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커슨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풀커슨 상은 1979년 델버트 레이 풀커슨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상으로, 미국 수학회와 수리최적화학회가 공동으로 3년마다 이산 수학 분야의 획기적인 연구를 수행한 학자들에게 수여한다. 최대 3개의 논문까지 선정하며, 1994년 이후 상금은 1,500 미국 달러이다. 역대 수상자로는 리처드 매닝 카프, 닐 로버트슨, 폴 시모어, 김정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년마다 열리는 행사 - 실베스터 메달
수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연구자에게 수여되는 실베스터 메달은 앙리 푸앵카레, 게오르크 칸토어, 어거스터스 러브, 벤 그린 등 다양한 분야의 수학자들에게 수여되었으며, 이들의 연구는 현대 수학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3년마다 열리는 행사 - 오즈월드 베블런 기하학상
오즈월드 베블런 기하학상은 기하학 분야에 크게 기여한 수학자에게 1964년부터 수여되는 상이다. - 미국의 과학기술상 - 튜링상
튜링상은 컴퓨터 과학 분야에 큰 공헌을 한 인물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알고리즘, 프로그래밍 언어,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이룬 연구자들에게 수여되며 "컴퓨터 과학 분야의 노벨상"으로 불린다. - 미국의 과학기술상 - 브레이크스루 상
브레이크스루 상은 과학 분야의 뛰어난 업적을 기리는 시상식으로, 올라퍼 엘리아슨이 제작한 원환체 트로피를 수여하며, 제네바에서 시작해 마운틴뷰, 로스앤젤레스 등에서 개최되고 모건 프리먼, 케빈 스페이시, 제임스 코든 등이 진행을 맡았고 2023년부터 유튜브로 생중계된다. - 수학상 - 울프 수학상
울프 수학상은 수학 분야의 뛰어난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78년부터 이스라엘의 울프 재단에서 기금을 지원하여 매년 또는 격년으로 시상하는 국제적인 상이다. - 수학상 - 아벨상
아벨상은 노르웨이 수학자 닐스 헨리크 아벨을 기려 제정된 수학 분야의 국제적인 상으로, 수학 전반에 걸쳐 뛰어난 업적을 남긴 수학자에게 수여된다.
| 풀커슨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 풀커슨 상 정보 | |
| 수여 이유 | 이산수학 분야의 뛰어난 논문 |
| 수여 기관 | 수리 최적화 학회 미국 수학회 |
| 상금 | 1,500 달러 |
| 최초 수여 | 1979년 |
2. 역사
풀커슨 상은 1979년에 미국의 수학자 델버트 레이 풀커슨/Delbert Ray Fulkerson영어(1924년 8월 14일~1976년 1월 10일)을 기리기 위하여 창설되었고, 이후 3년마다 수여되고 있다. 미국 수학회와 수리최적화학회에서 공동으로 수여한다. 한 번에 최대 3개의 논문까지 수여될 수 있으며, 각 논문의 공저자의 수는 제한이 없다.
풀커슨 상은 이산 수학 분야에서 획기적인 연구를 수행한 학자들에게 수여된다.
상금은 원래 750 미국 달러였으나, 1994년에 1500 미국 달러로 증가하였다.
3. 역대 수상자
연도 수상자 논문 1979 리처드 매닝 카프/Richard Manning Karp영어 [49] 케네스 아펠, 볼프강 하켄/Wolfgang Hakende [50] 폴 시모어/Paul Seymour영어 [51] 1982 다비트 보리소비치 유딘/Давид Борисович Юдинru, 아르카디 세묘노비치 네미롭스키/Аркадий Семёнович Немиро́вскийru, 레오니트 겐리호비치 하치얀/Леонид Генрихович Хачиянru (Լեոնիդ Գենրիխովիչ Խաչիյանhy), 마르틴 그뢰첼/Martin Grötschelde, 로바스 라슬로, 알렉산더르 스흐레이버르/Alexander Schrijvernl [52][53][54] 게오르기 페트로비치 예고리체프/Георгий Петрович Его́рычевru, 드미트리 이힐로비치 팔리크만/Дмитрий Ихилович Фаликманru [55][56] 1985 베크 요제프/Beck Józsefhu [57] 헨드릭 빌럼 렌스트라 2세/Hendrik Willem Lenstra, Jrnl [58] 유진 마이클 럭스/Eugene Michael Luks영어 [59] 1988 터르도시 에버/Tardos Évahu [60] 나렌드라 크리슈나 카르마르카르(Narendra Krishna Karmarkar) [61] 1991 마틴 다이어/Martin E. Dyer영어, 앨런 프리즈/Alan M. Frieze영어, 라빈드란 칸난(Ravindran Kannan) [62] 앨프리드 리먼/Alfred Lehman영어 [63] 니콜라이 예브게니예비치 므뇨프/Николай Евгеньевич Мнёвru [64] 1994 루이스 빌레라/Louis J. Billera영어 [65] 길 칼라이/גיל קלעיhe [66] 닐 로버트슨/Neil Robertson영어, 폴 시모어/Paul Seymour영어, 로빈 토머스/Robin Thomas영어 [67] 1997 김정한 [68] 2000 미셸 그자비에 괴망/Michel Xavier Goemans프랑스어, 데이비드 윌리엄슨/David P. Williamson영어 [69] 미켈란젤로 콘포르티/Michelangelo Confortiit, 제라르 피에르 코르뉘에졸/Gérard Pierre Cornuéjols프랑스어, 멘두 람모한 라오(Mendu Rammohan Rao) [70] 2003 제임스 길런/James F. Geelen영어, 알버르트 헤라르츠/Albert M. H. Gerardsnl, 아자이 카푸르(Ajai Kapoor) [71] 버트런드 게닌/Bertrand Guenin영어 [72] 이와타 사토루/岩田 覚일본어, Lisa Fleischer, 후지시게 사토루/藤重 悟일본어, 알렉산더르 스흐레이버르/Alexander Schrijvernl [73][74] 2006 마닌드라 아가르왈(Manindra Agarwal), 니라지 카얄, 니틴 삭세나/Nitin Saxena영어 [75] 마크 제럼/Mark Jerrum영어, 앨리스터 싱클레어/Alistair Sinclair영어, 에릭 비고다/Eric Vigoda영어 [76] 닐 로버트슨/Neil Robertson영어, 폴 시모어/Paul Seymour영어 [77] 2009 마리아 추드노브스키/Maria Chudnovsky영어 (מריה צ'ודנובסקיhe), 닐 로버트슨/Neil Robertson영어, 폴 시모어/Paul Seymour영어, 로빈 토머스/Robin Thomas영어 [78] 대니얼 앨런 스필먼/Daniel Alan Spielman영어, [79] 토머스 캘리스터 헤일스/Thomas Callister Hales영어, 새뮤얼 퍼구슨/Samuel P. Ferguson영어 [80][81] 2012 산지브 아로라, 사티시 라오, 우메시 바지라니 [82] 안데르스 요한손/Anders Johanssonsv, 제프 칸/Jeff Kahn영어, 부하반/Vũ Hà Vănvi [83] 로바스 라슬로, 세게디 벌라주/Szegedy Balázshu [84] 2015 프란시스코 산토스 레알/Francisco Santos Leales [44][45] 2018 로버트 모리스/Robert Morris영어, 고바야카와 요시하루/小林 芳晴일본어, 사이먼 그리피스, 피터 앨런, 그리고 율리아 뵈처/Julia Böttcherde [46] 토마스 로스보스/Thomas Rothvoßde [46] 2021 벨라 차바, 다니엘라 퀸, 앨런 로, 데리크 오스투스, 앤드류 트레글론 [47] 진이 차이 및 천시/陈汐중국어 [47] 가와라바야시 켄이치 및 미켈 토럽 [47] 2024 벤 커즌스/Ben Cousins영어와 산토시 벰팔라 질린 장, 조나단 타이도, 위안 야오, 션퉁 장, 그리고 위페이 자오 [48] 네이선 켈러와 노암 리프시츠 [48]
출처: 수학적 최적화 학회 공식 웹사이트.[47]
3. 1. 1970년대
리처드 M. 카프는 많은 중요한 NP-완전 문제들을 분류한 공로를 인정받았다.[49] 케네스 아펠과 볼프강 하켄은 4색 정리 증명에 기여했다.[50] 폴 세이모어는 최대 흐름 최소 절단 정리를 매트로이드로 일반화했다.[51]
3. 1. 1. 1979년
리처드 M. 카프는 많은 중요한 NP-완전 문제들을 분류한 공로를 인정받았다.[49] 케네스 아펠과 볼프강 하켄은 4색 정리 증명에 기여했다.[50] 폴 세이모어는 최대 흐름 최소 절단 정리를 매트로이드로 일반화했다.[51]
3. 2. 1980년대
3. 2. 1. 1982년
다비트 보리소비치 유딘(Давид Борисович Юдинru), 아르카디 세묘노비치 네미롭스키( Аркадий Семёнович Немиро́вскийru), 레오니트 겐리호비치 하치얀(Леонид Генрихович Хачиянru, Լեոնիդ Գենրիխովիչ Խաչիյանhy), 마르틴 그뢰첼(Martin Grötschelde), 로바스 라슬로, 알렉산더르 스흐레이버르(Alexander Schrijvernl)는 선형 계획법과 조합 최적화 분야의 타원체 방법 연구에 기여하였다.[52][53][54] 게오르기 페트로비치 예고리체프(Георгий Петрович Его́рычевru), 드미트리 이힐로비치 팔리크만(Дмитрий Ихилович Фаликманru)은 판 데르 바르덴 추측을 증명하였다.[55][56]
3. 2. 2. 1985년
3. 2. 3. 1988년
터르도시 에버(Tardos Évahu)는 최소 비용 순환 문제를 강하게 다항 시간 내에 해결한 공로로 수상하였다.[60] 나렌드라 크리슈나 카르마르카르(Narendra Krishna Karmarkar)는 선형 계획법에 카르마르카 알고리즘을 적용한 공로로 수상하였다.[61]
3. 3. 1990년대
wikitext
| 1991 | 마틴 다이어(Martin E. Dyer영어), 앨런 프리즈(Alan M. Frieze영어), 라빈드란 칸난(Ravindran Kannan) | [62] |
| 1991 | 앨프리드 리먼(Alfred Lehman영어) | [63] |
| 1991 | 니콜라이 예브게니예비치 므뇨프(Николай Евгеньевич Мнёвru) | [64] |
| 1994 | 루이스 빌레라(Louis J. Billera영어) | [65] |
| 1994 | 길 칼라이(גיל קלעיhe) | [66] |
| 1994 | 닐 로버트슨(Neil Robertson영어), 폴 시모어(Paul Seymour영어), 로빈 토머스(Robin Thomas영어) | [67] |
| 1997 | 김정한 | [68] |
- 1991년:
- * 마틴 다이어(Martin E. Dyer영어), 앨런 프리즈(Alan M. Frieze영어), 라빈드란 칸난(Ravindran Kannan)은 무작위 보행을 기반으로 볼록체의 부피를 근사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62]
- * 앨프리드 리먼(Alfred Lehman영어)은 0,1-행렬을 사용하여 완전 그래프 이론을 연구하였다.[63]
- * 니콜라이 예브게니예비치 므뇨프(Николай Евгеньевич Мнёвru)는 므뇨프의 보편성 정리를 증명하였다.[64]
- 1994년:
- * 루이스 빌레라는 공간 삼각 측량에서 조각별 다항식 함수 공간의 기저를 발견하였다.[65]
- * 길 칼라이는 ''d'' 차원 다포체의 직경에 대한 지수 함수적 경계를 증명하여 허쉬 추측에 대한 진전을 이루었다.[66]
- * 닐 로버트슨, 폴 시모어, 로빈 토마스는 하드위거 추측의 6-색 경우를 증명하였다.[67]
- 1997년:
- * 김정한은 램지 수 ''R''(3,''t'')의 점근적 성장률을 발견하였다.[68]
3. 3. 1. 1991년
마틴 다이어(Martin E. Dyer영어), 앨런 프리즈(Alan M. Frieze영어), 라빈드란 칸난(Ravindran Kannan)은 무작위 보행을 기반으로 볼록체의 부피를 근사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한 공로로 수상했다.[62] 앨프리드 리먼(Alfred Lehman영어)은 0,1-행렬을 사용하여 완전 그래프 이론을 연구한 공로로 수상했다.[63] 니콜라이 예브게니예비치 므뇨프(Николай Евгеньевич Мнёвru)는 므뇨프의 보편성 정리를 증명한 공로로 수상했다.[64]3. 3. 2. 1994년
- 루이스 빌레라(Louis J. Billera)는 공간 삼각 측량에서 조각별 다항식 함수 공간의 기저를 발견했다.[65]
- 길 칼라이(גיל קלעי)는 ''d'' 차원 다포체의 직경에 대한 지수 함수적 경계를 증명하여 허쉬 추측에 대한 진전을 이루었다.[66]
- 닐 로버트슨, 폴 시모어, 로빈 토마스는 하드위거 추측의 6-색 경우를 증명했다.[67]
3. 3. 3. 1997년
김정한은 램지 수 R(3, t)의 점근적 성장률을 발견한 공로로 풀커슨상을 수상했다.[68] 김 교수의 수상은 한국 수학의 위상을 크게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3. 4. 2000년대
- 2000년:
- * 미셸 그자비에 괴망/Michel Xavier Goemans프랑스어과 데이비드 윌리엄슨/David P. Williamson영어은 반정부 계획법 기반 근사 알고리즘 개발에 기여했다.[69]
- * 미켈란젤로 콘포르티(Michelangelo Confortiit), 제라르 피에르 코르뉘에졸(Gérard Pierre Cornuéjols프랑스어), 멘두 람모한 라오(Mendu Rammohan Rao)는 균형 0-1 행렬을 다항 시간 내에 인식하는 방법을 제시했다.[70]
- 2003년:
- * 제임스 길런/James F. Geelen영어, 알버르트 헤라르츠/Albert M. H. Gerardsnl, 아자이 카푸르(Ajai Kapoor)는 매트로이드 소수에 관한 로타 추측의 GF(4) 경우를 증명하였다.[71]
- * 버트런드 게닌(Bertrand Guenin영어)은 약하게 이분 그래프 (이분 그래프 부분 그래프 다면체가 0-1인 그래프)의 금지된 그래프 특성을 개발하였다.[72]
- * 이와타 사토루/岩田 覚일본어, Lisa Fleischer, 후지시게 사토루/藤重 悟일본어, 알렉산더르 스흐레이버르/Alexander Schrijvernl는 부분 모듈 최소화가 강하게 다항식임을 증명하였다.[73][74]
- 2006년:
- * 마닌드라 아그라왈, 니라지 카얄, 니틴 삭세나는 AKS 소수성 검사를 개발한 공로로 수상했다.[75]
- * 마크 제럼(Mark Jerrum영어), 앨리스터 싱클레어(Alistair Sinclair영어), 에릭 비고다(Eric Vigoda영어)는 영구 근사에 기여한 공로로 수상했다.[76]
- * 닐 로버트슨(Neil Robertson영어), 폴 시모어(Paul Seymour영어)는 그래프 소수가 좋은 준 순서를 형성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로버트슨-세이모어 정리를 증명한 공로로 수상했다.[77]
- 2009년:
- * 마리아 추드노브스키(Maria Chudnovsky영어, מריה צ'ודנובסקיhe), 닐 로버트슨(Neil Robertson영어), 폴 시모어(Paul Seymour영어), 로빈 토머스(Robin Thomas영어)는 강한 완전 그래프 정리를 증명한 공로로 2009년 풀커슨상을 수상했다.[78]
- * 대니얼 앨런 스필먼(Daniel Alan Spielman영어)과 텅샹화()는 선형 계획법 알고리즘의 평활화 분석에 기여한 공로로 2009년 풀커슨상을 수상했다.[79]
- * 토머스 캘리스터 헤일스(Thomas Callister Hales영어)와 새뮤얼 퍼구슨(Samuel P. Ferguson영어)은 가능한 가장 조밀한 구형 포장에 대한 케플러 추측을 증명한 공로로 2009년 풀커슨상을 수상했다.[80][81]
3. 4. 1. 2000년
- 미셸 그자비에 괴망/Michel Xavier Goemans프랑스어과 데이비드 윌리엄슨/David P. Williamson영어은 반정부 계획법 기반 근사 알고리즘 개발에 기여했다.[69]
- 미켈란젤로 콘포르티(Michelangelo Confortiit), 제라르 피에르 코르뉘에졸(Gérard Pierre Cornuéjols프랑스어), 멘두 람모한 라오(Mendu Rammohan Rao)는 균형 0-1 행렬을 다항 시간에 인식하는 방법을 제시했다.[70]
3. 4. 2. 2003년
- James F. Geelen영어, Albert M. H. Gerardsnl, 아자이 카푸르(Ajai Kapoor)는 로타 추측의 GF(4) 경우를 증명하였다.[71]
- 버트런드 게닌(Bertrand Guenin영어)은 약하게 이분 그래프 (이분 그래프 부분 그래프 다면체가 0-1인 그래프)의 금지된 그래프 특성을 개발하였다.[72]
- 岩田 覚일본어, Lisa Fleischer, 藤重 悟일본어, Alexander Schrijvernl는 부분 모듈 최소화가 강하게 다항식임을 증명하였다.[73][74]
3. 4. 3. 2006년
마닌드라 아그라왈, 니라지 카얄, 니틴 삭세나는 AKS 소수성 검사를 개발한 공로로 수상했다.[75][32][33]마크 제럼(Mark Jerrum영어), 앨리스터 싱클레어(Alistair Sinclair영어), 에릭 비고다(Eric Vigoda영어)는 영구 근사에 기여한 공로로 수상했다.[76][33]
닐 로버트슨(Neil Robertson영어), 폴 시모어(Paul Seymour영어)는 그래프 소수가 좋은 준 순서를 형성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로버트슨-세이모어 정리를 증명한 공로로 수상했다.[77][33]
3. 4. 4. 2009년
마리아 추드노브스키(Maria Chudnovsky영어, מריה צ'ודנובסקיhe), 닐 로버트슨(Neil Robertson영어), 폴 시모어(Paul Seymour영어), 로빈 토머스(Robin Thomas영어)는 강한 완전 그래프 정리를 증명한 공로로 2009년 풀커슨상을 수상했다.[78]대니얼 앨런 스필먼(Daniel Alan Spielman영어)과 텅샹화()는 선형 계획법 알고리즘의 평활화 분석에 기여한 공로로 2009년 풀커슨상을 수상했다.[79]
토머스 캘리스터 헤일스(Thomas Callister Hales영어)와 새뮤얼 퍼구슨(Samuel P. Ferguson영어)은 가능한 가장 조밀한 구형 포장에 대한 케플러 추측을 증명한 공로로 2009년 풀커슨상을 수상했다.[80][81]
3. 5. 2010년대
- 2012년
- * 산지브 아로라, 사티시 라오, 우메시 바지라니는 그래프 분리자 및 관련 문제에 대한 근사 비율을 에서 으로 개선하였다.[82]
- * 안데르스 요한손(Anders Johanssonsv), 제프 칸, 부하반(Vũ Hà Vănvi)은 무작위 그래프가 주어진 작은 그래프의 분리된 복사본으로 덮일 수 있는 가장자리 밀도의 임계값을 결정하였다.[83]
- * 로바스 라슬로, 세게디 벌라주(Szegedy Balázshu)는 밀집 그래프 시퀀스에서 부분 그래프 다중성을 특성화하였다.[84]
- 2015년
- * 프란시스코 산토스 레알은 ''허쉬 추측의 반례''를 제시하였다.[44][45]
- 2018년
- * 로버트 모리스, 고바야카와 요시하루, 사이먼 그리피스, 피터 앨런, 그리고 율리아 뵈처는 ''그래프의 색 임계값''에 기여.
- * 토마스 로스보스는 매칭 다포체의 확장 복잡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46]
3. 5. 1. 2012년
- 산지브 아로라, 사티시 라오, 우메시 바지라니는 그래프 분리자 및 관련 문제에 대한 근사 비율을 에서 으로 개선하였다.[82]
- 안데르스 요한손(Anders Johanssonsv), 제프 칸, 부하반(Vũ Hà Vănvi)은 무작위 그래프가 주어진 작은 그래프의 분리된 복사본으로 덮일 수 있는 가장자리 밀도의 임계값을 결정하였다.[83]
- 로바스 라슬로, 세게디 벌라주(Szegedy Balázshu)는 밀집 그래프 시퀀스에서 부분 그래프 다중성을 특성화하였다.[84]
3. 5. 2. 2015년
프란시스코 산토스 레알은 허쉬 추측의 반례를 제시한 공로로 2015년 풀커슨상을 수상했다.[44][45]3. 5. 3. 2018년
로버트 모리스, 고바야카와 요시하루, 사이먼 그리피스, 피터 앨런, 그리고 율리아 뵈처는 그래프의 색 임계값에 대한 연구로 수상하였다.[46] 토마스 로스보스는 매칭 다포체의 확장 복잡도에 대한 연구로 수상하였다.[46]3. 6. 2020년대
wikitext- 2021년:
- * 벨라 차바, 다니엘라 퀸, 앨런 로, 데리크 오스투스, 앤드류 트레글론은 ''1-요인 분해 및 해밀턴 분해 추측 증명''에 기여.[47]
- * 진이 차이 및 시 첸은 ''복소 가중치를 갖는 CSP 계산의 복잡성''에 기여.[47]
- * 가와라바야시 켄이치 및 미켈 토럽은 ''거의 선형 시간 내의 결정적 가장자리 연결성''에 기여.[47]
- 2024년:
- * 벤 커즌스(Ben Cousins영어)와 산토시 쳄팔라는 ''가우스 냉각과 부피 및 가우스 부피 알고리즘''에 기여.[48]
- * 질린 장, 조나단 타이도르, 위안 야오, 셴통 장, 그리고 위페이 자오는 ''고정된 각을 갖는 동일각선''에 기여.[48]
- * 네이선 켈러와 노암 리프시츠는 ''초그래프에 대한 훈타 방법과 에르되스-츠바탈 단체 추측''에 기여.[48]
3. 6. 1. 2021년
- 벨라 차바, 다니엘라 퀸, 앨런 로, 데리크 오스투스, 앤드류 트레글론은 ''1-요인 분해 및 해밀턴 분해 추측 증명''에 기여.[47]
- 진이 차이 및 시 첸은 ''복소 가중치를 갖는 CSP 계산의 복잡성''에 기여.[47]
- 가와라바야시 켄이치 및 미켈 토럽은 ''거의 선형 시간 내의 결정적 가장자리 연결성''에 기여.[47]
3. 6. 2. 2024년
벤 커즌스(Ben Cousins영어)와 산토시 벰팔라는 가우스 냉각, 부피 및 가우스 부피 알고리즘 연구에 기여하였다.[48] 질린 장, 조나단 타이도, 위안 야오, 션퉁 장, 유페이 자오는 고정된 각을 갖는 동일각선 연구에 기여하였다.[48] 네이선 켈러와 노암 리프시츠는 초그래프에 대한 훈타 방법과 에르되스-츠바탈 단체 추측 연구에 기여하였다.[48]참조
[1]
논문
On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of combinatorial problems
[2]
논문
Every planar map is four colorable, Part I: Discharging
[3]
논문
The matroids with the max-flow min-cut property
[4]
논문
Informational complexity and effective methods of solution for convex extremal problems
[5]
논문
A polynomial algorithm in linear programming
[6]
뉴스
Leonid Khachiyan, professor, leading computer scientist
http://www.boston.co[...]
2005-05-05
[7]
논문
The ellipsoid method and its consequences in combinatorial optimization
[8]
논문
The solution of van der Waerden's problem for permanents
[9]
논문
A proof of the van der Waerden conjecture on the permanent of a doubly stochastic matrix
[10]
논문
Roth's estimate of the discrepancy of integer sequences is nearly sharp
[11]
논문
Integer programming with a fixed number of variables
[12]
논문
Isomorphism of graphs of bounded valence can be tested in polynomial time
[13]
뉴스
U of O Computer Chief Gets Top Award
https://news.google.[...]
1985-08-10
[14]
논문
A strongly polynomial minimum cost circulation algorithm
[15]
논문
A new polynomial-time algorithm for linear programming
[16]
논문
A random polynomial time algorithm for approximating the volume of convex bodies
[17]
서적
"The width-length inequality and degenerate projective planes," W. Cook and P. D. Seymour (eds.), Polyhedral Combinatorics, DIMACS Series in Discrete Mathematics and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volume 1,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990) pp. 101-105.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8]
서적
"The universality theorems on the classification problem of configuration varieties and convex polytope varieties," O. Ya. Viro (ed.), Topology and Geometry-Rohlin Seminar,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1346 (Springer-Verlag, Berlin, 1988) pp. 527-544.
Springer-Verlag, Berlin
[19]
논문
Homology of smooth splines: Generic triangulations and a conjecture of Strang
[20]
논문
Upper bounds for the diameter and height of graphs of the convex polyhedra
[21]
논문
Hadwiger's conjecture for K_6-free graphs
[22]
논문
The Ramsey number ''R''(3,''t'') has order of magnitude ''t''2/log ''t''
[23]
논문
Improved approximation algorithms for the maximum cut and satisfiability probelsm using semi-definite programming
[24]
논문
Decomposition of balanced matrices
[25]
뉴스
MR Rao New Dean Of ISB
http://www.financial[...]
2004-07-02
[26]
논문
"The Excluded Minors for GF(4)-Representable Matroids,"
[27]
웹사이트
2003 Fulkerson Prize citation
http://www.mathopt.o[...]
2012-08-18
[28]
논문
"A characterization of weakly bipartite graphs,"
[29]
논문
"A combinatorial strongly polynomial algorithm for minimizing submodular functions,"
[30]
논문
"A combinatorial algorithm minimizing submodular functions in strongly polynomial time,"
[31]
논문
"PRIMES is in P,"
[32]
뉴스
India as a player in Mathematics
http://www.hindu.com[...]
2009-06-11
[33]
웹사이트
2006 Fulkerson Prize citation
http://www.mathopt.o[...]
2012-08-19
[34]
논문
"A polynomial-time approximation algorithm for the permanent of a matrix with nonnegative entries,"
[35]
논문
"Graph Minors. XX. Wagner's conjecture,"
[36]
논문
The strong perfect graph theorem
[37]
웹사이트
2009 Fulkerson Prize citation
http://www.mathopt.o[...]
2012-08-19
[38]
논문
Smoothed analysis of algorithms: Why the simplex algorithm usually takes polynomial time
[39]
논문
A proof of the Kepler conjecture
[40]
논문
Sphere Packings, V. Pentahedral Prisms
[41]
논문
Expander flows, geometric embeddings and graph partitioning
[42]
논문
Factors in random graphs
[43]
논문
Limits of dense graph sequences
[44]
논문
A counterexample to the Hirsch conjecture
[45]
웹사이트
2015 Fulkerson Prize citation
http://www.mathopt.o[...]
2015-07-18
[46]
논문
The matching polytope has exponential extension complexity
[47]
웹사이트
The Fulkerson Prize
http://www.mathopt.o[...]
Mathematical Optimization Society
2024-07-25
[48]
웹사이트
2024 Delbert Ray Fulkerson Prize Awarded
https://www.ams.org/[...]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24-07-23
[49]
간행물
On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of combinatorial problems
Networks
[50]
간행물
Every planar map is four colorable, Part I: Discharging
Illinois Journal of Mathematics
[51]
논문
The matroids with the max-flow min-cut property
[52]
간행물
Informational complexity and effective methods of solution for convex extremal problems
Ekonomika i Matematicheskie Metody
[53]
간행물
A polynomial algorithm in linear programming
Akademiia Nauk SSSR. Doklady
[54]
간행물
The ellipsoid method and its consequences in combinatorial optimization
Combinatorica
[55]
간행물
The solution of van der Waerden's problem for permanents
Akademiia Nauk SSSR. Doklady
[56]
간행물
A proof of the van der Waerden conjecture on the permanent of a doubly stochastic matrix
Matematicheskie Zametki
[57]
간행물
Roth's estimate of the discrepancy of integer sequences is nearly sharp
Combinatorica
[58]
간행물
Integer programming with a fixed number of variables
Mathematics of Operations Research
[59]
간행물
Isomorphism of graphs of bounded valence can be tested in polynomial time
Journal of Computer and System Sciences
[60]
간행물
A strongly polynomial minimum cost circulation algorithm
Combinatorica
[61]
간행물
A new polynomial-time algorithm for linear programming
Combinatorica
[62]
간행물
A random polynomial time algorithm for approximating the volume of convex bodie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63]
서적
The width-length inequality and degenerate projective planes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64]
서적
The universality theorems on the classification problem of configuration varieties and convex polytope varieties
Springer-Verlag, Berlin
[65]
간행물
Homology of smooth splines: Generic triangulations and a conjecture of Strang
Transactions of the AMS
[66]
간행물
Upper bounds for the diameter and height of graphs of the convex polyhedra
Discrete and Computational Geometry
[67]
간행물
Hadwiger's conjecture for -free graphs
Combinatorica
[68]
간행물
The Ramsey Number R(3,t) Has Order of Magnitude t^2/log t
Random Structures and Algorithms
[69]
간행물
Improved approximation algorithms for the maximum cut and satisfiability probelsm using semi-definite programming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70]
간행물
Decomposition of balanced matrices
Journal of Combinatorial Theory
[71]
논문
The Excluded Minors for GF(4)-Representable Matroids
[72]
논문
A characterization of weakly bipartite graphs
[73]
논문
A combinatorial strongly polynomial algorithm for minimizing submodular functions
[74]
논문
A combinatorial algorithm minimizing submodular functions in strongly polynomial time
[75]
논문
PRIMES is in P
[76]
논문
A polynomial-time approximation algorithm for the permanent of a matrix with nonnegative entries
[77]
논문
Graph Minors. XX. Wagner's conjecture
[78]
논문
The strong perfect graph theorem
[79]
논문
Smoothed analysis of algorithms: Why the simplex algorithm usually takes polynomial time
[80]
논문
A proof of the Kepler conjecture
[81]
논문
Sphere Packings, V. Pentahedral Prisms
[82]
논문
Expander flows, geometric embeddings and graph partitioning
[83]
논문
Factors in random graphs
[84]
논문
Limits of dense graph sequenc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