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의성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의성어는 사람, 동물, 사물의 소리를 흉내 낸 단어를, 의태어는 모양이나 움직임을 흉내 낸 단어를 의미한다. '오노마토페'는 의성어와 의태어를 아울러 이르는 말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 한국어를 비롯한 여러 언어에서 의성어와 의태어는 다양하게 사용되며, 언어별로 표현 방식과 범위에 차이가 있다. 의성어는 만화,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언어 발달 과정과 언어 습득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성어 - 가르랑
    가르랑은 고양이과 동물이 호흡 시 내는 특유의 진동음으로, 의사소통, 친밀함 표현, 고통 완화, 자기 안정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특정 주파수는 뼈와 근육의 치유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가 있다.
  • 의성어 - 비프음
    비프음은 전자적인 짧은 소리로, 오류 알림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기기나 시스템에서 정보 전달, 경고,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 오류 진단, 사용자 인터페이스 피드백, 시스템 경고음, POS 시스템, 의료기기, 자동차 후방감지기, 전화 통신 시스템, 콜백 요청 신호, 방송 검열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시적 장치 - 두운
    두운은 문학, 음악, 연설 등에서 리듬감과 강조 효과를 위해 사용되는 수사법으로, 단어의 첫 자음 소리를 반복하여 특정 단어에 주의를 집중시키거나 분위기를 조성하며, 광고나 회사 이름 등 일상생활에서도 널리 활용된다.
  • 시적 장치 - 즉흥
    즉흥은 사전 계획이나 준비 없이 즉석에서 창작하는 활동으로, 예술, 과학,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창의적 사고, 직관, 숙련된 기술, 빠른 상황 판단 능력이 요구된다.
  • 소리 - 음악
    음악은 인간이 소리를 재료로 박자, 선율, 화성 등의 요소를 사용하여 감정과 사상을 표현하는 시간 예술로, 다양한 장르로 분류되며 작곡, 연주, 감상의 요소로 구성되어 예술, 오락, 종교 의식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 소리 - 진폭
    진폭은 파동의 세기를 나타내는 척도로, 파동 방정식에서 최대 변위 값으로 표현되지만, 실제 신호의 형태에 따라 피크 진폭, 피크-피크 진폭, RMS 진폭 등 다양한 측정 방법이 사용되며, 특히 RMS 진폭은 복잡한 신호에 유용하고 통신, 천문학, 음향 분야 등에서 중요한 파라미터로 활용된다.
의성어
기본 정보
정의소리를 흉내내는 단어
다른 용어음성 상징, 모방어, 의태어 (일부 언어)
예시
시계 소리 (영어)tick tock
시계 소리 (스페인어)tic tac
시계 소리 (중국어)dī dā
시계 소리 (일본어)kachi kachi
시계 소리 (힌디어)ṭik-ṭik
추가 정보
관련 개념음성 상징
참고의성어와 의태어

2. 정의 및 어원

의성어(擬聲語, onomatopoeia영어)는 사람이나 동물의 소리, 사물의 소리를 흉내 낸 단어를 말하며, 의태어(擬態語)는 모양이나 움직임을 흉내 낸 단어를 말한다. '오노마토페(オノマトペ)'는 의성어와 의태어를 아울러 이르는 말로, 고대 그리스어 'ὀνοματοποιίαgrc'(오노마토포이아, '이름 만들기'라는 뜻)에서 유래한 영어 'onomatopoeia'를 일본어식으로 발음한 것이다.

영어 단어 "onomatopeia"는 "이름 짓기"라는 뜻을 가진 고대 그리스어 합성어 ὀνοματοποιίαgrc (onomatopoiía)에서 유래했다.[4] 이는 ὄνομαgrc (ónoma, "이름")[4]과 ποιέωgrc (poiéō, "만들기")[5][6]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리를 흉내내는 단어는 '의성어적인',[9] '의성어의',[10] '모방적인', 또는 '반향적인'이라고 할 수 있다.

개구리 울음소리는 전 세계적으로 서식하는 다양한 개구리 종에 따라 다르게 표기될 수 있다. 고대 그리스어 brekekekex koax koaxgrc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 ''개구리''에서만 등장)는 아마도 논개구리를 나타내는 표현일 것이고, 북미에서 발견되는 개구리 종에는 영어 ''ribbit''가 사용되며, 갈색개구리에는 영어 동사 ''croak''가 사용된다.[11]

다른 일반적인 예시로는 ''딸꾹질'', zoom, bang, ''beep'', moo, ''splash'' 등이 있다. 자동차 경적은 ''honk'' 또는 ''beep-beep'', 내연 기관은 ''vroom'' 또는 ''brum''과 같이 기계와 그 소리는 의성어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사람의 소리도 때때로 의성어의 예시를 제공하는데, 키스를 나타낼 때 ''mwah''가 사용되는 경우가 그렇다.[12] 동물의 경우, ''quack''(오리), ''moo''(소), ''bark'' 또는 ''woof''(개), ''roar''(사자), ''야옹''/''미아우'' 또는 ''골골거림''(고양이), ''cluck''(닭), ''baa''(양)과 같은 단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일부 언어는 의성어를 유연하게 구조에 통합하여 새로운 단어로 발전시키기도 한다. 양의 울음소리를 나타내는 영어 단어 ''bleat''가 한 예인데, 중세 시대에는 대략 ''blairt''(R 성분 없이) 또는 모음이 길게 발음되는 ''blet''으로 발음되어 현대 발음보다 양의 울음소리와 더 유사했다. 반면, ''뻐꾸기''는 앵글로색슨 시대와 거의 같은 발음을 유지해 왔는데, 이는 수세기 동안 새의 소리에 대한 지속적인 익숙함 때문이다.

때로는 사물이 내는 소리로 이름이 지어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zip(영국) 또는 지퍼(미국)는 소리에서 이름이 지어진 보편적인 고정 장치이다. 흰뺨멧새, 위로, 모어포크, 킬디어, 쇠박새, 까치, 뻐꾸기, 휘파람새, 캐나다두루미, 칡때까치, 웃는물총새처럼 많은 새들이 그들의 울음소리로 이름이 지어졌다. 타밀어말라얄람어에서 까마귀를 나타내는 단어는 kākāml이다.

2. 1. 다양한 용어

한국어에서는 의성어, 의태어 외에도 '음성상징어', '성유법', '사음법' 등 다양한 용어가 사용된다.[33][34][35] 일본어에서는 '의음어(擬音語)'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사물이 내는 소리를 흉내 낸 말을 지칭하기도 하며, 사람이나 동물이 내는 소리를 흉내 낸 말은 '의성어'로 구분하여 사용하기도 한다.[35]

3. 언어별 의성어 및 의태어

의성어와 의태어는 각 언어의 음운 체계와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1650년판 ''보편 음악론(Musurgia Universalis)''에 따르면, 암탉은 "to to too" 소리를 내고, 병아리는 "glo glo glo" 소리를 낸다.


빵총, 하나의 소품


개구리 울음소리는 전 세계적으로 서식하는 다양한 개구리 종이 다른 소리를 내기 때문에 표기가 다를 수 있다. 고대 그리스어 brekekekex koax koaxgrc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 ''개구리''에서만 등장)는 논개구리를 나타내는 표현이며, 북미 개구리는 ''ribbit''(영어), 갈색개구리는 ''croak''(영어 동사)로 표현한다.[11]

영어의 일반적인 의성어로는 ''딸꾹질'', ''zoom'', ''bang'', ''beep'', ''moo'', ''splash'' 등이 있다. 기계와 그 소리는 의성어로 묘사되는데, 자동차 경적은 ''honk'' 또는 ''beep-beep'', 내연 기관은 ''vroom'' 또는 ''brum''으로 표현한다. 전기 아크 방전 사고는 ''zap''으로 표현한다.

사람의 소리도 의성어의 예시가 되는데, 키스는 ''mwah''로 표현한다.[12]

동물 소리는 영어에서 ''quack''(오리), ''moo''(소), ''bark'' 또는 ''woof''(개), ''roar''(사자), ''야옹''/''미아우'' 또는 ''골골거림''(고양이), ''cluck''(닭), ''baa''(양)과 같이 표현한다.

일부 언어는 의성어를 유연하게 구조에 통합하여 새로운 단어로 발전시키기도 한다. 양의 울음소리를 나타내는 영어 단어 ''bleat''는 중세 시대에는 ''blairt'' 또는 ''blet''으로 발음되었는데, 이는 현대 발음보다 양의 울음소리와 더 유사하다. 반면, ''뻐꾸기''는 앵글로색슨 시대와 거의 같은 발음을 유지해 왔다.

''Verba dicendi''('말하는 단어')는 의성어와 의태어를 문법에 통합하는 방법이다.

zip(영국) 또는 지퍼(미국)처럼 사물이 내는 소리로 이름이 지어지기도 한다. 흰뺨멧새, 위로, 모어포크, 킬디어, 쇠박새, 까치, 뻐꾸기, 휘파람새, 캐나다두루미, 칡때까치, 웃는물총새처럼 새 울음소리로 이름이 지어진 경우도 있다.

다양한 문화권에서 비슷한 소리도 언어에 따라 다르게 표현한다. 가위질 소리 "snip"은 이탈리아어 "cri-criit",[13] 스페인어 "riqui-riquies",[13] 포르투갈어 "terre-terrept"[13], 현대 그리스어 "",[13] 알바니아어 "", 힌디어 ""이다. 자동차 경적 소리 "honk"은 표준중국어 "", 프랑스어 "tut-tut프랑스어", 일본어 "", 한국어 "빵빵", 노르웨이어 "bært-bærtno", 포르투갈어 "fom-fompt", 베트남어 ""이다.

두운과 자음의 조화를 이용하여 의성 효과를 낼 수도 있다.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의 ''늙은 항해사의 노래''에 나오는 "furrow followed free" 구절이 대표적인 예이다.

3. 1. 한국어

한국어는 의성어와 의태어가 매우 발달한 언어 중 하나이다.

'''의성어 예시'''

대상소리
메에메에
돼지부부부
심장두근두근
유리까장
전자레인지
폭발
라면쭈르르르
과자바삭바삭
천둥우르릉
어깨, 문똑똑
폭죽, 충돌쿵(쾅)
기계나 도구덜걱덜걱
기계 버튼찍(딸깍)
전화번호 입력, DTMF삐뽀빠
전철덜컹(덜커덩)
가열 조리
박수, 땔나무 불탁탁
기체 분출슈우
미끄러짐슈욱
종이 찢어짐찌릿찌릿
배변뿌직뿌직



소리를 내는 주체가 같더라도 언어가 다르면 표현도 다르며, 특정 언어에만 존재하는 의성어도 있다.

'''예시: 가 짖는 소리'''

3. 1. 1. 한국어 의성어의 특징

한국어 의성어는 다른 언어에 비해 더욱 세분화되고 구체적인 특징을 지닌다. 예를 들어, '물 흐르는 소리'만 해도 '졸졸', '콸콸', '주룩주룩' 등 다양하게 표현하며, 이러한 표현은 미묘한 소리의 차이와 어감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3. 2. 영어

영어에도 다양한 의성어와 의태어가 존재한다.

개구리 울음소리는 전 세계적으로 서식하는 다양한 개구리 종이 다른 소리를 내기 때문에 표기가 다를 수 있다. 논개구리는 고대 그리스어로 brekekekex koax koaxgrc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 ''개구리''에서만 등장)라고 표현했고[11], 북미 개구리는 영어 ''ribbit''로 표현하며[11], 갈색개구리는 영어 동사 ''croak''로 표현한다.[11]

다른 일반적인 영어 의성어로는 ''딸꾹질'', ''zoom'', ''bang'', ''beep'', ''moo'', ''splash'' 등이 있다. 기계와 그 소리는 의성어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은데, 자동차 경적은 ''honk'' 또는 ''beep-beep'', 내연 기관은 ''vroom'' 또는 ''brum''으로 표현한다. 전기 아크 방전 사고에는 ''zap''이라는 단어가 자주 사용된다.

사람의 소리도 때때로 의성어의 예시를 제공하는데, 키스를 나타낼 때 ''mwah''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12]

동물 소리의 경우, 영어에서는 ''quack''(오리), ''moo''(소), ''bark'' 또는 ''woof''(개), ''roar''(사자), ''야옹''/''미아우'' 또는 ''골골거림''(고양이), ''cluck''(닭), ''baa''(양)과 같은 단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일부 언어는 의성어를 유연하게 구조에 통합한다. 이것은 새로운 단어로 발전할 수 있으며, 그 과정이 더 이상 의성어로 인식되지 않는 지점까지 이를 수 있다. 양의 울음소리를 나타내는 영어 단어 ''bleat''가 한 예이다. 중세 시대에는 대략 ''blairt''(그러나 R 성분 없이) 또는 모음이 길게 발음되는 ''blet''으로 발음되었는데, 이것은 현대 발음보다 양의 울음소리와 더 유사하다.

반대의 경우의 예는 ''뻐꾸기''인데, 수세기 동안 새의 소리에 대한 지속적인 익숙함으로 인해 앵글로색슨 시대와 거의 같은 발음을 유지해 왔으며, ''furrow''라는 단어에서처럼 모음이 변하지 않았다.

''Verba dicendi''('말하는 단어')는 의성어와 의태어를 문법에 통합하는 방법이다.

때로는 사물이 내는 소리로 이름이 지어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는 내는 소리로 이름이 지어진 보편적인 고정 장치가 있는데, 바로 zip(영국) 또는 지퍼(미국)이다. 많은 새들은 그들의 울음소리로 이름이 지어졌는데, 예를 들어 흰뺨멧새, 위로, 모어포크, 킬디어, 쇠박새, 까치, 뻐꾸기, 휘파람새, 캐나다두루미, 칡때까치, 그리고 웃는물총새가 있다.

의성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두운과 자음의 조화를 이용하여 어구나 단어의 연쇄를 통해 의성 효과를 낼 수 있다. 가장 유명한 예로는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의 ''늙은 항해사의 노래''에 나오는 "furrow followed free"라는 구절이 있다.

  • 제임스 조이스(James Joyce)는 그의 소설 《율리시스》(Ulysses, 1922)에서 문을 두드리는 소리를 나타내는 의성어 "tattarrattat"를 만들어냈다.[15] 이 단어는 《옥스퍼드 영어사전》(The Oxford English Dictionary)에 등재된 가장 긴 회문(palindrome) 단어로 나와 있다.[16]
  • 로이 리히텐슈타인(Roy Lichtenstein)의 작품 《쾅!(Whaam!)》(1963)은 팝 아트(pop art)의 초기 사례이다.
  • 1960년대 TV 시리즈 《배트맨》(Batman)에서는 "wham!", "pow!", "biff!", "crunch!", "zounds!"와 같은 만화책 스타일의 의성어가 싸움 장면 중 화면에 나타난다.
  • 유비소프트(Ubisoft)의 게임 《13》(XIII)은 총격, 폭발, 살해 장면에 각각 "bam!", "boom!", "noooo!"와 같은 만화책 스타일의 의성어를 사용했다.
  • 미국의 유명 작곡가 존 프라인(John Prine)의 노래 "Onomatopoeia"의 후렴구에는 "Bang! went the pistol", "Crash! went the window", "Ouch! went the son of a gun"과 같이 의성어가 사용된다.
  • 구슬 게임 《커플렁크》(KerPlunk)는 제목 자체가 의성어로, 너무 많은 막대기를 제거했을 때 구슬이 떨어지는 소리를 나타낸다.
  • 니켈로디언(Nickelodeon) 만화의 제목 《카블람!(KaBlam!)》은 추락하는 소리의 의성어로 해석된다.
  • TV 시리즈 《하퍼스 아일랜드》(Harper's Island)의 각 에피소드에는 등장인물이 죽을 때 나는 소리를 모방한 의성어 제목이 붙는다.
  • 과장된 그림체로 유명한 매드(Mad) 매거진 만화가 돈 마틴(Don Martin)은 그의 그림에 창의적인 만화책 스타일의 의성어 효과음을 자주 사용했다.


;예: 개(イヌ)가 짖는 소리

언어짖는 소리
영어(영어)bow-wow, bark-bark, woof-woof, arf-arf, ruff-ruff


3. 3. 일본어

일본어는 의성어와 의태어가 매우 풍부한 언어로, 4,000개가 넘는 의성어와 의태어가 존재한다.[24] 이러한 단어들은 일상 대화부터 뉴스 보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된다.

일본어의 의성어 및 의태어는 크게 네 가지 범주로 나뉜다.[24]

종류명칭설명예시
의성어擬声語|기세이고일본어사람이나 동물이 내는 소리개 짖는 소리: ワンワン|완완일본어
의음어擬音語|기온고일본어무생물이 내는 소리폭우 소리: ザーザー|자-자-일본어
의태어擬態語|기타이고일본어소리가 아닌, 외부 세계의 상태흠뻑 젖은 상태: びしょびしょ|비쇼비쇼일본어
의정어擬情語|기조고일본어심리적 상태나 신체적 감각녹초가 된 상태: くたくた|쿠타쿠타일본어



처음 두 가지(의성어, 의음어)는 소리를 모방한다는 점에서 의성어의 개념과 일치한다. 반면, 나머지 두 가지(의태어, 의정어)는 소리뿐만 아니라 상태나 감정까지 나타낸다는 점에서 의성어와는 다르지만, 개념을 모방적으로 나타낸다는 점에서는 의성어와 유사하다.[24] 예를 들어, しいんと|시-ㄴ토일본어는 조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의태어이다.

일본어 의성어는 때때로 중복된 단어를 생성하기도 한다.[22]

이러한 개념을 나타내는 용어는 일본어에서 통일되어 있지 않다. 고대 그리스어 ὀνοματοποιία|오노마토포이아grc[29]를 어원으로 하는 영어 onomatopoeia|오나마타피아영어[30], 프랑스어 onomatopée|오노마토페프랑스어[31]의 일본어 발음인 '오노마토피아'(オノマトピア), '오노마토페아'(オノマトペア)[32], '오노마토페'(オノマトペ)를 사용하기도 한다.

일본어 번역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의성어 - 『신영화대사전』 연구사
  • 물소리 모방 - (동상)
  • 성유법 - 시마무라 류타로 『신미사학』
  • 의성법 - 『일본백과대사전』
  • 사음법 - 쿠로이와 다이 역술 『웅변미사법』
  • 성유 - 마스다 후지노스케 『영화비교・영어수사학강의』


일본 문부과학성이 간행하는 『학술용어집』은 "onomatopoeia영어"를 "의성어"로 하고 있다.

의성어, 의태어를 합쳐 부르는 말로는 '''오노마토페'''(オノマトペ) 외에 '''음상징어'''(sound symbolism), '''상징어''' 등의 용어도 사용된다.[33][34][35]

擬音語|기온고일본어(의음어)는 사물이 내는 소리를 글자로 모방한 것이다. 같은 언어라도 시대에 따라 표현이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교겐(狂言)에서는 개 짖는 소리를 “비요”라고 표현했다.[36] 擬音語|기온고일본어는 가타카나(カタカナ)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으며, '의성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현재는 擬音語|기온고일본어(의음어)가 더 일반적이다.[35] 사람이나 동물이 내는 소리를 모방한 말은 擬音語|기온고일본어(의음어)의 하위 분류로 '의성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擬音語|기온고일본어(의음어)와 의태어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37] 예를 들어 “자아자아 물을 끼얹다”에서 “자아자아”는 물이 떨어지는 소리 같기도 하고, 물이 많이 쏟아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것 같기도 해서, 의음어인지 의태어인지 판단하기 어렵다.[38]

擬音語|기온고일본어(의음어)는 정확한 소리를 그대로 흉내 내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음을 “삐”로, 오리 울음소리를 “꽥꽥”으로 표현하는 것처럼, 실제 소리와는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 예

  • メーメー|메-메-일본어 (양(ヒツジ) 울음소리)
  • ブーブー|부-부-일본어 (돼지(ブタ) 울음소리, 야유)
  • ドキドキ|도키도키일본어 (심장(心臓) 고동)
  • ガチャン|가챵일본어 (유리(ガラス)가 깨지거나 자물쇠가 걸리는 소리)
  • チーン|칭일본어 (종(鈴)이 울리는 소리)
  • チン|쨍일본어 (전자레인지(電子レンジ))
  • ドカーン|도캉일본어 (폭발(爆発) 소리, 충격음)
  • ズルズル|주루루일본어 (라면 등을 후루룩 먹는 소리)
  • バリバリ|바리바리일본어 (과자(スナック菓子)를 씹는 소리)
  • ゴロゴロ|고로고로일본어 (천둥(雷))
  • トントン|톤톤일본어 (어깨나 문을 두드리는 소리)
  • ドカン|도칸일본어 (폭죽, 충돌 등)
  • バタン|바탄일본어 (문이 닫히는 소리 등)
  • ガタガタ|가타가타일본어 (기계나 도구의 매끄럽지 않은 움직임)
  • カチッ|카칫일본어 (기계 버튼 작동음 등)
  • ピポパ|삐뽀빠일본어 (전화번호(電話番号) 입력, DTMF(DTMF) 등)
  • ガタンゴトン|가탄고톤일본어 (전철 등)
  • コトコト|고토고토일본어 (가열 조리)
  • パチパチ|파치파치일본어 (박수, 땔나무 불)
  • シュー|슈-일본어 (기체가 분출하는 소리)
  • シュッ|슛일본어 (미끄러짐)
  • ビリビリ|비리비리일본어 (종이가 찢어지는 소리 등)
  • ブリブリ|부리부리일본어 (배변하는 소리 등)


소리를 내는 주체가 같더라도 언어에 따라 의성어 표현은 다를 수 있다. 또한, 특정 언어에는 아예 존재하지 않는 의성어 표현도 있다. (예: 일본어 “우와―”는 영어에 없음)

; 예: 개(イヌ)가 짖는 소리

언어짖는 소리
일본어(日本語)ワンワン|wan-wan일본어
중국어(中国語)汪汪|wang-wang중국어
독일어(ドイツ語)wau-waude
네덜란드어(オランダ語)waf, woef, waf waf, woef woefnl
광둥어(広東語)wou wouyue
영어(英語)bow-wow, bark-bark, woof-woof, arf-arf, ruff-ruff영어
라틴어(ラテン語)bau baula
헝가리어(ハンガリー語)vau-vauhu
이탈리아어(イタリア語)bau-bauit
노르웨이어(ノルウェー語)voff-voffno
스웨덴어(スウェーデン語)voffsv
사모아어(サモア語)baw-gaw사모아어
힌디어(ヒンディー語)bhu-bhuhi
카탈루냐어(カタルーニャ語)bub-bubca
포르투갈어(ポルトガル語)au-aupt
폴란드어(ポーランド語)hau-haupl
핀란드어(フィンランド語)hau-haufi
아랍어(アラビア語)hau-hauar
히브리어(ヘブライ語)hav-havhe
타갈로그어(タガログ語)hao-haotl
태국어(タイ語)hong-hong, wob-wobth
베트남어(ベトナム語)gâu gâuvi
스페인어(スペイン語)guau-guaues
러시아어(ロシア語)gaf-gafru
인도네시아어(インドネシア語)guk-gukid
스와힐리어(スワヒリ語)gon-gonsw
한국어(韓国語)멍멍
프랑스어(フランス語)ouaf-ouaf프랑스어



擬音語|기온고일본어(의음어)가 동사나 일반 명사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유아기에 의음어로 대상을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예: “멍멍”=개(イヌ), “부부”=자동차(自動車)). 이 외에도 컴퓨터(コンピュータ) 마우스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클릭하다”, 새 울음소리에서 유래한 뻐꾸기(カッコウ) (:en:cuckoo), 타밀어(タミル語) 까마귀(カラス) (kaakam) 등이 있다.

상태나 감정 등 소리를 내지 않는 것을 모방한 단어를 '의태어'라고 한다. (원래 의성어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의태어를 더 세분화하여, 외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의용어'(예: きらっ|키랏일본어, ひらひら|히라히라일본어, ぶるぶる|부루부루일본어), 내면의 감정을 나타내는 '의정어'(예: ガーン|가-ㄴ일본어, ぎくり|기쿠리일본어)로 나누기도 하지만, 엄격하게 구분하기는 어렵다.[39][40]

일본어에는 たっぷり|탓푸리일본어, ちょうど|초-도일본어처럼 의태어와 일반 어휘의 중간적인 성격을 가진 단어들도 있다.

; 예


  • ばらばら|바라바라일본어 - 흩어져 있는 모양
  • めろめろ|메로메로일본어 - 반하고 있는 모양
  • たっぷり|탓푸리일본어 - 풍부하고 여유 있는 모양
  • じろじろ|지로지로일본어 - 무언가를 보는 모양
  • うようよ|우요우요일본어
  • ふらふら|후라후라일본어
  • ゆらゆら|유라유라일본어
  • くねくね|쿠네쿠네일본어
  • くよくよ|쿠요쿠요일본어 - (감정)
  • しくしく|시쿠시쿠일본어 - (감정 또는 아픔)
  • めそめそ|메소메소일본어 - (감정)
  • ぷりぷり|푸리푸리일본어 - (감정)
  • ぷんぷん|푼푼일본어 - (감정)
  • きゅん|큥일본어 - (감정)
  • じーん|지-ㄴ일본어 - (감정)
  • むらむら|무라무라일본어 - (감정)
  • キラキラ|키라키라일본어 - 빛, 빛남
  • ギラギラ|기라기라일본어 - 강렬한 빛, 강렬한 빛남
  • ちくちく|치쿠치쿠일본어 - (아픔)
  • そよそよ|소요소요일본어 - 산들바람
  • メラメラ|메라메라일본어 -
  • モクモク|모쿠모쿠일본어 - 연기, 한자에서 유래한 モウモウ|모-모-일본어(濛々)도 있다.
  • ぴかぴか|피카피카일본어 - , 새로움, 깨끗한 모양
  • ぬくぬく|누쿠누쿠일본어 - 따뜻한 모양. 또는 나태한 환경에 안주하는 모양.
  • へとへと|헤토헤토일본어 - 지친 모양.
  • くたくた|쿠타쿠타일본어 - 지친 모양.
  • ころころ|코로코로일본어
  • ごとごと|고토고토일본어 - 사물의 소리.
  • かくんかくん|카쿤카쿤일본어
  • ガタガタ|가타가타일본어
  • ガタピシャ|가타피샤일본어
  • キンキン|킨킨일본어
  • ケンケンガクガク|켄켄가쿠가쿠일본어
  • ガチガチ|가치가치일본어
  • きつきつ|키츠키츠일본어
  • あっぷあっぷ|압푸압푸일본어
  • ぐずぐず|구즈구즈일본어
  • ぴんぴん|핀핀일본어
  • ぴくぴく|피쿠피쿠일본어
  • バタバタ|바타바타일본어
  • ほろほろ|호로호로일본어
  • ほいほい|호이호이일본어
  • ぼよぼよ|보요보요일본어
  • よろよろ|요로요로일본어
  • よぼよぼ|요보요보일본어
  • へなへな|헤나헤나일본어
  • しとしと|시토시토일본어 - 물이 떨어지는 모양.
  • ざーざー|자-자-일본어 - 비가 세차게 내리는 모습.
  • ちゃぷちゃぷ|챠푸챠푸일본어
  • もくもく|모쿠모쿠일본어
  • ぎゅっ|귯일본어
  • ぞっ|좃일본어
  • かっ|캇일본어
  • ぽっ|폿일본어
  • ぼーっ|보-ㅅ일본어
  • ぱくぱく|파쿠파쿠일본어, ぱくり|파쿠리일본어
  • ふわふわ|후와후와일본어
  • ほんわか|혼와카일본어
  • がりがり|가리가리일본어
  • ギジギジ|기지기지일본어
  • ぎちぎち|기치기치일본어
  • シャリシャリ|샤리샤리일본어
  • くるくる|쿠루쿠루일본어
  • ツルツル|츠루츠루일본어
  • さらさら|사라사라일본어
  • うらうら|우라우라일본어
  • わらわら|와라와라일본어 - 계속해서 많이
  • どんどん|돈돈일본어 - 북소리, 또는 일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모양.
  • どろどろ|도로도로일본어 - 점성이 있는 액체가 흐르는 모양.
  • どろんどろん|도론도론일본어
  • ひょうひょうと|효-효-토일본어
  • ふにゃふにゃ|후냐후냐일본어
  • ぴょんぴょん|푠푠일본어 - 뛰는 모양
  • ひゅーひゅー|휴-휴-일본어 - 바람이 불어가는 모양
  • ひょい|효이일본어
  • ぽいっ|포잇일본어 - 물건을 던지는 모양.
  • りん|링일본어
  • すかすか|스카스카일본어
  • ちょうど|초-도일본어 - '정도'는 당자로, 원래는 칼이 칼집에 들어가는 의태어 또는 의성어.
  • しいん|시-ㄴ일본어/しーん|시-ㄴ일본어 - 고요함. 한자에서 유래한 しんしん|신신일본어(深深, 森森, 沈沈)이나 그것이 변화한 しんと|신토일본어가 유래라고 여겨지지만, 생리적 이명의 의성어라는 설도 있다.
  • ◯ぶ◯ぶ|◯부◯부일본어 - 야마구치 나카미는 역사적으로 이 형태의 의성어·의태어(가부가부토·자부자부토 등)는 모두 수분과 관련된 소리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임을 발견했다.[41]

3. 4. 기타 언어

여러 언어에서 개가 짖는 소리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언어표현
일본어ワンワン|왕왕일본어
중국어汪汪|왕왕중국어
독일어wau-wau
네덜란드어waf, woef, waf waf, woef woef
광동어wou wou
영어bow-wow, bark-bark, woof-woof, arf-arf, ruff-ruff
라틴어bau bau
헝가리어vau-vau
이탈리아어bau-bau
노르웨이어voff-voff
스웨덴어voff
사모아어baw-gaw
힌디어bhu-bhu
카탈루냐어bub-bub
포르투갈어au-au
폴란드어hau-hau
핀란드어hau-hau
아랍어hau-hau
히브리어hav-hav
타갈로그어hao-hao
태국어hong-hong, wob-wob
베트남어gâu gâu
스페인어guau-guau
러시아어gaf-gaf
인도네시아어guk-guk
스와힐리어gon-gon
한국어멍멍
프랑스어ouaf-ouaf


4. 만화 및 광고에서의 활용

만화에서는 의성어와 의태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생동감을 더한다. 예를 들어, '쾅!', '삐용삐용'과 같은 효과음을 사용하여 독자가 상황을 더욱 실감 나게 느낄 수 있도록 돕는다. 한국 만화에서는 '쩌저적', '후두둑'과 같이 한국어 특유의 의성어와 의태어를 활용하여 독자에게 친숙함과 재미를 선사한다.[36] 광고에서는 의성어와 의태어를 활용하여 소비자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기고 제품을 기억하게 한다. 예를 들어, "퐁, 퐁, 칙, 칙" (알카셀처), "딱, 탁, 톡" (라이스크리스피)과 같은 표현은 제품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만화 및 광고에서의 의성어 활용 사례는 다음과 같다.

분야사례
만화
광고커플렁크 (구슬 게임)


5. 언어 발달 과정에서의 역할

인간은 처음 소리와 의사소통에 노출될 때, 생물학적으로 자신이 듣는 소리를 모방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는 실제 언어의 일부이든 다른 자연적인 소리이든 상관없다.[23] 발달 초기에 유아는 주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들)의 음운 범위 내에 잘 확립된 소리들(이른바 "순화된" 의성어)과, 발성 기관이 만들어낼 수 있는 모든 범위의 소리들(이른바 "야생의" 의성어) 사이에서 발화를 다양하게 한다.[21] 유아가 첫 언어를 습득하기 시작하면서 "야생의" 의성어 비율은 자신이 습득하는 언어의 소리와 일치하는 소리들을 선호하는 방향으로 감소한다.

모국어 습득 기간 동안, 유아가 순화되고 친숙한 음성 특징에 비해 노출된 더욱 "야생적인" 음성 특징에 강하게 반응할 수 있다는 것이 기록되었으나, 이러한 실험의 결과는 결정적이지 않다.

언어 습득의 맥락에서, 음성 상징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8] 보바/키키 효과와 같이 소리와 모양의 연관성을 통해 언어가 소리를 어떻게 상징하는지에 대한 실험이 이루어졌다.

6. 한국 사회와 문화에서의 의성어/의태어

한국어에서 의성어와 의태어는 소리나 모양을 흉내 내어 만든 말로, 한국 사회와 문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언어 자원이다. 예를 들어, '보글보글', '지글지글'과 같은 의성어는 한국의 전통 음식 문화를 떠올리게 한다. '알콩달콩', '티격태격'과 같은 의태어는 한국인의 정서와 인간관계를 엿볼 수 있게 한다.

한국의 전통적인 농경 사회에서 자연과 동물을 접하며 형성된 다양한 의성어와 의태어가 발달했다. 예를 들어 '매미'는 그 울음소리를 본떠 '맴맴'이라고 불렀고, '개구리'는 '개굴개굴' 우는 소리를 흉내 내어 이름 붙였다. 이러한 의성어와 의태어는 한국인의 자연 친화적인 정서를 보여준다.

7. 현대 사회에서의 변화

현대 사회에서는 기술 발전과 사회 변화에 따라 새로운 의성어와 의태어가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자판 소리를 나타내는 '타닥타닥', 스마트폰 알림 소리를 나타내는 '띵동' 등은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소리 환경을 반영한다. 또한, 인터넷 신조어나 줄임말 중에는 의성어와 의태어에서 유래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깜놀(깜짝 놀라다)', '심쿵(심장이 쿵 내려앉다)' 등은 감정을 과장되게 표현하는 의태어적 표현이다.[36]

8. 의성어와 의태어의 한계

의성어와 의태어는 자연의 소리나 사물의 모양, 움직임 등을 모방하지만, 그 재현에는 한계가 있다. 같은 소리라도 듣는 사람의 경험이나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르게 인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가 짖는 소리를 나타내는 의성어는 언어마다 다르다.

언어의성어
한국어멍멍
일본어ワンワン|왕왕일본어
중국어汪汪|왕왕중국어
독일어wau-wau
네덜란드어waf, woef, waf waf, woef woef
광동어wou wou
영어bow-wow, bark-bark, woof-woof, arf-arf, ruff-ruff
라틴어bau bau
헝가리어vau-vau
이탈리아어bau-bau
노르웨이어voff-voff
스웨덴어voff
사모아어baw-gaw
힌디어bhu-bhu
카탈루냐어bub-bub
포르투갈어au-au
폴란드어hau-hau
핀란드어hau-hau
아랍어hau-hau
히브리어hav-hav
타갈로그어hao-hao
태국어hong-hong, wob-wob
베트남어gâu gâu
스페인어guau-guau
러시아어gaf-gaf
인도네시아어guk-guk
스와힐리어gon-gon
프랑스어ouaf-ouaf



이는 각 언어 사용자들이 개의 짖는 소리를 다르게 인식하고 표현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의성어와 의태어는 때때로 그 경계가 명확하지 않다.[37] 예를 들어, "자아자아 물을 끼얹다"에서 "자아자아"는 물이 떨어지는 소리이기도 하고, 물이 많이 쏟아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여 의성어인지 의태어인지 판단하기 어렵다.[38]

이처럼 의성어와 의태어는 소리와 모양을 흉내 내지만, 완벽하게 재현하는 것은 아니며, 문화와 언어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ECHOISM https://www.merriam-[...] 2024-01-09
[2] 웹사이트 Onomatopoeia as a Figure and a Linguistic Principle http://muse.jhu.edu/[...]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2013-11-14
[3] 웹사이트 Definition of Onomatopoeia http://literarydevic[...] 2013-11-14
[4] 웹사이트 ὄνομα https://www.perseus.[...] A Greek-English Lexicon
[5] 웹사이트 ποιέω https://www.perseus.[...] A Greek-English Lexicon
[6] 웹사이트 ὀνοματοποιία https://www.perseus.[...] A Greek-English Lexicon
[7] 서적 Longman Pronunciation Dictionary Longman
[8] 서적 Cambridge English Pronouncing Dictiona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onomatopoeia https://www.merriam-[...] 2021-12-12
[10] 웹사이트 imitative https://www.merriam-[...] 2024-05-20
[11] 웹사이트 Basic Reading of Sound Words-Onomatopoeia http://www.yale.edu/[...] Yale University 2013-10-11
[12] 웹사이트 English Oxford Living Dictionaries https://en.oxforddic[...]
[13] 서적 A Grammar of Iconism https://books.google[...] 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Press
[14] 서적 Storytelling in the Pulps, Comics, and Radio: How Technology Changed Popular Fiction in America https://books.google[...] McFarland
[15] 서적 Ulysses https://books.google[...] Editions Artisan Devereaux
[16] 서적 Funny Side of English https://books.google[...] Pustak Mahal 2002-01-01
[17] 논문 The anatomy of onomatopoeia 2011-01-01
[18] 논문 Aural Images
[19] 논문 The Study of Onomatopoeia in the Muslims' Holy Write: Qur'an http://languageinind[...] 2013-05-01
[20] 논문 Onomatopoeia as a Figure and a Linguistic Principle 1996-08-01
[21] 논문 A phonological analysis of onomatopoeia in early word production 2014-09-15
[22] 논문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Onomatopoeia – A note to make sensory scale from word
[23] 논문 The Anatomy of Onomatopoeia 2011-12-14
[24] 웹사이트 Translating Japanese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25] 서적 Language Contact and Lexical Enrichment in Israeli Hebrew http://www.palgrave.[...] Palgrave Macmillan
[26] 논문 Onomatopoeia in Malay 1936-01-01
[27] 서적 広辞苑、大辞泉
[28] 서적 擬音語擬態語4500 日本語オノマトペ辞典 小学館
[29] 기타 발음
[30] 기타 발음
[31] 기타 발음
[32]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1998-11-11
[33] 서적 概説日本語学 明治書院
[34] 서적 講座日本語と日本語教育7 日本語の語彙と意味 明治書院
[35] 서적 日本語学研究大事典 明治書院
[36] 서적 犬は「びよ」と鳴いていた―日本語は擬音語・擬態語が面白い 光文社新書 2002
[37] 서적 国語学大事典 東京堂出版 1991
[38] 서적 擬音語擬態語4500 日本語オノマトペ辞典 小学館 2007
[39] 웹사이트 「擬音語・擬態語」にはどんな種類がある? https://pj.ninjal.ac[...]
[40] 서적 擬音語擬態語4500 日本語オノマトペ辞典 小学館 2007
[41] 간행물 中古象徴詞の語音構造--清濁に問題のある語例を中心に-- 1973
[42] 서적 オノマトペ 形態と意味 くろしお出版 1999
[43] 서적 擬音語・擬態語辞典 角川書店 1978
[44] 노래 ちんちん千鳥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