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유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일유업은 1969년 한국낙농가공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유제품 및 식품 회사이다. 1973년 한국낙농유업으로, 1980년 매일유업으로 상호를 변경했으며, 1999년 코스닥에 상장되었다. 주요 제품으로는 매일우유, 상하목장 유기농 우유, 앱솔루트 등 유제품과 식음료를 생산하며, 2007년부터 외식 사업을 시작하여 폴 바셋, 엠즈 다이닝 등의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 사회공헌 활동으로 선천성 대사이상 환아를 위한 특수 유아식 개발 및 PKU 가족 캠프 후원 등을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택시의 단체 - 경기평택항만공사
경기평택항만공사는 평택항의 개발과 활성화를 위해 설립된 경기도 지방공기업으로, 시설 관리, 물류 시스템 구축, 활성화 사업 개발, 배후단지 개발, 위탁 사업 등을 수행하며 평택항을 무역항으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다. - 평택시의 단체 - 제2보병사단 (미국)
제2보병사단은 1917년 창설되어 주요 전투에 참전한 미 육군의 보병사단으로, 현재 대한민국에 주둔하며 한반도 안보에 기여하고 있고, 냉전 시대 주요 사건 연루 및 21세기 미군 재편성 과정을 거치며 대한민국과 미국 워싱턴 주에 부대가 분산 배치되어 독특한 조직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 유제품 업체 - 폰테라
폰테라는 2001년 뉴질랜드 유제품 그룹, 키위 협동조합 유제품, 뉴질랜드 유제품 위원회의 합병으로 설립된 다국적 유제품 협동조합으로, 뉴질랜드 유제품 생산량의 95%를 수출하며 글로벌 B2B 유제품 영양 제품 공급업체로의 전환을 위해 글로벌 소비자 사업 매각을 발표했다. - 유제품 업체 - 푸르밀
푸르밀은 1978년 롯데유업으로 시작하여 롯데축산, 롯데햄·롯데우유를 거쳐 2009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유제품 및 음료 제조 기업이다. - 2017년 해체된 기업 - 서울메트로
서울메트로는 1981년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로 설립되어 2005년 사명을 변경한 서울특별시의 지하철 운영 기관으로, 서울 지하철 1~4호선과 9호선 일부 구간을 운영하며 서울 대중교통 시스템 발전에 기여했으나 2017년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로 출범했다. - 2017년 해체된 기업 - 한불화장품
한불화장품은 1989년 설립되어 자체 브랜드 개발과 품질 관리 시스템 인증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잇츠스킨과 합병하여 사업 영역을 확장한 대한민국의 화장품 제조 및 판매 기업이다.
매일유업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회사 이름 | 매일유업 주식회사 |
영문 회사 이름 | Maeil Dairies Co., Ltd. |
설립일 | 1969년 2월 14일 (최초 설립) |
분할 설립일 | 2017년 5월 1일 (매일홀딩스로부터 분할) |
창립자 | 진암 김복용 회장 |
상장 정보 | (2017.6.5 상장) |
본사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길 50 (중학동, 더케이트윈타워A동) |
국가 | 대한민국 |
산업 | 유제품 제조 |
사업 내용 | 액상 시유 및 기타 낙농제품 제조업 |
대표 상품 | 분유 우유 이유식 음료 |
자본금 | 67억 원 (2015년 12월) |
매출액 | 1조 5421억 8843만 8427원 (2015년) |
영업 이익 | 363억 8504만 9166원 (2015년) |
순이익 | 260억 6845만 3647원 (2015년) |
자산 총액 | 8355억 169만 9438원 (2015년 12월) |
주요 주주 | 김정완 외 특수관계인: 38.83% 진암사회복지재단: 10.67% 이종석: 7.52% 국민연금: 6.64% |
직원 수 | 2,085명 (2015년 12월) |
모기업 | 매일홀딩스(주) |
웹사이트 | 매일유업 |
대표자 | 김정완 (대표이사 회장) 김선희 (대표이사 사장) |
자회사 | |
주요 자회사 | 상하농원 엠즈씨드 엠즈베버리지 엠즈푸드시스템 엠즈파트너스 레뱅드매일 엠디웰 |
2. 연혁
- 1969년 2월: '''한국낙농가공''' 설립
- 1973년 3월: '''한국낙농가공'''에서 '''한국낙농유업'''으로 상호 변경
- 1977년 4월: 한국낙농유업지부 결성대회를 시작으로 노동조합 정식 발족
- 1977년 10월: 일본 L.B社와 기술제휴
- 1980년 3월: '''한국낙농유업'''에서 '''매일유업㈜'''으로 상호 변경
- 1980년 6월: 스위스 Nestlé S.A.社와 영양유아식 쎄레락 수입판매 위탁 체결
- 1987년 12월: 독일 밀루파社와 기술제휴
- 1989년 11월: 뉴질랜드데어리보드와 합작투자로 '''매일-뉴질랜드치즈''' 설립
- 1995년 5월: 매일유업 영문CI를 Maeil로 사용
- 1999년: 코스닥 신규 등록
- 2004년 11월: '''매일-뉴질랜드치즈'''에서 '''상하'''로 상호 변경
- 2008년 2월: 새로운 기업이미지(CI) 선포
- 2010년 4월: 주식회사 상하 흡수합병
- 2010년 11월: 삿포로맥주 한국 판매 진출[2]
- 2011년 5월: 일본 삿포로맥주社와 합작회사인 엠즈베버리즈 신설 법인 설립
- 2013년 6월: 폴바셋 외식사업부문을 엠즈씨드주식회사로 분할
- 2014년 10월: 새로운 기업이미지(CI) 리뉴얼
- 2017년 4월 26일: 스포츠 마케팅 어워드 코리아 2017 기업/브랜드 부문 대상 수상
- 2017년 5월: 기업 분할로 신규 설립
- 2007년: 베트남 진출
- 2011년: 우유에서 포름알데히드 검출 (오염된 사료 사용이 원인)
- 2012년 9월: 100% 방사능 안전 관리·안심 캠페인 실시, 분유에 일본산 원재료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발표[3]
- 2012년 11월: 중국 수출 우유에서 황색포도상구균 검출, 폐기 처분[4]
2. 1. 회사 설립 및 성장
1969년 2월 '''한국낙농가공'''으로 설립되었다. 1973년 3월 상호를 '''한국낙농가공'''에서 '''한국낙농유업'''으로 변경하였다. 1977년 4월 한국낙농유업지부 결성대회를 출발점으로 노동조합이 정식 발족되었고, 같은 해 10월 일본 L.B社와 기술제휴를 맺었다. 1980년 3월 상호를 '''한국낙농유업'''에서 '''매일유업㈜'''으로 변경하였고, 같은 해 6월 스위스 Nestlé S.A.社와 영양유아식 쎄레락 수입판매 위탁계약을 체결하였다. 1987년 12월 육아식품 전문회사인 독일 밀루파社와 기술제휴를 맺었고, 1989년 11월 뉴질랜드데어리보드와 합작투자로 '''매일-뉴질랜드치즈'''를 설립하였다.1995년 5월 매일유업 영문CI를 Maeil로 사용하기 시작했고, 1999년 코스닥에 신규 등록되었다. 2004년 11월 상호를 '''매일-뉴질랜드치즈'''에서 '''상하'''로 변경하였다. 2008년 2월 새로운 기업이미지(CI)를 선포하였고, 2010년 4월 주식회사 상하를 흡수합병하였다.
2010년 11월 삿포로맥주를 한국에 판매하기 시작했고,[2] 2011년 5월 일본 삿포로맥주社와 합작회사인 엠즈베버리즈 신설 법인을 설립하였다. 2013년 6월 폴바셋 외식사업부문을 엠즈씨드주식회사로 분할하였다. 2014년 10월 새로운 기업이미지(CI)를 리뉴얼하였으며, 2017년 4월 26일 스포츠 마케팅 어워드 코리아 2017 기업/브랜드 부문 대상을 수상하였다. 2017년 5월 기업 분할로 신규 설립되었다.
2007년 베트남에 진출하였고, 2011년 우유에서 포름알데히드가 검출되었는데, 원인은 오염된 사료 사용 때문이었다. 2012년 9월에는 100% 방사능 안전 관리·안심 캠페인 실시를 선언하고, 분유에 일본산 원재료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3] 같은 해 11월, 중국으로 수출된 우유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어 폐기 처분되었다.[4]
2. 2. 사업 확장 및 변화
매일유업은 1980년 3월 한국낙농유업에서 변경된 상호이다.[2] 1989년 11월 뉴질랜드데어리보드와 합작하여 '''매일-뉴질랜드치즈'''를 설립했고,[2] 2004년 11월 '''상하'''로 상호를 변경했다.[2] 2010년 4월, 매일유업은 주식회사 상하를 흡수합병했다.[2]2010년 11월, 매일유업은 일본 삿포로 홀딩스와 삿포로맥주 판매 사업 관련 업무 제휴를 체결했다.[2] 2011년 5월에는 일본 삿포로맥주와 합작회사인 엠즈베버리즈를 설립했고,[2] 2013년 6월에는 폴바셋 외식사업부문을 엠즈씨드 주식회사로 분할했다.[2]
2007년 매일유업은 베트남에 진출했다. 2012년 9월에는 100% 방사능 안전 관리 및 안심 캠페인을 실시하며 분유에 일본산 원재료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3] 그러나 2011년 우유에서 포르말린이 검출되었는데, 이는 오염된 사료 사용이 원인이었다. 2012년 11월에는 중국으로 수출된 우유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어 폐기 처분되기도 했다.[4]
2. 3. 품질 논란
2011년, 매일유업의 우유에서 포르말린이 검출되었다. 이는 오염된 사료를 사용했기 때문이었다.[3]2012년 11월에는 중국으로 수출된 우유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어 전량 폐기되었다.[4]
3. 사업
매일유업은 유제품, 식음료 및 외식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2016년에는 축구, 농구 등 삼성 스포츠단 일부 종목과 스폰서십을 체결하였다.
3. 1. 유제품 및 식음료
매일유업의 주요 제품으로는 매일우유, 상하목장 유기농 우유, 새벽목장, 바나나는 원래 하얗다, 매일맘마, 앱솔루트, 맘마밀, 퓨어, 엔요, 카페라떼, 바리스타, 썬업, 순두유, 뼈로가는 칼슘두유, 상하치즈 등이 있다. 매일유업 중앙연구소에서는 유아식, 음료, 발효유, 유지식품, 프로바이오틱 균주 개발, 준의약식품, 환자식 등을 개발하고 있다.[5]3. 2. 외식 사업
매일유업은 2007년 인도 요리 레스토랑 달(Dal) 역삼점을 열면서 외식 사업을 시작했다. 엠즈 다이닝(M's dining)이라는 이름으로 수제 버거 ‘골든 리퍼블릭’, 일본식 곱창전골 ‘야마야’, 중식 ‘크리스탈 제이드’, 이탈리아 요리 전문점 ‘더 키친 살바토레 쿠오모’, 일본식 돈가스 ‘안즈’, 일식 ‘만텐보시’, 스시 전문점 ‘타츠미즈시’ 등 여러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5]2013년 6월 1일 폴바셋 외식사업 부문은 엠즈씨드로 분할되었다.
4. 사회공헌
매일유업은 다음과 같은 사회 공헌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5. 공장 현황
공장명 | 소재지 |
---|---|
평택공장(연구소) |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진위서로 63 |
아산공장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영인로202번길 61-23 |
청양공장 | 충청남도 청양군 청양읍 충절로 1355-58 |
영동공장 | 충청북도 영동군 매곡면 괘방령로 730-20 |
경산공장 |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학로 1090 |
상하공장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상하면 진암구시포로 412 |
광주공장 | 광주광역시 광산구 어등대로 511 |
참조
[1]
웹사이트
2009年韓国の酪農・乳業の現状について
http://www.alic.go.j[...]
[2]
웹사이트
韓国大手乳業メーカー メイル乳業と業務提携
http://www.sapporoho[...]
[3]
뉴스
韓国の毎日乳業、放射能を懸念し粉ミルクの原材料から日本産を排除
http://news.searchin[...]
2012-09-28
[4]
뉴스
中国向け輸出の韓国産牛乳、食中毒を引き起こす病原菌を検出
https://web.archive.[...]
2012-11-10
[5]
뉴스
라이벌 매일유업 vs 남양유업 외식 싸움 “강남서 한판 승부…오너 관심 ‘각별’"
한국경제
2012-12-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