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형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림 형제는 독일의 언어학자이자 민속학자로, 야코프 루드비히 카를 그림과 빌헬름 카를 그림 형제를 일컫는다. 그림 형제는 1785년과 1786년에 태어나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언어학과 문헌학을 연구했으며, 그림 법칙을 정립하는 등 언어학 발전에 기여했다. 1812년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이야기》로 널리 알려진 그림 동화를 출간하여 독일 민담을 수집, 편집하여 낭만주의와 민족주의 부흥에 기여했다. 그림 동화는 잔혹한 내용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며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그림 형제의 연구 방법은 민속학 연구의 모델이 되었으나, 나치 독일 시대에 민족주의와 반유대주의를 조장하는 데 이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민속학자 - 야코프 그림
야코프 그림은 그림 동화 편찬, 독일어 사전 편찬 참여, 그림의 법칙 정립 등 언어학과 문헌학에 큰 업적을 남긴 독일의 학자이자, 법학자, 민속학자, 자유주의 운동가였다. - 독일의 민속학자 - 빌헬름 그림
독일의 언어학자이자 문헌학자, 동화 작가인 빌헬름 그림은 형 야곱 그림과 함께 그림 동화를 편집하여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카셀 도서관 사서, 괴팅겐 대학교 명예교수를 역임하고 독일어 사전 편찬 작업에 참여하는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치며 독일 문화와 정체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그림 형제 - 야코프 그림
야코프 그림은 그림 동화 편찬, 독일어 사전 편찬 참여, 그림의 법칙 정립 등 언어학과 문헌학에 큰 업적을 남긴 독일의 학자이자, 법학자, 민속학자, 자유주의 운동가였다. - 그림 형제 - 빌헬름 그림
독일의 언어학자이자 문헌학자, 동화 작가인 빌헬름 그림은 형 야곱 그림과 함께 그림 동화를 편집하여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카셀 도서관 사서, 괴팅겐 대학교 명예교수를 역임하고 독일어 사전 편찬 작업에 참여하는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치며 독일 문화와 정체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형제 - 라이트 형제
라이트 형제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미국의 발명가이자 항공 개척자로서, 최초로 동력 비행기를 제작하고 비행에 성공하여 항공 시대를 열었다. - 형제 - 몽골피에 형제
몽골피에 형제는 프랑스 제지업체 집안 출신으로, 조제프의 아이디어와 에티엔느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뜨거운 공기를 이용한 열기구를 제작하여 유인 열기구 비행에 성공, 항공 역사에 획기적인 업적을 남겼으며, 그들의 회사는 현재 칸송의 기원이기도 하다.
그림 형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원어 이름 | die Brüder Grimm |
다른 이름 | die Gebrüder Grimm |
구성원 | |
야코프 그림 (Jacob Grimm) | Jacob Grimm |
빌헬름 그림 (Wilhelm Grimm) | Wilhelm Grimm |
직업 | |
직업 | 언어학자 민속학자 작가 도서관 사서 |
주요 작품 | |
주요 작품 | 아셴푸텔 (de: Aschenputtel) 개구리 왕자 (de: Der Froschkönig) 헨젤과 그레텔 (de: Hänsel und Gretel) 브레멘 음악대 (de: Die Bremer Stadtmusikanten) 빨간 모자 (de: Rotkäppchen) 룸펠슈틸츠헨 (de: Rumpelstilzchen) 잠자는 숲속의 미녀 (de: Dornröschen) 백설공주 (de: Schneewittchen) 어린이와 가정의 동화 (de: Kinder- und Hausmärchen) 독일어 사전 (de: Deutsches Wörterbuch) |
기타 | |
참고 | 그림 형제 (동음이의) |
2. 생애
독일 헤센주 하나우 출신인 그림 형제는 형 야코프 루트비히 카를 그림(1785년 1월 4일 출생)과 동생 빌헬름 카를 그림(1786년 2월 24일 출생)이다.[72] 어린 시절 아버지를 여의고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으나, 카셀의 프리드리히 김나지움과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하며 프리드리히 카를 폰 사비니 교수의 영향을 받아 언어학과 문헌학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형제는 20대부터 언어학 연구에 매진하여 게르만어파 언어들의 자음 변화 규칙인 그림 법칙을 정립하는 등 중요한 학문적 업적을 남겼다. 언어 연구의 자료로 삼기 위해 독일 민담을 수집하기 시작했고, 이는 1812년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이야기》(Kinder- und Hausmärchen|킨더 운트 하우스메르헨deu) 첫 판 발간으로 이어졌다. 이 민담집은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형제는 이야기가 교훈 전달보다는 있는 그대로 기록되어야 한다고 믿었다.[74] 야코프는 학문적 정확성을, 빌헬름은 문학적 가치와 편집을 더 중시했다.
이후 형제는 카셀, 괴팅겐 대학교, 베를린 등지에서 사서 및 교수로 활동하며 연구를 지속했다. 특히 괴팅겐에서는 1837년 하노버 왕국의 에르네스트 아우구스투스 1세가 자유주의 헌법을 폐지하려 하자 이에 항의하는 '괴팅겐의 7인' 사건으로 파면되기도 했다.[77][78] 이는 학자적 양심에 따른 저항으로 평가받는다.
베를린으로 이주한 후[79], 형제는 훔볼트 베를린 대학교 교수 및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활동하며 말년에는 방대한 규모의 독일어 사전 편찬 작업에 몰두하여 1854년 첫 권을 출간했다.
형 야코프는 평생 독신으로 지내며 『독일어 문법』(Deutsche Grammatik|도이체 그라마티크deu), 『독일 신화학』(Deutsche Mythologie|도이체 뮈톨로기deu) 등 중요한 저작을 남겼고, 움라우트 등의 언어학 용어를 만들었다.[69][70] 동생 빌헬름은 어린 시절 친구와 결혼하여 네 명의 자녀를 두었으며[72], 주로 동화집 개정과 중세 문학 연구에 기여했다.
1859년 12월 16일 빌헬름이 먼저 세상을 떠났고, 야코프는 사전 편찬 작업을 계속하다 1863년 9월 20일 사망하였다. 두 형제는 베를린 쇠네베르크의 성 마태 교회 묘지에 함께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야곱 루드비히 카를 그림과 빌헬름 카를 그림 형제는 각각 1785년 1월 4일과 1786년 2월 24일에 당시 신성 로마 제국의 헤세-카셀 방백령에 속했던 하나우에서 태어났다.[3][72] 아버지는 법률가인 필립 빌헬름 그림이었고, 어머니는 카셀 시의원의 딸인 도로테아 그림이었다.[3] 그림 부부에게는 아홉 명의 자녀가 있었으나 세 명은 어려서 사망했고, 야코프와 빌헬름은 살아남은 여섯 형제 중 둘째와 셋째였다.[8][1]1791년, 아버지가 슈타이나우의 지방 판사(Amtmann|암트만de)가 되면서 가족은 그곳으로 이사했다. 그림 형제는 슈타이나우의 시골 환경에서 비교적 유복한 유년 시절을 보냈다.[3]

그러나 1796년 아버지가 폐렴으로 갑자기 세상을 떠나면서 가족의 삶은 크게 달라졌다. 경제적으로 어려워진 가족은 큰 집을 떠나야 했고, 어머니 도로테아는 친정 식구들과 당시 헤센 선제후 빌헬름 1세 궁정의 시녀장으로 있던 언니(형제의 고모) 헨리에테 치머의 재정적 도움에 의지해야 했다.[3] 당시 열한 살이었던 장남 야코프는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동생 빌헬름과 함께 집안의 책임을 져야 했다.[3]
1798년, 형제는 고모의 도움으로 카셀에 있는 프리드리히 김나지움de에 입학했다. 가족과 떨어져 서로에게 의지하며 지낸 형제는 이곳에서 사회적 신분에 따른 차별을 경험하기도 했지만, 학업에 더욱 매진하여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3][4] 야코프는 1803년, 빌헬름은 1804년에 각각 김나지움을 수석으로 졸업했다.[3][4]
김나지움 졸업 후, 형제는 마르부르크 대학교에 진학하여 법학을 공부했다. 당시 마르부르크 대학은 규모가 작았고, 형제는 이곳에서도 사회적 지위가 낮다는 이유로 입학을 위해 특별 허가를 받아야 했으며, 학비 지원도 받지 못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4] 이러한 환경 속에서도 형제는 학업에 더욱 열중했다.[4] 대학에서 형제는 법학 교수였던 프리드리히 카를 폰 사비니를 만나 큰 영향을 받았다. 사비니 교수를 통해 역사와 언어학에 대한 관심이 깊어졌으며, 특히 중세 독일 문학 연구에 눈을 뜨게 되었다.[7] 또한, 사비니와 클레멘스 브렌타노, 루트비히 아힘 폰 아르님 등 독일 낭만주의 작가들과의 교류를 통해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의 사상, 특히 민중 사이에서 구전되는 이야기(Volkspoesie|민중시de)의 중요성을 접하게 되었다.[5] 빌헬름은 훗날 자서전에서 "우리가 고대 독일어를 공부했던 열정은 그 시절의 정신적 침체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라고 회고했다.[6]
1805년, 여전히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했던 야코프는 학업을 잠시 중단하고 파리에서 사비니 교수의 연구 조수로 일하다가, 이후 마르부르크로 돌아와 헤센 전쟁 위원회(Hessian War Commission)에서 일자리를 얻었다. 당시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은 매우 심각하여 빌헬름은 이모에게 보낸 편지에서 "우리 다섯 식구는 하루에 한 번, 세 끼니만 먹습니다."라고 토로할 정도였다.[7]

2. 2. 학문적 여정
카셀의 프리드리히 김나지움을 졸업한 그림 형제는 마르부르크 대학교에 입학했다. 당시 약 200명 규모의 작은 대학교였던 그곳에서 형제는 사회적 지위가 낮다는 이유로 차별을 경험했으며, 법학 공부를 위해 특별 허가를 받아야 했다.[4] 빈곤 때문에 학생 활동에는 참여하기 어려웠으나, 이는 오히려 학업에 더욱 열중하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마르부르크 대학교에는 법학 교수 프리드리히 카를 폰 사비니가 재직하고 있었는데, 그림 형제는 그의 영향을 받아 과거 역사와 언어학, 특히 중세 독일 문학 연구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7] 사비니와 그의 지인들인 클레멘스 브렌타노, 루트비히 아힘 폰 아르님 등 독일 낭만주의 작가들을 통해 형제는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의 사상을 접했다. 헤르더는 독일 문학이 기교적인 Kunstpoesiede (예술시)가 아닌 소박한 Volkspoesiede (민중시)로 회귀해야 한다고 보았다.[5] 빌헬름은 자서전에서 "우리가 고대 독일어를 공부했던 열정은 그 시절의 정신적 침체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회고했다.[6]형제는 20대 초반부터 언어학과 문헌학 연구에 매진하여 그림 법칙을 정립하는 등 독일어 연구에 큰 기여를 했다. 1805년, 야코프는 생계를 위해 잠시 파리에서 사비니의 법제사 연구 조수로 일했다.[69] 독일로 돌아온 후에는 가족의 생계를 위해 학업을 잠시 중단하고 헤센 전쟁 위원회에서 일하기도 했다.[7] 1808년, 야코프는 베스트팔렌 왕국의 국왕 제롬 보나파르트로부터 수석 언어학자 칭호를 받고 궁정 사서로 임명되었으며, 이후 카셀의 사서가 되었다.[8] 이 직책은 안정적인 수입과 함께 연구 시간을 확보해주었다. 어머니가 사망한 후 야코프는 동생들을 부양했으며, 빌헬름도 이후 카셀에서 야코프와 함께 사서로 일하게 되었다.[3]
언어학 연구의 자료로 삼기 위해 형제는 클레멘스 브렌타노의 요청을 받아 1807년부터 민담을 수집하기 시작했다.[9] 사서로 근무하며 연구에 몰두한 1812년부터 1830년 사이에 형제는 많은 학문적 성과를 냈다.[10] 1812년 첫 번째 민담집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동화집》(Kinder- und Hausmärchende)을 발간했는데, 이는 본래 언어 연구의 부산물이었으나 큰 인기를 얻었다. 이 책에는 농부와 마을 사람들로부터 채록한 이야기뿐 아니라 샤를 페로의 이야기처럼 다른 언어로 이미 알려진 이야기도 포함되었다. 야코프는 학문적 연구를 더 중시한 반면, 빌헬름은 아동 문학적 측면과 이야기에 대한 윤색을 더 강조하였다. 이후 독일 전설과 초기 문학사에 관한 책들도 출판했다.[8] 야코프는 1819년부터 1834년까지 발행된 『독일어 문법』(Deutsche Grammatikde)에서 그림의 법칙으로 알려진 자음 변천 법칙을 제시했으며, 움라우트나 동사의 강변화·약변화와 같은 용어도 만들었다.[69] 이러한 학문적 업적으로 형제는 마르부르크, 베를린, 브레슬라우(현재 브로츠와프) 등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10]
1830년, 그림 형제는 괴팅겐 대학교로 자리를 옮겼다.[77] 야코프는 언어학 교수 겸 수석 사서로 임명되었고, 빌헬름은 1835년 교수가 되었다.[8] 이 시기에도 연구와 저술 활동을 이어갔다. 야코프는 1835년 중요한 저작인 『독일 신화학』(Deutsche Mythologiede)을 출판하여[70] 독일의 잊혀가던 신화와 전설을 집대성했으며, 빌헬름은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동화집》 제3판을 편집했다. 형제는 독일어학 분야를 개척하며 학계에서 존경받는 인물이 되었다.[12]

그러나 1837년, 하노버 왕국의 에르네스트 아우구스투스 1세가 자유주의적 헌법을 폐지하고 교수들에게 새로운 충성 맹세를 요구하자, 그림 형제는 다섯 명의 동료 교수들과 함께 이에 항의했다.[78] 이 사건은 '괴팅겐 7교수 사건'으로 알려져 있으며, 민주적 가치를 지키려는 지식인들의 저항으로 평가받는다. 맹세를 거부한 대가로 형제를 포함한 7명의 교수는 모두 파면되었고, 야코프는 하노버에서 추방당하기까지 했다.[12]
실직 후 카셀에서 머물며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형제는 1838년, 평생의 과업이 될 『독일어 사전』(Deutsches Wörterbuchde) 편찬 작업을 시작했다.[12] 1840년, 프로이센 왕국의 새로운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의 초빙으로 베를린으로 이주하여 훔볼트 베를린 대학교 교수로 임명되었다.[79][12] 1842년에는 사비니, 랑케와 함께 국가 훈장인 푸르 르 메리트를 받았다. 말년까지 형제는 독일어 사전 편찬에 매진했으며, 첫 권은 1854년에 출간되었다. 이 작업은 빌헬름이 1859년, 야코프가 1863년 사망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2. 3. 괴팅겐 7교수 사건
1830년 괴팅겐 대학교는 야코프 그림을 언어학 교수이자 도서관장으로 초빙했고, 동생 빌헬름 그림은 1835년에 교수가 되었다.[77][8] 두 형제는 이곳에서 독일어학 연구와 강의를 계속하며 학문적 명성을 쌓았다.[12]1837년, 하노버 왕국의 새로운 국왕 에르네스트 아우구스투스 1세가 의회를 해산하고 기존의 자유주의적 헌법을 폐지하려 하자[78], 그림 형제는 동료 교수 5명과 함께 이에 반대하는 항의 서한을 제출했다. 이들은 국왕이 공무원에게 요구한 새로운 충성 맹세를 거부했다.[12][68] '괴팅겐 7인(Göttinger Sieben)'으로 불리는 이 사건으로 인해 일곱 교수 모두 대학에서 해임되었으며, 특히 야코프 그림을 포함한 세 명은 하노버 왕국에서 추방당하는 처분을 받았다.[12]
해임 후 야코프는 카셀로 갔고, 곧 빌헬름 가족도 합류했다. 수입이 끊긴 형제는 심각한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으며, 이 시기부터 평생의 과업이 될 『독일어 사전』(Deutsches Wörterbuchde) 집필을 시작했다.[12] 다행히 친구들과 후원자들의 도움으로 재정적 지원과 새로운 일자리를 모색할 수 있었다.[12] 1838년 프로이센 왕국의 초빙을 받아[79], 1840년 그림 형제는 베를린으로 이주하여 베를린 대학교에서 교수직을 제안받았다. 또한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의 지원을 받아 연구를 계속할 수 있게 되었다.[10] 이후 형제는 베를린에서 『독일어 사전』 편찬 작업에 매진했다.
2. 4. 베를린 시기
괴팅겐의 7인 사건으로 괴팅겐 대학교에서 파면된 후, 1838년 프로이센 왕국의 초빙으로 그림 형제는 베를린으로 이주하였다.[79] 1840년, 사비니와 베티나 폰 아르님의 주선으로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그림 형제에게 베를린 대학교(훔볼트 베를린 대학교) 교수직을 제안했다. 이와 더불어 베를린 과학 아카데미는 그들의 연구를 위한 지원금을 제공했다. 베를린에 정착한 형제는 독일어 사전 편찬 작업에 힘쓰는 동시에 연구 결과를 꾸준히 발표했다. 야코프는 독일 법 전통과 독일어 역사 연구에 집중하여 1840년대 후반과 1850년대 초에 관련 저작들을 출판했다. 빌헬름은 그림 형제 동화집(Hausmärchen|하우스메르헨de)의 새로운 판을 편집하면서 중세 문학 연구를 진행했다.[10]
1848년 독일 여러 주에서 혁명이 일어나자, 형제는 시민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특히 야코프는 마인츠 국민의회의 주요 구성원으로 활동했다.[12] 그러나 통일된 독일을 향한 기대가 꺾이면서 정치 활동은 오래가지 못했다. 1840년대 후반 야코프는 대학 교수직을 사임하고 『독일어의 역사』(Geschichte der deutschen Sprache|게쉬히테 데어 도이첸 슈프라헤de)를 출판했다. 빌헬름은 1852년까지 대학에 남아 있었다. 강의에서 은퇴한 후, 형제는 남은 생애 동안 독일어 사전 편찬에 전념했다.[12]

1859년 12월 16일, 빌헬름이 감염병으로 베를린에서 사망했다.[39] 동생의 죽음에 깊이 슬퍼한 야코프는 외부 활동을 줄이고 사전 편찬 작업을 계속 이어갔다. 그는 1863년 9월 20일 사망할 때까지 이 작업에 몰두했다. 그림 형제의 방대한 사전 편찬 작업은 Frucht|프루흐트de(과일)라는 단어에서 멈추게 되었다.[12]
3. 《그림 동화》
그림 형제는 1807년부터 민담 수집을 시작했으며,[80] 이는 루트비그 아힘 폰 아르님과 클레멘스 브렌타노의 민요집 《소년의 마적》 출간에 자극받은 것이었다.[81][82] 사비니 교수의 추천으로 민요집 작업에 참여하며 민담에 관심을 두게 되었고, 1812년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이야기》(그림 동화) 초판(86편)을 출간했다.[82] 이후 1814년에 70편을 추가하는 등[89] 내용을 증보하여 생전에 5판까지 출간했다.[89]
동화집에는 헤센주 등 독일 지역 민담 외에도 프랑스 위그노나 프랑스에서 유래한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으며,[83] 샤를 페로의 이야기와 유사한 내용도 발견된다.[85] 이야기 제공자 중에는 프랑스 위그노 후손인 도로테아 피만도 있었다.[86] 1816년과 1818년에는 585편의 전설을 담은 《독일 전설》도 출간했으나 동화집만큼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다.[87][88]
그림 동화는 내용이 어린이에게 부적합하다는 비판[90]과 함께, 이야기 속 페어리를 마녀로 바꾸거나 prince영어와 princess영어를 모두 왕족으로 설정한 점[91] 등이 독일 현실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받았다.[92]
비록 요한 카를 아우구스트 무샤우스가 이전에 민담집을 냈었지만, 방대한 독일 민담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대중화한 것은 그림 형제의 동화집이 최초라는 평가를 받는다.[93]
3. 1. 수집 및 출판
그림 형제는 1807년부터 민담을 수집하기 시작하였다.[80] 이는 루트비그 아힘 폰 아르님[81]과 클레멘스 브렌타노가 1805년 출간한 독일 민요 모음집 《소년의 마적》(Des Knaben Wunderhorn|데스 크나벤 분더호른de)에 크게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82][13] 당시 낭만주의와 낭만적 민족주의의 영향으로 민중문화(Volk|폴크de)에서 민족 정체성을 찾으려는 경향이 있었고,[20] 형제는 산업화로 사라져가는 구전 설화를 보존하고자 했다.[23] 또한 이야기 속에 담긴 고대 신앙이나 믿음이 구전 과정에서 계속 살아남는다고 생각했다.[16]1810년 브렌타노의 요청으로 형제는 본격적으로 민담을 수집하여 53편을 그에게 보냈으나, 이는 잊혀졌다가 1920년에 발견되어 '엘렌베르크 사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3][8][18] 그림 형제가 농민들로부터 이야기를 직접 수집했다는 통념과 달리, 실제로는 카셀의 중산층 및 귀족 지인들로부터 많은 이야기를 얻었다. 빌헬름의 아내가 된 헨리에테 도로테아 빌트(Henriette Dorothea Wild)와 그녀의 가족, 프랑스 위그노 후손으로 샤를 페로의 이야기에 익숙했을 가능성이 있는 도로테아 피만(Dorothea Viehmann)과 마리 하센플루크(Marie Hassenpflug) 등이 주요 정보 제공자였다.[36][17][23][20]


1812년, 형제는 86편의 이야기가 담긴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이야기》(Kinder- und Hausmärchen|킨더 운트 하우스메르헨de, 그림 동화) 초판을 출간했다.[82] 1814년에는 70편을 추가한 증보판을 내놓았다. 이후 1816년과 1818년에 걸쳐 585편의 전설을 모은 《독일 전설》(Deutsche Sagen|도이체 자겐de)을 출간했으나,[87] 이는 동화집만큼 큰 인기를 얻지는 못했다.[87][88]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이야기》는 계속 증보되어 1819년부터 1822년까지 170여 편을 수록한 2판이 출간되었고, 형제가 살아있는 동안 총 7판까지 거듭 출판되었다.[89]
초기 판본 작업은 야콥이 주도했지만, 1815년부터는 빌헬름이 편집과 개작을 전담했다.[19] 그는 이야기들의 문체를 통일하고, 대화와 심리적 묘사를 추가했으며, 종교적·영성적 모티프를 가미했다.[19][16] 여러 판을 거치면서 내용은 상당히 수정되었다. 특히 어린이 독자를 의식하고 폭력적이거나 성적인 요소에 대한 비판을 수용하면서, 《라푼젤》 이야기의 성적 암시 등이 삭제되거나 완화되었다.[25][26] 또한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요정'(Fee|페de), '왕자'(Prinz|프린츠de), '공주'(Prinzessin|프린체신de) 같은 단어들을 독일적인 느낌의 '마법사'(Zauberin|차우버린de), '현명한 여인'(weise Frau|바이제 프라우de), '왕의 아들'(Königssohn|쾨니히스존de), '왕의 딸'(Königstochter|쾨니히스토흐터de) 등으로 바꾸기도 했다.[27] 이러한 작업은 프랑스 점령 하에서 독일 고유문화를 보존하려는 "지적 저항"의 성격도 지녔다는 평가가 있다.[23][24]
수록된 이야기들은 대부분 헤센주 지역에서 수집되었다고 밝혔으나,[83] 실제로는 위그노나 프랑스에서 유래한 이야기, 샤를 페로의 동화와 유사한 내용(8편 가량)도 포함되어 있어[85] 온전히 독일 고유의 문화유산으로만 보기는 어렵다. 일부 이야기는 스트라파롤라나 보카치오 등 중세 이탈리아 작가들의 작품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23][24] 그림 형제 이전에 요한 카를 아우구스트 무제우스가 1780년대에 독일 민담집 Volksmärchen der Deutschen|폴크스메르헨 데어 도이첸de을 출판했으나[13], 방대한 양의 민담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대중적으로 알린 것은 그림 형제의 공이 크다.[93]
3. 2. 내용 및 특징
19세기 초 낭만주의, 낭만적 민족주의의 부상과 함께 대중문화의 가치가 부각되면서 동화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다.[20] 요한 카를 아우구스트 무자우스가 1782년부터 1787년 사이에 Volksmärchen der Deutschende라는 민담 모음집을 출판하기도 했으나,[13] 그림 형제는 민족 정체성을 대중문화와 일반 민중(Volkde) 속에서 찾을 수 있다는 신념 아래 민담 수집에 나섰다. 그들은 루트비그 아힘 폰 아르님[81]과 클레멘스 브렌타노가 편집한 민요집 Des Knaben Wunderhorn|소년의 마법의 뿔de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13][82] 산업화로 인해 사라질 위기에 처한 구전 설화를 보존하고 독일 문화 정체성을 담아내고자 했다.[23] 하버드 대학교의 마리아 타타르 교수는 이러한 구전 전통이 민담에 중요한 다양성을 부여한다고 설명한다. 이야기는 지역마다 다른 형태로 전승되며, 그 지역의 문화, 노래, 다른 이야기의 표현 방식, 심지어 청중의 특징까지 반영하여 변화한다는 것이다.[14]그림 형제는 1807년부터 체계적으로 민담을 수집하기 시작했다.[80][3] 1810년경에는 이야기꾼들을 집으로 초대하여 그들의 이야기를 기록함으로써 수십 편의 이야기가 담긴 원고를 만들었다.[17] 이 초기 원고는 나중에 1920년 알자스의 한 교회에서 발견되어 '엘렌베르크 사본'으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그림 형제의 초기 수집 방식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었다.[18] 흔히 농민들로부터 이야기를 수집했다고 알려진 것과는 달리, 실제로는 중산층이나 귀족 지인들로부터 많은 이야기를 얻었다. 빌헬름의 아내가 된 헨리에테 도로테아(도르첸) 빌트와 그녀의 가족, 그리고 유모는 "헨젤과 그레텔", "잠자는 숲 속의 미녀" 등 잘 알려진 이야기를 제공했으며,[36] 베스트팔렌의 아우구스트 폰 핵스하우젠과 그의 친구들,[19] 프랑스 위그노 후손으로 교육받은 여성인 마리 하센플루크,[17] 그리고 역시 프랑스계인 중산층 재단사의 아내 도로테아 피만 등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이 이야기 제공자였다.[23] 이들 중 일부는 샤를 페로의 Histoires ou contes du temps passé|옛날 이야기프랑스어에 익숙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20]
1812년, 그림 형제는 86편의 이야기를 담은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이야기》 초판을 출간했고, 1814년에는 70편을 추가하여 총 156편으로 구성된 증보판을 내놓았다.[87] 이 동화집에는 헤센주를 비롯한 독일 여러 지역의 민담이 주를 이루지만,[83] 프랑스 위그노의 구전 설화나 프랑스에서 전래된 이야기도 포함되어 있어 온전히 독일 고유의 문화적 산물이라고 보기는 어렵다.[85] 실제로 동화집에 실린 이야기 중 8편은 그림 형제보다 약 100년 앞서 프랑스에서 출판된 샤를 페로의 작품과 유사하다.[85] 그럼에도 타타르와 같은 학자들은 그림 형제가 유럽 전역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던 "빨간 모자"와 같은 이야기를 독일 고유의 문화와 정서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고 독일적인 이야기로 편입시키려 했다고 분석한다.[15] 그들은 또한 이야기 속에 고대 종교와 신앙의 흔적이 남아있으며, 이를 통해 그 신앙이 계속 이어져 온다고 믿었다.[16] 한편, 1816년과 1818년에는 585편의 전설을 수록한 《독일 전설》을 출간했는데, 여기에는 연대기 기록과 관련된 이야기나 드베르그, 거인, 괴물 등이 등장하지만 동화집만큼 대중적인 인기를 얻지는 못했다.[87][88]
1815년 이후로는 주로 빌헬름 그림이 동화집 편집과 개작을 담당했다. 그는 이야기들의 문체를 통일하고, 대화를 추가하며, "소박한 분위기를 해칠 수 있는" 부분을 제거하고 줄거리를 개선하거나 심리적 동기를 부여하는 등 많은 수정을 가했다.[19] 특히 후기 판본으로 갈수록 이야기가 길어지고 세부 묘사가 풍부해졌으며,[25] 게르만 신화, 노르드 신화, 로마 및 그리스 신화, 그리고 성경 등에서 영감을 얻어 종교적이고 영적인 모티프를 이야기에 녹여내기도 했다.[16]
또한 빌헬름은 부르주아 독자층을 의식하여 언어를 보다 세련되게 다듬고, 성적인 내용을 삭제하거나 완화했으며(예: 초판의 "라푼젤"에 암시된 왕자와의 관계), 기독교적인 가치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내용을 수정했다.[19][25] 이러한 변화는 일부 이야기가 담고 있는 폭력성이나 성적인 내용이 어린이에게 부적합하다는 비판에 영향을 받은 것이기도 하다.[26][90] 더 나아가, 이야기 속 인물이나 용어를 보다 독일적인 것으로 바꾸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요정( Feede ), 왕자( Prinzde ), 공주( Prinzessinde )와 같은 단어를 독일어 느낌이 나는 마법사( Zauberinde )나 현명한 여자( weise Fraude ), 왕의 아들( Königssohnde ), 왕의 딸( Königstochterde ) 등으로 대체했다.[27][91]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초기에 프랑스계 용어를 사용했던 점 등은 여전히 독일의 실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비판의 근거가 되기도 했다.[92]
그림 형제의 작업은 방대한 규모의 독일 민담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대중에게 널리 알린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93] 그들의 민담 수집 및 편집 방식은 이후 다른 유럽 국가의 작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치는 모델을 제시했으며,[23][24] 특히 프랑스 점령기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독일 고유의 문화를 보존하고 형성하려는 일종의 '지적 저항'으로 평가받기도 한다.[23][24]
3. 3. 비판 및 논란
그림 동화에 수록된 민담의 내용이 어린이에게 적합하지 않다는 비판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90] 특히 이야기 속 폭력성과 선정적인 내용 때문에 모든 이야기가 어린이에게 적합하지 않다는 비판이 있었다.[26]또한,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 등장하는 페어리를 일괄적으로 마녀로 바꾸어 기술하거나, 모든 prince|프린스eng를 왕의 아들(왕자)로, 모든 princess|프린세스eng를 왕의 딸(공주)로 설정한 점 등은[91] 동화집이 당시 독일의 실제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의 근거가 되기도 했다.[92]
이러한 비판에 따라 그림 형제, 특히 빌헬름 그림은 동화 내용을 수정하고 순화하는 작업을 진행했다.[19][26] 그는 많은 이야기의 줄거리를 수정했는데, 예를 들어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동화집》 초판의 라푼젤 이야기에 암시되었던 왕자와 소녀 사이의 성적인 관계를 이후 판본에서는 삭제했다.[25] 또한 성적인 요소를 제거하는 것 외에도 기독교적, 교훈적인 요소를 추가하고,[19][27] 이야기 속 인물들이 더 독일적으로 보이도록 수정했다. 마리아 타타르는 이러한 수정 과정에서 프랑스어 어원을 가진 단어인 요정( Fee|페deu), 왕자( Prinz|프린츠deu), 공주( Prinzessin|프린체신deu) 등이 독일적인 느낌의 마법사( Zauberin|차우버린deu)나 현명한 여자( weise Frau|바이제 프라우deu), 왕의 아들( Königssohn|쾨니히스존deu), 왕의 딸( Königstochter|쾨니히스토흐터deu) 등으로 변경되었다고 지적했다.[27]
4. 언어학적 업적
마르부르크 대학교 재학 시절, 그림 형제는 문화가 언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가장 순수한 문화적 표현은 언어의 문법에 있다고 보았다.[41][40] 그들은 브렌타노와 다른 낭만주의자들이 민담의 원래 구어체 스타일을 더 문학적인 스타일로 바꾸는 관행을 비판하며, 이를 인위적인 kunstpoesie|쿤스트포에지de(예술시)로 여겼다. 대신 그들은 민중(volk|폴크de)의 스타일이 자연스럽고 신성한 영감을 받은 시(naturpoesie|나투르포에지de)를 반영한다고 생각했다.[41][40] 문학 역사가이자 학자로서 형제는 이야기의 기원을 탐구하고 구어 전통에서 원래의 구어적 특징을 잃지 않고 이야기를 되찾으려 노력했다.[41]
형제는 민족 통일과 독립에 대한 열망이 민속에 반영된 문화적 과거에 대한 완전한 이해에 달려 있다고 굳게 믿었다.[40] 그들은 민속에 독일 문화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신화와 전설의 핵심이 담겨 있다고 보았으며, 수집한 이야기에서 독일 정신을 발견하고 구체화하고자 했다.[23] 언어학적 관점에서 문화를 조사하면서 독일법, 문화, 지역 신앙 간의 연관성을 확립하려 시도했다.[41]
그림 형제는 수집한 이야기들이 전통적인 게르만 민속에서 유래했으며, 후대의 문학 전통에 의해 "오염"되었다고 생각했다.[23] 구전 전통에서 인쇄된 책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이야기는 지역 방언에서 표준 독일어(Hochdeutsch|호흐도이치de)로 번역되었다.[42] 그러나 여러 차례의 수정과 개정을 거치면서 형제는 지역어, 방언, 저지 독일어를 이야기에 다시 도입하여 구전 이야기의 원래 형태에 가까운 언어를 되살리려 노력했다.[43]
1812년 초, 형제는 Die beiden ältesten deutschen Gedichte aus dem achten Jahrhundert: Das Lied von Hildebrand und Hadubrand und das Weißenbrunner Gebet|디 바이덴 엘테스텐 도이첸 게디히테 아우스 뎀 아흐텐 야르훈더트: 다스 리트 폰 힐데브란트 운트 하두브란트 운트 다스 바이센브루너 게베트de(''8세기의 두 개의 가장 오래된 독일시: 힐데브란트와 하두브란트의 노래와 베소브룬 기도'')를 출판했다. 이 책에는 9세기 독일 영웅 서사시인 ''힐데브란트의 노래''와 가장 오래된 독일 영웅 서사시 중 하나인 ''베소브룬 기도''가 포함되어 있다.[67] 1816년부터 1818년 사이에는 585개의 독일 전설을 모은 2권짜리 작품 독일 전설de(''German Legends'')을 출판했다.[44] 야코프는 주로 이 전설들을 수집하고 편집했으며, 지역별 및 역사적(고대) 전설, 그리고 실존 인물이나 사건에 관한 전설로 나누어 구성했다.[45][67] 형제는 이 작업을 학술적인 연구로 의도했지만, 역사적 전설들은 종종 이차 자료에서 가져와 해석, 수정, 재작성되어 그들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갖게 되었다.[45]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수집 및 재작성 방법론을 비판하기도 했지만, 개념적으로는 유럽 전역에서 다른 학자들이 따를 만한 전설집의 모범을 제시했다. 그러나 민담집과는 달리 Deutsche Sagen|도이체 자겐de은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45]
야코프 그림은 특히 언어학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1819년부터 1834년까지 발행된 《독일어 문법》(Deutsche Grammatik)을 통해 게르만어 연구의 기초를 다졌다. 이 책에서 제시된 자음 변천에 관한 법칙은 그의 이름을 따 "그림의 법칙"으로 불리며, 비교 언어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독일어 학습에 필수적인 개념인 움라우트와 동사의 강변화·약변화 용어도 야코프가 만든 것이다.[69] 1835년에는 《독일 신화학》(Deutsche Mythologie)을 간행하여 독일인들에게 잊혀 가던 고대 게르만 신화와 전설을 집대성했다.[70]
형제는 언어학 연구의 집대성으로 1838년부터 독일어 사전인 독일 사전|Deutsches Wörterbuchde 편찬 작업을 시작했다. 이 사전은 각 단어의 역사와 의미 변화를 상세히 기술하는 방대한 작업이었기 때문에, 1852년에야 첫 부분이 출판될 수 있었다.[45] 형제는 평생 이 작업에 매달렸지만, 결국 완성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67] 야코프 그림은 괴팅겐 대학교와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교수를 역임하며 학문 활동을 이어갔고, 1842년에는 프로이센 최고의 훈장인 푸르 르 메리트를 받기도 했다.[69]
5. 그림 형제의 유산
Kinder- und Hausmärchen|de(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이야기)는 1812년부터 1864년까지 총 17번 출판되었다. 이는 "대형판"(Große Ausgabe|de) 7번과 "소형판"(Kleine Ausgabe|de) 10번으로 나뉜다. 대형판에는 그 당시까지 수집된 모든 이야기와 함께, 형제가 직접 쓴 방대한 양의 주석 및 학술적 해설이 포함되어 있었다. 반면 소형판에는 50편의 이야기만 수록되었으며, 주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만들어졌다. 그림 형제의 남동생인 루트비히 에밀 그림이 소형판의 삽화를 그렸는데, 그는 신데렐라의 어머니를 천사로 묘사하거나 빨간 모자 이야기에서 할머니의 침대 옆에 성경을 그려 넣는 등 그림에 기독교적인 상징을 더하기도 했다.[10]
초판은 1812년에 86편의 민담을 담아 출판되었고,[36] 70편의 이야기가 추가된 두 번째 권은 1814년 말에 출판되었다(표지에는 1815년으로 표기됨). 이 두 권과 그 안의 156편의 이야기는 주석이 달린 대형판의 첫 번째 판으로 간주된다.[44][37] 170편의 이야기가 실린 두 번째 확장판은 1819년에 출판되었고, 1822년에는 학술적인 논평과 주석을 담은 별도의 권이 뒤따랐다.[8][26] 대형판은 이후 1837년, 1840년, 1843년, 1850년, 1857년에 다섯 차례 더 출판되었다. 1857년에 나온 마지막 일곱 번째 판에는 총 211편의 이야기, 즉 번호가 매겨진 민담 200편과 전설 11편이 담겨 있었다.[8][26][37]
독일에서는 Kinder- und Hausmärchen|de으로 불리지만, 영어권에서는 일반적으로 ''그림 형제 동화집''으로 알려져 있다. 이 이야기 모음집은 책 형태 외에도 "인기 있는 포스터 크기의 Bilderbogen|de(대형 그림 엽서)"[37] 형식이나, "헨젤과 그레텔"처럼 인기 있는 이야기를 따로 묶은 단편 형식으로도 출판되었다. 때로는 저작권을 무시하고 다른 작가들의 작품집에 그림 형제의 이야기들이 포함되기도 했는데, 이는 이 이야기들이 아동 도서 삽화가들의 큰 관심을 끌었기 때문이다.[37] 아서 랙햄, 월터 크레인, 에드먼드 듈락과 같은 유명 화가들이 그림 형제 동화집의 삽화를 그렸다. 19세기 중반에 출판된 또 다른 인기 판본에는 조지 크루익섐크가 제작한 정교한 에칭이 포함되어 있었다.[38]
그림 형제가 사망한 후, 동화집의 저작권은 빌헬름의 아들인 헤르만 그림에게 넘어갔다. 그는 고가의 완전한 판본 형태로 책을 계속 출판했지만, 1893년에 저작권이 만료되자 여러 출판사들이 다양한 형식과 판본으로 이야기들을 출판하기 시작했다.[37] 21세기에 이르러 Kinder- und Hausmärchen|de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고전이 되었다. 야곱과 빌헬름 형제가 수집한 이야기들은 160개가 넘는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미국에서만 해도 120가지가 넘는 다른 판본이 판매되고 있다.[39]
참조
[1]
논문
[2]
서적
Die Brüder Grimm
Berlin
[3]
논문
[4]
논문
[5]
논문
[6]
논문
[7]
논문
[8]
웹사이트
Grimm Brothers Home Page
http://www.pitt.edu/[...]
2012-03-11
[9]
논문
[10]
논문
[11]
위키피디아
Wild (Familie)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논문
[16]
논문
[17]
논문
[18]
논문
[19]
논문
[20]
논문
[21]
서적
Lebensbilder aus Kurhessen und Waldeck 1830-1930
https://books.google[...]
N.G. Elwert
[22]
웹사이트
29. Juli─01. September ¤ WTB: • Willingshäuser Malersymposium • - Künstlerkolonie Willingshausen
https://www.malerkol[...]
2022-11-10
[23]
논문
[24]
논문
[25]
논문
[26]
논문
[27]
논문
[28]
논문
[29]
논문
translation of the 1812 original edition of "Folk and Fairy Tales"
[30]
논문
[31]
논문
[32]
서적
Tess
Flamingo
[33]
논문
[34]
논문
[35]
논문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웹사이트
Guardians of the Fairy Tale: The Brothers Grimm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2-03-18
[40]
논문
[41]
논문
[42]
논문
[43]
논문
[44]
논문
[45]
논문
[46]
논문
[47]
논문
[48]
논문
[49]
논문
[50]
웹사이트
Anti-Semitic Legends
https://web.archive.[...]
[51]
서적
Blood Libel: On the Trail of an Antisemitic Myth
http://www.jstor.org[...]
Harvard University Press
[52]
서적
Jews and Money: The Story of a Stereotype
St. Martin's Press
[53]
웹사이트
The Jew in the Thorns
https://sites.pitt.e[...]
[54]
웹사이트
The Good Bargain
https://sites.pitt.e[...]
[55]
논문
[56]
논문
The Blood Libel in Eastern Europe
http://www.jstor.org[...]
[57]
논문
Cruentation, Medieval Anti-Jewish Polemic, and Ritual Murder
https://www.proquest[...]
[58]
논문
[59]
논문
[60]
뉴스
The Words That Killed Medieval Jew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5-12-11
[61]
논문
[62]
웹사이트
Tales Out of Fashion?
http://www.slate.com[...]
2012-02-29
[63]
서적
Land of Stories: The Wishing Spell
Little Brown and Company
2012-07-17
[64]
웹사이트
Jacob-und-Wilhelm-Grimm-Zentrum
https://web.archive.[...]
Humboldt University of Berlin
2012-12-20
[65]
웹사이트
The Grimm Library
https://web.archive.[...]
Humboldt University of Berlin
2012-12-20
[66]
웹사이트
Grimm Brothers' Home Page
https://sites.pitt.e[...]
[67]
논문
[68]
서적
ドイツ歴史の旅
朝日新聞社
[69]
일반
[70]
서적
グリム ドイツ伝説集
八坂書房
[71]
뉴스
Der geheime Bruder Grimm
Die Welt
2020-11-28
[72]
서적
Michaelis-Jena
1970
[73]
서적
Alister & Hauke
1998
[74]
서적
Simpson & Roud
2000
[75]
뉴스
National Geographic
1999-12
[76]
서적
2004
[77]
간행물
Jakob Ludwig Karl Grimm
Gale Group
2002
[78]
설명
[79]
웹사이트
Die Brueder Grimm Timeline
http://www.diebruede[...]
2007-02-04
[80]
서적
The Brothers Grimm and Folkta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88
[81]
설명
[82]
서적
2006
[83]
서적
1998
[84]
서적
Women Who Run with the Wolves
[85]
서적
2006
[86]
서적
2006
[87]
서적
Michaelis-Jena
1970
[88]
서적
The Brothers Grimm & Their Critics: Folktales the Quest for Meaning
Ohio University Press
1992
[89]
서적
The Brothers Grimm: Two Lives, One Legacy
Clarion Books
2001
[90]
서적
1987
[91]
설명
[92]
서적
1987
[93]
서적
The Classic Fairy Tales
Oxford University Press
197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