푀양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푀양파는 프랑스 혁명 시기 입헌군주제를 지지하며 혁명의 안정을 추구했던 정치 세력이다. 1791년 자코뱅 클럽에서 탈퇴한 온건파 의원들을 중심으로 결성되었으며, 라파예트, 바르나브 등이 주요 인물이었다. 입법 의회에서 우파 세력을 형성하며 혁명의 안정을 추구했지만, 프랑스 혁명 전쟁의 실패와 왕정 폐지 이후 몰락했다. 이후 망명했던 의원들이 귀국했지만 푀양 클럽은 사라졌고, 이들은 입헌군주파로 불렸다. 푀양파는 입헌군주제를 옹호하고 점진적인 개혁을 추구했으며, 소극적 시민의 국민 방위대 입대를 반대하는 등의 정책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푀양파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헌법의 벗 결사단 |
원어 이름 | Société des Amis de la Constitution (프랑스어) |
다른 이름 | Club des Feuillants (프랑스어) |
IPA | /fœjɑ̃/ (프랑스어) |
지도부 | |
영수 | 앙투안 바르나브 |
창립 및 해산 | |
창립일 | 1791년 7월 18일 |
해산일 | 1792년 8월 10일 |
이전 및 이후 | |
전신 | 온건 자코뱅파 왕정파 1789년 클럽 |
후신 | 클리시 클럽 |
본부 및 언론 | |
본부 | 파리, Rue Saint-Honoré |
신문 | 라 가제트 |
이념 및 성향 | |
이념 | 온건주의 보수주의 고전적 자유주의 보수적 자유주의 입헌군주제 |
정치적 위치 | 중도주의 |
색상 및 국기 | |
색상 | |border=darkgray}} 파란색 하얀색 (왕정의 색) |
![]() | |
국가 | |
국가 | 프랑스 |
2. 역사
1791년 프랑스 헌법이 최종 형태를 갖추기 시작하면서, 바르나브와 르 샤펠리에 등 많은 급진적 국회의원들은 프랑스 혁명 초기에 자코뱅과 같은 대중 사회가 수행했던 중심 역할을 끝내고, 직접 민주주의가 선출된 대표자들의 리더십에 자리를 내줄 때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신념은 마르스 광장 학살 (1791년 7월 17일)로 확고해졌다.
며칠 안에, 온건파 의원들이 자코뱅 클럽에서 대거 탈퇴하여 새로운 조직인 푀양 클럽을 결성했다. 푀양 클럽은 여름 내내 자코뱅 클럽과 지방 지부 및 파리 군중들의 충성을 얻기 위한 투쟁을 벌였으나, 결국 패배했다. 푀양파는 대중 사회가 개인적인 정치적 토론을 위한 모임 이상의 역할을 해서는 안 되며, 대중 정치 행동으로 발전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
르 샤펠리에는 헌법 위원회 의장 자격으로 국민 의회 마지막 회기에 대중 사회의 정치적 행동 권리를 제한하는 법안을 제출했다. 이 법안은 1791년 9월 30일에 통과되었고, 이 법을 준수한 푀양파는 구식이 되었다. 반면, 이를 무시한 급진파 자코뱅은 프랑스 혁명의 가장 중요한 정치 세력으로 부상했다.
마르스 광장 학살 이후, 바르나브는 수정 위원회 활동을 통해 대사, 군 사령관, 장관 임명 권한을 왕에게 확보해 줌으로써 루이 16세의 환심을 샀다. 루이 16세는 바르나브를 수석 고문으로 삼았고, 입법 의회 개회 시 바르나브가 작성한 연설을 했다. 이후 6개월 동안 프랑스는 푀양 내각으로 알려진 정부에 의해 통치되었다.
1792년 3월, 푀양 장관들은 오스트리아와의 전쟁에 반대하다가 지롱드에 의해 강제로 쫓겨났다. 이들은 왕당파로 낙인찍혀 군주제 몰락 이후 표적이 되었다. 1792년 8월, 841명의 회원 명단이 공개되었고,[6] 이들은 체포되어 반역죄로 재판을 받았다. 바르나브는 1793년 11월 29일에 단두대에서 처형되었다. '푀양'이라는 이름은 온건파, 왕당파, 귀족을 비난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푀양파는 원래 자코뱅파에 속해 프랑스 혁명을 주도했지만, 바렌 사건 대응을 둘러싸고 자코뱅 클럽에서 1791년 7월 16일에 탈퇴하여 분열된 그룹이다. 이들은 입헌 군주파로서 인권 선언의 정신을 준수했지만, 왕권의 불가침·신성을 주장하는 자유주의 귀족, 우파 부르주아층, 온건파 집단이었다. 주요 멤버로는 라파예트, 바르나브, 라메, 시에예스, 바유 등이 있으며, 혁명 초기에 대립했던 사람들도 모여 있었다.[17]
필니츠 선언과 망명 귀족의 책략으로 대외 전쟁이 불가피해지자, 푀양파는 지롱드파와 함께 주전론을 펼쳤다. 다만, 푀양파는 입헌 왕정 확립을 위해 초기 승리 후 군대를 파리로 불러들여 공화 분자를 탄압하려 했다. 그러나 프랑스군은 귀족 장교의 대량 망명으로 약화되어 연패했고, 라파예트 등의 파리 진격 계획도 실패했다. 결국 푀양파는 반혁명 왕당파로 간주되어 혁명에 대한 영향력을 완전히 잃었다.
1795년, 총재 정부 시대에 우파 세력이 부활하면서 전 푀양파 의원들이 망명에서 귀국했지만, 푀양 클럽은 이미 사라진 뒤였다. 이들은 '입헌군주파' 등으로 불렸으며, 제정 시대나 왕정 복고 시대에도 활동했다.
2. 1. 자코뱅 클럽과의 결별
1791년 7월 16일, 바렌느 사건 이후 자코뱅 클럽 내에서 공화정 지지 세력이 대두되자, 입헌군주제를 옹호하던 바르나브, 라메, 시에예스, 바유 등의 주요 인사들은 자코뱅 클럽에서 탈퇴하여 새로운 정치 클럽인 푀양파를 결성했다. 이들은 인권 선언의 정신을 지지했지만, 왕권의 신성불가침을 옹호했다.[17]1791년 10월 1일 성립된 입법 의회에서 푀양파는 264석을 차지하여, 공화정을 주장하는 136명의 자코뱅파(지롱드파 포함)와 대립했다.[18] 푀양파는 입헌군주제를 유지하고 혁명을 안정시키려 했으나, 샹 드 마르스 학살 사건으로 인해 민중의 지지를 잃고 세력이 약화되었다.[6]
2. 2. 입법 의회 시기 (1791년 10월 ~ 1792년 8월)
1791년 10월 1일, 입법 의회가 수립되면서 푀양파는 264석을 차지하여 우파 세력을 형성했다. 이들은 1791년 프랑스 헌법의 유지를 주장하며 혁명의 안정을 추구했고, 지롱드파를 포함한 136명의 좌파 자코뱅파 의원들과 대립했다.필니츠 선언과 망명 귀족들의 움직임으로 프랑스 혁명 전쟁이 불가피해지자, 푀양파는 입헌 왕정의 확립과 공화주의자 탄압을 목적으로 주전론을 펼쳤다. 그러나 라파예트와 뤼크네르 원수가 지휘하는 프랑스군은 귀족 장교들의 대량 망명으로 인해 전력이 약화되어 연패를 거듭했다. 라파예트와 뒤무리에는 파리 진격을 계획하여 왕실을 보호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대중은 푀양파를 반혁명 왕당파로 간주하여 혁명에 대한 영향력을 완전히 상실했다.[6]
1791년 12월 9일부터 1792년 3월 10일까지 푀양파는 책임 내각을 운영했지만, 외무대신이 지롱드파에 의해 파면되면서 내각이 붕괴되었다. 루이 16세는 이후 지롱드파 내각을 임명했지만, 6월 13일에 다시 푀양파 내각으로 복귀했다. 그러나 정권 운영 불능으로 7월 10일 총사퇴했고, 다음 날 의회는 "조국이 위기에 빠졌습니다."라는 선언을 했다.
1792년 8월 10일 사건으로 왕정이 폐지되고 공화정이 선포되면서 푀양파는 몰락했다. 푀양파 의원 대부분은 체포되어 처형되거나 망명해야 했다.[17]
2. 3. 몰락 이후
8월 10일 사건으로 왕정이 폐지되고 공화국이 선언되면서, 푀양파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푀양파 의원 대부분은 체포되었고, 일부는 단두대에서 처형되었으며, 나머지는 망명해야 했다.[6]1795년 총재 정부가 수립되고 우파 세력이 부활하면서, 망명했던 푀양파 의원들도 귀국하여 복귀했다. 그러나 푀양 클럽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들은 "입헌군주파"로 불리게 되었다. 푀양파 출신 인사들은 프랑스 제1제정과 부르봉 왕정복고 시기에도 활동했다.
3. 이념 및 정책
푀양파는 프랑스 인권 선언의 정신을 따르면서도 왕권의 신성불가침을 인정하는 입헌군주제를 지지했다.[17] 이들은 급진적인 혁명보다는 점진적인 개혁을 추구하는 온건파였다.[17]
푀양파는 강력한 군대 유지를 위해 소극적 시민의 국민 방위대 입대를 반대했다.[8] 또한, 생도맹그 설탕 농장과 토지 소유권 상실을 우려하여 흑인의 정치적 해방에 반대했다.[8]
4. 주요 인물
5. 평가
푀양파는 프랑스 혁명 초기에 입헌군주제를 수립하고 혁명을 안정시키려 노력했으나, 급진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민중의 요구를 수용하지 못하고 몰락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온건 개혁을 추구했지만, 당시 프랑스 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프랑스 혁명 전쟁이라는 위기 상황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는다.[6]
바르나브의 변절을 풍자하는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푀양파는 초기에는 민중의 편이었으나 점차 왕당파로 변질되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림에서는 1789년에는 민중의 편이었으나, 1791년에는 궁중의 편으로 묘사됨)[17]
푀양파는 1791년 프랑스 헌법 유지를 주장하며 혁명의 안정을 추구했지만, 샹 드 마르스 학살의 후유증으로 대중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 또한,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 연패하면서 궁지에 몰렸고, 결국 8월 10일 사건으로 왕정이 폐지되면서 몰락했다.[18]
참조
[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French Revolution
OUP Oxford
2015
[2]
서적
Life and Letters in France: The eighteenth century, by R. Fargher
Scribner
1970
[3]
간행물
Club of the Feuillants
https://www.britanni[...]
2021-04-05
[4]
서적
Revolutionary Ideas: An Intellectual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from The Rights of Man to Robespier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5]
문서
It was the original name of the Jacobin Club until its radicalization after the [[French First Republic|Republic]]'s birth.
[6]
간행물
Feuillants, Club of
[7]
서적
Revolutionary Ideas: An Intellectual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from The Rights of Man to Robespier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8]
문서
Furet and Ozouf, ''A Critical Dictionary of the French Revolution''. (1989) pp 343–350.
[9]
웹사이트
百科事典マイペディア - バルナーブ
https://kotobank.jp/[...]
2018-11-13
[10]
웹사이트
百科事典マイペディア - ラ・ファイエット
https://kotobank.jp/[...]
2018-11-13
[11]
웹사이트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https://kotobank.jp/[...]
2018-11-12
[12]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https://kotobank.jp/[...]
2018-11-12
[13]
웹사이트
百科事典マイペディア
https://kotobank.jp/[...]
2018-11-12
[14]
웹사이트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https://kotobank.jp/[...]
2018-11-13
[15]
서적
Revolutionary Ideas: An Intellectual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from The Rights of Man to Robespier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16]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 三頭派
https://kotobank.jp/[...]
2018-11-12
[17]
문서
라메트파의 별명으로 바르나브, 알렉상드르・라메트, 뒤포르의 세 명.[[오노레・미라보|미라보]]가 「세 양아치」라고 험담한 혁명 초기에 활약한 당파.
[18]
문서
프랑스 혁명은[[정당제|정당 정치]]는 아니었지만, 중립파(아직[[평원파]]라고는 보이지 않던 시절)가 345명으로 최다였다.
[19]
서적
Revolutionary Ideas: An Intellectual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from The Rights of Man to Robespierre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