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벨 쿠비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벨 쿠비나는 체코 출신의 은퇴한 아이스하키 선수로, 수비수 포지션에서 활약했다. 1994년 HC 비트코비체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1996년 탬파베이 라이트닝에 지명된 후 북미에서 활동했다. 2003-04 시즌 탬파베이 라이트닝의 스탠리 컵 우승에 기여했고, 2004년 NHL 올스타전에 참여했다. 토론토 메이플리프스, 애틀랜타 스래셔스,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등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으며, 2013년 스위스 제네브세르베트 HC에서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체코 국가대표팀으로도 활약하며, 1999년, 2001년, 2005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 2006년 동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라바슬레스코주 출신 - 그레고어 멘델
    오스트리아 제국의 수도사이자 생물학자인 그레고어 멘델은 완두콩 교배 실험을 통해 유전 현상을 연구하여 멘델의 유전 법칙을 발견했으며, 그의 연구는 20세기 초 재발견되어 현대 유전학의 기초가 되었다.
  • 모라바슬레스코주 출신 - 레오시 야나체크
    레오시 야나체크는 모라비아 민속 음악에 기반한 독자적인 스타일로 20세기 음악사에 기여한 체코 작곡가로, "말하는 선율"을 도입한 오페라 《예누파》 등의 작품과 모라비아 방언 및 러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은 음악으로 사후 재평가받아 현대 음악의 중요한 작곡가로 인정받고 있다.
  • 스위스에 거주한 체코인 - 브라티슬라프 로크벤츠
    브라티슬라프 로크벤츠는 은퇴한 체코의 축구 선수로, 공격수 포지션에서 활약하며 AC 스파르타 프라하에서 5번의 리그 우승을, 체코 국가대표팀으로 74경기 14골을 기록했다.
  • 스위스에 거주한 체코인 - 토마시 바츨리크
    토마시 바츨리크는 체코의 축구 선수로, 알바세테 발롬피에에서 골키퍼로 뛰고 있으며 스파르타 프라하, FC 바젤, 세비야 FC를 거치며 리그 우승, 컵 우승, 유로파 리그 우승을 경험했고 체코 국가대표팀 주전 골키퍼로도 활약했다.
  • 애틀랜타 스래셔스 선수 - 마르틴 프로하스카 (아이스하키 선수)
    슬로바키아 출신의 은퇴한 아이스하키 선수인 마르틴 프로하스카는 다양한 리그에서 활약하며 슬로바키아 국가대표팀으로 국제 대회에 참가했고, 2000년에는 HC 파르두비체 소속으로 체코 엑스트라리가 우승을 차지했다.
  • 애틀랜타 스래셔스 선수 - 마리안 호사
    마리안 호사는 슬로바키아 출신의 은퇴한 프로 아이스하키 선수로, NHL에서 오타와 세네터스, 애틀랜타 스래셔스, 피츠버그 펭귄스,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시카고 블랙호크스 등에서 활동하며 블랙호크스 소속으로 세 번의 스탠리 컵 우승을 차지했고, 슬로바키아 국가대표로도 활약했으며 2020년 하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파벨 쿠비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8년 토론토 메이플리프스 소속의 쿠비나
2008년 토론토 메이플리프스 소속의 쿠비나
포지션수비수
잡는 손오른손
신장193cm
체중100kg
출생일1977년 4월 15일 ()
출생지체코슬로바키아 첼라드나
커리어 시작1993년
커리어 종료2013년
드래프트
드래프트 순위179번째 전체
드래프트 연도1996년
드래프트 팀탬파베이 라이트닝
선수 경력
소속 리그NLA
국가대표팀체코
거친 팀비트코비체 (1994-1996, 2004-2005)
탬파베이 라이트닝 (1997-2006, 2010-2012)
애디론댁 레드윙스 (1997-1998)
클리블랜드 럼버잭스 (1998)
토론토 메이플리프스 (2006-2009)
애틀랜타 스래셔스 (2009-2010)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2012)
제네브세르베트 (2013)
국가대표 경력
국가대표팀체코 U-20 (1995-1996)
체코 (1999-2010)
수상
수상 내역스탠리 컵 1회
올림픽 메달
올림픽동메달: 2006 토리노, 단체전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
세계 선수권 대회금메달: 1999 노르웨이, 단체전
금메달: 2001 독일, 단체전
금메달: 2005 오스트리아, 단체전

2. 클럽 경력

탬파베이 라이트닝의 주요 수비수로 활동하며 공격적인 경기 운영으로 신뢰를 쌓았고, 2003-04 NHL 시즌에 팀 최초로 스탠리 컵 우승에 기여했으며, 2004년 NHL 올스타전에도 참여했다. NHL 록아웃 당시에는 체코의 HC 비트코비체에서 주장으로 28경기에 출전, 10점을 기록했다.

2006년 여름, 2000만달러토론토 메이플리프스와 4년 계약을 맺었으나, 프리 시즌에 디트로이트 레드윙스의 이르지 후들레르에게 크로스체킹 부상을 당해 시즌 초반에는 결장했다. 복귀 후에는 주전 수비수로 뛰었지만 플레이오프에는 진출하지 못했다. 2009년 7월 1일, 가넷 엑셀비와 함께 팀 스테이플턴, 콜린 스튜어트와 트레이드되어 애틀랜타 스래셔스로 이적, 76경기에서 38득점(32어시스트)을 기록하며 팀내 수비수 중 두 번째로 높은 득점 포인트를 기록했다. 2010년 7월, 탬파베이 라이트닝과 재계약했다.

2012년 2월 18일, 조너선 캘린스키와 트레이드되어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로 이적, 17경기에서 4어시스트를 기록했다. 2013년 2월, 스위스 내셔널 리그A의 제네브세르베트 HC에 입단하여 3경기에서 1어시스트를 기록한 후, 그 해 12월 20일에 은퇴했다.

2. 1. 초기 경력

첼라드나 출신인 파벨 쿠비나는 엑스트랄리가의 HC 비트코비체 유소년 선수로 뛰었으며, 1994년부터 성인 선수로 활동했다. 1996년 NHL 드래프트 7라운드에서 전체 179위로 탬파베이 라이트닝에 지명되었다.

1996년 북아메리카로 건너가 웨스턴 하키 리그(WHL)의 무스조 워리어스에서 수비수로 한 시즌을 뛰었으며, 1996-97 WHL 시즌 동안 61경기에서 44점을 기록했다. 1997-98 시즌부터 탬파베이 라이트닝에 입단하여 NHL 경력을 시작했다. 탬파베이 라이트닝에서 10경기를 뛴 후 아메리칸 하키 리그(AHL)의 애디론댁 레드윙스에 임대되어 55경기에 출전했다. 1998-99 시즌에는 인터내셔널 하키 리그(IHL)의 클리블랜드 럼버잭스로 임대되어 6경기에 출전, 4득점을 기록했다.

2. 2. 북아메리카 진출

1996년 NHL 드래프트에서 7라운드 전체 179위로 탬파베이 라이트닝에 지명된 후, 1996년에 북아메리카로 건너갔다.[1] 1996-97 WHL 시즌 동안 웨스턴 하키 리그(WHL)의 무스 조 워리어스에서 수비수로 한 시즌을 뛰며 61경기 44득점을 기록했다.[1] 1997-98 NHL 시즌에 탬파베이 라이트닝 소속으로 북미 아이스하키 리그(NHL)에 데뷔했다.[1] 탬파베이에서 10경기를 뛴 후 아메리칸 하키 리그(AHL)의 애디론댁 레드윙스에 임대되어 55경기에 출전했다.[1] 1998-99 NHL 시즌에는 탬파베이 라이트닝에서 인터내셔널 하키 리그(IHL)의 클리블랜드 럼버잭스로 임대되어 6경기에 출전하여 4득점을 기록했다.[1]

2. 3. 탬파베이 라이트닝 (1997-2006)

1996년 NHL 드래프트에서 7라운드 전체 179위로 탬파베이 라이트닝에 지명된 후, 1997-98 NHL 시즌에 탬파베이 라이트닝에 입단하여 NHL 경력을 시작했다. 탬파베이에서 10경기를 뛴 후 아메리칸 하키 리그(AHL)의 애디론댁 레드윙스에 임대되어 55경기에 출전했다. 1998-99 NHL 시즌에는 탬파베이 라이트닝에서 인터내셔널 하키 리그(IHL)의 클리블랜드 럼버잭스로 임대되어 6경기에 출전하여 4득점을 기록했다.

이후 탬파베이 라이트닝의 주요 수비수로 성장하여, 2003-04 NHL 시즌에 팀의 스탠리 컵 우승에 기여했고, 2004년 NHL 올스타전에도 참가했다. NHL 록아웃 기간에는 체코의 HC 비트코비체에서 주장으로 28경기에 출전하여 10점(득점+어시스트)을 기록했다.

2. 4. 토론토 메이플리프스 (2006-2009)

2006년 7월 1일, 쿠비나는 토론토 메이플리프스와 4년, 2000만달러 계약을 맺었다.[1] 프리시즌 경기에서 디트로이트 레드윙스의 이르지 후들레르를 크로스 체킹한 혐의로 2006-07 NHL 시즌 첫 경기에 출장 정지 처분을 받았다.

2. 5. 애틀랜타 스래셔스 (2009-2010)

2009년 7월 1일, 가넷 엑셀비와 함께 팀 스테이플턴, 콜린 스튜어트와 트레이드되어 애틀랜타 스래셔스로 이적했다. 쿠비나는 스래셔스에서 76경기에 출전하여 32개의 어시스트, 총 38득점을 올렸으며, 이는 팀 내 수비수 중 두 번째로 높은 기록이었다.

2. 6. 탬파베이 라이트닝 복귀 (2010-2012)

2010년 7월 2일, 쿠비나는 자신의 첫 NHL팀인 탬파베이 라이트닝으로 복귀하여 연간 약 385만달러에 해당하는 2년 계약을 체결했다.[1] 2011년 3월 9일에는 시카고 블랙호크스의 데이브 볼랜드에게 팔꿈치 공격을 가해 3경기 출장 정지 처분을 받았고, 볼랜드는 뇌진탕을 입었다.[1]

2. 7.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 (2012)

2012년 2월 18일, 조너선 캘린스키와 2013년 NHL 드래프트 2라운드 지명권, 4라운드 지명권의 대가로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로 트레이드되었다. 2011-12 NHL 시즌에 플라이어스에서 17경기에 출전하여 4포인트를 기록했다.[1]

2. 8. 유럽 복귀 및 은퇴

2012년 9월, 쿠비나는 NHL을 떠나 스위스 내셔널 리그의 제네바-세르베트 HC에 합류했다.[1] 2013년 12월, 은퇴를 발표했다.[1]

3. 국가대표팀 경력

쿠비나는 1995년 체코 주니어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어 국제 대회 경력을 시작했으며, 1999년에는 성인 국가대표팀에 합류하여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1]

3. 1. 주니어 대표팀

1995년 12월에 체코 주니어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어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1996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6경기에 출전하여 어시스트 2개를 기록하였다.[1] 체코는 동메달 결정전에서 러시아에게 1-4로 패하여 4위를 기록했다.[1]

3. 2. 성인 대표팀

1999년에 성인 국가대표로 발탁되었으며, 그 해 4월 22일에 플젠에서 열린 러시아와의 친선 경기를 통해 첫 성인 대표팀 경기를 뛰었다. 같은 해 5월에 노르웨이에서 열린 1999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10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넣었으며, 6개의 어시스트를 기록하였고 체코는 결승에서 핀란드를 꺾고 우승하였다.[1] 이후 200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9경기에 출전하여 2골을 넣고 어시스트 3개를 기록했다. 체코는 결승전에서 핀란드를 3-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

이듬해인 2002년 동계 올림픽에 체코 국가대표로 참가하여 4경기에 출전하였으며 캐나다와의 경기에서 어시스트 1개를 기록했다.[1] 같은 해 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였으며, 7경기에 출전하여 3골을 넣고 어시스트 4개를 기록했다.[1] 3년 후인 2005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9경기에서 2골을 넣고 어시스트 2개를 기록했다. 체코는 결승에서 캐나다를 3-0으로 물리치고 우승을 차지했다.[1]

2006년 동계 올림픽에 대표팀 부주장으로 참가하였다. 쿠비나는 이 대회 8경기에 출전했으며, 조별 예선인 독일과의 경기에서 토마시 보코운과 함께 토마시 카베를레의 골을 어시스트하여 팀의 4-1 승리에 기여했으며, 캐나다와의 경기에서 야로미르 야그르마르틴 루친스키의 어시스트로 골을 넣었다. 체코는 준결승에서 스웨덴 대표팀에게 3-7로 패하였으나 동메달 결정전에서 러시아를 3-0으로 꺾으며, 동메달을 획득했다.[1] 이후 2010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5경기에 출전했고, 득점은 없었다.[1]

연도대회경기득점어시스트승점페널티
1999세계 선수권1026812
2001세계 선수권923518
2002올림픽40110
2002세계 선수권73478
2005세계 선수권922410
2006올림픽811212
2010올림픽50002
시니어 통산5210172762


4. 개인 생활

그와 그의 아내 안드레아는 2006년 11월 9일 체코에서 첫 아이인 딸 테레자를 맞이했다.[1]

5. 개인 통산 기록

정규 시즌플레이오프
시즌리그GPGAPtsPIMGPGAPtsPIM
1993–94HC 비트코비체체코 U2035437
1993–94HC 비트코비체체코 엑스트랄리가10000
1994–95HC 비트코비체체코 U202061016
1994–95HC 비트코비체체코820210
1995–96HC 비트코비체체코 U201651015
1995–96HC 비트코비체체코333363240000
1996–97HC 비트코비체체코10000
1996–97무스 조 워리어스WHL611232441161125727
1997–98탬파베이 라이트닝NHL1012322
1997–98애디론댁 레드 윙스AHL55481286110114
1998–99탬파베이 라이트닝NHL689122180
1998–99클리블랜드 럼버잭스IHL622416
1999–00탬파베이 라이트닝NHL698182693
2000–01탬파베이 라이트닝NHL70111930103
2001–02탬파베이 라이트닝NHL82112334106
2002–03탬파베이 라이트닝NHL7531922781100012
2003–04탬파베이 라이트닝NHL81171835852204450
2004–05HC 비트코비체체코2855104612461034
2005–06탬파베이 라이트닝NHL765333896511226
2006–07토론토 메이플 리프스NHL617142148
2007–08토론토 메이플 리프스NHL72112940116
2008–09토론토 메이플 리프스NHL8214264094
2009–10애틀랜타 스래셔스NHL766323866
2010–11탬파베이 라이트닝NHL794192362821310
2011–12탬파베이 라이트닝NHL52381159
2011–12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NHL1704415501112
2012–13제네바-세르베트 HCNLA3011410000
NHL 통산9701102763861,123513710110


5. 1. 정규 시즌 및 플레이오프

정규 시즌플레이오프
시즌리그GPGAPtsPIMGPGAPtsPIM
1993–94HC 비트코비체체코 U2035437
1993–94HC 비트코비체체코 엑스트랄리가10000
1994–95HC 비트코비체체코 U202061016
1994–95HC 비트코비체체코820210
1995–96HC 비트코비체체코 U201651015
1995–96HC 비트코비체체코333363240000
1996–97HC 비트코비체체코10000
1996–97무스 조 워리어스WHL611232441161125727
1997–98탬파베이 라이트닝NHL1012322
1997–98애디론댁 레드 윙스AHL55481286110114
1998–99탬파베이 라이트닝NHL689122180
1998–99클리블랜드 럼버잭스IHL622416
1999–00탬파베이 라이트닝NHL698182693
2000–01탬파베이 라이트닝NHL70111930103
2001–02탬파베이 라이트닝NHL82112334106
2002–03탬파베이 라이트닝NHL7531922781100012
2003–04탬파베이 라이트닝NHL81171835852204450
2004–05HC 비트코비체체코2855104612461034
2005–06탬파베이 라이트닝NHL765333896511226
2006–07토론토 메이플 리프스NHL617142148
2007–08토론토 메이플 리프스NHL72112940116
2008–09토론토 메이플 리프스NHL8214264094
2009–10애틀랜타 스래셔스NHL766323866
2010–11탬파베이 라이트닝NHL794192362821310
2011–12탬파베이 라이트닝NHL52381159
2011–12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NHL1704415501112
2012–13제네바-세르베트 HCNLA3011410000
NHL 통산9701102763861,123513710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