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이지 뷰는 웹 페이지가 서버에 요청되는 횟수를 의미하는 웹사이트 트래픽 측정 지표이다. 웹사이트의 인기도를 추정하고 광고 수익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히트, 방문수, 순방문자와 같은 관련 지표가 존재한다. 페이지 뷰는 웹 분석 소프트웨어를 통해 측정되며, 사용자 경험 디자인 및 마케팅 전략 수립에 활용된다. 그러나 페이지 뷰는 조작 가능성, 사용자 경험 반영 미흡, 봇 트래픽 문제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용성 - 웹 접근성
웹 접근성은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웹을 사용할 수 있도록 기술 및 디자인 원칙을 적용하는 것이며, 웹 콘텐츠, 저작 도구, 사용자 에이전트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침과 법률, 인공지능 기술 활용을 통한 접근성 개선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사용성 - 접근성
접근성은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이 정보와 서비스에 차별 없이 접근하도록 보장하는 개념으로, 윤리적 책임, 사회적 형평성, 상업적 이익, 공익적 가치 때문에 중요하며, 물리적 환경, 정보 접근, 서비스 접근 등 다양한 영역에서 보조 기술과 적응 기술을 통해 구현되지만, 완전한 확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 월드 와이드 웹 - 구글
구글은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개발한 웹 검색 엔진에서 출발하여 검색 기술 혁신을 통해 유튜브, 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기술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개인정보보호 및 독점 논란에도 직면하고 있다. - 월드 와이드 웹 - 온라인 언론
온라인 언론은 인터넷을 통해 뉴스 및 정보를 제공하며, 디지털 기술 발달과 함께 성장하여 시민 저널리즘 부상, 정보 전달 속도 혁신 등의 특징을 보이지만 정보 신뢰성 문제, 전통 언론 쇠퇴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마케팅 - 프레젠테이션
프레젠테이션은 정보를 전달하고 청중을 설득하기 위한 발표 방식으로, 대한민국에서는 표준 용어로 사용되며, 시각 자료 활용과 함께 기업,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과를 극대화하는 의사소통 방식이다. - 마케팅 - 감정노동
감정노동은 조직이나 고객의 기대에 맞춰 자신의 실제 감정과 다르게 특정 감정을 표현해야 하는 노동으로, 서비스 직종에서 주로 발생하며 정서적 소진 등의 문제를 야기하므로 개인 및 조직 차원의 관리와 사회적 인식 개선이 요구된다.
페이지 뷰 | |
---|---|
일반 정보 | |
유형 | 웹 분석 지표 |
정의 | 웹사이트의 특정 페이지가 로드된 횟수를 나타내는 지표 |
관련 용어 | 페이지 방문 세션 순 방문자 수 |
상세 내용 | |
측정 방법 | 웹 서버 로그 분석 또는 자바스크립트 기반 웹 분석 도구 사용 |
중요성 | 웹사이트 트래픽 및 사용자 참여도 측정에 사용 |
주의 사항 | 동일 사용자가 여러 번 페이지를 로드하면 페이지 뷰 수가 증가함 |
대안 지표 | 세션 지속 시간, 이탈률 등 사용자 행동을 더 정확하게 나타내는 지표 |
활용 | |
마케팅 | 마케팅 성과 측정 및 전략 개선에 활용 |
웹사이트 분석 | 인기 페이지 식별 및 콘텐츠 최적화에 활용 |
광고 | 광고 캠페인 효과 측정에 활용 |
참고 자료 | |
관련 서적 | C. Doyle, "A dictionary of marketing"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
관련 기사 | E. Carey, "Page View versus Page Visits - Atlantic Webworks Perspectives" (Atlanticwebworks) L. Bennett, "Metrics that Matter & the Death of the Page View" (Chartbeat Blog) |
2. 주요 지표
웹사이트 트래픽을 측정하는 주요 지표는 다음과 같다.
- '''페이지 뷰 (Page View)''': 웹 페이지가 서버에 요청되는 횟수로, 광고 수익과 직결된다. 광고 수익 가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일반적인 측정 기준은 CPM(로마 숫자로 1,000을 나타내는 M, 'Cost per thousand')이다. CPM은 페이지 뷰를 수천 단위로 나눈 값으로, 1,000회 조회당 광고 비용을 의미한다. CPM이 낮을수록 광고주에게 유리하다.[5] 그러나 CPM은 광고 효율성 측면에서 CPC 또는 CPA보다 신뢰도가 낮다는 우려도 있다.[6]
- '''방문수 (Visit)''': 사용자(또는 봇(Bot) 자동 프로그램)가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기록된다. 한 번의 방문은 여러 페이지 뷰와 히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한 명의 방문자는 여러 번 방문할 수 있다.
- '''순방문자 (Unique Visitor)''': 한 명의 방문자가 여러 번 방문해도 중복 없이 한 번으로 계산하는 통계 방식이다.
이러한 기록은 서버나 웹페이지에 있는 코드로 로그에 기록되며, 사용자 경험 디자인이나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2. 1. 페이지 뷰 (Page View)
페이지 뷰는 웹 페이지가 서버에 요청되는 횟수를 의미하며, 광고 수익과 직결되는 중요한 지표이다. 페이지 뷰는 오랫동안 웹사이트에서 사용자 활동을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되어 왔다.페이지 뷰는 사이트의 인기도를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광고 수익에 대한 가치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가장 일반적인 측정 기준은 CPM이다. CPM은 'Cost per thousand'(M은 1,000을 나타내는 로마 숫자)의 약자이며, 페이지 뷰를 수천 단위로 나눈 값을 측정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표이다. 즉, 광고 요금에 사용되는 1,000회 조회당 비용이며, CPM이 낮을수록 광고주에게 더 나은 거래를 제공한다.[5]
하지만, CPM 방식은 사이트를 방문하는 모든 사람이 게시자에게 수익을 가져다주지만, 광고주 입장에서 CPM은 광고 효율성 측면에서 CPC 또는 CPA에 비해 신뢰할 수 없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왜냐하면 방문 자체가 광고 클릭을 의미하지 않기 때문이다.[6]
'''히트'''(Hit)는 어느 한 파일이 어느 하나의 서버로부터 요청을 받는 것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한 페이지 뷰에는 복수의 히트 수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림 파일 2개를 가진 한 페이지라면 한 번의 방문으로 3번의 히트를 기록하게 되는 것이다.
'''방문수'''(Visit)의 기록은 어떤 사용자, 때로는 봇(Bot)이라고 불리는 자동 프로그램이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발생한다. 한 번의 방문은 여러 번의 페이지뷰와 히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한 명의 방문자는 여러 번의 방문 기록을 만들 수 있다.
'''순방문자'''(Unique Visitor)는 한 명의 방문자가 여러 번의 방문기록을 남기기 때문에 순수한 통계를 잡기 위한 개념이다. 방문자는 방문할 때 자신의 컴퓨터에 기록되는 쿠키를 남기는 것에 동의함으로써 나중에 방문할 때에 이 방문이 사람이 방문한 것임을 확인하고 기록에 남게 된다. 만약 쿠키가 남지 않는 경우 접속 IP를 기록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순수 사용자의 방문 수를 추적하고 기록하게 된다. 보통은 24시간 안에 일어난 여러 번의 방문은 하나로 처리하거나 특정 시간 간격, 예를 들어 10분 안에 여러 번의 방문을 하나로 하는 방법을 채택하여 재방문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기록들은 서버나 웹페이지에 심어 둔 코드에 의해 로그에 기록된다. 이 로그의 기록은 마케팅이나 사용자 경험 디자인 전략 수립을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된다.
2. 2. 방문수 (Visit)
사용자(때로는 봇 (Bot)이라고 불리는 자동 프로그램)가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 방문수(Visit)가 기록된다. 한 번의 방문은 여러 번의 페이지 뷰와 히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한 명의 방문자는 여러 번의 방문 기록을 만들 수 있다.2. 3. 순방문자 (Unique Visitor)
순방문자(Unique Visitor)는 한 명의 방문자가 여러 번 방문해도 중복을 제거하고 한 번으로 계산하는 통계 방식이다. 웹사이트에 실제로 몇 명이 방문했는지 더 정확하게 알 수 있게 해준다. 순방문자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방문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쿠키를 남기도록 하거나, 쿠키가 없다면 접속 IP 주소를 기록한다. 보통 24시간 이내 또는 10분 이내 등 특정 시간 간격 안에 여러 번 방문하면 한 번으로 계산한다. 이러한 기록은 서버나 웹페이지에 심어 둔 코드를 통해 로그에 남으며, 사용자 경험 디자인 전략이나 마케팅 전략을 세우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2. 4. 히트 (Hit)
'''히트'''(Hit)는 어느 한 파일이 서버로부터 요청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 페이지 뷰에는 복수의 히트 수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림 파일이 2개 있는 한 페이지라면, 한 번의 방문으로 3번의 히트를 기록하게 된다.[8][9]3. 측정 방법
페이지 뷰를 계산하는 데는 웹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방법은 모든 사이트의 페이지 수를 측정하여 웹 사이트의 페이지 뷰에 대한 대략적인 추정치를 제공한다.[7] 페이지 뷰 측정에는 오픈 소스 제품과 라이선스 제품 등 다양한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3. 1. 웹 분석 소프트웨어
페이지 뷰를 계산하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웹 분석 소프트웨어이다. 이는 모든 사이트의 페이지 뷰를 측정할 수 있어, 사람들이 웹 사이트의 페이지 뷰에 대한 대략적인 추정치를 얻는 데 도움이 된다.[7] 페이지 뷰를 측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오픈 소스 및 상용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여 여러 도구들이 있다.4. 활용 사례
페이지 뷰는 웹 트래픽 지표 중 하나로,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활용된다.
- 한국 포털 사이트: 네이트의 하루 평균 페이지 뷰는 518만 1000, 방문자 수는 1130만 6천 명이다. 네이버는 하루 평균 , 방문자 수는 1300만 명으로, 시장의 약 70%를 차지한다.[27] UCC 동영상 사이트 판도라 TV는 2007년 2월 기준 주간 , 하루 평균 , 순 방문자 수는 하루 160만 명을 기록했다.[26] 네이버 등 한국 포털 사이트들은 검색[28], 광고, 뉴스, 게임 등에서 수익을 올리며, 이 중 40% 가까이는 페이지 뷰와 직접 관련된 검색 및 광고에서 발생한다.
- 위키백과: 위키백과는 특정 기간 동안 문서 방문자 수를 확인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여, 당일 인기 문서 표시 등에 활용한다.[16] 위키백과 페이지 뷰는 주가 변동,[17] 영화 흥행,[18] 질병 확산[19][20] 등과 상관관계가 있어 데이터 마이닝에 활용된다. 검색 엔진은 위키백과 인기 검색어에 영향을 주므로, 페이지 뷰 통계는 웹 검색 내용과 사회적 관심사를 실시간으로 보여준다.[21][22] 사건 발생 후 대중의 불안감, 정보 탐색, 관심 증가 개념 식별 등에 활용 가능하다.[23][24] 2015년 인공지능 발전 협회(AAAI) 연구에서는 레딧 게시물이 위키백과 페이지 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25]
4. 1. 광고 수익 측정
페이지 뷰는 웹사이트의 인기도를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광고 수익 가치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장 일반적인 측정 기준은 CPM이다. CPM은 'Cost per thousand'(M은 로마 숫자로 1,000을 나타냄)의 약자이며, 페이지 뷰를 수천 단위로 나눈 값을 측정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표이다. 즉, 광고 요금에 사용되는 1,000회 조회당 비용이며, CPM이 낮을수록 광고주에게 더 나은 거래를 제공한다.[5]하지만 CPM 방식은 사이트를 방문하는 모든 사람이 게시자에게 수익을 가져다주지만, 광고주 입장에서 CPM은 광고 효율성 측면에서 CPC 또는 CPA에 비해 신뢰할 수 없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왜냐하면 방문 자체가 광고 클릭을 의미하지 않기 때문이다.[6]
4. 2. 한국 포털 사이트 사례
네이트는 하루 평균 5181000PV, 방문자 수는 1130만 6천 명이다. 네이버는 하루 평균 , 방문자 수는 1천3백만 명으로, 시장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27] UCC 동영상 사이트 판도라 TV는 2007년 2월 기준 주간 , 순 방문자 수는 하루 160만 명, 하루 를 기록했다.[26] 네이버 등 한국 포털 사이트들은 주로 (내부)검색[28], 광고, 뉴스, 게임에서 수익을 올리며, 이 중 40% 가까이는 페이지 뷰와 직접 관련된 검색 및 광고에서 발생한다.4. 3. 위키백과 페이지뷰
위키백과는 특정 기간 동안 위키백과 문서를 방문한 사람 수를 확인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도구는 예를 들어, 그날 가장 인기 있는 문서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16] 특정 유형의 위키백과 페이지뷰는 주가 변동,[17] 영화의 흥행 성공,[18] 질병 확산[19][20] 등 데이터 마이닝의 다른 응용 프로그램과 상관관계가 있다. 검색 엔진은 위키백과에서 인기 있는 것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이러한 통계는 사람들이 웹에서 무엇을 검색하고 사회적 관심사에 대해 보다 필터링되지 않고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21][22] 예를 들어, 사건 발생 후 또는 사건 중에 대중의 불안감과 정보 탐색에 대한 통찰력을 얻거나, 대중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는 개념을 식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23][24] 2015년에는 인공지능 발전 협회(AAAI)에서 실시한 연구를 통해 레딧 게시물이 위키백과 페이지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25]5. 비판 및 우려
페이지 뷰는 널리 사용되지만, 여러 문제점과 한계로 인해 비판받고 있다. 주요 비판점은 다음과 같다.
- 조작 가능성: 페이지 뷰는 여러 방법으로 조작될 수 있다.
- 사용자 경험 반영 미흡: 페이지 뷰는 사용자의 실제 경험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
- 반사용성 디자인 조장: 일부 웹사이트는 페이지 뷰를 늘리기 위해 사용성을 해치는 디자인을 채택하기도 한다.
- 봇 트래픽 문제: 봇에 의한 가짜 페이지 뷰가 발생할 수 있다.
5. 1. 조작 가능성
페이지 뷰는 특정 목적을 위해 조작되거나 늘어날 수 있다.[12] 예를 들어, 최근 발생한 '페이지 뷰 사기' 사건은 페이지 뷰를 부풀려 페이지 뷰 측정의 정확성을 훼손했다. 범인들은 봇이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관심, 인지도, 피드백을 얻기 위해 가짜 페이지 뷰를 구매하여 사이트의 가치를 높였다.[13]5. 2. 사용자 경험 반영 미흡
페이지 뷰는 웹 사용자 대중의 선호와 실제 노출, 그리고 긍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측정하는 데 올바르지 못하다는 비판이 있다. 특히 웹 2.0 시대에 페이지 뷰는 한 페이지 전체에 대한 측정만 함으로써 위젯 엔진과 같이 마우스 클릭에 의하지 않는 새로운 웹 형태에는 더 이상 맞지 않는다. 또한 일부 웹사이트에서 사용자를 원하는 페이지에 도달하는 단계를 의도적으로 조절하여 페이지 뷰를 늘리고, 이를 통해 수익을 늘리는 반사용성 디자인을 조장한다는 비판도 있다. 더불어, 최근 사용자 그룹들이 특정 검색어를 부각시키기 위해 협동하여 검색어 순위에 영향을 미치려는 시도에서 페이지 뷰가 실제 정상적인 사용자에 의한 것이 아닐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유효성이 우려되고 있다.5. 3. 반사용성 디자인 조장
일부 웹사이트에서 페이지 뷰를 늘리기 위해 의도적으로 사용자 이동 경로를 복잡하게 만드는 반사용성 디자인을 조장한다는 비판이 있다.5. 4. 봇 (Bot) 트래픽 문제
페이지 뷰는 특정 목적을 위해 조작되거나 늘어날 수 있다.[12] 예를 들어, 최근 발생한 '페이지 뷰 사기' 사건은 페이지 뷰를 부풀려 페이지 뷰 측정의 정확성을 훼손했다. 범인들은 '봇'이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관심, 인지도, 피드백을 얻기 위해 가짜 페이지 뷰를 구매하여 사이트의 가치를 높였다.[13]가짜 페이지 뷰는 사람이 아닌 봇을 반영할 수 있다.[15]
6. 관련 용어
페이지 뷰와 관련된 용어는 다음과 같다.
- '''CPC''': 광고 클릭 1회당 발생하는 비용이다. CPM 방식은 사이트 방문자가 게시자에게 수익을 가져다주지만, 광고주 입장에서는 방문 자체가 광고 클릭을 의미하지 않기 때문에 CPM이 CPC에 비해 광고 효율성 측면에서 신뢰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있다.[6]
- '''CPA''': 특정 행동(구매, 회원 가입 등) 1회당 지불하는 비용으로, 광고 효과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 '''히트율''': 웹 캐싱 시스템이 캐시 저장소에서 성공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요청의 비율이다. 수신하는 요청 수와 비교하여 측정한다.[8][9] 히트율에는 캐시 히트율과 바이트 히트율 두 가지 유형이 있다.[10]
- 캐시 히트율: 요청 수를 나타낸다.[10]
- 바이트 히트율: 웹 브라우저의 캐싱 시스템이 절약한 대역폭의 양을 나타낸다.[10][11]
6. 1. 클릭당 비용 (CPC)
CPM 방식은 사이트를 방문하는 모든 사람이 게시자에게 수익을 가져다주지만, 광고주 입장에서는 CPM이 CPC에 비해 광고 효율성 측면에서 신뢰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왜냐하면 방문 자체가 광고 클릭을 의미하지 않기 때문이다.[6]6. 2. 행동당 비용 (CPA)
CPM 방식은 사이트 방문자가 게시자에게 수익을 가져다주지만, 광고주 입장에서는 CPM이 CPC보다 광고 효율성 측면에서 신뢰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있다. 왜냐하면 방문 자체가 광고 클릭을 의미하지 않기 때문이다.[6] CPA는 특정 행동(구매, 회원 가입 등) 1회당 지불하는 비용을 의미하며, 광고 효과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6. 3. 히트율 (Hit Ratio)
웹 캐싱 시스템이 캐시 저장소에서 성공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 요청의 비율이다. 수신하는 요청 수와 비교하여 측정한다.[8][9]히트율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 캐시 히트율: 요청 수를 나타낸다.[10]
- 바이트 히트율: 웹 브라우저의 캐싱 시스템이 절약한 대역폭의 양을 나타낸다.[10][11]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marketing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Page View versus Page Visits - Atlantic Webworks Perspectives
https://www.atlantic[...]
2014-10-28
[3]
웹사이트
Metrics that Matter & the Death of the Page View
https://blog.chartbe[...]
2012-01-10
[4]
웹사이트
What does CPM stand for?
https://chrisheisel.[...]
2008-11-30
[5]
웹사이트
How Much Should I Charge for my Advertising Space? : @ProBlogger
https://www.problogg[...]
2008-03-27
[6]
웹사이트
CPM vs CPC vs CPA: How to Sell Display Ads
https://monetizepros[...]
[7]
웹사이트
Measure the Number of Page Views on any Site
https://web.archive.[...]
[8]
웹사이트
What is Cache Hit Ratio?
https://www.stackpat[...]
2021-05-24
[9]
웹사이트
Hit and Miss Ratios, and how to calculate them
https://wp-rocket.me[...]
2022-02-01
[10]
서적
Web Caching
https://books.google[...]
O'Reilly Media, Inc.
2001-06
[11]
웹사이트
Hit Ratios - Web Caching [Book]
https://www.oreilly.[...]
2001-07
[12]
웹사이트
What is Media Manipulation?—A Definition and Explanation
https://www.forbes.c[...]
[13]
웹사이트
The Pageview Fraud, PLEASE READ! by Lilyas on deviantART
https://lilyas.devia[...]
[14]
웹사이트
The Pageview is Passé: New Metrics Emerge to Measure Audiences
https://ajr.org/2014[...]
2014-03-18
[15]
웹사이트
No more fake page views from machines! Google Analytics introduces "bot-filtering"
https://www.dmnews.c[...]
2014-07-31
[16]
웹사이트
Making our pageview data easily accessible – Wikimedia Blog
https://blog.wikimed[...]
2015-12-14
[17]
논문
Quantifying Wikipedia Usage Patterns Before Stock Market Moves
2013-05-08
[18]
논문
Early Prediction of Movie Box Office Success Based on Wikipedia Activity Big Data
2013-08-21
[19]
논문
Seeking Health Information Online: Does Wikipedia Matter?
2009-07-01
[20]
논문
Wikipedia Usage Estimates Prevalence of Influenza-Like Illness in the United States in Near Real-Time
2014-04-17
[21]
논문
What is popular on Wikipedia and why?
https://firstmonday.[...]
2007-04-02
[22]
논문
The Gene Wiki: community intelligence applied to human gene annotation
2010-01-01
[23]
논문
Public Anxiety and Information Seeking Following the H1N1 Outbreak: Blogs, Newspaper Articles, and Wikipedia Visits
2012-02-01
[24]
서적
Proceedings of the 19th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2010-01-01
[25]
논문
Determining the influence of reddit posts on wikipedia pageviews, AAAI Workshop - Technical Report, 2015, WS-15-19 pp. 75 - 82
https://web.archive.[...]
[26]
웹인용
UCC와 함께 즐거운 연휴를
http://www.pbj.co.kr[...]
2007-02-19
[27]
뉴스
네이버는 ‘검색 제국’
http://www.mediatoda[...]
[2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