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스퇴르유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스퇴르유업은 루이 파스퇴르의 저온 살균법에서 이름을 따온 유업 회사로, 최명재 대표가 1987년에 설립했다. 일본 서적을 통해 저온살균법을 연구하여 도입했으며,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성장했으나 '고름우유' 광고로 논란을 겪기도 했다. IMF 사태 이후 부도 처리되었고, 한국야쿠르트, 롯데삼강에 인수되어 현재는 브랜드로만 남아있다. 저온 살균 우유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저온 살균법은 일반 살균법보다 비용과 노력이 더 들지만, 영양소 파괴를 줄이는 장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제품 업체 - 폰테라
    폰테라는 2001년 뉴질랜드 유제품 그룹, 키위 협동조합 유제품, 뉴질랜드 유제품 위원회의 합병으로 설립된 다국적 유제품 협동조합으로, 뉴질랜드 유제품 생산량의 95%를 수출하며 글로벌 B2B 유제품 영양 제품 공급업체로의 전환을 위해 글로벌 소비자 사업 매각을 발표했다.
  • 유제품 업체 - 매일유업
    매일유업은 196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유제품 기업으로, 매일우유를 비롯한 다양한 유제품과 음료를 생산하며, 상하목장 등의 브랜드를 운영하고 외식 사업과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품질 관리 문제와 해외 시장 진출의 어려움도 겪었다.
  • 2011년 해체된 기업 - 하이트진로
    하이트진로는 2011년 하이트맥주와 진로의 합병으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대 주류 기업으로, 국내 주류 시장을 선도하며 다양한 브랜드로 국내외 시장에서 활약하고 해외 수출도 활발하지만, 소주 시장 과점 및 노조 갈등 등 사회적 책임에 대한 비판도 있는 기업이다.
  • 2011년 해체된 기업 - 유니버설 모타운 레코드
    유니버설 모타운 레코드는 2005년 모타운 레코드와 유니버설 레코드의 아티스트들을 합병하여 설립된 음반사이며, 유니버설 모타운 리퍼블릭 그룹 산하 레이블이었으나, 2011년 그룹 해체로 모타운 레코드에 합병되었다.
  • 대한민국의 식품회사 - CJ제일제당
    CJ제일제당은 1953년 삼성그룹의 제일제당 공업주식회사로 설립되어 식품 및 바이오 사업을 영위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설탕, 밀가루, 식용유, 조미료 등 다양한 식품을 생산하며 '비비고', '햇반', '백설' 등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고, 1993년 삼성그룹에서 분리 독립 후 CJ그룹을 출범시켜 현재는 해외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식품회사 - 롯데웰푸드
    롯데웰푸드는 1967년 롯데제과로 설립되어 과자와 빙과류 생산으로 성장한 대한민국의 식품 기업으로, 롯데푸드와의 합병 후 2023년 사명을 변경했으며 월드콘, 꼬깔콘, 빼빼로, 가나 초콜릿 등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하고 무설탕 디저트 ZERO 출시 등 사업 확장을 지속하고 있다.
파스퇴르유업 - [회사]에 관한 문서
회사 정보
이름파스퇴르유업주식회사
원어Pasteur Milk Co.,Ltd
종류주식회사
창립1987년 4월 1일
해체2011년 11월 1일
이후 회사롯데삼강
창립자최명재 (Choe Myeong-jae, 1927.05.18 ~ 2022.06.26)
장소강원도 횡성군 안흥면 소사리 1334
산업우유 및 낙농제품 제조업
서비스액상시유 및 낙농제품 제조업
자본금4,230,025,000원 (2010년)
매출액123,377,999,233원 (2010년)
자산 총액57,296,302,814원 (2010년)
모기업롯데웰푸드
종업원340명 (2010년)
웹사이트파스퇴르유업 홈페이지

2. 역사

루이 파스퇴르가 개발한 파스퇴르 살균법에서 회사명을 따왔다. 설립자 최명재는 1927년 김제 출생으로, 1951년 서울대 상대 4학년 중퇴[1] 후 무역업을 하다 낙농업에 뛰어들었다. 1981년 일본 서적을 통해 저온살균법을 접하고 한국에 도입했다.[2] 파스퇴르유업은 기존 초고온 살균 우유를 비판하는 광고로 2년 만에 10배 가까이 성장했다.[3]

1995년 '고름우유'라는 자극적인 표현을 광고에 사용했으나, 오히려 우유 소비 급감을 초래했다. 기존 우유 업계와의 대립과 진흙탕 싸움은 매스컴의 질타를 받았다.

2. 1. 설립 배경 및 초기 성장

1927년 김제 출생의 최명재 대표는 1951년 서울대 상대 4학년 중퇴[1] 후 무역업을 하다가 낙농업에 뛰어들었다. 1981년 일본에서 사이토 구니키(齊藤邦樹)가 쓴 책을 읽고 자극받아 파스퇴르 살균법을 연구하고 한국에 도입하게 된다.[2] 회사명은 루이 파스퇴르가 개발한 파스퇴르 살균법을 사용하면서 그 공법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창립 이후 신문 광고를 통해 기존의 초고온 살균 우유를 비판하는 등의 공격적 마케팅으로 2년 만에 10배 가까이 세를 불리게 된다.[3]

2. 2. 공격적인 마케팅과 논란

1987년 파스퇴르유업은 창립 이후 신문 광고를 통해 기존의 초고온 살균 우유를 비판하는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쳐 2년 만에 10배 가까이 성장했다.[3]

1995년에는 고온 살균 우유에 사용되는 원유에 세균 수가 많다는 점을 비판하며 '고름우유'라는 자극적인 표현을 광고에 사용했다. 그러나 이는 오히려 우유 전체에 대한 소비자들의 거부감을 낳아 전체 우유 소비가 급감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다. 이러한 빠른 성장 과정에서 기존 우유 업계와 크게 대립하며 생겨난 진흙탕 싸움은 매스컴의 많은 질타를 받았다.

2. 3. 부도와 매각

IMF 사태 이후 회사는 위기를 겪게 되었고, IMF의 여파로 1998년 10월에 부도가 났다.[4] 회사는 2004년 한국야쿠르트에 매각되었으며, 2010년 10월 5일 롯데삼강(현 롯데웰푸드)에 인수됐다.[5] 2011년 11월 1일을 기일로 파스퇴르유업 법인은 소멸되었고,[6] 현재는 브랜드로만 남아 있다. 파스퇴르 생산시설은 롯데푸드 파스퇴르공장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7]

3. 저온 살균법

저온살균법은 1860년대 루이 파스퇴르가 개발한 기술로, 현재 낙농 선진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8] 이 방법은 원유 품질이 매우 좋아야 하며, 63°C에서 30분간 살균해야 하므로 초고온살균 방식보다 비용과 노력이 더 많이 필요하다. 반면 초고온살균 우유는 생산 효율이 높고 유통기한이 길지만, 영양소가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9] 대한민국에서는 서울우유협동조합 등 주요 유업체들이 초고온살균법을 주로 사용해왔다. 파스퇴르유업은 저온살균법을 내세워 기존 우유 업계와 많은 논쟁을 벌였는데, 기존 업계는 저온살균 우유가 가격만 비싸다고 주장했다.[10]

3. 1. 저온 살균법의 원리 및 장단점

저온살균법은 1860년대 루이 파스퇴르에 의해 개발된 이래, 현재는 낙농선진국인 미국과 유럽에서 널리 행해지는 공법이다.[8]

저온살균법은 원유 품질이 나쁘거나 세균수가 많으면 사용할 수 없고, 63°C에서 30분간 살균하므로 130°C~135°C에서 2~3초간 살균하는 초고온살균 방식보다 많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하다. 반면 초고온살균 우유는 가공비가 적게 들고 생산 효율이 높은데다 유통기한이 길다는 장점이 있지만, 칼슘 흡수율이 떨어지고 고온으로 인한 단백질 변성이 생기며 비타민 등의 영양소가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9]

대한민국의 경우, 고속 성장 하에서 낙농업이 성장해왔기 때문에 서울우유협동조합을 비롯한 남양유업, 매일유업 등 국내 업체가 효율성이 뛰어난 초고온살균법을 사용해왔다. 이에 저온살균법을 내세워 성장한 파스퇴르유업은 당시 초고온살균법만을 사용하던 유가공협회 등 기존 우유 업계와 광고 등을 통해 많은 논쟁을 벌였다. 기존 우유 업계에서는 저온살균 공법으로 만들어진 우유가 고온살균 우유와 영양소에 아무 차이가 없으며 가격만 비쌀 뿐이라고 주장해 왔다.[10]

3. 2. 한국 유가공 산업에서의 저온 살균법 도입

루이 파스퇴르에 의해 1860년대 개발된 저온살균법은 현재 미국과 유럽 등 낙농선진국에서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8]

저온살균법은 원유 품질이 나쁘거나 세균 수가 많으면 사용할 수 없다. 또한 63°C에서 30분간 살균해야 하므로, 130°C~135°C에서 2~3초간 살균하는 초고온살균 방식보다 더 많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하다. 반면 초고온살균 우유는 가공비가 적게 들고 생산 효율성이 높으며 유통기한이 길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칼슘 흡수율이 떨어지고, 고온으로 인해 단백질 변성이 발생하며, 비타민 등 영양소가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9]

한국의 경우, 고속 성장 과정에서 낙농업이 발전했기 때문에 서울우유협동조합, 남양유업, 매일유업 등 국내 업체들은 효율성이 높은 초고온살균법을 사용해왔다. 이에 파스퇴르유업은 저온살균법을 내세워 성장하면서, 당시 초고온살균법만 사용하던 유가공협회 등 기존 우유 업계와 광고 등을 통해 많은 논쟁을 벌였다. 기존 우유 업계는 저온살균 우유가 고온살균 우유와 영양소 차이가 없으며 가격만 비싸다고 주장했다.[10]

4. 저온 살균 우유 시장

저온 살균 우유는 일반 우유와 달리 낮은 온도에서 살균 처리하여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고 신선함을 유지하는 우유이다. 이러한 장점 덕분에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아져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파스퇴르유업 외에도 강성원 우유, 후디스 우유 등 다른 고급 우유 회사들도 저온 살균 공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매일유업서울우유협동조합도 ‘63℃ 저온살균우유’를 출시하는 등 저온 살균 우유 시장은 확대되고 있다.[9][13]

4. 1. 시장 현황 및 성장세

소비자의 눈높이가 높아지면서 저온살균우유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어, 우유 시장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저온살균 우유는 급성장세를 보이는 추세다.[11]

2012년 730억 규모였던 저온살균 우유 시장은 최근 급성장하여 2013년 860억, 2014년에는 1020억 규모로 2년 만에 40%가량의 성장이 예상된다.[11] 이는 2014년 전체 우유시장이 1.932조으로 2012년에 비해 6%가량 마이너스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는 것과는 대비된다. 해외 시장에서도 마찬가지로, 중국 시장에서도 저온살균우유가 상대적으로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매년 35%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소비량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12]

저온살균우유 시장에서 파스퇴르유업은 시장 점유율 70%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는 강성원 우유, 후디스 우유 등의 고급 우유 시장에서 저온살균 공법이 쓰이고 있고, 매일유업서울우유협동조합의 경우, ‘63℃ 저온살균우유’를 내놓는 등 저온살균 우유 시장은 점차 저변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9][13]

4. 2. 파스퇴르유업의 시장 점유율

현재 우유 시장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저온살균 우유는 급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소비자의 눈높이가 높아지면서 저온살균우유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11]

2012년 730억 규모였던 저온살균 우유 시장은 최근 급성장하여 2013년 860억, 2014년에는 1020억 규모로 2년 만에 40%가량의 성장이 예상된다.[11] 이는 2014년 전체 우유시장이 1.932조으로 2012년에 비해 6%가량 마이너스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는 것과는 대비된다. 이는 해외 시장에서도 마찬가지로, 중국 시장에서도 저온살균우유가 상대적으로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매년 35%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소비량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12]

저온살균우유 시장에서 파스퇴르유업은 시장 점유율 70%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는 강성원 우유, 후디스 우유 등의 고급 우유 시장에서 저온살균 공법이 쓰이고 있고, 매일유업서울우유협동조합의 경우, ‘63℃ 저온살균우유’를 내놓는 등 저온살균 우유 시장은 점차 저변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9][13]

참조

[1] 뉴스 나의 우유전쟁 1. 서쪽에서 부는 바람 http://article.joins[...]
[2] 뉴스 나의 우유전쟁 19. 진짜우유를 http://article.joins[...]
[3] 뉴스 나의 우유전쟁 8. 敵 덕분에 급성장 http://article.joins[...]
[4] 뉴스 나의 우유전쟁 42. 파스퇴르 부도 - 중앙일보 May 21, 2005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05-05-21
[5] 뉴스 부침의 파스퇴르 롯데로..유업계 변화하나 https://news.naver.c[...]
[6] 뉴스 롯데삼강, 파스퇴르유업 흡수합병 http://media.daum.ne[...]
[7] 문서 설립자 흡수합병 이후 12년만에 작고
[8] 뉴스 정체기 우유시장, 저온살균우유는 뜨겁다, 헤럴드경제 2014-07-08 헤럴드경제 2014-07-08
[9] 뉴스 파스퇴르, 6년 만에 저온살균 우유 CF 재개 '왜'? 조세일보 2014.07.08 조세일보 2014-07-08
[10] 뉴스 파스퇴르 저온살균우유 논란, 매일일보 2012.11.15 매일일보 2012-11-15
[11] 뉴스 저온살균 우유, 다시 뜬다, 한국경제 2014-07-08 한국경제 2014-07-08
[12] 뉴스 중국 저온살균우유 소비 확대 - 식품음료신문 Apr 25, 2012 식품음료신문 2012-04-25
[13] 뉴스 파스퇴르, 저온살균 우유시장 부동 1위, 시장 점유율 70%, 파이낸셜뉴스 2014.07.01 파이낸셜뉴스 2014-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