 클럽 | 트리플 크라운 |
|---|---|
| 마카비 텔아비브 | 6 |
| 레알 마드리드 | 3 |
| 바레세 | 2 |
| 스플리트 | 2 |
| 파나티나이코스 | 2 |
| 키보나 | 1 |
| 올림피아 밀라노 | 1 |
| 파르티잔 | 1 |
| 올림피아코스 | 1 |
| 비르투스 볼로냐 | 1 |
| FC 바르셀로나 | 1 |
| CSKA 모스크바 | 1 |
2. 3. 국가별 (리그별) 트리플 크라운 달성 횟수
wikitable| 국가 | 리그 | 트리플 크라운 |
|---|---|---|
| 이스라엘 | 이스라엘리 바스켓볼 슈퍼 리그 | 6 |
| 이탈리아 | 레가 바스켓 세리에 A | 4 |
| 유고슬라비아 | 유고슬라브 퍼스트 페더럴 리그 | 4 |
| 스페인 | 리가 ACB | 4 |
| 그리스 | 그리크 바스켓 리그 | 3 |
| 러시아 | 러시안 바스켓볼 슈퍼 리그 | 1 |
3. 스몰 트리플 크라운
3. 1. 2등급 유럽 대항전
유럽의 프로 농구팀들이 한 시즌 동안 자국 최상위 리그와 컵 대회에서 우승하고, 2등급 유럽 국가 대항전인 FIBA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 / FIBA 유러피언 컵 또는 유로컵에서 우승하는 것을 "스몰 트리플 크라운"이라고 한다.
| 시즌 | 클럽 | 리그 | 컵 | 유럽 대회 |
|---|---|---|---|---|
| 1971-72 | 올림피아 밀라노 (시멘탈) | 이탈리안 A1 리그 | 이탈리안 컵 | FIBA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 |
| 1987-88 | 리모주 CSP | 프렌치 1A 리그 | 투흐누아 데 아스 | FIBA 유러피언 컵 위너스 컵 |
| 1993-94 | 올림피아 (스멜트) | 슬로베니안 프리미어 A 리그 | 슬로베니안 컵 | FIBA 유러피언 컵 |
| 2008-09 | 리에투보스 리타스 | 리투아니안 리그 (LKL) | LKF 컵 | 유로컵 |
3. 2. 3, 4등급 유럽 대항전
유럽의 프로 농구팀들이 한 시즌 동안 자국의 최상위 리그 우승과 컵대회 우승, 그리고 3등급( FIBA 코라크 컵 또는 FIBA 유로챌린지) 또는 4등급(FIBA 유로컵 챌린지)의 유럽 국가 대항전 우승을 달성하는 것을 말한다.| 시즌 | 클럽 | 리그 | 컵 | 유럽 대회 |
|---|---|---|---|---|
1976-77 | 스플리트 (유고플라스티카) | 유고슬라브 퍼스트 페더럴 리그 | 유고슬라브 컵 | FIBA 코라크 컵 (3등급) |
1978-79 | 파르티잔 | 유고슬라브 퍼스트 페더럴 리그 | 유고슬라브 컵 | FIBA 코라크 컵 (3등급) |
1982-83 | 리모주 CSP | 프렌치 나쇼날레 1 | 프렌치 페더레이션 컵 | FIBA 코라크 컵 (3등급) |
1986-87 | FC 바르셀로나 | 리가 ACB | 코파 델 레이 | FIBA 코라크 컵 (3등급) |
1995-96 | 에페스 필센 | 터키쉬 바스켓볼 리그 | 터키쉬 컵 바스켓볼 | FIBA 코라크 컵 (3등급) |
1999-00 | 리모주 CSP | LNB 프로 A | 쿠프 드 프랑스 | FIBA 코라크 컵 (3등급) |
2004-05 | CSU 아세소프트 플로이에슈티 | 루마니안 디비지아 A | 루마니안 바스켓볼 컵 | FIBA 유로컵 챌린지 (4등급) |
2011-12 | 베식타쉬 | 터키쉬 바스켓볼 리그 | 터키쉬 컵 바스켓볼 | FIBA 유로챌린지 (3등급) |
4. 대한민국 프로 농구의 트리플 크라운
대한민국 농구계에서의 트리플 크라운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하나는 선수 개인이 정규리그 MVP, 올스타전 MVP, 챔피언 결정전 MVP를 모두 수상하는 것을 말하며, 이 기록은 2007-08 시즌 김주성이 유일하다.[1] 나머지 하나는 구단이 정규리그 우승과 구단 소속 선수 중에서 MVP와 신인상을 배출하는 것을 말하며, 이 기록은 2001-02 시즌 대구 오리온스가 유일하다.[2]
4. 1. 선수 개인 트리플 크라운
선수 개인의 트리플 크라운은 한 시즌에 정규리그 MVP, 올스타전 MVP, 챔피언 결정전 MVP를 모두 수상하는 것을 의미한다.[1] 이 기록은 2007-08 시즌 김주성 (원주 동부 프로미)이 유일하게 달성했다.[1]4. 2. 구단 트리플 크라운
대한민국 농구계에서 구단 트리플 크라운은 구단이 정규리그에서 우승하고, 동시에 해당 구단 소속 선수 중에서 MVP와 신인상을 배출하는 것을 의미한다.[2] 이 기록은 2001-02 시즌 대구 오리온스가 유일하게 달성했다.[2]참조
[1]
뉴스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 김주성 (2007-2008시즌)
http://sports.news.n[...]
[2]
뉴스
LG, 17년 만에 첫 우승…MVP·신인왕 싹쓸이할까
http://sports.news.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