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아풀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아풀족은 엽록체 게놈 분석에 따라 두 개의 분류군으로 나뉘며, 형태학적 특징에 따라 포아풀아족과 귀리풀아족으로 구분되었으나 계통 분석 결과 서로 섞여 있음이 밝혀졌다. 현재 포아풀아족은 이전의 귀리풀아족을 포함하며, 엽록체 게놈을 기반으로 두 개의 계통을 확인했다. 이 부족 내에서 그물 진화가 반복적으로 일어났다.
엽록체 게놈 분석 결과에 따르면, 포아풀족은 크게 두 개의 분류군으로 나뉜다. 과거 형태학적 특징에 따라 포아풀아족(Poeae)과 귀리풀아족(Aveneae)으로 구분되었으나, 계통 분석 결과 이들이 서로 섞여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포아풀아족은 이전의 귀리풀아족을 포함한다. 이 부족 내에서는 그물 진화가 반복적으로 일어났다.[1]
2. 하위 분류
2. 1. 엽록체 그룹 1
Chloroplast group 1영어은 벼과에 속하는 식물들의 엽록체 DNA를 기반으로 분류된 그룹 중 하나이다. 이 그룹에 속하는 식물들은 다음과 같다.[4][5][6][7][8][9][10]
| 아족 | 속 |
|---|---|
| 갈풀아족 | 갈풀속 |
| 겨이삭아족 | 겨이삭속 |
| 산새풀속 | |
| 쇠돌피속 | |
| × Agropogon | |
| Ancistragrostis | |
| Dichelachne | |
| Echinopogon | |
| Gastridium | |
| Hypseochloa | |
| Lachnagrostis | |
| Limnodea | |
| 귀리아족 | 개나래새속 |
| 귀리속 | |
| 도랭이피속 | |
| 잠자리피속 | |
| Avellinia | |
| Gaudinia | |
| Graphephorum | |
| Helictotrichon | |
| Lagurus | |
| Parafestuca | |
| Peyritschia | |
| Rostraria | |
| Sphenopholis | |
| Tricholemma | |
| 방울새풀아족 | 방울새풀속 |
| Airopsis | |
| 좀미꾸리광이아족 | 좀미꾸리광이속 |
| Amphibromus | |
| 칼로테카아족 | Chascolytrum |
| Relchela | |
| 향기풀아족 | 향기풀속 |
2. 2. 엽록체 그룹 2
다음은 엽록체 그룹 2에 속하는 하위 분류군이다.[11][12][13][14][15][16][17][18][19][20][21][22][23]| 아족 | 속 |
|---|---|
| 나도겨이삭아족(Miliinae) | |
| 빗살새아족(Cynosurinae) | |
| 뿔이삭풀아족(Parapholiinae) | |
| 산조아재비아족(Phleinae) | |
| 세슬레리아아족(Sesleriinae) | |
| 스콜로클로아아족(Scolochloinae) | |
| 암모클로아아족(Ammochloinae) | |
| 오리새아족(Dactylidinae) | |
| 은털새아족(Airinae) | |
| 쥐보리아족(Loliinae) | |
| 콜레안투스아족(Coleanthinae) | |
| 포아풀아족(Poinae) | |
| 좀새풀아족(Aristaveninae) | |
| 흰털새아족(Holcinae) | |
| 분류 불확실 |
다음은 포아풀아과의 계통 분류이다.[24]
[1]
논문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II: An update and a comparison of two 2015 classifications
3. 계통 분류
{| class="wikitable"
|-
| 포아풀아과
|-
|
{| class="wikitable"
|-
| 담상이삭풀족
|-
|
{| class="wikitable"
|-
! 나르두스상족
|-
|
|-
|
{| class="wikitable"
|-
| 산기장족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용수염족
|-
! 핵심 포아풀아과
|-
|
{| class="wikitable"
|-
| 숲개보리족
|-
|
{| class="wikitable"
|-
| 포아풀족
|-
! 보리상족
|-
|
{| class="wikitable"
|-
| 리틀레달레아족
|-
|
|}
|}
|}
|}
|}
|}
|}
|}
|}
|}
포아풀족은 형태학적 특징에 따라 포아풀아족(Poeae)과 귀리풀아족(Aveneae)으로 구분되었으나, 계통 분석 결과 이들이 서로 섞여 있음이 밝혀졌다. 현재 포아풀아족은 이전의 귀리풀아족을 포함한다. 계통 분석은 엽록체 게놈을 기반으로 두 개의 계통을 확인했다. 속은 25개의 아족으로 분류된다.[1]
이 부족 내에서 그물 진화가 반복적으로 일어났다.[1]
참조
[2]
서적
A Voyage to Terra Australis
[3]
논문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4]
서적
Floram Scanicam
[5]
서적
Floram Scanicam
[6]
서적
Reliquiae Haenkeanae
[7]
간행물
Botanicheskii Zhurnal (Moscow & Leningrad)
[8]
간행물
Contributions from the United States National Herbarium
[9]
간행물
Journal of Systematics and Evolution
[10]
서적
A Manual of the Botany of the Northern United States. Second Edition
[11]
서적
Analyse des Familles des Plantes
[12]
서적
Floram Scanicam
[13]
간행물
Dominguezia
[14]
간행물
Bulletin de la Société Royale de Botanique de Belgique
[15]
서적
Flora Palermitana
[16]
간행물
Komarovskie Čtenija (Moscow & Leningrad)
[17]
서적
Zlaki SSSR
[18]
서적
Flora Capensis
[19]
서적
Floram Scanicam
[20]
서적
Analyse des Familles des Plantes
[21]
서적
Flore de France
[22]
서적
Analyse des Familles des Plantes
[23]
간행물
Bulletin de la Société Royale de Botanique de Belgique
[24]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