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표준 음높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표준 음높이는 음표의 음높이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표준이 존재했다. 19세기 말 파리 회의와 빈 회의를 통해 A=435 Hz가 국제 표준으로 채택되었고, 슈투트가르트 회의에서는 A=440 Hz가 '슈투트가르트 표준음'으로 사용되었다. 1939년 런던 국제 회의에서 A=440 Hz가 표준으로 결정되었고, 1955년 ISO 16으로 승인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대에는 A=440 Hz가 일반적이지만, 일부 오케스트라에서는 A=442 Hz 또는 그 이상의 음높이를 사용하기도 하며, 바로크 음악에서는 A=415 Hz를 사용하기도 한다. 432Hz를 표준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지만, 이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주장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높이 - 콘트랄토
    콘트랄토는 여성 성악의 가장 낮은 음역과 음색을 지칭하는 용어로, 고전 및 오페라 성악에서 주로 사용되며 다양한 역할과 저명한 가수들을 포함하여 종교곡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음높이 - A440
    A440은 '가' 음을 440 Hz로 정의하는 표준 음높이로,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공식화되었으며, 콘서트 피치나 시대악기 운동의 기준으로 널리 사용된다.
  • 음악 이론 - 악보
    악보는 음의 높낮이와 길이, 악기, 연주법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호 체계로, 오선, 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를 사용하여 음악을 기록하고 전달하는 매체이다.
  • 음악 이론 - 음이름
    음이름은 조나 스케일과 관계없이 음의 높이를 나타내는 명칭으로, 서양 음악에서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각국별 표기법과 옥타브 구별법, 그리고 비서양 음악의 음이름 및 계명도 존재한다.
  • 소리 - 음악
    음악은 인간이 소리를 재료로 박자, 선율, 화성 등의 요소를 사용하여 감정과 사상을 표현하는 시간 예술로, 다양한 장르로 분류되며 작곡, 연주, 감상의 요소로 구성되어 예술, 오락, 종교 의식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 소리 - 의성어
    의성어는 사람, 동물, 사물 등의 소리를 흉내 내어 표현하는 단어로, 문화권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지만 시각적 효과나 기억술, 언어학적으로 소리와 의미의 관계를 보여주는 예시로 활용된다.
표준 음높이
음높이 기준점
설명악기 조율을 위한 참조점
역사적 음높이
베르사이유 음높이a¹ ≈ 392 Hz
헨델-슈나이트거 오르간 음높이a¹ ≈ 480 Hz
표준 음높이
국제 표준 음높이a¹ = 440 Hz
미국 표준 음높이a¹ = 440 Hz
유럽 표준 음높이a¹ = 440 Hz
기타 음높이
철학적 음높이c¹ = 256 Hz (a¹ ≈ 430.5 Hz)

2. 역사

역사적으로 다양한 표준이 특정 주파수에서 음표의 음높이를 교정하기 위해 쓰였다.[38] 또한 음계에서의 음표의 상대 주파수를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도 음악 조율의 다양한 시스템이 사용되어 왔다.

과거에는 특정 음표의 음높이를 고정하기 위해 다양한 표준이 사용되었다.[3] 또한, 음계 내에서 음표의 상대적인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음악 조율 시스템이 사용되었다.

썸네일


썸네일


썸네일


역사적, 또는 지리적 요인에 따라 다양한 표준음이 사용되어 왔다. 속설에는 교회의 오르간 피치 수만큼 표준음이 있었다고 할 정도이다. 음높이를 정하는 음차가 발명된 후에도, 제작자에 따라 그 음높이는 제각각이었다. 역사적인 관악기에서는, 그 피치가 악기 자체에 의해 추정될 수도 있다.

19세기 말에, 파리 회의 (1859) 및 빈 회의 (1885)의 결의에 따라, 표준음은 A = 435 Hz가 국제 표준음으로 사용되게 되었다. 이와 별도로, 슈투트가르트 회의 (1834)에서 정해진 A = 440 Hz가 「슈투트가르트 (샤이블러) 표준음」으로 사용되었다.

이 외에도, 물리학에서는 계산상의 편의를 위해 중앙 C를 256 Hz (28 Hz)로 하고, 그 결과로서 그 위의 A음은 대략 430.54 Hz가 되는 표준음이 사용된다. 이 방식에서는 C음이 2의 거듭제곱이 되기 때문에, 이를 이학 조율, 또는 물리학 조율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1939년, 런던 국제 회의에서, 표준음은 중앙 C 위의 A음 440 Hz로 결정되었고, 이후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33]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도, 1955년에 ISO 16으로 승인되었고, 1975년에 재확인되었다.

2. 1. 19세기 이전

19세기 이전에는 음높이를 규정하기 위한 협력적인 시도가 없었으며, 유럽 전역의 기준들은 다양했다.[39] 심지어 같은 도시 내에서도 음높이가 달랐으며, 17세기 영국에서는 대성당 오르간과 가정용 건반 악기 간에 최대 5반음까지 차이가 났다.[39]

오르간 파이프의 조율 방식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오르간의 음높이가 점차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파이프 끝을 원뿔형 도구로 두드려 안쪽으로 구부리면 음높이가 높아지고, 바깥쪽으로 구부리면 낮아지는 방식이었다.[4]

1711년 소리굽쇠가 발명되면서 음높이 조절이 가능해졌지만,[39] 여전히 지역 및 시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헨델과 관련된 1740년 소리굽쇠는 A=422.5Hz로, 1780년 소리굽쇠는 A=409Hz로 조율되어 약 1/4음 낮았다.[39][4] 1800년경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소리굽쇠는 A=455.4Hz로 반음 이상 높았다.[39][5]

18세기 말에는 가온다 위 A의 주파수가 대체로 400Hz에서 450Hz 사이였다.[39]

마랭 메르센이 17세기에 음파 주파수를 대략적으로 측정했지만,[39] 이러한 측정은 1830년대 독일 물리학자 요한 샤이블러의 연구를 시작으로 19세기에 이르러 과학적으로 정확해졌다. 주파수는 초당 사이클(CPS)로 측정되었고, 20세기 동안 하인리히 헤르츠를 기리기 위해 ''헤르츠(Hz)''로 대체되었다.[39]

2. 2. 피치 인플레이션

기악 음악이 부각되면서 음높이가 점차 상승하는 '피치 인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났다.[40] 이는 경쟁적인 기악 연주자들이 서로 더 밝고 훌륭한 소리를 내려는 시도에서 비롯되었으며, 현악기의 경우 끈 장력이 높을수록 고조파 진폭이 커져 실제로 더 밝은 소리를 내는 결과로 이어졌다. 관악기 제조자들 또한 이러한 경향에 영향을 받았다.[40]

17세기 초, 미하엘 프레토리우스는 그의 저서 《음악대전》(Syntagma musicum)에서 가수들의 목 부상과 현악기 연주자들의 현 끊어짐에 대한 불만을 언급하며, 당시 음높이가 오늘날보다 최소 단3도 높았다고 기록했다.[41]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성악과 오르간()과 실내악 합주단()에 대한 개별적인 표준이 제정되기도 했다.[41] 칸타타와 같이 두 그룹이 함께 연주할 때는 서로 다른 조성을 사용하기도 했다.[41] 이러한 방식은 약 2세기 동안 피치 인플레이션을 억제했다.[41]

오케스트라의 등장으로 피치 인플레이션이 다시 가속화되었다.[41] 1815년 드레스덴 오페라 하우스의 소리굽쇠는 A=423.2Hz였으나, 1826년에는 A=435Hz로 상승했다.[41] 밀라노스칼라 극장에서는 가온다 위의 A가 451Hz까지 높아지기도 했다.[41] 19세기에 콘서트 음높이는 더욱 상승했는데, 1795년 베르사유 궁전의 파이프 오르간 조율관은 390 Hz였고,[8] 1810년 파리 오페라 조율관은 A = 423 Hz, 1822년 조율관은 A = 432 Hz, 1855년 조율관은 A = 449 Hz를 나타낸다.[7]

2. 3. 19세기와 20세기의 표준

19세기에는 음높이가 높아지는 경향에 대한 가수들의 불만이 커지면서, 1859년 프랑스 정부는 가온다 위의 A를 435Hz로 정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42] 이는 음높이 표준화의 첫 시도였으며, '국제 표준음'(diapason normal)으로 알려졌다. 이 표준은 프랑스 밖에서도 널리 사용되어 '프렌치 피치', '컨티넨털 피치', '국제 음높이' 등으로 불렸다.[42] 1885년 빈 회의에서는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헝가리, 러시아, 프로이센, 작센, 스웨덴, 뷔르템베르크 사이에서 이 표준을 확립했고,[42] 1919년 베르사유 조약에도 포함되었다.[43]

가온다를 256Hz(2의 8제곱)로 정의하는 '철학적 음높이' 또는 '과학적 음높이'도 제안되었는데, 이 경우 A는 약 430.54Hz가 된다.[44] 이 방식은 모든 C음의 진동수가 2의 거듭제곱이 된다는 수학적 이점을 가졌지만 널리 채택되지는 않았다.

19세기 영국에서는 A=약 452Hz의 '구 교향악적 음높이 표준'이 사용되다가 1896년 A=439Hz의 '신 교향악적 음높이'로 대체되었다.[49][50] 런던 퀸즈 홀에서는 프롬나드 콘서트를 위해 국제 표준음(Diapason Normal)을 채택하여, 오르간을 15°C에서 A=435.5Hz, 따뜻한 홀에서는 A=439Hz로 조율했다.[48]

1834년 슈투트가르트 회담에서는 셰이블러의 토노미터 연구를 기반으로 A440을 표준 조율음으로 추천했다.[52] 이러한 이유로 A440은 '슈투트가르트 음높이' 또는 '셰이블러 음높이'라고 불렸다.

1939년 런던 국제 회담에서 A=440Hz가 표준 조율음(Concert Pitch)으로 추천되었고,[53] 1955년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ISO 16으로 채택, 1975년에 재확인되었다.[53] 초기 표준은 A=439Hz였으나, 실험실에서 재현하기 어려워 A=440Hz로 대체되었다.[53]

|thumb|right|1927년 Conn 뉴 원더 시리즈 2 알토 색소폰으로 'H'는 'High Pitch'(A=456 헤르츠)를 의미한다.]]

3. 현대의 표준 음높이

가온다 위의 '''A'''는 440Hz로 정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런 혼란에도 불구하고 A=440Hz는 유일한 공식 표준으로 전세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54] 영국의 많은 오케스트라들이 이 기준을 콘서트 피치로서 고수하고 있다.[54] 미국에서 일부 오케스트라는 A=440Hz를 사용하는 반면 뉴욕 필하모닉과 같은 오케스트라는 A=442Hz를 사용한다.[55] 또한 유럽, 특히 덴마크, 프랑스, 헝가리, 이탈리아, 노르웨이, 스위스에서도 조율 진동수로 후자가 사용된다.[54] 독일과 오스트리아, 그리고 러시아와 유럽 같이 유럽 대륙의 많은 다른 나라들의 현대 교향악단은 A=443Hz에 맞춰 조율한다.[54]

실제로 대부분의 오케스트라는 오보에가 내는 음에 맞춰 조율하고, 대다수의 오보이스트들은 조율음을 연주할 때 전자 조율기를 사용한다. 일부 오케스트라는 전자 발진기(Tone Generator)를 사용하여 조율한다.[56] 피아노와 같이 음높이가 고정된 악기로 연주할 때, 오케스트라는 일반적으로 그 악기에 맞춰 연주한다. 피아노는 보통 오케스트라의 정상적인 음높이에 맞춰 조정될 것이다. 전반적으로 과거보다는 훨씬 느리게 상승하긴 해도, 20세기 중반 이후 일반적인 경향은 표준 음높이가 상승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베를린 필하모닉과 같은 일부 오케스트라는 이전의 최고 표준인 445Hz보다 약간 낮은 443Hz를 사용한다.[57]

바로크 음악 공연을 전문으로 하는 많은 현대 앙상블들은 A=415hZ에 동의했다. 440Hz보다 낮은 정확한 평균율의 반음은 415.30Hz이며, 이는 가장 가까운 정수로 반올림된다. 원칙적으로 이것은 음높이가 정해진 악기의 일부가 반음이 이조되는 경우 그를 따라 연주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나 가령 바흐칸타타에서 라이프치히 시대 이전과 같이, 특정 작품의 합창단 음색(Chorton)에 440Hz보다 대략 반음 높게 460~470Hz로 조율하는 것은, 특히 독일 바로크 양식에서는 일반적인 공연 관행이다.[58]

쿠바의 오케스트라는 일반적으로 A436을 음높이로서 사용함으로서 구하기 어려운 현이 더 오래 지속되도록 한다. 2015년 미국인 피아니스트인 시몬 디너스틴은 이 문제에 관심을 가졌고 이후에 친구들이 기증한 현을 갖고 쿠바를 여행했다.[59][60]

3. 1. 432Hz에 대한 논쟁적인 주장

21세기 초, 지배적인 440Hz 대신 432Hz 조율 채택을 주장하는 웹사이트와 온라인 동영상이 많이 제작되었다.[61][62] 이들은 432Hz 음정이 치유력이 있다는 잘못된 주장을 하거나, 나치가 440Hz 튜닝을 선호했다는 음모론을 제기하기도 한다.[61][62]

참조

[1] 웹사이트 Concert Pitch Transposition https://bandnotes.in[...] 2021-02-17
[2] 서적 History of Performing Pitch: The Story of "A" Scarecrow Press 2002
[3] 웹사이트 Pitch, temperament and timbre http://www.dolmetsch[...] Dolmetsch Online
[4] 간행물 Pitch in Western Music since 1500. A Re-Examination https://www.jstor.or[...] 1978
[5] 웹사이트 Beethoven's tuning fork http://blogs.bl.uk/m[...] British Library 2017-03-28
[6] 서적 Syntagma Musicum: Parts I and II. De Organographia. II, Parts 1–2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1991
[7] 서적 The Historical Performance of Music: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8]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Orga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9] 서적 Berlioz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10] 서적 Cultural Law: International, Comparative, and Indigenou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1-08
[11] 서적 Treaty of Versailles https://www.loc.gov/[...] 2020-01-08
[12] 문서 Funk & Wagnalls New Encyclopedia. Funk & Wagnalls 1983
[13] 웹사이트 For a Verdi Opera in the Verdi Tuning in 2001 http://www.schilleri[...] Schiller Institute 2013-04-21
[14] 서적 Verdi: Requie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간행물 International Standard Musical Pitch https://www.jstor.or[...] 1949
[16] 문서 The Life of Sims Reeves, written by himself Simpkin Marshall 1888
[17] 문서 My Life of Music Gollancz 1938
[18] 서적 Sound: An Elementary Textbook for Schools and Colleges https://books.google[...] The University Press
[19] 서적 The Modern Brass Band: From The 1930s to the New Millennium Ashgate Publishing Limited (UK); Ashgate Publishing Company (US)
[20] 웹사이트 The Pitch and Scale of the Great Highland Bagpipe http://publish.uwo.c[...] 2017-04-09
[21] 서적 The Theory of Sound, Vol. I Dover 1945
[22]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 pitch a=440 hertz http://www.wam.hr/sa[...]
[23] 문서 Other Orchestras: Advice, 28 Oct 1963 - 20 Nov 1964, Folder 009-12-07, Executive Records, New York Philharmonic Shelby White & Leon Levy Digital Archives. https://archives.nyp[...]
[24] 뉴스 Finding the Perfect ‘A’ Sparks a Pitch Battle. New York Times 1987-08-30
[25] 웹사이트 Why does the orchestra always tune to the oboe? https://www.rockford[...] Rockfordsymphony.com 2021-05-23
[26] 웹사이트 Der Zauber des perfekten Klangs https://www.zeit.de/[...] 2018-10-11
[27] 서적 The Baroque Clarinet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28] 문서 Oxford Composer Companion JS Bach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9] 웹사이트 Simone Dinnerstein on a Trip to Cuba and Making Music out of Difficulty https://www.npr.org/[...] NPR 2018-10-11
[30] 뉴스 A Brooklyn pianist who can't speak Spanish brings a Cuban orchestra to the United States https://www.washingt[...] 2018-03-13
[31] 웹사이트 The great 440 Hz conspiracy, and why all of our music is wrong https://globalnews.c[...] 2020-05-10
[32] 웹사이트 The '432 Hz vs. 440 Hz' conspiracy theory https://jakubmarian.[...] 2020-02-22
[33]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 pitch a=440 hertz http://www.wam.hr/sa[...] 2023-03-31
[34] 웹사이트 Why does the orchestra always tune to the oboe? https://www.rockford[...] Rockfordsymphony.com 2021-05-23
[35] 웹사이트 Der Zauber des perfekten Klangs https://www.zeit.de/[...] 2018-10-11
[36] 서적 The Baroque Clarinet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37] 서적 History of Performing Pitch: The Story of "A" https://archive.org/[...] Scarecrow Press 2002
[38] 웹인용 Pitch, temperament and timbre http://www.dolmetsch[...] Dolmetsch Online
[39] 웹인용 Beethoven's tuning fork http://blogs.bl.uk/m[...] British Library 2017-03-28
[40] 웹사이트 History of Pitch – The Diapason Normal https://capionlarsen[...]
[41] 서적 Syntagma Musicum: Parts I and II. De Organographia. II, Parts 1–2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1991
[42] 서적 Cultural Law: International, Comparative, and Indigenou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1-08
[43] 서적 Treaty of Versailles https://www.loc.gov/[...] 2020-01-08
[44] 간행물 Funk & Wagnalls New Encyclopedia Funk & Wagnalls 1983
[45] 웹인용 For a Verdi Opera in the Verdi Tuning in 2001 http://www.schilleri[...] Schiller Institute 2013-04-21
[46] 서적 Verdi: Requie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7] 서적 The Life of Sims Reeves, written by himself Simpkin Marshall 1888
[48] 서적 My Life of Music Gollancz 1938
[49] 서적 Sound: An Elementary Textbook for Schools and Colleges https://books.google[...] The University Press
[50] 서적 The Modern Brass Band: From The 1930s to the New Millennium Ashgate Publishing Limited (UK); Ashgate Publishing Company (US)
[51] 웹인용 The Pitch and Scale of the Great Highland Bagpipe http://publish.uwo.c[...] 2017-04-09
[52] 서적 The Theory of Sound, Vol. I Dover 1945
[53] 웹인용 A brief history of the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 pitch a=440 hertz http://www.wam.hr/sa[...]
[54] 웹사이트 Table of European orchestra tunings – Europe E–SK http://members.aon.a[...]
[55] 웹사이트 Table of orchestra tunings – Africa, America, Asia, Oceania http://members.aon.a[...]
[56] 웹인용 Why does the orchestra always tune to the oboe? http://www.rockfords[...] Rockfordsymphony.com 2018-03-13
[57] 웹인용 Der Zauber des perfekten Klangs https://www.zeit.de/[...] 2018-10-11
[58] 간행물 Oxford Composer Companion JS Bach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59] 웹인용 Simone Dinnerstein on a Trip to Cuba and Making Music out of Difficulty https://www.npr.org/[...] NPR 2018-10-11
[60] 웹인용 A Brooklyn pianist who can’t speak Spanish brings a Cuban orchestra to the United States https://www.washingt[...] 2018-03-13
[61] 웹인용 The great 440 Hz conspiracy, and why all of our music is wrong https://globalnews.c[...] 2020-05-10
[62] 웹인용 The '432 Hz vs. 440 Hz' conspiracy theory https://jakubmarian.[...] 2020-0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