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폴커 브라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커 브라운은 독일의 작가로, 1939년 드레스덴에서 태어났다. 그는 동독 시절 사회주의 국가의 모순과 개인의 삶을 주제로 작품 활동을 시작하여, 동독 정부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프라하의 봄 사건 이후 사회주의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드러냈으며, 동독 작가 연맹을 떠나 작품 활동을 지속했다. 통일 후에는 독일 문학계에서 여러 상을 수상했으며, 베를린 예술 아카데미 문학부 이사로 활동했다. 브라운의 작품은 개인의 자유와 권리, 국가와 사회의 관계를 탐구하며,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독의 시인 - 베르톨트 브레히트
    베르톨트 브레히트는 20세기 독일의 극작가이자 시인으로, 서사극 이론을 정립하고 소외 효과를 통해 관객의 비판적 시각을 유도했으며, 나치의 집권으로 망명 생활을 거쳐 동독에서 베를리너 앙상블을 설립했다.
  • 동독의 시인 - 요하네스 R. 베허
    요하네스 R. 베허는 독일의 시인이자 소설가, 극작가, 정치인으로, 표현주의 문학 운동에 참여하고 독일 공산당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으며, 동독 문화부 장관을 역임하며 동독 문화 형성에 기여했고, 동독 국가 "폐허에서 부활"의 가사를 썼다.
  • 동독의 작가 - 하이너 뮐러
    하이너 뮐러는 동독의 극작가이자 연출가로서, 사회주의적 이상을 반영한 초기 작품 활동 후 동독 정부와의 갈등 속에서 비판적 시각을 드러내며 《햄릿 머신》 등 실험적인 희곡으로 국제적 명성을 얻었고 통일 후에는 베를리너 앙상블 극장 감독을 역임했으며 역사, 정치, 철학에 대한 성찰과 사회 비판적 시각을 담은 작품을 남겼다.
  • 동독의 작가 - 오토 브라운 (1900년)
    오토 브라운(1900년)은 독일 공산주의자로, 1930년대 중국 공산당의 군사 고문으로 활동했으며, 중국 공산당의 대장정에 참여하고 마오쩌둥과의 갈등으로 군 지휘에서 물러난 후 소련과 동독에서 저술 활동을 했다.
  •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당원 - 한스 모드로
    한스 모드로는 1928년 폴란드에서 태어나 동독 공산당에서 정치 경력을 시작하여 동독 총리를 역임하고 독일 재통일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독일 연방의회 및 유럽 의회 의원을 거쳐 2023년 사망한 독일의 정치인이다.
  •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당원 - 호르스트 진더만
    호르스트 진더만은 동독의 정치인으로, 독일 사회주의통일당의 주요 지도자였으며, 동독 총리를 역임했고, 1989년 민주화 혁명으로 모든 직에서 물러난 후 1990년에 사망했다.
폴커 브라운

2. 생애

폴커 브라운은 작품 활동 초기부터 사회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그는 주로 역사 속에서 '개인과 사회', '주인공의 일상 속 사회적 모순'을 주제로 삼았으며, 주인공의 좌절을 통해 이를 극명하게 드러냈다. 그의 시대극은 사회 구성원의 성장을 저해하는 현실적인 문제들을 보여주며, 다양한 등장인물을 통해 여러 모순을 나타낸다. 브라운은 이러한 모순의 해결책을 제시하는 대신, 복잡한 토론의 기반이 되는 '열린 결말'을 통해 관객 스스로 문제의 원인과 해결 가능성을 고민하도록 유도한다.

브라운은 브레히트처럼 서독에서도 많은 관심과 인정을 받았다. 통일 이전 서독에서 브레멘 문학상(1986)을 수상했고, 통일 이후에는 실러 기념상(1992), 게오르크 뷔히너상(2000) 등 독일의 권위 있는 문학상들을 수상했다. 영국 웨일스 대학교 초빙 연구 활동(1994),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1996) 및 카셀 대학교(1999~2000) 강의 등 국제적인 활동도 펼쳤다.

그의 작품으로는 시, 희곡, 소설, 단편 소설 등이 있으며, 현재 베를린에 거주하고 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폴커 브라운은 1939년 5월 작센 주 드레스덴에서 태어났다. 1957년 아비투어(대학 입학 자격 시험)를 치렀으나, 당으로부터 대학 입학 허가를 받지 못했다. 1960년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입학 허가를 받기 전까지 인쇄업, 복합기업체(Kombinat) 지하 공사장, 광산 기술자로 일했다.[1]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하며 사회주의 국가의 모순과 희망에 대해 고찰했다. 1960년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SED)에 입당했지만, 동독 정부에 비판적인 인물로 여겨져 그의 산문과 시는 종종 전술적 기술을 발휘해야 출판될 수 있었다.[1]

2. 2. 동독 시절의 활동

아비투어를 마친 후, 폴커 브라운은 잠시 건설 현장에서 일하다가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다. 그는 그곳에서 사회주의 국가의 모순과 희망에 대해 고찰했다. 1960년 SED에 입당했으나, 동독 정부에 비판적인 인물로 여겨져 자신의 산문과 시를 출판하기 위해 전술적 기술을 발휘해야 했다.[1]

처음 그의 글은 사회주의 건설에 대한 비판적인 열정을 반영했다. 1965년부터 1967년까지 브라운은 헬레네 바이겔의 초청으로 베를리너 앙상블의 예술 감독으로 일했다. 프라하의 봄 사건 이후, 그는 사회주의 하에서의 삶과 개혁 가능성에 대해 점점 더 비판적인 입장을 갖게 되었다. 그 후, 그는 슈타지의 더 강도 높은 감시를 받게 되었다. 1972년 브라운은 도이체스 테아터 베를린(Deutsches Theater Berlin, 독일 극장 베를린)에서 일을 시작했다. 1976년 그는 볼프 비어만 추방에 항의하는 청원에 서명한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1] 1979년부터 그는 다시 베를리너 앙상블에서 활동했다. 1981년 동독 레싱상을, 1988년 동독 국가상을 수상했다.

1982년 브라운은 동독 작가 연맹을 떠났다. 당시 그의 작품들은 동독에서의 점점 더 우울해지는 삶을 묘사했다. 그의 희곡 속 배우들은 움직일 수 없는 배경 속에서 체념한 채 움직였다. 그의 '힌체-쿤체-로만'(Hinze-Kunze-Roman)은 드니 디드로의 ''자크와 그의 주인''을 바탕으로 한 작품으로, 1985년에 출판 승인을 받았다. 출판되자마자 영향력 있는 비평가 안날리제 뢰플러는 이 작품을 "부조리"하고 "무정부주의적"이라고 평했다.[2] 당시 문화부 차관이었던 클라우스 횝케는 출판 허가를 내준 책임을 물어 징계를 받았다.[3]

1988년 브라운은 동독 국가상을 수상했다. 1989년의 "평화 혁명" 동안 그는 동독을 위한 독립적인 "제3의 길"을 지지했다. 그는 "우리의 조국을 위하여"(Fuer unser Land)라는 호소문에 처음으로 서명한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4]

2. 3. 통일 이후의 활동

폴커 브라운은 통일 이후 여러 문학상을 수상하고 대학에서 강의하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1986년 브레멘 문학상을 시작으로, 1992년 실러 기념상, 2000년 게오르크 뷔히너상 등 권위 있는 상들을 수상했다. 빌라 마시모 장학금을 받았으며, 1994년에는 웨일스 대학교 객원 교수로 초빙되었다.[1]

1996년 독일 비평가상을 수상하고 독일 언어 및 문학 아카데미와 작센 예술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으며,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시인 강사 직을 맡았다. 1998년 에르빈 슈트리트마터상,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카셀 대학교에서 그림 형제 교수로 재직했다. 2006년에는 베를린 예술 아카데미 문학부 이사로 선출되었고, 2008년에는 단편 소설 "Das Mittagsmahl"(점심)로 ver.di-문학상을 수상했다.[1]

그는 동독 붕괴의 이유를 분석하는 데 비판적으로 참여했으며, 볼프강 프리츠 하우크가 편집한 서구 마르크스주의 저널 "다스 아르구멘트"에 기고하기도 했다.

2. 4. 수상 경력

연도상 이름비고
1981년동독 레싱상[1]
1986년브레멘 문학상
1988년동독 국가상[4]
1992년실러 기념상
1996년독일 비평가상
1998년에르빈 슈트리트마터상
2000년게오르크 뷔히너상
2008년ver.di-문학상2007년 수상


3. 작품 세계

폴커 브라운은 시, 희곡, 소설, 에세이, 기록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통해 사회주의 동독과 통일 이후 독일 사회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성찰했다.

초기에는 시와 희곡을 주로 썼다. 시집 《Provokation für mich》(나에 대한 도발, 1965), ''Vorläufiges''(임시적인, 1966) 등은 사회주의 체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드러냈고, 희곡 ''Die Kipper''(쓰레기 수거자들, 1965, 1972)는 동독 사회의 모순을 풍자했다.

1970년대 이후에는 소설과 에세이 등 다양한 장르로 작품 활동을 넓혔다. 소설 ''Hinze-Kunze-Roman''(힌제-쿤제 소설, 1985)은 동독 사회의 경직성을 비판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통일 이후에는 ''Der Wendehals''(변절자, 1995), ''Das unbesetzte Gebiet''(점령되지 않은 지역, 2004) 등의 작품을 통해 통일 이후 독일 사회의 혼란과 갈등을 예리하게 묘사했다.

3. 1. 주요 작품

연도제목장르출판사비고
1965Die Kipper (쓰레기 수거자들)희곡
1965Provokation für mich (나에 대한 도발)Mitteldeutscher Verlag
1966Vorläufiges (임시적인)Suhrkamp Verlag
1967Kriegs Erklärung (전쟁 선언)Mitteldeutscher Verlag
1970Lenins Tod (레닌의 죽음)희곡
1970Wir und nicht sie (우리 그리고 그들이 아닌 그들)Mitteldeutscher Verlag
1972Die Kipper (쓰레기 수거자들)희곡Aufbau Verlag
1972Das ungezwungene Leben KastsAufbau Verlag, Suhrkamp Verlag
1972Gedichte (시)
1974Gegen die symmetrische Welt (대칭적인 세상에 반하여)Mitteldeutscher Verlag
1975Es genügt nicht die einfache Wahrheit (단순한 진실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기록Reclam Leipzig
1976Training des aufrechten Gangs (올바르게 걷기 훈련)Mitteldeutscher Verlag
1977Unvollendete Geschichte (미완의 역사)
1977Poesiealbum 115: Volker BraunVerlag Neues Leben
1979Großer Frieden (위대한 평화)혁명극초연
1983StückeHenschelverlag
1984Guevara oder der SonnenstaatBüchergilde Gutenberg
1985Hinze-Kunze-Roman (힌제-쿤제 소설)소설Mitteldeutscher Verlag
1987Die ÜbergangsgesellschaftHenschelverlag
1987Langsam knirschender Morgen (천천히 삐걱거리는 아침)Suhrkamp Verlag, Mitteldeutscher Verlag
1988Verheerende Folgen mangelnden Anscheins innerbetrieblicher Demokratie. Schriften (내부적 민주주의의 부재가 초래하는 파괴적인 결과. 저술)저작Reclam, Suhrkamp Verlag
1990Bodenloser SatzSuhrkamp Verlag
1992Iphigenie in FreiheitSuhrkamp Verlag
1995Der Wendehals (변절자)Suhrkamp Verlag
1995Das Nichtgelebte단편Faber & Faber
1996Lustgarten, Preußen (프로이센의 쾌락 정원)선집 시Suhrkamp Verlag
1996Die vier Werkzeugmacher (네 명의 연장 제작자)우화Suhrkamp Verlag
1998Wir befinden uns soweit wohl. Wir sind erst einmal am Ende (지금까지는 괜찮다. 우리는 거의 마지막에 와 있다)발언Suhrkamp Verlag
1999Tumulus (고분)Suhrkamp Verlag
2000Trotzdestonichts oder Der WendehalsSuhrkamp Verlag
2000Das Wirklichgewollte (진정으로 원하는 것)Suhrkamp Verlag
2000Die Verhältnisse zerbrechen (관계의 파탄)게오르크 뷔히너 상 수여 기념 연설, Suhrkamp Verlag
2004Das unbesetzte Gebiet (점령되지 않은 지역)역사 소설Suhrkamp Verlag
2004Der berüchtigte Christian Sporn. Der andere Woyzeck (악명 높은 크리스티안 슈포른. 또 다른 보이체크)두 개의 단편, Insel Verlag, Insel-Bücherei 1289
2005Auf die schönen Possen (아름다운 소극에 대하여)Suhrkamp Verlag
2007Das Mittagsmahl (점심)단편Insel Verlag
2008Machwerk oder Das Schichtbuch des Flick von Lauchhammer (졸작 또는 라우흐함머의 플릭의 교대 근무 기록부)한 악동극, Suhrkamp Verlag
2009Werktage I. Arbeitsbuch 1977-1989 (작업일 I. 작업 노트 1977-1989)Suhrkamp Verlag
2010Kassensturz – Volker Braun und Zeitgenossen (결산 – 폴커 브라운과 동시대인들)Projekte-Verlag Cornelius
2011Die hellen Haufen. Erzählung. (밝은 무더기. 이야기)Suhrkamp Verlag, ISBN 978-3-518-42239-7, E-Book ISBN 978-3-518-76050-5


참조

[1] 웹사이트 Proteste von mehr als 90 DDR-Künstlern gegen die Ausbürgerung Wolf Biermanns http://www.gegen-dik[...]
[2] 뉴스 Wenn Inhalt und Form zur Farce gerinnen Neues Deutschland 1985-10-09
[3] 서적 Ein ‚Oberkunze darf nicht vorkommen‘. Materialien zur Publikationsgeschichte und Zensur des Hinze-Kunze-Romans von Volker Braun Wiesbaden 1993
[4] 웹사이트 Aufruf vom 26. November 1989 „Für unser Land“ – vollständiger Text mit den Erstunterzeichnern http://www.hdg.de/le[...] 1989-11-26
[5] 뉴스 Wenn Inhalt und Form zur Farce gerinnen Neues Deutschland 1985-10-09
[6] 서적 Ein ‚Oberkunze darf nicht vorkommen‘. Materialien zur Publikationsgeschichte und Zensur des Hinze-Kunze-Romans von Volker Braun Wiesbaden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