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솔론은 기원전 6세기 아테네의 정치가이자 입법가로, 아테네 민주주의의 초석을 다진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살라미스 섬 영유권을 둔 메가라와의 전투에서 아테네 군을 승리로 이끌고 기원전 594년 아르콘으로 선출되었다. 솔론은 시민을 재산에 따라 4계급으로 나누어 정치 참여 권한을 제한하고, 400인 평의회를 신설하는 등 정치 개혁을 단행했다. 또한 드라콘의 가혹한 법을 폐지하고 새로운 법률을 제정했으며 도량형을 개정하는 등 경제 및 사회 개혁을 추진했다. 솔론은 자신의 개혁을 옹호하기 위해 시를 썼으며, 그의 시는 후대 저술가들의 인용을 통해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솔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솔론 |
원어 이름 | Σόλων |
로마자 표기 | Sólōn |
출생일 | 기원전 630년경 |
출생지 | 아테네 |
사망일 | 기원전 560년경 |
사망지 | 키프로스 |
직업 | 정치가, 입법자, 시인 |
정치 및 업적 | |
주요 업적 | 세이사크테이아 |
기타 정보 | |
![]() |
2. 역사적 배경 및 솔론의 생애
솔론 시대 아테네는 사회적, 정치적으로 큰 변화를 겪었고, 이는 고대부터 현재까지 역사가들에게 다양한 해석을 낳았다. 솔론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수세기에 걸쳐 상반된 이야기들이 얽히고설킨 복잡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새로운 증거가 발견되고 역사가들의 논쟁이 계속되면서, 솔론의 동기와 그의 개혁에 담긴 의도는 여전히 추측의 대상이다.[42]
현대 역사가들은 솔론 시대 아테네에 대해 세 가지 다른 관점을 제시하며, 각각 경제적/이념적 갈등, 지역적 갈등, 귀족 가문 간의 갈등을 강조한다.[43][44] 이러한 관점들은 당시 아테네 사회의 문제들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틀을 제공한다.
솔론은 기원전 639년경 아테네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부유하지는 않았지만, 에우파트리데스(Eupatridae)라고 불리는 아테네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161] 솔론의 아버지는 엑세스티데스라고 전해지며, 만약 사실이라면 그의 혈통은 아테네의 마지막 왕 코드 로스(Codrus)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62]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에 따르면, 솔론의 형제 드로피데스는 플라톤의 6대 조상이었다.[163] 또한,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솔론은 폭군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사촌이었다.[161]
아테네와 메가라가 살라미스 섬의 소유권을 두고 분쟁을 벌이던 시기, 솔론은 아테네 군대를 이끌었다. 여러 차례 패배를 겪은 후, 솔론은 시를 통해 군대의 사기를 높였고, 페이시스트라토스의 지원을 받아 기원전 595년경 메가라 군을 물리쳤다. 이때 솔론은 비열한 수단을 사용했다는 설과 용감하게 싸웠다는 설이 모두 전해진다.[164] 이후에도 메가라는 살라미스 섬에 대한 권리를 주장했지만, 스파르타가 개입하여 최종적으로 아테네의 소유권을 인정했다.[165]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에 따르면, 솔론은 기원전 594년에 아르콘(Archon)으로 선출되었고, 이 임기 동안 "솔론의 개혁"을 실시했다. 솔론은 친구들에게 자신의 개혁 계획을 알렸고, 모든 빚을 탕감하려는 계획을 알게 된 친구들은 빚을 내어 토지를 매입했다. 공모 혐의를 받게 되자, 솔론은 자신의 법을 준수하여 채무자들을 5타란톤(자료에 따라 15타란톤)의 빚에서 해방시켰다. 그의 친구들은 그 후 빚을 갚지 않았다고 한다.[166]
개혁 후, 솔론은 아테네 사람들이 법을 폐지하지 못하도록 10년간의 여행을 떠났다.[167] 그는 먼저 이집트를 방문하여,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아마시스 2세 파라오를 만났다.[168]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그는 이집트 사제인 헬리오폴리스의 프세노피스와 사이스의 손키스와 대화했다.[169] 또한, 플라톤의 대화편 『티마이오스』와 『크리티아스』에 따르면, 그는 사이스에서 네이트(Neith) 신전을 방문하여 사제들로부터 아틀란티스에 대해 들었다고 한다. 다음으로 솔론은 키프로스 섬으로 가서 섬의 왕을 위해 새로운 수도 건설을 감독했고, 왕은 그에 대한 감사로 그 지역을 "솔로이"라고 명명했다.[169]
마침내 그는 리디아의 수도 사르디스에 도착했다. 헤로도토스와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그는 크로이소스를 만나 조언을 했다. 크로이소스는 자신을 가장 행복한 인간이라고 자부했지만, 솔론은 "사람은 죽을 때까지 행복을 유지한다고는 할 수 없다"고 말했다. 크로이소스는 페르시아 제국의 왕 키루스 2세에게 패배하고 포로가 된 후에야 이 말의 의미를 이해하게 되었다.[168][170]
아테네로 돌아온 후, 솔론은 페이시스트라토스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 그는 다른 사람들에게 본보기가 되기 위해 무장하고 집 밖에 서서, 통행인들에게 폭군이 되려는 페이시스트라토스에 대항하도록 호소했지만, 효과는 없었다. 페이시스트라토스가 아테네의 권력을 무력으로 탈취한 직후, 솔론은 사망했다.[171] 사망 당시 솔론은 키프로스에 있었고, 80세였다. 그의 유언에 따라, 그의 유골은 살라미스 섬 주변에 뿌려졌다.[172][173]
여행가 파우사니아스는 델포이 아폴론 신전에 명언이 새겨져 있는 7현인 중 한 명으로 솔론의 이름을 언급하고 있다.[174] 스토바이오스는 ''Florilegium''에서 솔론의 어린 조카가 사포의 시를 낭송했던 심포시온(연회)에 대해 쓰고 있다. 낭송을 들은 솔론은 그에게 노래 부르는 법을 가르쳐 달라고 요청했다. 다른 누군가가 "왜 그런 일에 시간을 낭비하는가?"라고 묻자, 솔론은 "ἵνα μαθὼν αὐτὸ ἀποθάνω|죽기 전에 배우기 위해서이다.grc"[175]라고 대답했다.[176]
솔론 시대, 고대 그리스의 많은 폴리스에는 폭군이나 기회주의적인 귀족들이 도시의 실권을 장악하고 있었다. 펠로폰네소스 반도 북부, 코린토스 북서쪽에 있는 시키온에서는 클레이스테네스가 이오니아인 소수파를 대표하여 권력을 장악했다. 메가라에서는 테아게네스(Theagenes of Megara)가 그 지역 과두정 지배자들의 적대자로서 권력자의 지위에 올랐다. 기원전 632년경, 테아게네스의 사위인 아테네 귀족 킬론(Cylon of Athens)은 아테네에서 권력 장악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반면 솔론은 동료 시민들을 위해 평화적이고 공정한 방식으로 의견 차이를 해결할 수 있는 지혜를 가지고 있다는 이유로 선거를 통해 일시적으로 독재적인 권력을 얻었다.[178] 고대 자료에 따르면,[179][180] 기원전 594/3년 솔론이 집정관(에포뉴모스 아르콘)으로 선출되었을 때 이러한 권력을 얻었다고 한다. 현대 학자들 중에는 솔론이 집정관이 된 몇 년 후에 실제로 이러한 권력이 주어졌고, 그 후 아레오파고스 회의(로마의 원로원과 유사한 기관)의 일원이 되어 (귀족) 동료들로부터 더 존경받는 정치가가 되었다는 견해도 있다.[181][182][183]
솔론 시대를 특징짓는 사회 정치적 대변동은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역사가들에 의해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다. 두 명의 현대 역사가는 서로 매우 다른 대립 관계를 강조하면서 세 가지 명확한 역사적 요인, 즉 "경제와 이데올로기의 대립", "지역적 대립", "귀족 가문 간의 대립"을 특정하고 있다.[184][185]
- '''경제와 이데올로기의 대립'''
아리스토텔레스 학파의 저자가 쓴 『아테네인의 국정』에 따르면, 귀족과 평민 사이에 장기간에 걸친 다툼이 있었는데, 정치 제도가 과두정치를 채택하고 가난한 사람들이 부자들에게 노예로 일했기 때문이다. 모든 토지는 소수의 손에 있었고, 임대료를 지불하지 않으면 노예로 압류되었다. 솔론은 평민들의 첫 번째 옹호자였다.[186] 플루타르코스는 아테네가 지역적 구분과 같은 수의 정당으로 분열되어 있었다고 기록했다. 언덕의 정당은 민주주의, 평지의 정당은 과두정치, 해안의 정당은 혼합 체제를 지지했다.[187]
넓은 영토에서는 지역적 파벌주의가 발생하기 쉽다. 투키디데스에 따르면, 대부분의 아테네인들은 펠로폰네소스 전쟁 직전까지 지방에 거주했다.[193] 스파르타가 지배권을 얻은 라코니아처럼, 솔론 시대의 아티카도 헤일로테스(노예 신분) 상태로 해체될 위험에 처해 있었다.[194]
- '''귀족 가문 간의 대립'''
최근 학자들은 친족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192][195][196][197][198][199] 아테네인들은 휘레이(부족), 프라트리(형제 관계) 외에도 게노스(genos)라는 광범위한 가족에 속해 있었다. 이러한 친족 구성 단위가 귀족 가문을 정점으로 하는 계층적 구조를 강화했다는 논쟁이 있다.[184][201] 귀족 가문 간의 대립은 지역적 유대와 관계없이 사회 모든 계층에 걸쳐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2. 1. 초기 생애와 가문
솔론은 기원전 630년경 아테네에서 태어났다.[1] 그의 가문은 아티카에서 귀족 혹은 에우파트리드 족에 속하는 명문가였다.[151] 솔론의 아버지는 아마도 엑섹스티데스였을 것이다. 만약 그렇다면 그의 혈통은 아테네의 마지막 왕이었던 코드 로스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9]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에 따르면, 그는 드로피데스라는 형제가 있었는데, 그는 플라톤의 6대 조상이었다.[10]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솔론은 그들의 어머니가 사촌이었기 때문에 티라노스 페이시스트라토스와 친척 관계였다.[11] 솔론은 결국 귀족적이지 않은 상업 활동에 참여하게 되었다.[12]
2. 2. 메가라와의 전쟁
기원전 596년, 솔론은 살라미스 섬의 영유권을 두고 메가라와 벌인 전투에서 아테네 군대를 승리로 이끌었다.[13][14][15] 여러 차례 패배를 겪은 후, 솔론은 섬에 대한 애국시를 지어 군대의 사기를 높였다. 피시스트라토스의 지원을 받은 솔론은 계략[15] 또는 용감한 전투[13]를 통해 메가라인들을 물리쳤다. 그러나 메가라는 영유권 주장을 포기하지 않았고, 분쟁은 스파르타에 회부되었다. 스파르타는 솔론이 제시한 주장에 따라 섬의 소유권을 아테네에 부여했다.[14]2. 3. 아르콘 취임과 개혁
기원전 594년, 솔론은 아르콘(대법관)으로 선출되었다.[18] 그는 살인죄 관련 법률을 제외한 드라콘의 모든 법률을 폐지했다.[19]당시 많은 고대 그리스 도시 국가에서는 기회주의적인 귀족들이 특정 집단의 이익을 대표하여 권력을 장악한 폭군이 등장했다. 플루타르코스는 아테네 시민들이 솔론에게 분쟁을 평화적이고 공정하게 해결할 지혜가 있다는 이유로 일시적인 전제 권한을 부여했다고 묘사했다.[20] 일부 현대 학자들은 이 권한이 솔론이 아르콘이 된 지 몇 년 후, 아레오파고스의 일원이 되어 동료들에게 존경받는 정치가가 되었을 때 부여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21][22][23]
아르콘으로서 솔론은 자신의 개혁 계획을 친구들과 논의했다. 모든 빚을 탕감하려는 계획을 알게 된 친구들은 빚을 내어 토지를 매입했다. 공모 혐의를 받게 되자, 솔론은 자신의 법을 준수하여 채무자들을 5탈렌트(일부 자료는 15탈렌트)의 빚에서 해방시켰다. 그의 친구들은 빚을 갚지 않았다.[24][166]
솔론의 개혁은 사회 정치적 대변동을 야기했고, 이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역사가들에 의해 다양하게 해석되었다. 두 명의 현대 역사가는 솔론 시대 아테네에 대해 "경제와 이데올로기의 대립", "지역적 대립", "귀족 가문 간의 대립"이라는 세 가지 역사적 요인을 강조한다.[184][185]
솔론의 경제 개혁은 대외 무역 활성화에 성공적이었다. 아테네의 흑색도기는 기원전 600년~560년 사이에 에게해 전역에 수출되었으며, 이는 코린토스의 도자기 무역 감소와 일치한다.[244] 곡물 수출 금지는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구제책으로 볼 수 있지만, 수출용 올리브 생산 장려는 곡물 경작지를 줄여 시민들에게 어려움을 더했다. 올리브는 처음 6년 동안 열매를 맺지 않기 때문이다.[245]
2. 4. 해외여행
개혁 사업을 완료한 솔론은 자신의 비범한 권력을 내려놓고 10년 동안 해외 여행을 떠났다. 이는 아테네 시민들이 그의 법률을 폐지하도록 설득하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었다.[25] 솔론이 떠난 지 4년 만에 옛 사회적 갈등이 다시 나타났지만, 새로운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되었다. 새로운 정부 절차에 불규칙성이 있었고, 선출된 관리들이 때때로 직책에서 물러나기를 거부했으며, 중요한 직책이 비어 있는 경우도 있었다. 심지어 어떤 사람들은 그들의 어려움에 대해 솔론을 비난하기도 했다.[30] 결국 솔론의 친척 중 한 명인 피시스트라토스가 무력으로 당파 싸움을 종식시켜 위헌적인 폭정을 시작했다. 플루타르코스의 기록에 따르면 솔론은 이런 일이 일어나도록 허용한 아테네 시민들을 어리석고 비겁하다고 비난했다.[31]솔론의 첫 번째 여행지는 이집트였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그는 이집트의 파라오인 아마시스 2세를 방문했다.[32]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그는 이집트 사제인 헬리오폴리스의 프세노피스와 사이스의 손키스와 함께 시간을 보내며 철학을 논했다.[33] 플라톤의 두 대화편인 『티마이오스』와 『크리티아스』에 등장하는 한 인물은 솔론이 사이스의 네이트 신전을 방문하여 사제들로부터 아틀란티스 역사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고 주장한다. 다음으로 솔론은 키프로스로 항해하여 현지 왕을 위해 새로운 수도 건설을 감독했고, 그에 대한 감사로 왕은 그 도시의 이름을 솔로이라고 지었다.[33]

솔론의 여행은 마침내 리디아의 수도 사르디스에 이르렀다. 헤로도토스와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그는 크로이소스를 만나 조언을 해주었는데, 크로이소스는 너무 늦을 때까지 그 조언의 가치를 알아차리지 못했다. 크로이소스는 자신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라고 생각했고, 솔론은 그에게 "죽을 때까지 어떤 사람도 행복하다고 말하지 마시오"라고 조언했다. 그 이유는 어느 순간에도 운명이 가장 행복한 사람에게조차 돌아서서 그의 삶을 비참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크로이소스는 페르시아 왕 키루스에게 왕국을 빼앗기고 사형을 기다리는 동안에야 솔론의 조언이 옳았음을 인정했다.[34][35]
2. 5. 귀국과 죽음
아테네로 돌아온 솔론은 피시스트라토스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 그는 다른 사람들에게 본보기가 되기 위해 무장하고 집 밖에 서서, 통행인들에게 폭군이 되려는 피시스트라토스에 대항하도록 호소했지만, 효과는 없었다. 솔론은 피시스트라토스가 아테네의 권력을 무력으로 탈취한 직후 사망했다.[36] 그는 키프로스에서 70세 전후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유언에 따라 유골은 살라미스 섬 주변에 뿌려졌다.[37][38]파우사니아스는 델포이의 아폴론 신전에 명언이 새겨져 있는 칠현 중 한 사람으로 솔론을 언급했다.[39] 스토바이오스는 ''Florilegium''에서 솔론의 어린 조카가 사포의 시를 낭송했던 심포시온(연회)에 대해 쓰고 있다. 낭송을 들은 솔론은 그에게 노래 부르는 법을 가르쳐 달라고 요청했다고 한다. 그에 대해 다른 누군가가 "왜 그런 일에 시간을 낭비하는가?"라고 묻자, 솔론은 "ἵνα μαθὼν αὐτὸ ἀποθάνωgrc"라고 대답했는데, 이는 "죽기 전에 배우기 위해서이다."라는 뜻이다.[40]
3. 솔론의 개혁
솔론은 아테네 민주주의의 시초가 되는 인물로서,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으로 여러 발전을 이룩하였다.
솔론의 개혁은 헌법, 경제, 도덕, 성 등 다양한 측면에 걸쳐 이루어졌다. 이러한 구분은 다소 인위적이지만, 솔론에게 귀속된 법률을 고찰하는 데 유용한 틀을 제공한다.
솔론 시대의 사회는 귀족과 평민 간의 갈등, 지역 간의 대립, 귀족 가문 간의 대립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혼란스러웠다. 솔론은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고 아테네 사회를 안정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솔론의 시에는 아테네 시민들을 억제되지 않는 탐욕과 오만으로 인해 위기에 처한 존재로 묘사하고 있다.[246] 그리스 신화의 강력한 어머니인 가이아조차도 사로잡히고 말았다.[247]
솔론의 법은 에 새겨졌는데, 이는 여러 개의 축에 부착된 크고 나무로 된 판 또는 원통으로, 프리타네이온에 세워져 있었다.[58][59] 원래 에는 기원전 7세기 후반(전통적으로 기원전 621년)에 드라코가 제정한 법이 기록되어 있었다. 드라코의 법전 중 살인에 관한 법률을 제외하고는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지만, 학자들은 그것이 헌법과는 거리가 멀었을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 한다.[60][61]
솔론은 경제 개혁을 통해 아테네의 경제 발전을 촉진하고자 했다. 그는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상업을 장려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또한, 도량형을 통일하고 화폐 제도를 개혁하여 경제 활동의 효율성을 높였다.
솔론 시대의 경제는 물물교환 경제였으며, 대부분의 아테네 시민들은 펠로폰네소스 전쟁이 일어나기 직전까지는 지방에 정착하여 살았다.[230] 아테네 국경 안에서조차 거래는 제한적이었다. 고전 시대에도 전형적인 농가는 자신들이 먹고 살기에 필요한 생산을 간신히 할 수 있을 정도였다.[231]
솔론의 구체적인 경제 개혁은 다음과 같다:
- 아버지는 아들의 직업을 찾아주도록 장려되었고, 만약 찾지 못했을 경우 노년의 아버지를 아들이 부양해야 하는 법적 의무는 없어졌다.[236]
- 외국 상인들이 아테네에 정착하도록 장려되었고, 상인들이 가족을 데리고 정착한다는 조건으로 시민권을 부여했다.[237] 아테네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은 후에 메토이코이라 불리게 되었다.
- 올리브 재배가 장려되었다. 올리브만 수출이 허용되었고, 다른 모든 농산물은 수출 금지되었다.[238]
- 도량형을 개정하여 아테네 무역의 경쟁력을 향상시켰다. 그 도량형은 아이기나나 에우보이아 등에서 이미 사용되어 성공적이었던 기준을 바탕으로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40][241]
솔론은 사회 개혁을 통해 아테네 사회의 불평등을 완화하고 사회 정의를 실현하고자 했다. 그는 빚 때문에 노예가 된 사람들을 해방하고, 과도한 지참금을 금지하는 등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솔론은 시에서 아테네 시민들을 억제되지 않는 탐욕과 오만으로 인해 위기에 처한 존재로 묘사하고 있다.[246] 그리스 신화의 강력한 어머니인 가이아조차도 사로잡히고 말았다.[247] 자연과 사회 질서의 타락을 보여주는 상징은 “호로스”(복수형: “호로이”)라 불리는 경계 표식이었다. 그 표식은 나무나 돌 기둥에 농민이 누군가에게 빚이나 계약상 의무를 지고 있음을 나타냈다. 그 상대는 귀족 후원자나 채권자였다.[248]
솔론은 이러한 불공정에 대한 개혁은 후에 아테네 시민들 사이에서 “세이삭테이아”로 알려졌다.[254][255] 개혁에는 다음 내용이 포함되었다.

솔론은 개혁 사업을 완수한 후, 임시 권한을 포기하고 아테네를 떠났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270] 아테네는 솔론의 개혁을 10년간 유지하도록 의무화되었다고 한다. 솔론이 떠난 후 4년 동안은 옛 사회적 갈등이 다시 나타났다. 그러나 새로운 어려움은 없었다. 새로운 정부에는 부정 행위가 있었고, 선출된 관리들은 때때로 직무를 거부했으며, 때로는 중요한 직책이 공석이 되기도 했다. 그들의 문제의 원인을 솔론에게 돌리는 사람들도 있었다고 한다.[274] 마침내 솔론의 친척인 페이시스트라토스가 파벌주의를 무력으로 종식시키고, 불법적으로 참주가 되었다. 플루타르코스의 설명에 따르면, 솔론은 참주를 탄생시키는 상황을 허용한 것에 대해 아테나이인들의 어리석음과 겁 많음을 비난했다고 한다.[275]
3. 1. 정치 개혁
솔론은 아테네 민주주의의 기초를 다진 인물로, 여러 중요한 개혁을 추진했다.- 기원전 596년, 살라미스섬을 두고 메가라인과의 전투에서 승리했다.[18]
- 기원전 594년, 아테네 시민들을 재산에 따라 4개의 등급으로 나누어 정치 참여 권한을 제한하고, 400명으로 구성된 평의회를 신설했다. 또한 드라콘의 법률을 폐지하고 새로운 법률을 제정했으며, 도량형을 개정했다.[19]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에 따르면, 솔론은 기원전 594년에 아르콘(대법관 또는 최고 관리)으로 선출되었다.[18] 그는 살인죄 관련 법률을 제외한 드라콘의 모든 법률을 폐지했다.[19]
솔론 시대에는 많은 고대 그리스 도시 국가에서 귀족들이 권력을 장악하는 폭군정이 나타났다. 시키온에서는 클레이스테네스가, 메가라에서는 테아게네스가 권력을 잡았다. 테아게네스의 사위인 아테네 귀족 킬론은 기원전 632년에 아테네에서 권력 장악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20]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아테네 시민들은 솔론에게 분쟁을 평화롭고 공정하게 해결할 지혜가 있다고 믿어 일시적으로 전제적인 권한을 부여했다.[20] 일부 현대 학자들은 이 권한이 솔론이 아르콘이 된 지 몇 년 후, 아레오파고스의 일원이 되어 동료들로부터 존경받는 정치가가 되었을 때 부여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21][22][23]
아르콘으로서 솔론은 자신의 개혁 계획을 친구들과 논의했다. 그는 모든 빚을 탕감하려 했고, 친구들은 이를 알고 빚을 내어 토지를 매입했다. 공모 혐의를 받은 솔론은 자신의 법을 준수하여 자신의 채무자들을 석방했는데, 그 금액은 5탈렌트(일부 자료에 따르면 15탈렌트)에 달했다. 그의 친구들은 빚을 갚지 않았다.[24]
솔론은 공직 선거에 적용되던 재산 및 사회적 자격 요건을 완화했다. 솔론의 헌법은 시민들을 평가 가능한 재산에 따라 네 가지 정치 계급으로 나누었다.[70][79] 이 평가의 표준 단위는 곡물 1 ''메디므노스''(약 12갤런)였다.[81]
계급 | 기준 | 권한 |
---|---|---|
500 /년 | 의 자격이 있다. | |
300 /년 | 기병으로 무장할 만큼 충분한 부가 있다. | |
200 /년 | 호플리테로 무장할 만큼 충분한 부가 있다. | |
199 /년 이하 | 육체 노동자 또는 소작농. 육군 당번병(종자), 투석기 작동 보조, 해군에서 노 젓는 일 등을 임의로 수행했다. |
『아테네 헌법』에 따르면, 만이 아르콘과 같은 고위직에 선출될 자격이 있었고, 따라서 그들만이 아레오파고스에 참여할 권리를 얻었다.[82] 현대 학자들은 에게도 같은 권리가 부여되었을 것으로 생각한다.[83] 상위 3개 계급은 다양한 직책을 얻을 자격이 있었고, 는 모든 관직에서 배제되었다.
솔론 시대, 고대 그리스의 많은 폴리스에는 폭군이나 기회주의적인 귀족들이 도시의 실권을 장악했다. 솔론은 동료 시민들을 위해 평화적이고 공정한 방식으로 의견 차이를 해결할 수 있는 지혜를 가지고 있다는 이유로 선거를 통해 일시적으로 독재적인 권력을 얻었다.[178] 고대 자료에 따르면,[179][180] 기원전 594/3년 솔론이 집정관(에포뉴모스 아르콘)으로 선출되었을 때 이러한 권력을 얻었다고 한다. 현대 학자들 중에는 솔론이 집정관이 된 몇 년 후에 실제로 이러한 권력이 주어졌고, 그 후 아레오파고스(로마의 원로원과 유사한 기관)의 일원이 되어 (귀족) 동료들로부터 더 존경받는 정치가가 되었다는 견해도 있다.[181][182][183]
솔론 시대를 특징짓는 사회 정치적 대변동은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역사가들에 의해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다. 두 명의 현대 역사가는 서로 매우 다른 대립 관계를 강조하면서 세 가지 명확한 역사적 요인, 즉 "경제와 이데올로기의 대립", "지역적 대립", "귀족 가문 간의 대립"을 특정하고 있다.[184][185]
- "'''경제와 이데올로기의 대립'''"은 고대 자료와 솔론의 시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요인이다.
- "'''지역적 대립'''"은 현대 학자들 사이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주제이다.[188][189][190][191]
- "'''귀족 가문 간의 대립'''"은 학자들에 의해 최근에 발전된 주제이다.
솔론의 법률은 넓고 두꺼운 판 또는 원통형의 큰 나무판에 새겨져 있었다. 그 나무판은 똑바로 세운 축에 부착되었고, 그 축들은 줄지어 있었다.[203][204] 이러한 “나무판이 부착된 축의 연속(축삭)”은 편리한 보관과 접근성을 가능하게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나무판에는 아테네의 입법자 드라콘이 기원전 7세기(전승에 따르면 기원전 621년)에 제정한 법률이 기록되어 있었다. 드라콘의 법률은 “살인”(드라콘은 처음으로 고의와 과실을 구분했다)에 관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소실되었다. 그러나 드라콘의 법률은 헌법처럼 체계화되지 않았다는 것이 학자들의 대다수의 일치된 의견이다.[205][206] 솔론은 “살인”에 관한 항목을 제외하고 드라콘의 법률을 폐기했다.[207]
법률이 적힌 나무판의 조각은 플루타르코스 시대에도 열람 가능했다.[208] 그러나 오늘날 솔론의 법률에 대한 기록은 문헌 자료 속 플루타르코스의 단편적인 인용문과 논평뿐이다. 그의 법률 문구는 기원전 5세기 기준으로 이미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었고, 이는 고대 해설자들에게 해석상의 문제를 일으켰다.[209]
솔론 개혁 이전에는 9명의 아르콘이 아테네 국가를 통치했다. 아르콘은 귀족 출신과 재산을 기반으로 하는 아레오파고스(로마 원로원과 유사)에 의해 임명 또는 선출되었다.[210][211] 아레오파고스는 이전에 아르콘을 역임했던 사람들로 구성되었고, 임명권뿐 아니라 자문 기관으로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아르콘들은 아고라에 있는 돌 위에 서서 봉사 선서를 했으며, 법을 위반할 경우 금 조각상을 바치기로 약속했다.[212][213] 아테네 시민들의 민회(에클레시아)는 존재했지만, 육체 노동자는 참여하지 못했고, 심의 절차는 귀족들이 통제했다.[214]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솔론은 모든 시민이 민회에 참여하고,[215] 민중재판소가 모든 시민으로 구성되는 법을 제정했다.[216] 민중재판소는 민회 또는 민회의 일부 기능을 대표하는 배심원단으로 개정된 것으로 보인다.[217][218] 일반 시민들에게 관리를 선출하고 탄핵할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솔론은 진정한 민주주의의 기초를 확립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아르카이크기 귀족들에게 하층 시민을 민회에 받아들이는 것은 너무 과감한 조치였기 때문에 솔론이 실제로 이를 실행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219] 고대 자료는[159][220][221] 부레(고대 그리스)(입법 의회)를 만든 공적을 솔론에게 돌리고 있지만, 많은 학자들은 이 역시 의문을 제기한다.[222][223]
3. 2. 경제 개혁
솔론의 경제 개혁은 그의 시대 이전과 이후에 만연했던 원시적인 자급자족 경제라는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아테네 시민들은 펠로폰네소스 전쟁 직전까지 시골 마을에 살고 있었다.[52] 아테네 내부에서조차 무역 기회는 제한적이었다. 고전 시대에도 일반적인 농가는 자신의 필요를 충족시키기에 겨우 충분한 생산을 했을 뿐이다.[84] 국제 무역의 기회는 최소한이었다. 로마 시대에도 상품 가치는 육로로 100마일 운반될 때마다 40% 상승했지만, 해상 운송의 경우 같은 거리에 대해서는 1.3%만 상승했던 것으로 추산된다.[85] 그러나 아테네가 기원전 525년경까지 상선을 보유하고 있었다는 증거는 없다.[86] 그때까지 좁은 전함이 화물선을 겸했다. 기원전 7세기 다른 그리스 도시 국가들처럼 아테네도 증가하는 인구 압력에 직면했으며,[87] 기원전 525년경에는 풍년에만 자급자족이 가능했다.[88]

따라서 솔론의 개혁은 자급자족 농업 경제가 신흥 상업 부문의 지원을 점점 더 필요로 하게 된 중요한 경제 전환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솔론에게 공로가 돌아가는 구체적인 경제 개혁은 다음과 같다.
- 아버지들은 아들에게 직업을 찾아주도록 장려받았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아들은 노년의 아버지를 부양할 법적 의무가 없었다.[89]
- 외국 상인들이 아테네에 정착하도록 장려되었으며, 가족을 데리고 온 상인들에게는 시민권이 부여되었다.[90]
- 올리브 재배가 장려되었고, 다른 모든 과일의 수출은 금지되었다.[91]
- 아테네 상업의 경쟁력은 아이기나 또는 에우보이아[92][93]와 같이 다른 곳에서 이미 사용 중인 성공적인 표준을 기반으로 하여 도량형을 개정함으로써 향상되었다. 고대 기록에 따르면 아르고스를 기준으로 했다고 하나 현대 학계에서는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없다.[94]
일반적으로 고대 주석가들의 권위에 따라 솔론이 아테네의 화폐를 개혁했다고 여겨져 왔다.[94][95] 그러나 최근의 주화 연구는 솔론의 개혁 이후인 기원전 560년경까지 아테네에는 화폐가 없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96] 그럼에도 불구하고, 솔론의 개혁 이전에 이미 화폐화가 시작되었다는 것을 시사하는 이유들이 있다.[97] 6세기 초 아테네인들은 다양한 금괴 은 조각들을 화폐 지불에 사용했다.[98] 드라크마와 오볼은 금괴 가치의 용어로 이미 채택되었지만, 해당 표준 무게는 불안정했을 가능성이 높다.[99]

솔론의 경제 개혁은 해외 무역을 활성화하는 데 성공했다. 기원전 600년에서 560년 사이에 아테네의 흑상감 도자기는 에게 해 전역으로 양과 질적으로 증가하여 수출되었고, 이는 코린트식 도자기 무역의 감소와 일치하는 성공 사례였다.[2] 곡물 수출 금지는 빈민을 위한 구제 조치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수출용 올리브 생산 장려는 실제로 많은 아테네 시민들에게 어려움을 증가시켰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곡물 재배에 할애되는 토지의 양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올리브 나무는 처음 6년 동안 열매를 맺지 않는다.[100]
3. 3. 사회 및 도덕 개혁
솔론은 아테네 민주주의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로, 기원전 594년 아르콘(최고 관리)으로 선출되어 드라콘의 법률(살인 관련 법률 제외)을 폐지했다.[18] [19] 당시 아테네 사회는 귀족들의 권력 다툼과 경제적 불평등으로 혼란스러웠는데, 솔론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개혁을 단행했다.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아테네 시민들은 솔론에게 분쟁 해결을 위한 전권을 위임했다.[20] 일부 학자들은 솔론이 아르콘이 된 후 아레오파고스 의원이 되어 동료들에게 존경받는 정치가가 되었을 때 이 권한을 얻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21] [22] [23]
솔론은 모든 빚을 탕감하는 정책을 추진했는데, 이 과정에서 친구들이 정보를 미리 알고 빚을 내어 토지를 매입하는 일이 발생했다. 솔론은 자신의 채무자들을 석방함으로써 공모 혐의를 벗었지만, 친구들은 빚을 갚지 않았다.[24]
솔론의 시에는 경제적, 이념적 대립이 나타나는데, 그는 과격한 두 당파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자처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아테나이 정치제도』에서는 솔론을 민주주의 운동의 당파로 묘사했지만, 솔론의 시에 따르면 그는 중재자에 가까웠다.[45] 플루타르코스는 아테네가 지리적 분할에 따라 여러 당파로 나뉘어 있었다고 기록했다.[46] 산악 지방 사람들은 민주주의를, 평야 지방 사람들은 과두정을, 해안 지방 사람들은 혼합된 정체를 선호했다.
솔론의 법은 라는 나무판에 새겨져 프리타네이온에 보관되었다.[58] [59] 이 는 회전판과 같은 원리로 작동하여 보관과 접근이 용이했다. 원래는 드라콘의 법이 기록되어 있었으나, 솔론은 살인 관련 법률을 제외하고 모두 폐지했다.[60] [61]
파우사니아스와 플루타르코스는 솔론의 법이 새겨진 판이 전시되어 있었다고 기록했다.[62] [63] 그러나 오늘날 전해지는 솔론의 법은 플루타르코스 등의 문헌 자료에 있는 단편적인 인용과 논평뿐이다. 게다가 솔론 법의 언어는 고풍스러워 해석상의 문제를 야기했고, 현대 학자들은 자료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한다.[64]
솔론의 개혁은 헌법적, 경제적, 도덕적, 성적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솔론은 시에서 아테네 시민들의 탐욕과 오만을 경고하며, 가이아(대지)조차 노예가 되었다고 표현했다.[101] [102] 이러한 왜곡을 상징하는 는 농부가 빚을 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경계 표지였다.[103]
솔론 이전에는 토지가 가족이나 씨족의 재산이었기 때문에 매매나 저당이 불가능했다.[104] 농부는 자신과 가족을 담보로 제공하여 빚을 갚아야 했고, 이러한 계약에 종속된 농부들은 라고 불렸다.[105] [106] [107] [108] 이들은 수확량의 6분의 1을 지불해야 했으며, 계약을 이행하지 못하면 노예로 팔릴 수 있었다.
솔론은 (짐 벗어던지기)라는 개혁을 통해 불공정을 해결하고자 했다.[109] [110] 학자들 사이에서는 이 개혁의 실제 의미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었다.
의 제거는 억압받는 계층에게 경제적 구제를 제공했고, 아테네인들의 노예화를 종식시켰다. 솔론은 해외로 팔려나간 아테네인들의 귀환을 기록했지만, 실제로 구출된 사람은 거의 없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12] [113] 는 노예 제도와 채무를 제거했지만, 일반 농부가 신용을 얻는 수단도 제거했다는 지적도 있다.[114]
외에도 다음과 같은 도덕 개혁이 이루어졌다.
- 사치스러운 혼수 폐지.[115]
- 상속 관련 남용(특히 관련)에 대한 법률 제정.[116]
- 모든 시민이 다른 시민을 대신하여 법적 조치를 취할 권리 부여.[117] [118]
- 내란과 전쟁 시 무기를 들기를 거부하는 시민의 참정권 박탈.[119] [120] [121] [122] [123]
데모스테네스는 아테네 귀족들의 겸손과 검소함을 언급하며, 솔론의 개혁이 이러한 행동의 전례를 확립했다고 주장했다.[124]
솔론은 아테네 사회의 성적 관습을 공식화했다는 주장도 있다. 필레몬의 작품에 따르면, 솔론은 성적 쾌락의 접근성을 "민주화"하기 위해 공공 매음굴을 설립했다.[125] [126] 고대 저술가들은 솔론이 아테네의 남색 관계를 규제했다고도 말한다.[128] [129] 아이스키네스는 노예들을 씨름장에서 제외하고 시민의 아들과 남색 관계를 맺는 것을 금지하는 법률을 인용했지만, 솔론 법률에 대한 기록은 신뢰하기 어렵다.[130] [8] [131] [132]
고대 독자들은 솔론의 에로틱한 시를 바탕으로 그가 소년을 선호했다고 결론지었다.[134] 일부 고대 저술가들은 솔론이 피시스트라토스를 자신의 로 삼았다고 주장했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나이 차이를 이유로 반박했다.[135] 플루타르코스는 솔론과 피시스트라토스의 관계에 대한 일화를 기록하며 추측을 덧붙였다.[136] [137] 아이리아누스 또한 피시스트라토스가 솔론의 였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러한 기록의 역사성은 불확실하며, 후대에 조성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38] 솔론의 남색적 욕망은 그의 시에서도 표현된 것으로 여겨졌지만, 시적 단편의 진위는 불확실하다.[139] [140] [142]
4. 솔론의 시
솔론은 즐거움, 애국적 선전, 그리고 자신의 헌법 개혁을 옹호하기 위해 시를 썼다. 그의 시구들은 플루타르코스와 데모스테네스 같은 고대 저자들의 단편적인 인용을 통해 전해지는데,[141] 이들은 자신의 주장을 설명하기 위해 솔론의 시를 사용했다. 일부 단편들은 잘못 그의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고,[142] 어떤 학자들은 후대 저자들에 의한 삽입을 감지하기도 했다.[143] 그는 아테나 여신을 언급한 최초의 아테네 시민이었다 (fr. 4.1–4).[144]
솔론 시의 문학적 가치는 일반적으로 평범한 것으로 평가된다. 솔론의 시는 때때로 '독선적'이고 '거만하게' 보인다고 할 수 있으며,[145] 그는 한때 더 재능 있는 엘레지 시인인 밈네르무스에게 도덕적 조언을 담은 엘레지를 보내기도 했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시는 그가 개인적 권위와 리더십을 주장하려는 정치 활동가의 역할로 글을 썼음을 보여준다. 이 시들은 독일 고전학자 빌라모비츠에 의해 "운문으로 된 연설"( Eine Volksrede in Versende)로 묘사되었다.[146] 그러나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147] 솔론은 원래 오락을 위해 시를 썼으며, 철학적인 방식이 아닌 대중적인 방식으로 즐거움을 논했다. 솔론의 엘레지 스타일은 튀르타이오스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148] 그는 또한 이암비쿠스와 트로카이우스 시를 썼는데, 한 현대 학자에 따르면,[149] 이것들은 그의 엘레지보다 더 활기차고 직접적이며 아테네 희곡의 이암비쿠스의 길을 열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솔론의 시는 그의 개혁과 태도에 대한 개인적인 기록으로서, 미학적인 이유보다는 역사적인 이유 때문에 중요하다. 그러나 시는 사실을 전달하는 이상적인 장르가 아니며, 현존하는 단편에서 얻을 수 있는 자세한 정보는 거의 없다.[150] 시인 솔론에 따르면, 개혁가 솔론은 그의 동포들이 사회적, 경제적 차이로 점점 더 양극화되던 시기에 아테네에서 정치적 중용의 목소리였다.
그리스어(원문) | 영역(존 드라이든(John Dryden))[285] | 한국어 번역(참고) |
---|---|---|
영국의 시인 존 드라이든이 번역한 솔론의 말은 부자와 가난한 자 사이의 차이를 조정하거나 혹은 무시할 수 있는 '도덕적 우위'를 정의한다. 그의 시는 그가 국가의 경쟁 세력 사이에 평화적인 해결책을 세우기 위해 그의 특별한 입법 권한을 사용하려고 시도했음을 보여준다.
그리스어(원문) | 영역(존 드라이든(John Dryden)) | 한국어 번역(참고) |
---|---|---|
그의 시도는 분명 오해를 받았다.
그리스어(원문) | 영역(존 드라이든(John Dryden)) | 한국어 번역(참고) |
---|---|---|
5. 고고학적 관점
솔론에 대해 알려진 바는 매우 적은데, 기원전 6세기경 아테나이에 대한 문헌이나 고고학적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이다.[311][312] 솔론은 자신의 입법 개혁을 옹호하고 애국적 선전을 위해 시를 썼으나, 그의 작품은 단편으로만 남아 후대 작가들의 문헌에 인용되어 전해진다. 이 과정에서 그가 쓰지 않은 작품이 그의 것으로 잘못 제시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헤로도토스나 플루타르코스 등 고대 작가들이 솔론에 대한 주요 전거가 되지만, 이들의 글은 솔론 사후 수백 년 뒤에 쓰였으며, 당시는 역사가 학문으로 정립되기 전이었다. 아이스키네스 등 기원전 4세기의 웅변가들은 훨씬 후대의 법률 전체를 솔론의 공으로 돌리는 경향이 있었다.[313] 고고학에서는 비문 조각을 통해 솔론 시대에 대해 약간의 사실을 밝혀내기도 했으나 성과는 미미하다. 어떤 학자들은 솔론과 그의 시대에 대해 알려진 것이 불충분한 자료에 기반한 허구라고 주장하지만,[314][315] 상당수 내용이 타당성이 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316]
솔론의 법률은 넓고 두꺼운 판이나 원통형의 큰 나무판에 새겨져 프리타네이온에 보관되었다. 그 나무판은 똑바로 세운 축에 부착되었고, 축들은 줄지어 있었다.[203][204] 이 “나무판이 부착된 축의 연속(축삭)”은 회전식 식탁과 같은 원리에 기반하여 편리한 보관과 접근성을 가능하게 했던 것으로 보인다. 나무판에는 애초에 아테네의 입법자 드라콘이 기원전 7세기(전승에 따르면 기원전 621년)에 제정한 법률이 기록되어 있었다. 드라콘의 법률은 “살인”(드라콘은 처음으로 고의와 과실을 구분했다)에 관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소실되었다. 그러나 드라콘의 법률은 헌법처럼 체계화되지 않았다는 것이 학자들의 대다수의 일치된 의견이다.[205][206] 솔론은 “살인”에 관한 항목을 제외하고 드라콘의 법률을 폐기했다.[207]
플루타르코스 시대에도 법률이 적힌 나무판 조각을 열람할 수 있었다.[208] 그러나 오늘날 솔론의 법률에 대한 기록은 문헌 자료 속 플루타르코스의 단편적인 인용문과 논평뿐이다. 더욱이 법률 문구는 기원전 5세기 기준으로 이미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었고, 이는 고대 해설자들에게 해석상의 문제를 일으켰다.[209]
6. 평가 및 영향
솔론은 아테네 민주주의의 기초를 마련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솔론 시대에는 많은 폴리스에 폭군이나 권력을 장악한 귀족들이 있었다. 시키온의 클레이스테네스, 메가라의 테아게네스 등이 그 예시이다. 아테네에서도 킬론(Cylon of Athens)이 권력 장악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반면 솔론은 시민들 간의 갈등을 평화적이고 공정하게 해결할 수 있는 지혜를 인정받아 선거를 통해 일시적으로 독재적인 권력을 얻었다.[178] 고대 자료에 따르면,[179][180] 솔론은 기원전 594/3년에 집정관(에포뉴모스 아르콘)으로 선출되면서 이러한 권력을 얻었다고 한다. 일부 현대 학자들은 솔론이 집정관이 된 몇 년 후에 권력을 얻었고, 이후 아레오파고스(로마의 원로원과 유사한 기관)의 일원이 되어 귀족들에게 존경받는 정치가가 되었다는 견해를 제시한다.[181][182][183]
솔론 시대를 특징짓는 사회 정치적 격변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역사가들에 의해 다양하게 해석되었다. 현대 역사가들은 솔론 시대 아테네의 세 가지 역사적 요인으로 "경제와 이데올로기의 대립", "지역적 대립", "귀족 가문 간의 대립"을 제시한다.[184][185]
- 경제와 이데올로기의 대립: 고대 자료와 솔론의 시에 나타나는 요인이다. 솔론은 극단적인 두 파벌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자처했다. 『아테네인의 국정』에서는 귀족과 평민 간의 갈등, 가난한 사람들이 부자들에게 노예로 일해야 했던 상황을 언급하며, 솔론을 평민들의 첫 번째 옹호자로 묘사한다.[186] 플루타르코스는 아테네가 지역적, 정치적 기반에 따라 세 개의 정당으로 분열되었다고 기록했다.[187]
- 지역적 대립: 현대 학자들 사이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주제이다.[188][189][190][191] 지역적 집단들이 아테네 중앙 정부의 통제권을 장악하고 아티카 지방에서 다른 지역 경쟁자들을 지배하려 했다는 것이다.[192] 투키디데스에 따르면, 대부분의 아테네인들은 펠로폰네소스 전쟁 직전까지 지방에 거주했다.[193] 넓은 영토에서 지방주의는 불가피했으며, 아티카는 헤일로테이(노예 신분) 상태에 이를 위험에 처해 있었다.[194]
- 귀족 가문 간의 대립: 최근 학자들에 의해 발전된 주제이다.[192][195][196][197][198][199] 친족 관계가 지역적 충성심보다 더 중요하여 아르카이크 시대[200] 아테네의 사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184][201] 귀족 가문 간의 대립은 지역적 유대와 관계없이 사회 모든 계층에 걸쳐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솔론 개혁의 배경과 동기는 여전히 다양한 추측을 낳고 있다.[202]
솔론의 경제 개혁은 원시적인 물물교환 경제 상황에서 이루어졌다. 당시 아테네는 제한적인 거래, 자급자족 농업, 최소한의 해외 무역 등의 특징을 보였다. 솔론의 개혁은 경제적 전환기에 이루어진 위기적인 시기의 조치로 볼 수 있다.
솔론의 주요 경제 개혁은 다음과 같다.
- 아버지의 아들 직업 찾기 장려, 실패 시 아들의 노년 아버지 부양 의무 면제.[236]
- 외국 상인 정착 장려, 가족 동반 정착 시 시민권 부여.[237] 이들은 후에 메토이코이라 불렸다.
- 올리브 재배 장려, 올리브만 수출 허용, 다른 농산물 수출 금지.[238]
- 도량형 개정, 아테네 무역 경쟁력 향상. 아이기나나 에우보이아 등의 기준을 참고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40][241]
고대 자료에 따르면,[239][242] 솔론은 아테네의 화폐 제도도 개혁했다고 알려졌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아테네는 솔론 개혁 이후에도 화폐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243]
솔론의 경제 개혁은 대외 무역 활성화에 성공했다. 아테네의 흑색도기는 기원전 600년~560년 사이에 에게해 전역에 수출되었으며, 코린토스의 도자기 무역 감소와 일치한다.[244] 곡물 수출 금지는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구제책으로 이해될 수 있지만, 올리브 생산 장려는 곡물 경작지 감소로 이어져 어려움을 겪는 시민들이 늘어났다.[245]
솔론은 시에서 아테네 시민들을 탐욕과 오만으로 인해 위기에 처한 존재로 묘사했다.[246] 가이아 여신조차도 사로잡혔다고 표현했다.[247] “호로스”(“호로이”)는 농민이 빚이나 계약상 의무를 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경계 표식이었다.[248] 솔론 시대까지 토지는 가족이나 씨족의 재산이었으며,[249] 팔거나 저당 잡힐 수 없었다. 작은 농지를 가진 가족은 빚을 갚기 위해 자신이나 가족을 담보로 제공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이러한 농민들은 “헥테모로이”로 알려져 있으며,[250] 빚 변제나 농지 수익의 6분의 1을 납부해야 했다.[251][252][253] 계약이 지켜지지 않으면 농장주와 가족은 노예로 팔릴 가능성이 있었다.
솔론은 이러한 불공정에 대한 개혁으로 “세이삭테이아”를 시행했다.[254][255] 이 개혁의 진정한 의미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의 논의가 있다. “빚의 탕감”으로 보는 견해도 있고, 봉건적 관계의 폐지로 해석하는 견해도 있다.[155]
세이삭테이아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호로이” 폐지는 억압받던 집단에게 경제적 구제를 제공하고, 아테네 시민의 노예화를 종식시켰다. 해외로 팔려 나갔거나 도망친 아테네 시민들의 귀환도 이루어졌다.[257] 그러나 돌아온 자들은 거의 없었다.[258] “세이삭테이아”는 노예 상태와 부채를 제거했지만, 일반 농민이 신용을 얻을 수 있는 방법도 제거했다.[259]
“세이삭테이아” 외에도 다음과 같은 도덕 개혁이 이루어졌다.
- 고액 지참금 폐지.[260]
- 여자 상속인(epikleros) 관련 상속 시스템 악용 방지 법 제정.[261]
- 시민의 소송 제기 권리 보장.[262][263]
- 도시 국가 간 분쟁 발생 시 군 복무 거부 시민의 시민권 박탈.[264][265][266][267][268]
데모스테네스는 아테네 황금기에 부유하고 권력 있는 사람들의 겸손과 검소함을 증언했다.[269] 솔론은 이러한 행동의 전례를 확립했을 가능성이 있다. 솔론과 그의 개혁을 통해 공공 정신이 아테네 시민들에게 점차적으로 가르쳐졌을 것이다.
개혁 후 솔론은 권한을 포기하고 아테네를 떠났다. 헤로도토스(Herodotos)에 따르면[270] 아테네는 솔론의 개혁을 10년간 유지하도록 의무화되었다. 플루타르코스(Plutarchos)[208]와 『아테나이 정치제도』[271]는 100년이라고 주장한다. 현대 학자들은[272] 솔론의 해외 체류 기간과 일치하는 헤로도토스의 기록이 정확하다고 본다.[273] 솔론이 떠난 후 4년 동안 옛 사회적 갈등이 다시 나타났고, 새로운 정부의 부정 행위, 관리들의 직무 거부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솔론에게 책임을 돌리는 사람들도 있었다.[274] 결국 솔론의 친척인 페이시스트라토스(Peisistratos)가 무력으로 파벌주의를 종식시키고 참주(티라노스)가 되었다.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솔론은 아테네인들의 어리석음과 겁 많음을 비난했다.[275]
일부 저자에 따르면, 솔론은 아테네의 성 풍속을 공식화했다. 희극 작가 필레몬[291]의 작품에 따르면, 성적 쾌락을 민주화하기 위해 공적으로 자금을 지원받은 매음굴을 설립했다고 한다.[292]
솔론의 개혁과 이성애적 쾌락 향유 기회 증가를 연결 짓는 연설이 있었다는 기록도 있다.[293] 고대 저자들은 솔론이 아테네에서 소년애(동성애)를 규제했다고도 말한다.[294][295] 아이시네스는 노예를 투기장에서 추방하고 시민의 아들과 소년애 관계를 맺는 것을 금지한 법률을 언급했다.[296] 그러나 솔론의 법에 대한 기원전 4세기 연설가들의 설명은 신뢰하기 어렵다고 여겨진다.[160][297][298]
솔론의 소년애 관련 입법 외에 개인적 개입 암시도 존재한다. 고대 저자들에 따르면, 솔론은 폭군 페이시스트라토스를 "소년애 상대"("eromenos")로 여겼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솔론과 페이시스트라토스의 나이 차이를 근거로 반박했다.[300] 플루타르코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의문을 무시하고[301] 두 사람의 관계에 대한 일화를 기록했다.[302] 아이리아노스도 페이시스트라토스가 솔론의 "소년애 상대"였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주장의 역사적 진실성은 불분명하다. 페이시스트라토스 통치 기간 동안 만들어진 전설일 가능성도 제기된다.[303] 솔론의 소년애적 욕망은 솔론의 시에서 찾아야 하지만, 남아있는 단편이 적고[304][305] 신빙성도 불확실하다. 일부 고대 자료에서 솔론의 것으로 여겨졌던 소년애적 격언은 테오그니스의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277]
7. 현대적 해석과 논쟁
헤로도토스나 플루타르코스 등 고대 작가들의 기록은 솔론에 대한 주요 자료이지만, 이들은 솔론 사후 수백 년 뒤에 쓰여졌고, 당시는 역사학이 학문으로 정립되기 전이었다. 4세기 웅변가 아이스키네스 등은 후대의 법을 솔론의 공으로 돌리는 경향이 있었다.[313]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비문 조각에서 솔론 시대에 대한 일부 정보가 밝혀졌으나, 그 성과는 미미하다.
솔론 시대 아테네의 사회적, 정치적 격변은 고대부터 현재까지 역사가들에 의해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다. 솔론의 동기와 그의 개혁 뒤에 숨겨진 의도는 계속해서 추측을 불러일으키고 있다.[42]
현대 역사가들은 솔론 시대 아테네에 대해 세 가지 다른 역사적 기록을 확인했는데, 이는 경제적/이념적 경쟁, 지역적 경쟁, 귀족 가문 간의 경쟁을 강조한다.[43][44]
- '''경제와 이데올로기의 대립''': 솔론의 시에 나타나는 요인으로, 극단적이고 통제 불능인 두 파벌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자처하는 솔론의 모습이 나타난다. 아리스토텔레스 학파의 저자가 쓴 『아테네인의 국정』은 귀족과 평민 간의 갈등을 다루고 있으며, 솔론을 평민들의 첫 번째 옹호자로 제시한다.[186] 플루타르코스는 아테네가 지역적 구분에 따라 여러 정당으로 분열되어 있었다고 기록했다.[187]
- '''지역적 대립''': 현대 학자들 사이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주제로, 지역적 집단 간의 분쟁이 아테네 중앙 정부의 통제권을 장악하기 위한 경쟁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188][189][190][191] 투키디데스에 따르면, 대부분의 아테네인들은 펠로폰네소스 전쟁 직전까지 지방에 거주했다.[193]
- '''귀족 가문 간의 대립''': 친족 관계에 있는 집단의 정치적 중요성을 평가하는 학자들에 의해 최근에 발전된 주제이다.[192][195][196][197][198][199] 이들은 친족 관계가 지역적 충성심보다 강력하여 아르카이크 시대[200] 아테네의 사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184][201]
솔론의 경제 개혁은 원시적인 물물교환 경제 상황에서 이루어졌다. 대부분의 아테네 시민들은 지방에 정착하여 자급자족하는 농업에 종사했고, 해외 무역은 제한적이었다.[231] 솔론의 개혁은 경제적 전환기에 이루어진 위기적인 시기의 조치로 볼 수 있다.
솔론의 공적으로 여겨지는 경제 개혁은 다음과 같다.
- 아버지가 아들의 직업을 찾아주도록 장려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아들의 부양 의무를 없앴다.[236]
- 외국 상인들의 정착을 장려하고, 가족 동반 정착 시 시민권을 부여했다. 이들은 후에 메토이코이라 불렸다.[237]
- 올리브 재배를 장려하고, 올리브 외 다른 농산물 수출을 금지했다.[238]
- 도량형을 개정하여 아테네 무역의 경쟁력을 향상시켰다.[240][241]
고대 해설자들에 따르면 솔론은 화폐 제도도 개혁한 것으로 여겨졌으나,[239][242]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아테네는 솔론 개혁 이후에도 화폐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243]
솔론의 경제 개혁은 대외 무역 활성화에 성공하여, 아테네의 흑색도기가 에게해 전역에 수출되었다.[244] 곡물 수출 금지는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구제책으로 이해될 수 있지만, 올리브 생산 장려는 곡물 경작지를 줄여 시민들에게 어려움을 더했다.[245]
솔론은 아테네의 성풍속을 공식화했다는 주장도 있다. 희극 작가 필레몬[291]은 솔론이 성적 쾌락을 민주화하기 위해 공적 자금 지원 매음굴을 설립했다고 주장했다.[292]
고대 저자들은 솔론이 아테네에서 소년애(동성애)를 규제했다고도 말한다. 연설가 아이시네스는 노예를 투기장에서 추방하고 시민의 아들과 소년애 관계를 맺는 것을 금지한 법률을 언급했다.[296] 그러나 솔론의 법에 대한 기원전 4세기 연설가들의 설명은 신뢰하기 어렵다.[160][297][298]
고대 저자들에 따르면 솔론은 페이시스트라토스를 그의 "소년애 상대"("eromenos")로 여겼다고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솔론과 페이시스트라토스의 나이 차이를 들어 이 주장에 반박했지만,[300] 플루타르코스는 이들의 관계에 대한 일화를 기록했다.[301][302] 솔론의 소년애적 욕망은 그의 시에서 찾아야 할 옛날 생각이지만, 시는 소수의 단편만 남아있고 그 신빙성도 불확실하다.[304][305]
참조
[1]
웹사이트
Solon
https://www.britanni[...]
2019-04-13
[2]
서적
Athenian Politics c. 800–500 BC: A Sourcebook
Routledge
1990
[3]
서적
Greek Society
Penguin
1967
[4]
간행물
A New Solution to the Riddle of the Seisachtheia
Routledge
1997
[5]
서적
Politics
[6]
서적
Athenian Politics c. 800–500 BC: A Sourcebook
Routledge
1990
[7]
서적
On the Laws I and II
Loeb Classical Library
1953
[8]
서적
From Solon to Socrates: Greek History and Civilization
Routledge
1973
[9]
서적
The Ancient World: Dictionary of World Biography
Salem Press/Routledge
1998
[10]
웹사이트
Plato
https://www.perseus.[...]
[11]
웹사이트
Solon
https://wikisource.o[...]
[12]
웹사이트
Life of Solon
https://wikisource.o[...]
[13]
웹사이트
Solon
https://wikisource.o[...]
[14]
웹사이트
Solon
https://wikisource.o[...]
[15]
웹사이트
Solon
https://wikisource.o[...]
[16]
서적
Unknown
[17]
웹사이트
Food in the Ancient World
https://archive.org/[...]
Blackwell
2006
[18]
웹사이트
Solon of Athens
http://www.csun.edu/[...]
[19]
웹사이트
Solon
https://wikisource.o[...]
[20]
웹사이트
Solon
https://wikisource.o[...]
[21]
서적
Athenian Politics c. 800–500 BC: A Sourcebook
Routledge
1990
[22]
서적
A History of the Athenian Constitution to the End of the Fifth Century B.C.
Oxford University Press
1952
[23]
간행물
Unknown
1971
[24]
웹사이트
Solon
https://wikisource.o[...]
[25]
웹사이트
The Histories
https://www.perseus.[...]
[26]
서적
The Histories
https://www.gutenber[...]
Unknown
[27]
웹사이트
Athenian Constitution
https://wikisource.o[...]
[28]
서적
Athenian Politics c. 800–55 BC: A Sourcebook
Routledge
1991
[29]
웹사이트
Solon
https://wikisource.o[...]
[30]
웹사이트
Athenian Constitution
https://wikisource.o[...]
[31]
웹사이트
Solon
https://wikisource.o[...]
[32]
웹사이트
The Histories
https://www.perseus.[...]
[33]
웹사이트
Solon
https://wikisource.o[...]
[34]
서적
The Histories
[35]
웹사이트
Solon
https://wikisource.o[...]
[36]
서적
Solon 32
[37]
서적
Diogenes Laertius 1.62
[38]
서적
Solon the Atheni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19
[39]
서적
Pausanias 10.24.1
http://www.theoi.com[...]
[40]
서적
Stobaeus, III, 29, 58
[41]
서적
Ammianus Marcellinus 38.4
[42]
논문
Solon's Reforms: an archeological perspective
https://openaccess.l[...]
Brill, Leiden
2006
[43]
서적
Athenian Politics c. 800–500 BC: A Sourcebook
Routledge, London
1991
[44]
웹사이트
Florilegium
https://web.archive.[...]
2007-07-05
[45]
서적
Athenaion Politeia 2.1–3
[46]
서적
Solon 13
[47]
논문
Regionalism in Archaic Athens
1960
[48]
논문
Cleisthenes and Attica
1963
[49]
서적
A Commentary on the Aristotelian Athenian Politeia
Oxford University Press
1981
[50]
서적
A History of the Greek City States
Berkeley
1976
[51]
웹사이트
Florilegium
https://web.archive.[...]
2007-07-05
[52]
서적
Thucydides 2.14–16
[53]
서적
Greek Society
Penguin
1967
[54]
논문
Tribal Politics and the Civic State
1976
[55]
서적
The New Politicians of Fifth Century Athens
Princeton
1971
[56]
서적
Cambridge Ancient History
Cambridge Univ. Press
1925
[57]
논문
Phoenix
1968
[58]
서적
From Solon to Socrates: Greek History and Civilization
Routledge, London
1973
[59]
서적
Athenian Politics c. 800–500 BC: A Sourcebook
Routledge, London
1990
[60]
서적
Athenian Politics c. 800–500 BC: A Sourcebook
Routledge, London
1990
[61]
사전
Oxford Classical Dictionary
1964
[62]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63]
서적
Solon 25.1
[64]
서적
Greek Society
Penguin, London
1967
[65]
서적
Athenaion Politeia 3.6
[66]
서적
Athenaion Politeia 8.2
[67]
서적
Athenaion Politeia 7.1, 55.5
[68]
서적
Solon 25.3
[69]
서적
Athenian Politics c. 800–500 BC: A Sourcebook
Routledge, London
1991
[70]
서적
Athenaion Politeia 7.3
[71]
서적
Politics
[72]
서적
From Popular Sovereignty to the Sovereignty of the Law: Law, Society and Politics in Fifth Century Athens
Berkeley
[73]
서적
Athenian Politics c. 800–500 BC: A Sourcebook
Routledge
[74]
서적
A History of the Athenian Constitution to the End of the Fifth Century B.C.
Oxford University Press
[75]
간행물
Athenaion Politeia
s:Athenian Constitut[...]
[76]
서적
Solon
s:Lives (Dryden tran[...]
[77]
서적
A History of the Athenian Constitution to the End of the Fifth Century B.C.
Oxford University Press
[78]
서적
Athenian Politics c. 800–500 BC: A Sourcebook
Routledge
[79]
서적
Solon
s:Lives (Dryden tran[...]
[80]
서적
Athenian Politics c. 800–500 BC: A Sourcebook
Routledge
[81]
서적
From Solon to Socrates: Greek History and Civilization
Routledge
[82]
간행물
Athenaion Politeia
s:Athenian Constitut[...]
[83]
서적
Oxford Classical Dictionary
[84]
웹사이트
Risk and Survival in Ancient Greece
http://www.princeton[...]
Stanford
[85]
서적
Land Transport in Rural Italy
Parkins and Smith
[86]
서적
The Growth of City States in the First Millennium BC
Stanford
[87]
서적
Archaic Greece
London
[88]
서적
Famine and Food Supply in Graeco-Roman World
Cambridge
[89]
서적
Solon
s:Lives (Dryden tran[...]
[90]
서적
Solon
s:Lives (Dryden tran[...]
[91]
서적
Solon
s:Lives (Dryden tran[...]
[92]
서적
From Solon to Socrates: Greek History and Civilization
Routledge
[93]
서적
Athenian Politics c. 800–500 BC: A Sourcebook
Routledge
[94]
간행물
Athenaion Politeia
s:Athenian Constitut[...]
[95]
서적
Solon
s:Lives (Dryden tran[...]
[96]
서적
Athenian Politics c. 800–500 BC: A Sourcebook
Routledge
[97]
서적
Solonos Nomoi (Solon's laws)
[98]
서적
[99]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Greek and Roman Coinage
https://books.google[...]
[100]
서적
Athenian Politics c. 800–500 BC: A Sourcebook
Routledge
[101]
서적
On the Embassy
[102]
간행물
Athenaion Politeia (quoting Solon)
s:Athenian Constitut[...]
[103]
서적
Athenian Politics c. 800–500 BC: A Sourcebook
Routledge
[104]
서적
Empire and Communications
Rowman and Littlefield
[105]
서적
Athenian Politics c. 800–500 BC: A Sourcebook
Routledge
[106]
서적
Athenian Politics c. 800–500 BC: A Sourcebook
Routledge
[107]
간행물
Historia
[108]
서적
Solon the Liberator: A Study of the Agrarian Problem in Attika in the Seventh Century
Oxford University Press
[109]
서적
Athenaion Politeia
[110]
서적
Solon
[111]
서적
Athenaion Politeia
[112]
서적
Athenaion Politeia
[113]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Classical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114]
서적
Athenian Politics c. 800–500 BC: A Sourcebook
Routledge
[115]
서적
Solon
[116]
서적
The Rise of the Greeks
Charles Scribner's Sons
[117]
서적
Athenaion Politeia
[118]
서적
Solon
[119]
서적
Athenaion Politeia
[120]
서적
Athenian Politics c. 800–500 BC: A Sourcebook
Routledge
[121]
서적
Solon
[122]
간행물
Historia
[123]
간행물
Historia
[124]
웹사이트
On Organization
https://web.archive.[...]
[125]
기타
Fr. 4
[126]
서적
The Masculinity Studies Reader
Blackwell
[127]
서적
One Hundred Years of Homosexuality: And Other Essays on Greek Love
[128]
서적
Paederasty and Political Life in Archaic Greek Cities
Harrington Park Press
[129]
서적
Eros and Greek Athletics
[130]
웹사이트
Against Timarchus
http://www.fordham.e[...]
[131]
서적
Literacy and Paideia in Ancient Greece
Oxford University Press
[132]
서적
The Reforms and Laws of Solon: an Optimistic View
Brill
[133]
서적
Literacy and Paideia in Ancient Greece
Oxford University Press
[134]
서적
Sexuality in Greek and Roman Culture
Wiley-Blackwell
[135]
서적
The Athenian Constitution
[136]
서적
Homosexuality & Civilization
[137]
서적
The Lives
[138]
서적
Solon and Early Greek Poetry
[139]
서적
Ancient Greece
[140]
서적
Against Timarchos
Oxford University Press
[141]
서적
On the Embassy
[142]
서적
Homosexuality in Greece and Rome: a sourcebook of basic documents
Uni. California Press
[143]
서적
Solon of Athens: new historical and philological approaches
Brill
[144]
서적
Gods and Heroes of the Ancient World: Athena
[145]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Classical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146]
서적
Horace
Oxford University Press
[147]
서적
Lives (Dryden translation)/Solon
s:Lives (Dryden tran[...]
[148]
서적
Solon
Oxford Classical Dictionary
[149]
서적
Greek Lyric Poetry
Bristol Classical Press
[150]
서적
Greek Society
Penguin
[151]
서적
Lives (Dryden translation)/Solon
s:Lives (Dryden tran[...]
[152]
서적
Lives (Dryden translation)/Solon
s:Lives (Dryden tran[...]
[153]
서적
Athenian Politics c800–500BC: A Sourcebook
Routledge
[154]
서적
Greek Society
Penguin
[155]
서적
The Development of the Polis in Archaic Greece
Routledge
[156]
서적
Politics
[157]
서적
Athenian Politics c800–500 BC: A Sourcebook
Routledge
[158]
서적
政治学
[159]
기타
[160]
서적
From Solon to Socrates: Greek History and Civilization
Routledge
[161]
서적
対比列伝
[162]
서적
The Ancient World: Dictionary of World Biography
Salem Press/Routledge
[163]
웹사이트
Diogenes Laertius, Lives of Eminent Philisophers, BOOK III, PLATO (427-347 B.C.)
http://www.perseus.t[...]
Perseus Digital Library
2018-09-13
[164]
서적
対比列伝
[165]
서적
対比列伝
[166]
서적
対比列伝
[167]
서적
歴史
[168]
서적
歴史
[169]
서적
対比列伝
[170]
서적
対比列伝
[171]
서적
対比列伝
[172]
서적
ギリシア哲学者列伝
[173]
웹사이트
Solon the Atheni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74]
서적
ギリシア案内記
[175]
기타
[176]
서적
Stobaeus, III, 29, 58
[177]
서적
Ammianus Marcellinus
[178]
서적
Solon
s:en:Lives (Dryden t[...]
[179]
서적
Solon
s:en:Lives (Dryden t[...]
[180]
서적
Athenaion Politeia
s:en:Athenian Consti[...]
[181]
서적
Athenian Politics c800–500BC: A Sourcebook
Routledge
[182]
서적
A History of the Athenian Constitution to the End of the Fifth Century B.C.
Oxford University Press
[183]
간행물
Arethusa
[184]
서적
Athenian Politics c800–500BC: A Sourcebook
Routledge
[185]
웹사이트
Geography and Kinship as Political Infrastructures in Archaic Athens
http://www.uwo.ca/en[...]
[186]
서적
Athenaion Politeia
s:en:Athenian Consti[...]
[187]
서적
Solon
s:en:Lives (Dryden t[...]
[188]
간행물
Regionalism in Archaic Athens
[189]
간행물
Cleisthenes and Attica
[190]
서적
A Commentary on the Aristotelian Athenian Politeia
Oxford Univ. Press
[191]
서적
A History of the Greek City States
Berkeley
[192]
웹사이트
Geography and Kinship as Political Infrastructures in Archaic Athens
http://www.uwo.ca/en[...]
[193]
서적
Thucydides
[194]
서적
Greek Society
Penguin
[195]
서적
Athenian Politics c800-500BC: A Sourcebook
Routledge
[196]
간행물
Tribal Politics and the Civic State
[197]
서적
The New Politicians of Fifth Century Athens
Princeton
[198]
서적
Cambridge Ancient History
Cambridge Univ. Press
[199]
간행물
Phoenix
[200]
기타
[201]
웹사이트
Geography and Kinship as Political Infrastructures in Archaic Athens
http://www.uwo.ca/en[...]
[202]
서적
Solon’s reforms: an archaeological perspective
https://hdl.handle.n[...]
Brill
[203]
서적
From Solon to Socrates: Greek History and Civilization
Routledge
[204]
서적
Athenian Politics c800–500BC: A Sourcebook
Routledge
[205]
서적
Athenian Politics c800–500BC: A Sourcebook
Routledge
[206]
사전
Oxford Classical Dictionary
[207]
서적
Solon
s:en:Lives (Dryden t[...]
[208]
서적
Solon
s:en:Lives (Dryden t[...]
[209]
서적
Greek Society
Penguin
[210]
서적
Athenaion Politeia
s:en:Athenian Consti[...]
[211]
서적
Athenaion Politeia 8.2
s:en:Athenian Consti[...]
[212]
서적
Athenaion Politeia 7.1, 55.5
s:en:Athenian Consti[...]
[213]
서적
Solon 25.3
s:en:Lives (Dryden t[...]
[214]
서적
Athenian Politics c800–500BC: A Sourcebook
Routledge
1991
[215]
서적
Athenaion Politeia 7.3
s:en:Athenian Consti[...]
[216]
서적
Politics
[217]
서적
From Popular Sovereignty to the Sovereignty of the Law: Law, Society and Politics in Fifth Century Athens
Berkeley
1986
[218]
서적
Athenian Politics c800–500BC: A Sourcebook
Routledge
1990
[219]
서적
A History of the Athenian Constitution to the End of the Fifth Century B.C.
Oxford
1952
[220]
서적
Athenaion Politeia 8.4
s:en:Athenian Consti[...]
[221]
서적
Solon 19
s:en:Lives (Dryden t[...]
[222]
서적
A History of the Athenian Constitution to the End of the Fifth Century B.C.
Oxford
1952
[223]
서적
Athenian Politics c800–500BC: A Sourcebook
Routledge
1990
[224]
서적
Solon 18
s:en:Lives (Dryden t[...]
[225]
서적
Athenian Politics c800–500BC: A Sourcebook
Routledge
1990
[226]
서적
From Solon to Socrates: Greek History and Civilization
Routledge
1973
[227]
서적
Athenaion Politeia 7–8
s:en:Athenian Consti[...]
[228]
서적
Solon
Oxford Classical Dictionary
1996
[229]
서적
The Origins of the Western Attitude Toward Wome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84
[230]
서적
Thucydides
[231]
서적
Risk and Survival in Ancient Greece
http://www.princeton[...]
Stanford
1991
[232]
서적
Land Transport in Rural Italy
http://www.princeton[...]
Parkins and Smith
1998
[233]
서적
The Growth of City States in the First Millennium BC
http://www.princeton[...]
Stanford
2005
[234]
서적
Archaic Greece
http://www.princeton[...]
London
1980
[235]
서적
Famine and Food Supply in Graeco-Roman World
http://www.princeton[...]
Cambridge
1988
[236]
서적
Solon 22.1
s:en:Lives (Dryden t[...]
[237]
서적
Solon 24.4
s:en:Lives (Dryden t[...]
[238]
서적
Solon 24.1
s:en:Lives (Dryden t[...]
[239]
서적
Athenaion Politeia 10
s:en:Athenian Consti[...]
[240]
서적
From Solon to Socrates: Greek History and Civilization
Routledge
1973
[241]
서적
Athenian Politics c800–500BC: A Sourcebook
Routledge
1990
[242]
서적
Solon 15.2-5
s:en:Lives (Dryden t[...]
[243]
서적
Athenian Politics c800–500BC: A Sourcebook
Routledge
1990
[244]
서적
Athenian Politics c800–500BC: A Sourcebook
Routledge
1990
[245]
서적
Athenian Politics c800–500BC: A Sourcebook
Routledge
1991
[246]
서적
On the Embassy
[247]
서적
Athenaion Politeia
s:en:Athenian Consti[...]
[248]
서적
Athenian Politics c800–500BC: A Sourcebook
Routledge
1991
[249]
서적
Empire and Communications
Rowman and Littlefield
2007
[250]
서적
Athenian Politics c800–500BC: A Sourcebook
Routledge
1991
[251]
서적
Athenian Politics c800–500BC: A Sourcebook
Routledge
1990
[252]
간행물
Historia
1977
[253]
서적
Solon the Liberator: A Study of the Agrarian Problem in Attika in the Seventh Century
Oxford
1938
[254]
서적
Athenaion Politeia
s:en:Athenian Consti[...]
[255]
서적
Solon
s:en:Lives (Dryden t[...]
[256]
서적
Athenaion Politeia
s:en:Athenian Consti[...]
[257]
서적
Athenaion Politeia
s:en:Athenian Consti[...]
[258]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Classical World
Oxford Uni Press
1995
[259]
서적
Athenian Politics c800–500BC; a Sourcebook
Routledge
1991
[260]
서적
Solon
s:en:Lives (Dryden t[...]
[261]
서적
The Rise of the Greeks
Charles Scribner's Sons
1988
[262]
서적
Athenaion Politeia
s:en:Athenian Consti[...]
[263]
서적
Solon
s:en:Lives (Dryden t[...]
[264]
서적
Athenaion Politeia
s:en:Athenian Consti[...]
[265]
서적
Athenian Politics c800–500BC; a Sourcebook
Routledge
1991
[266]
서적
Solon
s:en:Lives (Dryden t[...]
[267]
간행물
Historia
1972
[268]
간행물
Historia
1977
[269]
웹사이트
On Organization
http://www.4literatu[...]
[270]
서적
Histories
http://www.gutenberg[...]
[271]
서적
Athenaion Politeia
s:en:Athenian Consti[...]
[272]
서적
Athenian Politics c800–55BC; a Sourcebook
Routledge
1991
[273]
서적
Solon
s:en:Lives (Dryden t[...]
[274]
서적
Athenaion Politeia
s:en:Athenian Consti[...]
[275]
서적
Solon
s:en:Lives (Dryden t[...]
[276]
서적
On the Embassy
[277]
서적
Homosexuality in Greece and Rome: a sourcebook of basic documents
Uni. California Press
2003
[278]
서적
Solon of Athens: new historical and philological approaches
Brill
2006
[279]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Classical World
Oxford Uni. Press
1995
[280]
서적
Horace
Oxford University Press
1957
[281]
서적
Solon
[282]
서적
Solon
[283]
서적
Greek Lyric Poetry
Bristol Classical Press
1982
[284]
서적
Greek Society
Penguin
1981
[285]
서적
Solon
[286]
서적
Solon
[287]
서적
Solon
[288]
서적
[289]
서적
[290]
서적
Solon
[291]
기타
Fr. 4
[292]
서적
The Masculinity Studies Reader
Blackwell
2002
[293]
서적
One Hundred Years of Homosexuality: And Other Essays on Greek Love
[294]
서적
Gay Studies from the French Culture
Harrington Park Press
1993
[295]
서적
Eros and Greek Athletics
[296]
서적
Against Timarchus
[297]
서적
Literacy and Paideia in Ancient Greece
Ox. Uni.Press
1994
[298]
서적
The Reforms and Laws of Solon: an Optimistic View
[299]
서적
Literacy and Paideia in Ancient Greece
Ox.Uni.Press
1994
[300]
서적
The Athenian Constitution
[301]
서적
Homosexuality & Civilization
[302]
서적
The Lives
[303]
서적
Solon and Early Greek Poetry
[304]
서적
Ancient Greece
[305]
서적
Against Timarchos
Oxford
2001
[306]
서적
Solon the Athenian
http://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19
[307]
서적
Athenian Politics c800-500BC: A Sourcebook
Routledge
1990
[308]
서적
Greek Society
Penguin
1967
[309]
서적
A New Solution to the Riddle of the Seisachtheia
[310]
서적
Politics
[311]
서적
Athenian Politics c800-500 BC: A Sourcebook
Routledge
1990
[312]
서적
Politics
[313]
서적
From Solon to Socrates: Greek History and Civilization
Routledge
1973
[314]
서적
Aspects of Athenian Democracy
Copenhagen, Museum Tusculanam P.
1990
[315]
서적
Comment s'elabore un mythe politique: Solon
[316]
서적
The Reforms and Laws of Solon The Wise: an optimistic view
Bri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