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이어 엠블렘 무쌍 풍화설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파이어 엠블렘 무쌍 풍화설월》은 《파이어 엠블렘 풍화설월》의 세계관을 공유하며 새로운 이야기를 다루는 핵 앤 슬래시 액션 롤플레잉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성별을 선택할 수 있는 주인공 셰즈가 되어, 홍염, 청람, 금제의 세 가지 스토리 라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진행한다. 전작의 등장인물들과 새로운 캐릭터들이 등장하며, 특히 전작의 주인공 베레트가 적대 세력으로 등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게임은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이야기가 전개되며, 각기 다른 세력에 소속된 인물들과의 관계를 통해 스토리를 즐길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쌍 시리즈 - 파이어 엠블렘 무쌍
    파이어 엠블렘 무쌍은 코에이 테크모가 개발하고 닌텐도 스위치와 닌텐도 3DS로 출시된 핵 앤 슬래시 액션 롤플레잉 게임이며, 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의 캐릭터들을 조작하여 전투를 벌이고, 아토리스 왕국의 쌍둥이 왕자/공주가 다른 세계의 영웅들과 협력하여 혼돈룡 벨레자크를 물리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무쌍 시리즈 - 무쌍☆스타즈
    무쌍☆스타즈는 코에이 테크모 게임 캐릭터들이 등장하여 마법 샘이 있는 왕국에서 영웅들이 경쟁하는 스토리를 담은 크로스오버 무쌍 액션 게임으로, 플레이어는 다양한 캐릭터를 조작하여 핵 앤 슬래시 전투를 즐기며 15개의 엔딩을 통해 전체 스토리를 경험할 수 있다.
  • 파이어 엠블렘 게임 - 파이어 엠블렘 if
    파이어 엠블렘 if는 2015년에 닌텐도 3DS로 출시된 롤플레잉 게임으로, 호시도와 노르 왕국 간의 전쟁을 배경으로 주인공 카무이가 선택에 따라 세 개의 왕국 중 하나에 합류하여 스토리를 진행하며, 턴 방식 전투, 마이 캐슬 시스템, 다양한 모드와 온라인 멀티플레이를 지원한다.
  • 파이어 엠블렘 게임 - 파이어 엠블렘 히어로즈
    파이어 엠블렘 히어로즈는 인텔리전트 시스템즈와 닌텐도가 공동 개발한 부분 유료화 턴제 전략 롤플레잉 게임으로, 플레이어는 소환사가 되어 영웅들을 소환하고 육성하여 아스크 왕국을 엠블라 제국으로부터 지키는 임무를 수행하며, 노르드 신화를 기반으로 한 세계관과 다양한 게임 모드를 제공한다.
파이어 엠블렘 무쌍 풍화설월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게임의 주요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키 아트워크
게임의 주요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키 아트워크
원제파이어 엠블렘 무쌍 풍화설월
로마자 표기Paieo Aembeulrem Mussang Punghwaseolwol
장르핵 앤드 슬래시
액션 롤플레잉
실시간 전략
모드싱글 플레이어
멀티 플레이어
개발
개발사오메가 포스
엔진Katana Engine
디렉터이와타 하야토
프로듀서하야시 요스케
디자이너오카모토 코스케
작곡가히로무 아카바
아사미 미타케
아야코 토요다
유키 마츠무라
아티스트토시유키 쿠사키하라
치나츠 쿠라하나
각본가유키 이케노
마리 오카모토
료헤이 하야시
유키 하라오
유통
배급사닌텐도
일본 배급사코에이 테크모 게임스
시리즈
시리즈파이어 엠블렘
진·삼국무쌍
플랫폼 및 출시일
플랫폼닌텐도 스위치
출시일2022년 6월 24일
기타
콘텐츠 아이콘섹슈얼, 폭력, 범죄

2. 줄거리

이 게임은 《파이어 엠블렘 풍화설월》의 대체 시간선인 포드라 대륙을 배경으로 하며, 《풍화설월》과 마찬가지로 세 개의 고유한 스토리라인을 가지고 있다. 각각 세 개의 반장 중 한 명을 따르는 방식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전작과의 차이점은 《파이어 엠블렘 풍화설월》의 플레이어블 캐릭터인 베레트가 적대자로 등장한다는 것이다. 《무쌍 풍화설월》은 《풍화설월》의 등장인물들과 함께 싸울 두 명의 새로운 캐릭터를 소개하는데, 이전에 베레트와 만난 용병 셰즈와 소티스를 반대하는 신비로운 흰색 옷을 입은 존재 아르발이다.[11]

게임의 무대는 포드라의 대지로, 《파이어 엠블렘 풍화설월》의 세계 및 등장인물들을 계승한 새로운 이야기를 다룬다. 주인공은 성별 및 이름을 선택할 수 있는 인물 '셰즈'이다.[37]

2. 1. 단장

주인공 '''셰즈'''가 소속된 벨란 용병단은 한 귀족에게 고용되어, 다른 귀족에게 고용된 제랄트 용병단과 싸우게 된다. 셰즈는 자신의 꿈에 나타나는 라르바의 힘을 빌려 분전하지만 역부족이었고, '회색의 악마'에 의해 벨란 용병단은 괴멸한다.[1] 셰즈는 '회색의 악마'에 대한 복수를 맹세한다.[1]

2. 2. 서장

갈그마크 근교의 산에서 수행 중이던 셰즈는, 도적단에게 습격당해 루미르 마을에 주둔하고 있던 용병단에 구조를 요청하러 가던 사관학교의 3급장과 만난다. 셰즈는 용병으로서 자신을 3급장에게 팔아, 3급장과 협력하여 도적단 '철의 왕'의 요새를 공격하고 두목 코스타스를 쓰러뜨렸다.[1]

사관학교 학생들이 도적단에게 습격당한 것은 교외 학습 중 추문이라 공론화할 수 없었기에, 셰즈는 반 강제적으로 갈그마크 대수도원으로 동행하게 된다. 갈그마크에서는 대주교 레아와 세테스에게 사례와 입막음이 반반 섞인 이유로 사관학교 입학을 권유받는다. 셰즈는 거절할 선택지가 없었고, 자신의 실력을 키울 기회도 된다고 판단하여 사관학교 입학에 동의하고 편입할 반을 선택한다.[1]

2. 3. 각 장별 줄거리

본 게임은 세 개의 주요 스토리 분기점을 가지며, 플레이어는 각 분기점에서 선택을 통해 스토리를 진행할 수 있다.

  • '''홍련의 장''' (de, en)


에델가르트의 군대는 제국을 위해 가르그 마크를 점령하고, 세이로스 교회는 왕국에 도움을 요청한다. 제국은 왕국과 연합의 군대를 막아내고, 에델가르트와 클로드는 협약을 맺는다.[11] 이후, "어둠 속에서 속삭이는 자들"의 공격을 진압하고 다시 왕국으로 진격한다. 레아는 비밀 통로를 통해 가르그 마크를 되찾고, 에델가르트의 군대는 레아와 탈레스가 서로를 죽일 때까지 두 군대를 막아낸다. 이 루트에는 셰즈가 제랄트와 베레트를 영입하거나 죽이는 것에 따라 결정되는 두 가지 엔딩이 있다.

  • '''청람의 장'''


디미트리는 세이로스 교회에 망명을 제공하고 제국과 전쟁을 벌인다. 코르넬리아를 물리친 후, 그녀는 디미트리에게 에델가르트의 어머니가 다스커의 비극에 연루되었음을 알린다. 왕국과 제국은 아리안로드에서 격돌하고, 왕국군이 승리한다.[11] 디미트리가 에델가르트를 죽이기 전에 탈레스가 나타나 둘 다 공격한다.[11] 에델가르트는 탈레스가 디미트리의 아버지의 죽음에 책임이 있다고 밝히지만, 탈레스는 마법으로 그녀를 제압한다.[11] 클로드와 디미트리는 동맹을 맺고,[11] 디미트리의 군대는 아에기르 공작과 탈레스를 죽이고 에델가르트를 해방시킨다.[11]

  • '''금제의 야화'''


클로드는 레스터를 방어하기 위해 에델가르트에 반대한다. 샤히드의 공격을 격퇴하고 클로드는 에델가르트와 휴전을 협상한다. 연합은 레스터 연방으로 개편되고 클로드가 초대 왕이 된다. 클로드는 레아를 죽이고 교회의 권력을 약화시키기 시작한다.[11] 클로드는 디미트리를 파르가스의 수도로 몰아넣지만 "어둠 속에서 속삭이는 자들"이 내전을 선동한다. 제국과 연방은 왕국과 교회를 물리치고, 디미트리는 파르가스를 보호하기 위해 교회를 버리고 셰즈와 클로드가 레아와 싸워 죽일 수 있게 한다.

  • '''비밀의 장'''


베레트와 제랄트는 셰즈에 반대하는 세력에게 고용된다. 셰즈가 제랄트를 죽이면, 베레트는 복수를 맹세하고 소티스에게 육신을 바친다. 셰즈가 베레트와 제랄트를 항복시키면 둘은 셰즈의 세력에 고용된다.[11] 아르발은 셰즈를 소유하고 베레트를 죽이려 시도한다. 아르발은 "어둠 속에서 속삭이는 자들"의 일원인 에피메니데스의 영혼의 그릇임이 밝혀진다. 셰즈와 세 영주는 에피메니데스를 죽인다.[11]

2. 3. 1. 홍련의 장

Rotglutwegde (홍염의 길)

Scarlet Blaze영어 (붉은 화염)

에델가르트와 그녀의 군대는 제국을 위해 가르그 마크를 점령하고, 세이로스 교회는 왕국에 도움을 요청한다. 제국은 서부와 동부의 주요 지점을 확보하기 위해 왕국과 연합의 군대를 막아낸다. 몇 달 후, 에델가르트와 클로드는 제국과 연합이 왕국과 세이로스 교회를 물리치기 위해 협력하는 협약을 맺는다.[11]

아드라스테아 제국의 많은 영토가 "어둠 속에서 속삭이는 자들"과 전 아에기르 공작이 이끄는 반란군의 공격을 받는다. 에델가르트의 군대는 아에기르 공작을 죽이고 혼란을 진압한 후 다시 왕국으로 진격한다. 제국과 연합이 북부에서 왕국과 세이로스 교회와 싸우는 동안, 레아는 비밀 통로를 사용하여 병사들을 이끌고 탈레스와 "어둠 속에서 속삭이는 자들"이 접근하는 가르그 마크를 되찾는다. 에델가르트의 군대는 레아와 탈레스가 서로를 죽일 때까지 두 군대를 막아낸다. 그들의 부재로 중앙 교회의 영향력은 약해지고 "어둠 속에서 속삭이는 자들"은 사라진다.[11]

이 루트에는 셰즈가 제랄트와 베레트를 영입하거나 죽이기로 결정하는 것에 따라 결정되는 두 가지 엔딩이 있다.

레스터 제후 동맹의 글로스터 가문과 프레게톤 가문의 협력을 얻은 제국군은 밀딘 대교를 통과하여 가르그 마크를 급습하여 함락시킨다. 쫓겨난 대주교 레아 등은 왕국에 보호받게 된다. 왕국에서는 제국을 지지하고 교단과 왕국의 행동에 이의를 제기하는 로나토 경이 반란을 일으키지만, 에델가르트가 이끄는 제국군이 지원을 위해 서진하여 진압한다.[11]

군무경 베르그리즈 백작이 이끄는 군은 리건 영지를 침공하기 위해 동맹령 깊숙이 진군했지만, 글로스터 가문과 프레게톤 가문이 돌연 제국에 반기를 들어 포위되어 전멸 위기에 놓인다. 에델가르트는 군을 동쪽으로 보내 이들을 구원한다. 글로스터 가문과 프레게톤 가문을 격파하고 밀딘 대교를 재점령하고, 동맹군의 포위진 및 동맹에 고용된 제랄트 용병단을 격파하여 베르그리즈 전단을 구출한다. 이어서 국내의 반란 세력을 진압한 왕국군이 아리안로드 성채 공략을 시작하자, 에델가르트 일행은 다시 서쪽으로 진군하여 왕국군을 격퇴한다. 전략 재정비를 위해 제도로 돌아온 에델가르트 일행을 세이로스 기사단이 급습하지만, 이 또한 격퇴한다.[11]

레스터 제후 동맹과 아드라스테아 제국 간에 군사 동맹이 성립된다. 동맹은 동쪽에서, 제국은 서쪽에서 왕국을 협공한다. 왕국 서부 제국을 항복시킨 제국군이었지만, 동맹 코델리아 영지, 제국 플륌 영지 등 동쪽 끝 영지에서 어둠에 숨어 움직이는 자들의 선동에 의한 대규모 동란이 일어난다. 왕국 서부 전선을 군무경에게 맡기고, 에델가르트 일행은 동란을 진압하지만, 이 동란 자체가 양동이었고, 군비가 줄어든 메리세우스 요새를 루트비히 폰 에기르와 반 황제파 귀족들, 어둠에 숨어 움직이는 자들이 점령한다. 메리세우스 요새를 공격하여 루트비히를 처치한 에델가르트는 동맹군과 공동으로 연옥의 계곡 아릴을 통해 왕국령으로 진군하는 작전을 취한다. 한편 왕국은 대주교 레아의 진언에 따라, 견고한 아리안로드를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연옥의 계곡 아릴에서 남하하여 가르그 마크 탈환을 꾀한다.[11]

제국, 동맹과 왕국군은 연옥의 계곡 아릴에서 격돌한다. 왕국군을 격파했지만, 세이로스 기사단은 없었다. 레아는 기사단만이 아는 샛길을 사용하여 독자적으로 가르그 마크로 쳐들어갔던 것이다. 가르그 마크에는 타레스 등 어둠에 숨어 움직이는 자들도 별도로 침공해오고 있어, 가르그 마크에서 삼파전이 시작된다. 레아는 "하얀 것"으로 모습으로 변하여 분전하지만 처치되고, 타레스와 레아는 서로 죽이는 형태로 깊은 계곡 밑으로 떨어졌다.[11]

포드라에서 세이로스 중앙 교회와 어둠에 숨어 움직이는 자들의 영향을 완전히 배제할 때까지 제국의 싸움은 계속된다.[11]

2. 3. 2. 청람의 장

디미트리는 세이로스 교회에 망명을 제공하고 제국과 전쟁을 벌이기로 결정한다. 왕국 서부 영토를 되찾으려 시도하면서, 그들은 왕족에게 반역적인 전 마법사 코르넬리아와 서부 영주들의 반란에 직면한다.[11] 코르넬리아를 물리친 후, 그녀는 디미트리에게 그의 의붓어머니인 에델가르트의 어머니가 다스커의 비극에 연루되었음을 알리고, 죽기 전에 에델가르트에게 답을 구하라고 격려한다.

왕국과 제국은 아리안로드에서 격돌하고, 왕국군이 승리한다.[11] 디미트리가 에델가르트를 죽이기 전에 탈레스가 나타나 둘 다 공격한다.[11] 에델가르트는 탈레스가 디미트리의 아버지의 죽음에 책임이 있다고 밝히지만, 탈레스는 마법을 사용하여 그녀를 제압하고 통제한다.[11]

탈레스와 아에기르 공작의 지도 아래 제국이 더욱 혼란스러워지면서, 클로드와 디미트리는 레스터, 파르가스, 세이로스 교회의 연합군이 아드라스테아를 쓰러뜨릴 수 있도록 동맹을 맺는다.[11] 제국의 서부 및 동부 군대를 분리한 후, 디미트리와 그의 군대는 아에기르 공작과 탈레스를 성공적으로 죽이고 탈레스의 정신 지배에서 에델가르트를 해방시킨다.[11] 이로 인해 아드라스테아는 모든 전선에서 후퇴하고, 연합군은 제국을 완전히 멸망시키기 위해 남쪽으로 진격하면서 포드란 전역의 권력 구조를 급격하게 변화시킨다.[11]

2. 3. 3. 금제의 야화

클로드는 처음에는 레스터를 방어하기 위해 에델가르트에 반대한다. 그러나 제국에 대한 역침공 시도는 샤히드가 연합에 대한 또 다른 공격을 감행하면서 중단되고, 클로드는 아드라스테아에 대한 공세를 멈추고 샤히드를 격퇴하고 죽여야 한다. 클로드는 에델가르트와 휴전을 협상한다. 4개월 후, 연합은 레스터 연방으로 개편되었으며 클로드가 초대 왕이 된다. 레아가 포드라를 정체시키고 있다고 믿는 에델가르트의 생각에 동의하는 클로드는 레아를 죽이고 교회의 군사적, 정치적 권력을 약화시키기 시작한다.[11]

클로드는 디미트리를 파르가스의 수도로 몰아넣지만 "어둠 속에서 속삭이는 자들"이 레스터에서 내전을 선동하면서 물러서야 했다. 제국과 연방은 전투에서 왕국과 교회를 물리치고, 디미트리는 파르가스를 보호하기 위해 교회를 버리고 셰즈와 클로드가 레아와 싸워 죽일 수 있게 한다. 그의 목표를 달성한 클로드는 전쟁의 종식을 제안하지만, 그의 제안이 받아들여질지는 불확실하다.[11]

2. 3. 4. 비밀의 장

베레트와 제랄트는 세 루트 모두에서 셰즈에 반대하는 세력에게 고용되어 전쟁 내내 그들을 방해한다. 셰즈가 전투에서 제랄트를 죽이면, 베레트는 복수를 맹세하고 자신의 육신을 소티스에게 바친다. 소티스는 셰즈를 공격하지만, 그녀와 베레트는 뒤이은 전투에서 죽고 셰즈는 후회를 남긴다. 셰즈가 베레트와 제랄트를 항복시키면 둘은 셰즈의 세력에 고용된다.[11]

최종 전투 직전, 아르발은 셰즈를 소유하고 베레트를 죽이려 시도한다. 셰즈의 동맹군이 개입하자 아르발은 금단의 마법 자흐라스로 그들, 에델가르트, 디미트리, 클로드를 다른 차원으로 추방한다. 아르발은 소티스를 죽이려는 "어둠 속에서 속삭이는 자들"의 강력한 일원인 에피메니데스의 영혼의 그릇임이 밝혀진다. 셰즈와 세 영주는 에피메니데스를 죽이고 전쟁을 계속하기 위해 그들의 세계로 돌아간다.[11]

3. 등장인물

본 게임에는 《파이어 엠블렘 풍화설월》에 등장했던 인물들과 더불어 새로운 인물들이 등장한다. 각 인물들은 고유한 배경과 스토리를 가지고 있으며, 플레이어는 이들과의 관계를 통해 게임을 더욱 풍성하게 즐길 수 있다.

주인공은 성별 및 이름을 선택할 수 있는 '셰즈'이다.[37] 셰즈는 벨란 용병단 소속이었으나, 제랄트가 이끄는 제랄트 용병단과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회색의 악마'에 대한 복수를 다짐한다.

제랄트 용병단은 루트에 따라 여러 번 등장하며,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그들의 결말이 바뀐다. 제랄트 용병단에는 회색의 악마, 소티스, 제랄트 아이스너, 아로이스 랑게르트가 소속되어 있다.

흑수리반 (아드라스테아 제국), 청사자반 (파르가스 신성 왕국), 금사슴반 (레스터 제후 동맹), 회색 늑대반은 사관학교에서 주인공의 선택에 따라 급우가 되거나, 적 또는 아군으로 등장한다.

세이로스 성교회는 포드라에서 널리 믿어지는 종교이며, 레아, 세테스, 플렌, 카트린, 치릴, 문지기 등이 주요 인물이다.

아드라스테아 제국은 흑수리반의 주요 인물들이 속한 곳이며, 에델가르트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어둠에 꿈틀거리는 자'는 타레스, 솔론, 크로니에 등으로 구성된 비밀 조직으로, 에델가르트와 적대 관계에 놓인다.

팔미라는 포드라 동쪽에 위치한 국가로, 샤하드와 나델이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그 외에도 벨란, 게츠, 리자리가 속한 벨란 용병단, 도적단 두목 코스타스, 상인 안나 등이 등장한다.

3. 1. 주인공

주인공은 성별 및 이름을 선택할 수 있는 인물 '셰즈'이다.[37]

3. 2. 제랄트 용병단

주인공 '''셰즈'''가 소속된 벨란 용병단은 한 귀족에게 고용되어, 다른 귀족에게 고용된 제랄트 용병단과 싸우게 되었다. 셰즈는 자신의 꿈에 나타나는 라르바의 힘을 빌려 분전했지만 역부족으로, '회색의 악마'에 의해 벨란 용병단은 괴멸한다. 셰즈는 '회색의 악마'에 대한 복수를 맹세한다.

본작에서는 루트에 따라 대립하는 세력에 고용되는 형태로 여러 번 등장한다. 특정 스테이지에서 조건을 만족하느냐에 따라 그들의 결말이 변화한다.

제랄트 용병단에는 회색의 악마, 소티스, 제랄트 아이스너, 아로이스 랑게르트가 소속되어 있다.

3. 2. 1. 회색의 악마

코바야시 유스케(남), 이토 시즈카(여)가 성우를 맡았다. 본편 《파이어 엠블렘 풍화설월》의 주인공으로, 본편 내 기본 이름은 남성이 "베레트", 여성이 "베레스"이다. 제랄트 용병단 소속 용병이자 단장 제랄트의 자식으로, 비할 데 없는 강함 때문에 "'''회색의 악마'''"로 불리며 주인공의 숙적이 된다.[11] 《풍화설월》 세이브 데이터가 있고 이름을 변경했다면, 해당 이름이 기본 이름이 된다.

본편과 달리 가르그 마크 대수도원 사관학교를 방문하지 않고 용병 활동을 계속한다. 천제의 패검은 본편에서 소지하지 않으며, 클리어 후 특전 무기로 등장한다.

용병단을 자군에 편입하지 않으면 소티스에게 주도권을 넘겨 복수귀가 된다.

3. 2. 2. 소티스

쿠로사와 토모요가 성우를 맡았다. 회색의 악마 머릿속에 존재하는 소녀이다. 클리어 후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사용할 수 있게 되지만, 스토리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1]

3. 2. 3. 제랄트 아이스너

ジェラルト=アイスナー일본어

성우 - 오오츠카 아키오

제랄트 용병단 단장이자 "'''괴인'''"이라는 이명으로 알려진 뛰어난 솜씨의 용병이다. "회색의 악마"의 아버지이자 전 세이로스 기사단 단장이다. 레오니로부터 존경받고 있다.[1] 외관보다 훨씬 오랜 세월을 살아왔으며, 자신의 육체가 슬슬 한계에 다다랐다는 것을 여기저기서 말하고 있다.[1] 제랄트 용병단을 끌어들이면 그 역시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1]

3. 2. 4. 아로이스 랑게르트

アロイス=ランゲルト|아로이스 랑게르트일본어[1]

  • 성우: 사카마키 마나부
  • 병종: 워리어 → 그레이트 나이트
  • 세이로스 기사단의 기사로, 제랄트가 세이로스 기사단 단장이었을 때의 부하였다. 사관학교 휴교 후에는 기사단을 나와, 제랄트 용병단에 들어간다. 본작에서는 NPC이다.

3. 3. 흑수리반 (아드라스테아 제국)

사관학교에서 주인공이 흑수리반을 선택했을 경우 급우가 되는, 아드라스테아 제국의 일원들이다.[11]

  • '''에델가르트 폰 프레스베르크'''
  • '''휴베르트 폰 베스트라'''
  • '''페르디난트 폰 에기르'''
  • '''린하르트 폰 헤브링'''
  • '''카스파르 폰 베르그리즈'''
  • '''베르나데타 폰 바리'''
  • '''도로테아 아르놀트'''
  • '''페트라 맥네어리''': 이시가미 시즈카가 성우를 맡았다. 초기 병종은 검사(적염의 장), 도적(청린의 장・황요의 장)이며, 15세에서 17세가 된다. 신장은 161cm이다.

3. 3. 1. 에델가르트 폰 프레스베르크

성우는 카쿠마 아이이다.[1]

"흑수리반" 반장이며, 아드라스테아 제국의 황녀이다. 이야기 초반에 황제에 즉위한다.[1]

본작에서는 초반에 아란델 공과 손을 끊고, "어둠에 숨어드는 자"와 적대 관계가 된다.[1]

청린의 장에서는 아리안로드 공략을 위해 왕국군과 교전하지만, 그 과정에서 타레스가 난입하여 정신을 자라스에게 사로잡히고, 이후 타레스의 꼭두각시가 된다.[1] 황요의 장에서는 왕국과 교단에게 습격당한 가르그=마크를 구원하기 위해 연방국군과 공투한다.[1]

3. 3. 2. 휴베르트 폰 베스트라

ヒューベルト=フォン=ベストラ|휴베르트 폰 베스트라일본어

코니시 카츠유키가 성우를 맡았다.[2] 초기 병종은 수도사,[2] 나이는 20세에서 21세가 된다.[2] 신장은 188cm이다.[2]

아드라스테아 제국의 귀족이자 베스트라 후작가의 적자이다.[2] 에델가르트의 복심으로, 초반에 아버지가 사망하여(포박 과정에서 저항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살해되었다고 함) 작위를 잇고 궁내경이 된다.[2]

리시테아와의 지원 회화에서 여동생과 어머니가 생존해 있다는 사실이 언급된다.[2]

다른 루트에서는 청린의 장에서 레아를 포박하기 위한 자객으로 아릴에 파견되지만, 이후에는 전면에 나서지 않는다.[2]

3. 3. 3. 페르디난트 폰 에기르

Ferdinand von Aegir|페르디난트 폰 에기르de

: 성우 - 사카이 토우토

: 초기 병종 - 병사 / 나이: 17세→19세 / 신장: 175cm→180cm / 문장: 키홀의 소문장

: 아드라스테아 제국의 귀족・에기르 공작 루트비히의 적자이다.

: 이야기 초반에 아버지인 루트비히 폰 에기르가 구금되어 양위하지만, 페르디난트의 공작위 계승은 보류되어 있다.[4]

: 청린의 장에서는 에델가르트와 함께 아리안로드 공략 부대를 이끈다. 황요의 장에서는 스스로 나아가 동맹의 리건 영 침공군의 지휘관이 된다.[4]

3. 3. 4. 린하르트 폰 헤브링

Linhardt von Hevring|린하르트 폰 헤브링de은 아드라스테아 제국의 귀족이자 헤브링 백작 발데마르의 적자이다.[1] 성우는 호리에 슌이다.[1] 초기 병종은 수도사(적염의 장), 프리스트(황요의 장), 다크 비숍(청린의 장)이다.[1]

청린의 장에서는 아버지 발데마르와 함께 아리안로드 공격 부대에 합류한 후, 로킹 영에서의 싸움에 참전한다.[1] 황요의 장에서는 밀딘 대교 공략 부대의 장으로 등장한다.[1]

3. 3. 5. 카스파르 폰 베르그리즈

무라카미 사토시가 성우를 맡았다. 아드라스테아 제국의 귀족이자 베르그리즈 백작 레오폴트의 차남이다.[1] 청린의 장에서는 아릴 회전에서 아버지 레오폴트와 함께 후위를 맡았으며, 이후 제국군 추격전에서 에기르 공을 도망치게 하기 위한 후위가 되어 전사한다.[1] 황요의 장에서는 밀딘 대교 공략에 참여한 후, 론다즈 평원에서 전투에 나타난다.[1]

3. 3. 6. 베르나데타 폰 바리

辻あゆみ|쓰지 아유미일본어가 성우를 맡았으며, 아드라스테아 제국의 귀족이자 바리 백작 그레고어의 딸이다.[5]

황요의 장에서는 페르디난트를 따라 리건 영 공략군에 합류했지만, 가르그 마크에는 아버지가 온다는 점과 왕국 측은 레아와 가깝다는 이유에서였다.[5] 청린의 장에서는 구 아란델 영 전투에 참전했다.[5]

3. 3. 7. 도로테아 아르놀트

ドロテア=アールノルト|도로테아 아르놀트일본어는 제도의 미테르프랑크 가극단에 소속되어 있던 전 가희로, 성우는 나가츠마 쥬리이다.[4]

청린의 장에서는 로나토 구원 부대의 장으로 등장한다. 황요의 장에서는 마누엘라와 함께 코델리아 영에서의 소란 수습을 위해 구원 병사를 보내 연방국군에 협력한다.[4]

3. 3. 8. 페트라 맥네어리

아드라스테아 제국의 속국인 브리짓 제도를 다스리는 왕의 손녀이다. 이야기 초반에 왕위를 계승하지만 일부에게만 밝히고 있다. 또한 종전 후에는 에델가르트와 브리짓의 제국에 대한 종속 상태 해소와 같은 밀약을 체결했다. 청린의 장에서는 레아를 포박하기 위한 자객으로 아릴을 기습한다. 황요의 장에서는 론다즈 평원에 출격한다.

3. 4. 청사자반 (파르가스 신성 왕국)

주인공이 사관학교에서 청사자반을 선택하면, 파르가스 신성 왕국의 인물들이 급우가 된다. 그러나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청사자반(파르가스 신성 왕국) 인물들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이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3. 5. 금사슴반 (레스터 제후 동맹)



사관학교에서 주인공이 금사슴반을 선택했을 경우 급우가 되는 레스터 제후 동맹령의 일원들이다.

3. 6. 회색 늑대반

본작에서는 개전 후에 적 또는 아군으로 등장하며, 동료로 만들기 위해서는 설득할 필요가 있다.[1] 회색 늑대반의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 유리스=르클레르
  • 발타자르=폰=아달브레히트
  • 콘스탄체=폰=노이에
  • 하피

3. 6. 1. 유리스=르클레르

エノキ ジュンヤ|에노키 준야일본어가 성우를 맡았다. 「회색 늑대의 학급」의 리더 격이었던 자로, 왕국 귀족 로베 백작가의 전 양자였다. 궨달과도 구면이다.[1]

청람의 장에서는 아리안로드로 가는 숨겨진 통로 정보를 가지고 제국군에 참가하여, 아리안로드로 쳐들어온다. 적염의 장에서는 로드리고에게 고용되어 제국군과 대결한다. 황료의 장에서는 형 란돌프를 죽게 한 플레체에게 고용되어 복수에 협력하는 형태로 연방국군과 대결한다.[1]

주인공과의 지원 회화에서, 어머니는 병약하여 언제 죽을지 모르지만 생존해 있으며, 본명이 "레그"로 시작하는 이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1]

3. 6. 2. 발타자르=폰=아달브레히트

키무라 스바루가 성우를 맡았으며, 레스터 제후 동맹의 귀족이자 아달브레히트 남작가의 전 당주이다.[1] 나이는 29세, 신장은 198cm이다.[1] 문장은 슈발리에의 문장이며,[1] 초기 병종은 다음과 같다.[1]

구분병종
적염의 장・황료의 장권투사
청람의 장워 마스터



청람의 장에서는 돈을 잘 쓴다는 이유로 제국의 용병이 되었지만, 메토제이 지휘 하에 놓이면서 제국 민간인 학살 명령이 내려지자 계약을 파기하고 제국군을 이탈하여 아군이 된다.[1] 적염의 장에서는 밀딘 대교 방어전에서 제국군과 대결하며,[1] 황료의 장에서는 용병대로서 데어드라 공략의 제국군에 고용되어 동맹군과 대결한다.[1]

3. 6. 3. 콘스탄체=폰=노이에

Constanze von Nuvelle|콘스탄체 폰 노이에영어는 아드라스테아 제국에 있던 귀족 노이에 자작가의 전 적자이다. 성우는 브리드컷 세라 에미이다.

3. 6. 4. 하피

ミサワ サチカ|미사와 사치카일본어가 성우를 맡았다. 사도 티모테의 은신처 출신으로, 어둠 속에 꿈틀거리는 자들에게 납치되어 몸을 조작당한 과거 때문에 마물을 불러들이기 쉬운 체질이 되었다.[14] 청람의 장에서는 제국 측으로서 레아 등의 추격전에 참가하며, 적염의 장과 황료의 장에서는 세이로스 기사단에 징병되어 적대한다.[14]

3. 7. 세이로스 성교회 관계자



세이로스 성교회는 포드라에서 널리 믿어지는 종교이다.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레아: 세이로스 성교회의 대주교이다.
  • 세테스: 대주교 보좌이다.
  • 플렌: 세테스의 여동생이다.
  • 카트린: 세이로스 기사단원이다.
  • 치릴: 레아의 종자이다.
  • 문지기: 대수도원의 문지기이다.

3. 7. 1. 레아

レア|레아일본어[1]는 세이로스 성교회의 대주교이다.[1] 성우는 이노우에 키쿠코이다.[1]

3. 7. 2. 세테스

子安武人|코야스 타케히토일본어가 성우를 맡았으며, 세이로스 성교회의 대주교 보좌이다.

3. 7. 3. 플렌

フレン일본어[1]

성우는 오노 유후코이다.[1] 세테스의 여동생이다.[1]

3. 7. 4. 카트린

마츠우라 치에가 성우를 맡은 세이로스 기사단원이다. 영웅의 유산인 "뇌정"을 가진 뛰어난 검사이며, 왕국 귀족 카론 가 출신이다.

3. 7. 5. 치릴

シリル|치릴일본어레아의 종자이다. 팔미라 출신이다.[1] 카와니시 켄고가 성우를 담당했다.[1]

3. 7. 6. 문지기

松本 忍|마쓰모토 시노부일본어가 성우를 맡은 대수도원의 문지기이다.

3. 8. 아드라스테아 제국

사관학교에서 주인공이 흑수리반을 선택했을 경우 급우가 되는, 아드라스테아 제국의 일원들이다.

  • '''에델가르트 폰 프레스베르크'''

: 성우 - 카쿠마 아이

: 초기 병종 - 전사 / 나이: 17세→19세 / 신장: 158cm→162cm / 문장: 불꽃의 문장・세이로스의 소문장

: 흑수리반 반장. 아드라스테아 제국의 황녀로, 이야기 초반에 황제에 즉위한다. 본작에서는 초반에 아란델 공과 손을 끊고, "어둠에 숨어드는 자"와 적대 관계가 된다. 청린의 장에서는 아리안로드 공략을 위해 왕국군과 교전하지만, 그 과정에서 타레스가 난입하여 정신을 자라스에게 사로잡히고, 이후 타레스의 꼭두각시가 된다. 황요의 장에서는 왕국과 교단에게 습격당한 가르그=마크를 구원하기 위해 연방국군과 공투한다.

  • '''휴베르트 폰 베스트라'''

: 성우 - 코니시 카츠유키

: 초기 병종 - 수도사 / 나이: 20세→21세 / 신장: 188cm

: 아드라스테아 제국의 귀족・베스트라 후작가의 적자이자 에델가르트의 복심. 초반에 아버지가 사망하여(포박 과정에서 저항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살해되었다고 함) 작위를 잇고 궁내경이 된다. 리시테아와의 지원 회화에서 여동생과 어머니가 생존해 있다는 사실이 언급된다. 다른 루트에서는 청린의 장에서 아릴에서 레아를 포박하기 위한 자객으로 파견되지만, 이후에는 전면에 나서지 않는다.

  • '''페르디난트 폰 에기르'''

: 성우 - 사카이 토우토

: 초기 병종 - 병사 / 나이: 17세→19세 / 신장: 175cm→180cm / 문장: 키홀의 소문장

: 아드라스테아 제국의 귀족・에기르 공작 루트비히의 적자. 이야기 초반에 아버지인 루트비히 폰 에기르가 구금되어 양위하지만, 페르디난트의 공작위 계승은 보류되어 있다. 청린의 장에서는 에델가르트와 함께 아리안로드 공략 부대를 이끈다. 황요의 장에서는 스스로 나아가 동맹의 리건 영 침공군의 지휘관이 된다.

  • '''린하르트 폰 헤브링'''

: 성우 - 호리에 슌

: 초기 병종 - 수도사(적염의 장), 프리스트(황요의 장), 다크 비숍(청린의 장) / 나이: 16세→18세 / 신장: 177cm / 문장: 세스린의 소문장

: 아드라스테아 제국의 귀족・헤브링 백작 발데마르의 적자. 청린의 장에서는 아버지 발데마르 폰 헤블링과 함께 아리안로드 공격 부대에 합류한 후, 로킹 영에서의 싸움에 참전한다. 황요의 장에서는 밀딘 대교 공략 부대의 장으로 등장한다.

  • '''카스파르 폰 베르그리즈'''

: 성우 - 무라카미 사토시

: 초기 병종 - 전사 / 나이: 16세→18세 / 신장: 159cm→169cm

: 아드라스테아 제국의 귀족・베르그리즈 백작 레오폴트의 차남. 청린의 장에서는 종반의 아릴 회전에서 아버지 레오폴트 폰 베르그리즈와 함께 후위를 맡은 후, 제국군 추격전에서 에기르 공을 도망치게 하기 위한 후위가 되어 전사한다. 황요의 장에서는 밀딘 대교 공략에 참여한 후, 론다즈 평원에서 전투에 나타난다. 이후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 '''베르나데타 폰 바리'''

: 성우 - 츠지 아유미

: 초기 병종 - 전사(적염의 장), 아처(청린의 장・황요의 장) / 나이: 17세→19세 / 신장: 150cm→163cm / 문장: 인데하의 소문장

: 아드라스테아 제국의 귀족・바리 백작 그레고어의 적자. 황요의 장에서는 페르디난트를 따라 리건 영 공략군에 합류하지만, 가르그=마크에는 아버지가 온다는 점, 왕국 측은 레아에 가깝다는 이유에서다. 청린의 장에서는 구 아란델 영의 싸움에 참전한다.

  • '''도로테아 아르놀트'''

: 성우 - 나가츠마 쥬리

: 초기 병종 - 수도사(적염의 장), 메이지(청린의 장), 그레모리(황요의 장) / 나이: 18세→20세 / 신장: 170cm

: 제도의 미테르프랑크 가극단에 소속되어 있던 전 가희. 청린의 장에서는 로나토 구원 부대의 장으로 등장한다. 황요의 장에서는 코델리아 영에서의 소란 수습을 위해 마누엘라와 함께 구원 병사를 보내 연방국군에 협력한다.

  • '''페트라 맥네어리'''

: 성우 - 이시가미 시즈카

: 초기 병종 - 검사(적염의 장), 도적(청린의 장・황요의 장) / 나이: 15세→17세 / 신장: 161cm

: 아드라스테아 제국의 속국인 브리짓 제도를 다스리는 왕의 손녀. 이야기 초반에 왕위를 계승하지만 일부에게만 밝히고 있다. 또한 종전 후에는 브리짓의 제국에 대한 종속 상태 해소와 같은 밀약도 에델가르트와 체결되어 있다. 청린의 장에서는 레아 포박을 위한 자객으로 아릴을 기습한다. 황요의 장에서는 론다즈 평원에 출격한다.

3. 8. 1. 모니카 폰 옥스

モニカ=フォン=オックス|모니카 폰 옥스일본어

성우 - 타카노 마리카

아드라스테아 제국의 소귀족인 옥스 남작가의 적자. 에델가르트 일행보다 1년 먼저 사관학교에 입학했지만, 어둠 속에서 움직이는 자에게 납치당했다.[1]

3. 8. 2. 사신 기사

이마루오카 아츠시일본어

아드라스테아 제국의 장군이자 가면을 쓴 기사로, 왕국 루트에서 등장한다. 그의 정체는 예리차이다.

3. 8. 3. 루트비히 폰 에기르

Ludwig von Aegir|루트비히 폰 에기르de는 엔도 다이스케가 성우를 맡았다.[1] 에기르 공작가의 당주이자 제국의 재상이며, 페르디난트의 아버지이다.[1] 이야기 초반에 구금되어 작위를 양위 당한다.[1]

3. 8. 4. 레오폴트 폰 베르그리즈

レオポルト=フォン=ベルグリーズ|레오폴트 폰 베르그리즈일본어는 베르그리즈 백작가의 당주이자 제국의 군무경이며, 카스파르의 아버지이다. 성우는 쿠스노키 타이텐이다.

3. 8. 5. 발데마르 폰 헤블링

우치다 유우야가 성우를 맡았다. 아드라스테아 제국의 귀족이자 헤블링 백작가의 당주이며, 제국의 내무경이다. 린하르트의 아버지이다.

3. 8. 6. 그레고어 폰 바리

성우는 미카미 테츠이다. 바리 백작가의 당주이자 제국의 교무경이다. 베르나데타의 아버지이다.

3. 8. 7. 란돌프 폰 베르그리즈

ランドルフ|란돌프일본어 폰 베르그리즈는 선대 베르그리즈 백작의 후처가 데려온 아들이며, 제국의 장군이다.[1] 성우는 카네노 쥰이다.[1]

3. 8. 8. 프레체 폰 베르그리즈

フレーチェ・フォン・ベルグリーズ|프레체 폰 베르그리즈일본어

성우는 나카지마 유이이다. 카스파르의 친족이며, 란돌프의 여동생이다.[1]

3. 8. 9. 라디슬라바

나미키 노리코가 성우를 맡은 제국의 장군이다. 에델가르트에 의해 등용된 신참 장군이다.[1]

3. 8. 10. 메토제이

メトジェイ|메토제이일본어

미와 타카히로가 성우를 맡았다. 도적이다. 청린의 장에서는 제국군에게 고용되어 제국 서부의 방어전을 지휘한다.

3. 8. 11. 겔즈 공

Herzog von Görtzde [1]

겔즈 공작가의 당주이자 제국의 외무경이다. 콘스탄체와는 구면이다. [1]

3. 8. 12. 페니야 자작, 메니야 자작

페니야de 자작과 메니야de 자작은 각각 제국 페니야령과 메니야령을 다스리는 영주이다.

3. 8. 13. 발나바슈 남작

주어진 원본 소스에 '발나바슈 남작'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출력과 동일)

3. 9. 파르가스 신성 왕국

왕국 측에서는 로베 백이 제국에 동조하여 왕국에 반기를 들었고, 원군으로서 제국군도 서부로 진군하고 있었다.

3. 9. 1. 류파스=티에리=브레다드

(결과물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 해당 인물에 대한 정보가 없음)

3. 9. 2. 로드리그=아실=플라다리우스

ロドリグ=アシル=フラルダリウス일본어

키쿠모토 히라가 성우를 맡았다. 파르가스 신성 왕국의 명문 플라다리우스 공작가의 당주이자 펠릭스의 아버지이다.

3. 9. 3. 마티아스=라울=고티에

マティアス=ラウル=ゴーティエ|마티아스=라울=고티에일본어

성우는 나리타 켄이다. 고티에 변경백가 당주로 마이클란실뱅의 아버지이다. 람베르, 로드리그와는 과거의 학우였다.[1]

3. 9. 4. 마이클란=안슈츠=고티에

マイクラン=アッシュ=ゴーティエ일본어

: 성우 - 엔도 다이스케[1]

고티에 변경백가 적장자로, 마티아스 경의 장남이자 실뱅의 이복 형이다.[1]

3. 9. 5. 로나토=질다=가스파르

ロナート=ギルダ=ガスパール일본어[1]

성우는 안자이 카즈히로이다.[1]

로베 백작령 가스파르 성의 성주이자, 아슈의 양아버지이다.[1]

3. 9. 6. 귕달=로슈

ギュンダル=ロッシュ일본어[1]

로베 백의 신하로, "회색의 사자"라는 이명을 가진 노기사이며 맹장이다.[1] 성우는 스기자키 료이다.[1]

3. 9. 7. 코르넬리아=알님

コルネリア=アルニム일본어[1]

오카무라 아케미가 성우를 맡았다. 왕국의 마법사이며, 클레오브로스라는 이름으로 어둠에 숨어드는 자들 중 한 명이다.

3. 9. 8. 로베 백

로베 백은 제국에 동조해 왕국에 반기를 들었고, 제국군은 왕국 서부로 진군하고 있었다.

3. 9. 9. 클레이만 자작

주어진 원본 소스에 클레이만 자작에 대한 언급은 없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작성할 내용이 없다.

3. 9. 10. 엘리듀아 자작, 마테우스 자작, 기디온 자작, 브레나스 자작, 베리나스 자작

작위설명
엘리듀아 자작왕국 서부에 영토를 가진 영주.
마테우스 자작왕국 서부에 영토를 가진 영주.
기디온 자작왕국 서부에 영토를 가진 영주.
브레나스 자작왕국 서부에 영토를 가진 영주.
베리나스 자작왕국 서부에 영토를 가진 영주.


3. 9. 11. 도미니크 남작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도미니크 남작'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라는 결과는 지시사항을 준수하여 올바르게 출력되었습니다.

3. 10. 레스터 제후 동맹

본작에서 레스터 제후 동맹은 직접적으로 다뤄지지 않지만, 황요의 장에서 간략하게 언급된다. 황요의 장에서 페르디난트 폰 에기르는 동맹의 리건 영 침공군 지휘관으로 나서며, 베르나데타 폰 바리는 그를 따라 리건 영 공략군에 합류한다. 도로테아 아르놀트는 마누엘라와 함께 코델리아 영에서의 소란을 수습하기 위해 구원 병사를 보내 연방국군에 협력한다.

3. 10. 1. 버건디 자작

카스파르 폰 베르그리즈는 아드라스테아 제국의 귀족 베르그리즈 백작 레오폴트의 차남이다.

3. 11. 팔미라

'팔미라'는 포드라 동쪽의 국가로, 포드라와는 '포드라의 목'이라는 험준한 산맥을 사이에 두고 있다. 이 산맥에는 드래곤이 많이 서식한다. 포드라와 팔미라는 교역 등으로 교류하지만, 험준한 산맥 때문에 교류가 빈번하지는 않다. 팔미라는 강력한 드래곤 나이트 부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포드라를 침공하기도 한다.

하위 섹션에서 샤하드와 나델에 대해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만 언급한다.

  • 샤하드: 팔미라의 왕자이자 클로드의 이복 형이다.
  • 나델: 팔미라 왕가를 섬기는 장군이며, 클로드와 구면이다.

3. 11. 1. 샤하드

شهاب|샤하드ar는 팔미라의 왕자로, 클로드의 이복 형이다. 성우는 사이토 소마가 담당했다.

3. 11. 2. 나델

Nader영어는 팔미라 왕가에 섬기는 장군이다. 클로드와는 구면이다. 성우는 스기자키 료이다.

3. 12. 어둠에 꿈틀거리는 자

본작에서 주인공이 사관학교에서 흑수리반을 선택했을 경우, 아드라스테아 제국의 급우들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 '''에델가르트''': 흑수리반의 반장이자 아드라스테아 제국의 황녀이다. 초반에 황제에 즉위하며, 아란델 공과 손을 끊고 "어둠에 숨어드는 자"와 적대 관계를 맺는다. 청린의 장에서는 타레스에게 정신을 빼앗겨 꼭두각시가 되기도 하지만, 황요의 장에서는 연방국군과 협력하기도 한다.[1]
  • '''휴베르트''': 베스트라 후작가의 적자로 에델가르트의 충신이다. 아버지가 사망한 후 작위를 잇고 궁내경이 된다. 다른 루트에서는 레아를 포박하기 위한 자객으로 파견되기도 한다.[1]
  • '''페르디난트''': 에기르 공작가의 적자이다. 아버지의 구금으로 작위 계승이 보류된 상태에서, 청린의 장에서는 에델가르트와 함께, 황요의 장에서는 동맹의 리건 영 침공군 지휘관으로 등장한다.[1]
  • '''린하르트''': 헤브링 백작가의 적자로, 청린의 장과 황요의 장에서 각각 다른 부대의 장으로 등장한다.[1]
  • '''카스파르''': 베르그리즈 백작가의 차남이다. 청린의 장에서는 전사하고, 황요의 장에서는 밀딘 대교 공략 등에 참여한다.[1]
  • '''베르나데타''': 바리 백작가의 적자로, 황요의 장에서는 페르디난트를 따라 리건 영 공략군에 합류하고, 청린의 장에서는 구 아란델 영 전투에 참전한다.[1]
  • '''도로테아''': 미테르프랑크 가극단 출신의 전 가희이다. 청린의 장에서는 로나토 구원 부대의 장으로, 황요의 장에서는 코델리아 영 소란 수습을 위해 연방국군에 협력한다.[1]
  • '''페트라''': 브리짓 제도를 다스리는 왕의 손녀이다. 초반에 왕위를 계승하고, 에델가르트와 브리짓의 독립을 위한 밀약을 맺는다. 청린의 장과 황요의 장에서 각각 다른 전투에 참여한다.[1]

3. 12. 1. 타레스

テラソマ マサキ|테라소마 마사키일본어가 성우를 맡은 어둠에 틈입하는 자의 수괴이다. 제국 섭정 아란델 공으로 변장하여 암약했지만, 에델가르트에 의해 제도를 쫓겨난 후 독자적으로 암약한다. 청린의 장에서는 아리안로드 공략을 위해 왕국군과 교전하는 과정에서 난입하여 자라스를 사로잡아 에델가르트를 자신의 꼭두각시로 만든다.[1]

3. 12. 2. 솔론

ソロン|소론일본어은 어둠에 틈입하는 자의 다크 비숍이다. 성우는 후쿠마츠 신야이며, 서고지기 토마슈로 변장하고 있었다.[1]

3. 12. 3. 크로니에

クロニエ|크로니에일본어

성우 - 코노 마리카

어둠에 틈입하는 자의 사도. 모니카로 변장하려 했다.[1]

3. 12. 4. 뮈손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뮈손'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어떠한 내용도 작성할 수 없다.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유지한다.

3. 12. 5. 클레오브로스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클레오브로스'나 '코르넬리아'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요약에 제시된 내용("작중에 등장하는 코르넬리아의 정체. 타레스, 솔론과는 달리 작중에서 변신하지 않는다.")을 바탕으로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현재 주어진 정보로는 섹션 내용을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3. 12. 6. 아낙시만드로스

Ἀναξίμανδρος|아낙시만드로스el는 어둠에 틈입하는 자의 기병이다.[2]

3. 13. 기타

아드라스테아 제국의 인물들로, 주인공이 사관학교에서 흑수리반을 선택했을 때 급우가 된다.

이름성우초기 병종나이신장문장비고
에델가르트 폰 프레스베르크
エ-デルガルト フォン フレスベルグ|에델가르트 폰 프레스베르크일본어
카쿠마 아이전사17세→19세158cm→162cm불꽃의 문장・세이로스의 소문장흑수리반 반장, 아드라스테아 제국 황녀. 초반에 황제 즉위. 아란델 공과 손을 끊고 "어둠에 숨어드는 자"와 적대. 청린의 장에서 타레스에게 정신 조종. 황요의 장에서 연방국군과 협력.
휴베르트 폰 베스트라
ヒュ-ベルト フォン ベストラ|휴베르트 폰 베스트라일본어
코니시 카츠유키수도사20세→21세188cm베스트라 후작가의 적자, 에델가르트의 심복. 초반에 아버지 사망, 궁내경 승계. 리시테아와의 지원 회화에서 가족 언급. 청린의 장에서 레아 포박 자객 파견.
페르디난트 폰 에기르
フェルディナント フォン エ-ギル|페르디난트 폰 에기르일본어
사카이 토우토병사17세→19세175cm→180cm키홀의 소문장에기르 공작 루트비히의 적자. 아버지 구금, 공작위 계승 보류. 청린의 장에서 아리안로드 공략 부대 지휘. 황요의 장에서 리건 영 침공군 지휘.
린하르트 폰 헤브링
リンハルト フォン ヘヴリング|린하르트 폰 헤브링일본어
호리에 슌수도사(적염), 프리스트(황요), 다크 비숍(청린)16세→18세177cm세스린의 소문장헤브링 백작 발데마르의 적자. 청린/황요의 장에서 각기 다른 부대 지휘.
카스파르 폰 베르그리즈
カスパル フォン ベルグリ-ズ|카스파르 폰 베르그리즈일본어
무라카미 사토시전사16세→18세159cm→169cm베르그리즈 백작 레오폴트의 차남. 청린의 장에서 전사. 황요의 장에서 밀딘 대교 공략 등 참여.
베르나데타 폰 바리
ベルナデッタ フォン ヴァ-リ|베르나데타 폰 바리일본어
츠지 아유미전사(적염), 아처(청린・황요)17세→19세150cm→163cm인데하의 소문장바리 백작 그레고어의 적자. 황요/청린의 장에서 각기 다른 전투 참여.
도로테아 아르놀트
ドロテア ア-ノルト|도로테아 아르놀트일본어
나가츠마 쥬리수도사(적염), 메이지(청린), 그레모리(황요)18세→20세170cm미테르프랑크 가극단 출신 전 가희. 청린/황요의 장에서 각기 다른 임무 수행.
페트라 맥네어리
ペトラ マクネアリ-|페트라 맥네어리일본어
이시가미 시즈카검사(적염), 도적(청린・황요)15세→17세161cm브리짓 제도 왕의 손녀, 초반 왕위 계승. 에델가르트와 밀약. 청린/황요의 장에서 각기 다른 전투 참여.


3. 13. 1. 벨란, 게츠, 리자리

ベラン傭兵団일본어은 이야기 시작 시점에서 주인공이 소속되어 있던 용병단이다.[1]

3. 13. 2. 코스타스

コスタス|코스타스일본어

나가노 요시카즈가 성우를 맡았다.

도적단 "철의 왕"의 두목이다.

3. 13. 3. 안나

アンナ|안나일본어

세토 사오리가 성우를 맡았다.

각지에서 행상을 하는 여상인으로, 시리즈 단골 여성 캐릭터이다.

4. 게임 플레이

파이어 엠블렘 무쌍》과 마찬가지로, ''파이어 엠블렘 무쌍 풍화설월''은 ''진·삼국무쌍'' 시리즈와 유사한 게임 플레이를 가진 핵 앤 슬래시 액션 롤플레잉 게임이다.[3] 플레이어는 ''파이어 엠블렘 풍화설월''의 등장인물인 에델가르트, 디미트리, 클로드, 그리고 ''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의 대부분의 아바타처럼 남성 또는 여성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새로운 캐릭터 셰즈를 조작하게 된다.[3]

5. 개발 및 출시

《파이어 엠블렘 무쌍 풍화설월》은 2022년 2월 9일 닌텐도 다이렉트에서 처음 발표되었다.[38] 같은 날 열린 닌텐도 다이렉트에서 제목이 처음 공개되었으며, 바이레트, 에델가르트, 드미트리, 클로드의 복귀를 보여주는 트레일러가 공개되었다.[3] 2022년 4월 12일, "수수께끼의 용병"이라는 제목의 트레일러가 공개되었으며, 바이레트는 적대자, 셰즈는 선택 가능한 성별의 새로운 주인공, 후베르트, 데두, 힐다는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등장하고, 《풍화설월》과 유사하게 세 갈래로 나뉘는 경로를 특징으로 한다는 것을 발표했다.[4]

2022년 5월에는 검은 독수리, 푸른 사자, 금사슴 반에 각각 초점을 맞춘 세 개의 트레일러가 공개되었으며, 각 트레일러는 《풍화설월》의 모든 학생들의 업데이트된 디자인을 공개했다.[5][6][7] 2022년 6월 8일 공개된 마지막 트레일러에서는 《풍화설월》의 DLC 스토리인 《타오르는 은의 그림자》의 잿빛 늑대 캐릭터들의 복귀를 확인했다.[8] 같은 날, 닌텐도 eShop에서 4장까지 진행할 수 있는 데모가 출시되었다.[9]

《파이어 엠블렘 무쌍 풍화설월》은 코에이 테크모 게임스의 「무쌍 시리즈」와 닌텐도의 「파이어 엠블렘 시리즈」의 콜라보레이션 작품으로, 2022년 2월 10일에 방송된 「닌텐도 다이렉트 2022.2.10」에서 발표되었다.[34] 2017년 발매된 『파이어 엠블렘 무쌍』은 역대 작품의 캐릭터가 함께 출연하는 크로스오버 작품이었지만, 본작은 2019년 발매된 『파이어 엠블렘 풍화설월』을 기반으로 하며, 주인공은 오리지널 캐릭터이고 스토리는 복수의 루트로 나뉜다.[35]

2022년 8월, 세계 누적 출하량 100만 개를 돌파했다.[36]

참조

[1] 웹사이트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無双 風花雪月』開発者インタビュー。3社のキーマンたちが語る、新たなフォドラの歴史。原作プレイヤーの体験を無駄にしない配慮とは https://www.famitsu.[...] 2022-06-24
[2] 웹사이트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Announced for Nintendo Switch https://www.ign.com/[...] 2022-02-09
[3] 웹사이트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stars all your Three Houses favorites https://www.polygon.[...] 2022-02-09
[4] 웹사이트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features three campaigns https://www.digitalt[...] 2022-04-12
[5] 웹사이트 New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Trailer Focuses on Black Eagles Characters https://www.silicone[...] 2022-05-20
[6] 웹사이트 New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Trailer Shows Off the Blue Lions https://comicbook.co[...] 2022-05-13
[7] 웹사이트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Trailer Sees The Golden Deer Charge Into Action https://www.nintendo[...] 2022-05-27
[8] 웹사이트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final trailer confirms the Ashen Wolves and sudden demo release https://www.rpgsite.[...] 2022-06-08
[9] 웹사이트 Fire Emblem Warriors: Demo Out Today, Progress Transfers to Full Game https://www.ign.com/[...] 2022-06-08
[10] 웹사이트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is an enjoyably strategic return to Fódlan https://www.eurogame[...] 2022-06-08
[11] 웹사이트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might be the best Nintendo Musou to date - preview https://www.vg247.co[...] 2022-06-08
[12] 웹사이트 Hands On: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Is Shaping Up To Be A Belter https://www.nintendo[...] 2022-06-08
[13] 웹사이트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for Switch Reviews https://www.metacrit[...]
[14] 웹사이트 Review: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https://www.destruct[...] 2022-06-21
[15] 웹사이트 Review: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https://easyallies.c[...] 2022-07-08
[16] 간행물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Review https://web.archive.[...] GameStop Corp. 2022-06-21
[17] 웹사이트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Review – Wars With Friends https://www.gamespot[...] 2022-06-21
[18] 웹사이트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review – "A solid new venture for the Fire Emblem series at large" https://www.gamesrad[...] 2022-06-21
[19] 웹사이트 Review: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https://hardcoregame[...] 2022-06-28
[20] 웹사이트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Review https://www.ign.com/[...] 2022-06-21
[21] 웹사이트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Review (Switch) https://www.nintendo[...] 2022-06-21
[22] 웹사이트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Switch) Review http://www.nintendow[...] 2022-07-08
[23] 웹사이트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Review https://rpgamer.com/[...] 2022-07-20
[24] 웹사이트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https://www.rpgfan.c[...] 2022-07-30
[25] 웹사이트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review: Warring kingdoms (Three different ones) https://www.shacknew[...] 2022-06-21
[26] 웹사이트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review – wild battles liven up a familiar anime franchise https://www.theguard[...] Guardian Media Group plc 2022-06-21
[27] 웹사이트 SwitchArcade Round-Up: Reviews Featuring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Plus the Latest News, Releases, and Sales https://toucharcade.[...] 2022-07-04
[28] 웹사이트 Review: Fire Emblem Warriors - Three Hopes is one of the best musou spin-offs yet https://www.videogam[...] 2022-06-21
[29] 웹사이트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review – one of the strongest musou games yet https://www.eurogame[...] 2022-06-21
[30] 웹사이트 Famitsu Sales: 6/20/22 – 6/26/22 https://www.gematsu.[...] 2022-06-30
[31] 웹사이트 MediaCreate 6 月 20 日~6 月 26 日一週銷售排行榜 《聖火降魔錄無雙》新作強勢奪冠 https://gnn.gamer.co[...]
[32] 웹사이트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takes No.1 {{!}} UK Boxed Charts https://www.gamesind[...] 2022-06-27
[33] 웹사이트 『#FE無双風花雪月』の世界累計出荷本数が100万本を突破しました。ご購入いただいた皆さま、誠に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https://twitter.com/[...] 2022-08-17
[34] 웹사이트 【電撃Nintendo】『FE無双 風花雪月』の巻頭特集をはじめ期待の新作情報が満載! https://dengekionlin[...] KADOKAWA Game Linkage 2022-04-21
[35] 웹사이트 ファイアーエムブレム無双 風花雪月』主人公が発表&ベレスが敵に!? 新PVで判明した情報を一挙公開 https://www.famitsu.[...] KADOKAWA Game Linkage 2022-04-14
[36] 트윗 【世界累計出荷100万本突破】 『#FE無双風花雪月』の世界累計出荷本数が100万本を突破しました。 2022-08-17
[37] 웹인용 당신의 앞을 가로막는 것은 최강의 적 “잿빛 악마”. 『파이어 엠블렘 무쌍 풍화설월』의 새로운 트레일러가 공개되었습니다. https://nintendo.co.[...] 닌텐도 2022-04-13
[38] 웹인용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Announced for Nintendo Switch https://www.ign.com/[...] 2022-02-10
[39] 웹인용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is an enjoyably strategic return to Fódlan https://www.eurogame[...] 2022-06-13
[40] 웹인용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might be the best Nintendo Musou to date - preview https://www.vg247.co[...] 2022-06-13
[41] 웹인용 Hands On: Fire Emblem Warriors: Three Hopes Is Shaping Up To Be A Belter https://www.nintendo[...] 2022-06-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