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이니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이니케는 고대 에피루스에 존재했던 도시로, 카오니아의 정치적 중심지였다. 기원전 5세기 후반부터 공공 건물들이 건설되었으며, 기원전 3세기에 도시가 확장되었다. 일리리아의 침략, 마케도니아와의 전쟁 등 격동의 역사를 거치며 에피로테 동맹의 중심지가 되기도 했다. 로마 시대에는 로마의 지배를 받았으며, 비잔틴 제국 시대에는 요새가 건설되고 주교 관할구로 지정되었으나, 6세기 이후 쇠퇴했다. 1924년부터 발굴이 시작되어 극장, 묘지 등 다양한 유적이 발견되었으며, 2012년에는 유적 약탈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바니아의 로마 유적 - 두러스
    알바니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아드리아 해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인 두러스는 역사적으로 지정학적 요충지에 위치하여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받았으며, 현재는 알바니아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관광지로 기능한다.
  • 알바니아의 로마 유적 - 부트린트
    부트린트는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고대 그리스, 로마 제국 시대에 번성하다가 지진과 제국들의 지배를 거쳐 쇠퇴하였지만, 199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알바니아 남부의 고대 도시이다.
포이니케
기본 정보
위치피니크, 블로러 현, 알바니아
지역카오니아
유형정착지
건설기원전 5세기 후반
건축가카오니아인
문화그리스, 고대 로마, 비잔티움 제국
관련 사건포이니케 조약
역사
건설 시기기원전 5세기 후반
기타 정보
좌표39°54′48″N 20°03′28″E
기원전 2세기 상점
기원전 2세기 상점

2. 지명

토포님(지명)은 궁극적으로 인도유럽어족 기원이 아니며,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 -īk 접미사를 가진 모든 이름과 마찬가지이다. 고대 그리스 세계에는 에피루스에서 리키아에 이르기까지 ''포이니크-''를 어근으로 하는 토포님이 최소 16개 있었다. 고대 그리스어에서 φοῖνιξ|포이니크스grc는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질 수 있는데, 특정 강과 산의 지리적 특징을 지칭할 수 있는 "진홍색" 또는 "갈색"이 포함된다. 이름으로서, 포이니크스는 남부 아나톨리아 해안선을 통해 에게해에 진입한 집단을 지칭했을 수 있다.[6]

3. 역사

포이니케는 고대 에피루스 지역에 존재했던 주요 도시 중 하나로, 카오니아 부족의 정치적 중심지였다. 기원전 5세기 후반부터 아크로폴리스에 여러 공공 건물들이 세워졌고, 기원전 3세기 말에는 피로스 왕에 의해 도시 성벽이 확장되었다.

기원전 233년 데이데미아 2세 여왕이 암살된 후, 포이니케는 에피로테 동맹의 중심지가 되었다. 기원전 231년에는 일리리아 군대에 점령되었고, 이 과정에서 로마 상인들이 살해되면서 제1차 일리리아 전쟁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기원전 205년 포이니케 조약이 체결되어 제1차 마케도니아 전쟁이 종식되었다.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 동안 에피루스는 마케도니아와 로마 공화국 편으로 분열되었는데, 포이니케는 로마 편에 섰다.

로마 정복 이후 포이니케는 로마의 지배를 받았으며, 로마인들은 도시를 개조하고 새로운 건물들을 건설했다. 초기 비잔틴 제국 시대에는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가 포이니케 인근에 요새를 건설했다. 5세기와 6세기 동안 포이니케는 주교 관할구로 지정되었고 여러 종교 건물이 건설되었지만, 6세기 이후 도시의 기능은 쇠퇴하고 인근 메소포타미온으로 중심지가 이동했다.

포이니케 극장


포이니케 도시 성벽


두 개의 주랑이 있는 집

3. 1. 고대

이 도시는 고대 에피루스에 존재했던 세 개의 주요 그리스 부족 중 하나인 카오니아의 정치적 중심지였다.[1] 도시의 수호신은 아마도 아테나 폴리아스였을 것이다.[2]

기원전 5세기 후반부터 아크로폴리스에 여러 공공 건물들이 세워졌고, 그 다음 세기 말에는 피로스가 통일된 에피루스의 지도자로서 방어 전략의 일환으로 도시 성벽을 확장했다.[7] 포이니케 성벽의 초기 단계는 두께가 최대 3.6m에 달하는 거대한 블록으로 구성되었으며, 카오니아인들은 코르키라나 일리리아 약탈자로부터 도시를 방어하는 데 주된 관심을 쏟았다.[8] 기원전 3세기에 도시 지역은 언덕의 중앙과 서쪽으로 확장되었다.

기원전 233년경, 데이데미아 2세 여왕, 즉 아이아키다이 통치 왕조의 마지막 구성원이 암살당하면서 에피루스에서 군주제가 폐지되었고, 이 도시는 에피로테 동맹 연방 정부의 중심지가 되었다.[9] 기원전 231년, 일리리아 군대가 펠로폰네소스에서 약탈을 마치고 북쪽으로 돌아오는 길에 800명의 골 용병 수비대가 항복하면서 포이니케를 점령했다.[4] 에피로테 동맹은 도시를 구원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지만 포이니케 전투에서 패배했다. 일리리아인들은 내부 반란에 대처하기 위해 군대를 철수해야 했다.[4][11][12] 이에 휴전이 이루어졌고, 포이니케와 일리리아인에게 잡혀 있던 자유 출신 포로들은 몸값을 받고 에피로테인들에게 반환되었다.[4][10] 일리리아인들은 포이니케 점령 기간 동안 도시에서 여러 로마 상인을 살해했고,[11][12] 이는 결국 제1차 일리리아 전쟁으로 이어졌다.[4]

기원전 205년에는 마케도니아 왕국과 로마 공화국 사이에 평화 조약이 체결되어 제1차 마케도니아 전쟁이 종식되었다.[13]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 (기원전 171년~기원전 168년) 동안 에피루스는 두 개의 국가로 분열되었고, 몰로시안은 마케도니아 편을 들었고, 카오니아와 테스프로티안은 로마 편을 들었다. 후자는 카롭스의 지도 아래 포이니케에 집중되었다.[14]

로마 정복(기원전 167년) 이후, 에피루스 지역은 황폐해졌지만, 카오니아의 친로마 도시는 예외였는데, 포이니케를 포함하여 처음에는 로마 점령이 제한적이었다.[15] 로마인들은 나중에 도시를 개조했고,[16] 그 건물 중에는 서기 2세기의 거대한 저수조가 있다.[17]

로마 시대 저수조


포이니케의 아프로디테 (부트린트 박물관)

3. 2. 중세

초기 비잔틴 제국 시대,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재위 527–565)는 포이니케 인근 언덕에 요새를 건설했다.[18] 5세기와 6세기 동안, 이 도시는 주교 관할구로 지정되었으며[19] 세례당바실리카를 포함한 여러 종교 건물을 보유했는데,[20] 이는 니코폴리스의 대규모 바실리카 건축 양식의 영향을 받았다.[21] 포이니케는 에피루스 베투스의 주요 정착지 중 하나였으며, 니코폴리스, 도도나, 유로이아, 안드리안노우폴리스, 안히아스모스, 부스로톤, 포티케, 코르푸, 이타카와 함께 언급되었다.[22] 그러나 이 도시는 6세기 이후 사라졌고, 이 지역의 도시 중심지는 인근 메소포타미온으로 옮겨갔다.[23]

4. 유적

3세기 중반, 루이지 M. 우골리니가 ''thesauròs''(보물창고)라고 부른 신전 등 공공 건물이 세워졌다.[24]

폭 30m의 ''scenae frons''(무대 정면)을 갖춘 대형 극장이 있었다. 이 극장은 기원전 3세기에 건설되었고, 기원전 2세기에 개축되었다. 로마 시대에는 서기 2세기에 재건되었다.

5. 발굴

1924년, 이탈리아 고고학 탐사대가 무솔리니의 아드리아해 동부로의 국가주의적 야망을 위한 정치적 도구로서 이 지역에서 본격적인 발굴을 시작했다.[25] 파시스트 선사학자[26] 루이지 우골리니가 이끄는 이탈리아 탐사대는 발견될 선사 시대 무덤이 알바니아 민족주의 정서를 이용하기 위해 일리리아인에게 귀속될 수 있기를 희망했지만, 발견물 자체는 거의 놀랍지 않았다.[27] 우골리니는 또한 거기에서 발견된 자료가 남부 이탈리아의 철기 시대 문화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 우골리니의 주장은 이후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전체주의 정권에 의해 정치적으로 이용되었다.[28] 1924년부터 1928년까지 프랑스와 이탈리아 고고학자들은 포이니케에서 몇 점의 유물을 발견했다.

1928년 이후 발굴은 인근 고고학 유적지인 칼리보와 추카 에 아이토이트(또는 이글 산)로 옮겨져 1943년까지 계속되었다. 전쟁 후, 1958년 알바니아-소련 공동 고고학 팀에 의해 발굴이 재개되었으며, 여기에는 철저한 지형 조사와 매핑이 포함되었다. 1961년 알바니아와 소련 사이에 정치적 균열이 발생한 후 발굴은 알바니아 당국의 지휘하에 계속되었다. 알바니아 고고학자 바체와 부샤티는 1989년에 헬레니즘 시대 주거지, 로마 시대 주택, 기원전 4세기부터 서기 4세기까지의 다른 발견물을 보고하면서 연구의 일부를 출판했다. 이들은 이 전체 복합 단지가 도시를 방문하는 사람들을 위한 프뤼타네이온으로 구성되어 주요 앙스탱테 밖에 있다고 제안했다. 또한 알바니아 고고학자들은 이러한 주택과 중세 알바니아 주택의 유사점을 보고함으로써 일리리아-알바니아 연속성의 국가주의적 패러다임을 강화할 기회를 찾았다. 그들은 또한 이 시기 알바니아 국가가 추진한 공산주의 "자립" 철학에 따라 발굴된 주거지에서 "평등주의적" 성격을 발견했다.[29] 그러나 이러한 발굴에 대한 완전한 보고서는 아직 출판되지 않았다.

1980년과 1981년 사이, 그리고 1989년과 1991년 사이에 두 단계에 걸쳐 중요한 발굴이 이루어졌다.[30] 첫 번째 기회에 극장이 발견되었고,[31] 동시에 남부 묘지에서 기원전 4세기 말경으로 추정되는 풍부한 부장품을 가진 헬레니즘 시대의 다른 무덤들이 발견되면서 연구가 계속되었다. 이 발굴에는 남서부 지역의 성벽 구역과 무엇보다도 고원 중앙 지역도 포함되었다. 1989-1991년의 발굴은 티라나의 알바니아 고고학 연구소에서 더 잘 문서화되었으며 "두 개의 주랑 현관의 집"을 포함했다. 2000년부터 발굴이 재개되었다.[32]

5. 1. 2012년 약탈 사건

2012년 6월, 약탈자들이 헬레니즘 시대 유적인 포이니케와 그 배후지를 연결하는 도로에 위치한 묘를 침입했다. 약탈자들은 산비탈을 따라 깊이 몇 미터에 달하는 참호를 파기 위해 중장비를 사용했고, 이 과정에서 묘의 돌들을 흩뜨린 것으로 알려졌다.[33]

참조

[1] 서적
[2] 서적
[3] 문서 Polybius Histories
[4] 서적
[5] 서적
[6] 논문 Kadmos and Europa, and the Phoenicians https://www.robertbe[...] 2004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웹사이트 Phoenice https://www.livius.o[...]
[17] 간행물 Phoinike VII, Nuova edizione del rapporto preliminare sulle campagne di scavi e ricerche 2015–2022 2023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문서 Scavi e ricerche a Phoinike : da Luigi M. Ugolini agli anni novanta del novecento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문서 Scavi e ricerche a Phoinike: da Luigi M. Ugolini agli anni novanta del novecento
[31] 문서
[32] 문서 Phoinike V. Rapporto preliminare sulle campagne di scavi e ricerche 2007–2010 – 22 ottobre 2011 2011-10-22
[33] 웹사이트 Treasure Hunters Rob Albania in Broad Daylight http://www.balkanins[...] Balkan Investigative Reporting Network (BIRN) 2012-06-04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37]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