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산수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산수학은 연속적이지 않은, 분리된 객체들을 다루는 수학의 한 분야이다. 그래프 이론, 수리 논리, 집합론, 정수론, 조합론, 알고리즘, 정보 이론 등을 포함하며, 컴퓨터 과학의 핵심적인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암호 해독, 4색 정리 증명 시도 등과 같은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 발전해 왔으며, P=NP 문제와 같은 미해결 문제들이 존재한다. 컴퓨터 과학, 정보 통신, 암호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대학의 컴퓨터 과학 및 정보 통신 관련 학과에서 전공 과목으로 채택되어 교육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산수학 - 고속 푸리에 변환
    고속 푸리에 변환(FFT)은 이산 푸리에 변환(DFT)을 효율적으로 계산하는 알고리즘으로, 연산 횟수를 줄여 디지털 신호 처리, 이미지 처리, 음향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쿨리-튜키 알고리즘 등이 대표적이다.
  • 이산수학 - 조합론
    조합론은 이산적인 대상의 개수를 세거나 조건을 만족하는 대상을 구성, 분류하는 수학 분야로, 순열, 조합에서 시작해 그래프 이론, 설계 이론 등 다양한 조합적 구조와 관련된 문제를 연구하며 여러 학문 분야에 응용된다.
  • 수학 - 회귀 분석
    회귀 분석은 종속 변수와 하나 이상의 독립 변수 간의 관계를 모델링하고 분석하는 통계적 기법으로, 최소 제곱법 개발 이후 골턴의 연구로 '회귀' 용어가 도입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예측 및 인과 관계 분석에 활용된다.
  • 수학 - 수학적 최적화
    수학적 최적화는 주어진 집합에서 실수 또는 정수 변수를 갖는 함수의 최댓값이나 최솟값을 찾는 문제로, 변수 종류, 제약 조건, 목적 함수 개수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나뉘며 여러 학문 분야에서 활용된다.
이산수학

2. 이산수학의 역사와 발전

이산수학은 고대부터 그 개념이 존재했지만, 현대적 의미로는 20세기 후반 컴퓨터의 등장과 함께 발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앨런 튜링의 연구를 바탕으로 최초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디지털 전자 컴퓨터인 콜로서스 컴퓨터가 개발되면서, 이산수학은 컴퓨터 과학의 핵심 이론적 기반이 되었다.[16]

냉전 시대에는 암호화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공개 키 암호화 등의 발전이 있었고, 통신 산업 발전은 그래프 이론정보 이론의 발전을 이끌었다. 그래프 이론에서 4색 정리는 컴퓨터를 이용한 증명으로 유명하며, 수리 논리에서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는 힐베르트의 문제 중 하나에 대한 답을 제시했다.

논리적 명제의 형식적 검증은 안전 필수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수적이며, 자동 정리 증명 발전을 이끌었다. 계산 기하학은 컴퓨터 그래픽스(컴퓨터 과학)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고, 이산수학의 여러 분야는 생물 정보학 문제 해결에도 중요하다.[17]

현재 이론 전산학에서 가장 유명한 미해결 문제 중 하나는 P = NP 문제이며, 클레이 수학 연구소는 이 문제의 최초 증명에 100만달러의 상금을 제공하고 있다.[18]

2. 1. 고대와 중세 시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정수의 속성과 관련된 수론이 연구되었다. 특히 모듈러 산술, 디오판토스 방정식, 선형 및 2차 합동, 소수 및 소수 판정과 같은 개념은 암호학 및 암호 분석에 응용되었다.

검은 픽셀이 소수를 나타내는 울람 나선. 이 그림은 소수의 분포 패턴을 암시한다.


중세 시대에는 조합론이 발전했다. 조합론은 이산 구조를 결합하거나 배열하는 방법을 연구하며, 조합적 열거는 특정 조합 객체의 수를 세는 데 집중한다. 예를 들어 열두 가지 방법은 순열, 조합 및 분할을 세는 통합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해석적 조합론은 복소 해석 및 확률론의 도구를 사용하여 조합 구조를 열거하고, 점근적 공식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위상적 조합론은 조합론에서 위상 수학 및 대수적 위상 수학/조합적 위상 수학의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다. 설계 이론은 특정 교집합 속성을 가진 부분 집합 모음인 조합 설계에 대한 연구이며, 분할론은 정수 분할과 관련된 다양한 열거 및 점근적 문제를 연구한다. 분할론은 q-급수, 특수 함수 및 직교 다항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원래는 수론해석학의 일부였지만 현재는 조합론의 일부 또는 독립적인 분야로 간주된다. 순서론은 유한 및 무한 부분 순서 집합에 대한 연구이다.

2. 2. 현대 이산수학의 발전

20세기 후반, 컴퓨터의 등장과 함께 이산수학은 컴퓨터 과학의 핵심적인 이론적 기반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암호를 해독해야 할 필요성은 암호학과 이론 전산학의 발전을 이끌었으며, 앨런 튜링의 획기적인 연구 "On Computable Numbers"에 따라 영국의 블레츨리 파크에서 최초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디지털 전자 컴퓨터인 콜로서스 컴퓨터가 개발되었다.[16]

냉전 시대에는 암호화의 중요성이 지속되었고, 공개 키 암호화와 같은 근본적인 발전이 이후 수십 년 동안 이루어졌다. 통신 산업 또한 이산 수학, 특히 그래프 이론정보 이론의 발전을 촉진했다.

그래프 이론에서 1852년에 처음 언급되었지만 1976년에 케네스 아펠과 볼프강 하켄이 컴퓨터를 사용하여 증명한 4색 정리는 많은 연구에 동기를 부여했다.[15] 수리 논리에서 다비트 힐베르트가 1900년에 제시한 힐베르트의 문제 목록에 있는 힐베르트의 두 번째 문제는 산술공리가 무모순임을 증명하는 것이었다. 1931년에 증명된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는 적어도 산술 자체 내에서는 이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힐베르트의 열 번째 문제는 주어진 정수 계수를 갖는 다항식 디오판토스 방정식이 정수 해를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었는데, 1970년에 유리 마티야세비치는 마티야세비치 정리를 통해 이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했다.

논리적 명제의 형식적 검증은 안전 필수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했으며, 자동 정리 증명의 발전은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주도되었다. 계산 기하학은 현대 비디오 게임컴퓨터 지원 설계 도구에 통합된 컴퓨터 그래픽스(컴퓨터 과학)의 중요한 부분이다.

이산 수학의 여러 분야, 특히 이론 전산학, 그래프 이론 및 조합론계통수를 이해하는 것과 관련된 어려운 생물 정보학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하다.[17]

현재, 이론 전산학에서 가장 유명한 공개 문제 중 하나는 P = NP 문제로, 복잡도 종류 P (복잡도)NP (복잡도)의 관계를 포함한다. 클레이 수학 연구소는 최초의 정확한 증명에 대해 100만달러의 상금을 제공했으며, 밀레니엄 문제에 대한 상을 포함하여 6개의 다른 수학 문제에 대한 상금도 제공했다.[18]

3. 이산수학의 주요 분야

이산수학은 여러 분야를 포함하며, 각 분야는 컴퓨터 과학 및 정보 통신 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요 분야는 다음과 같다:



이산수학에서 자주 사용되는 문제 해결 방법은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것이다. 문제의 구조를 알고리즘으로 대체하여 분석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한다. 알고리즘 이론은 귀납적 사고를 포함하며, 알고리즘 이론 자체도 이산수학의 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3. 1. 수리 논리학

수리 논리학은 참과 거짓, 명제, 추론 등 논리적인 사고 과정을 수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이다. 수학적 증명에 대한 연구는 수리논리학에서 특히 중요하며, 자동 정리 증명과 소프트웨어의 형식적 검증으로 발전했다.[10]

논리 공식은 증명과 마찬가지로 이산 구조이며, 증명은 유한 트리[10] 또는 일반적으로 방향 비순환 그래프 구조[11][12]를 형성한다. 논리 공식의 진리값은 일반적으로 유한 집합을 형성하며, 보통 ''참''과 ''거짓''의 두 값으로 제한되지만, 퍼지 논리와 같이 연속 값을 가질 수도 있다.

3. 2. 집합론

집합의 성질과 연산을 연구하는 수학 분야이다. 게오르크 칸토어가 서로 다른 종류의 무한 집합을 구별하면서 시작되었으며,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모델 등에 활용된다. 이산 수학에서는 가산 집합 (유한 집합 포함)이 주요 초점이다.

3. 3. 정수론

정수의 성질과 관계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암호학, 정보 보안 등에 활용된다. 특히 모듈러 산술, 디오판토스 방정식, 선형 및 2차 합동, 소수 및 소수판정에 응용된다. 수론의 다른 이산적인 측면에는 수의 기하학이 포함된다.

3. 4. 조합론

조합론은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의 수를 세거나, 최적의 조합을 찾는 방법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이는 알고리즘 설계, 네트워크 최적화 등에 활용된다.

조합론은 이산 구조를 결합하거나 배열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세부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조합적 열거: 특정 조합 객체의 수를 세는 데 집중한다. 예를 들어 열두 가지 방법은 순열, 조합, 분할을 세는 통합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 해석적 조합론: 복소 해석 및 확률론의 도구를 사용하여 조합 구조의 열거(즉, 수를 결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명시적 조합 공식과 생성 함수를 사용하여 결과를 설명하는 조합적 열거와 대조적으로, 해석적 조합론은 점근적 공식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위상적 조합론: 조합론에서 위상 수학 및 대수적 위상 수학/조합적 위상 수학의 기술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 설계 이론: 특정 교집합 속성을 가진 부분 집합 모음인 조합 설계에 대한 연구이다.
  • 분할론: 정수 분할과 관련된 다양한 열거 및 점근적 문제를 연구하며, q-급수, 특수 함수, 직교 다항식과 밀접하게 관련 있다. 원래는 수론해석학의 일부였지만, 현재는 조합론의 일부 또는 독립적인 분야로 간주된다.
  • 순서론: 유한 및 무한 부분 순서 집합에 대한 연구이다.[1]


조합론은 "끊임없이 세는" 수학이라고 할 수 있다. 유한한 수에 대해 생각하며, 그 사고방식의 기본은 다음과 같다.[2]

  • 해결책은 존재하는가?
  • 얼마나 많은 수의 해결책이 있는가?
  • 최적의 해결책이 있는가?


그래프 이론의 많은 문제는 조합론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프에서 두 정점 사이의 경로에 관한 문제는 다음과 같다.[2]

  • 경로는 존재하는가?
  • 얼마나 많은 수의 경로가 있는가?
  • 최적의 경로를 찾을 수 있는가?


그 외에도 그래프 채색에 관한 문제 등 조합론과의 관련이 깊다.[2]

학교 교육 영역에서 가르치는 조합론 관련 내용으로는 순열·조합이 있다.[2]

3. 5. 그래프 이론

그래프 이론군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잘린 사면체 그래프는 교대군 ''A''4와 관련이 있다.


그래프 이론은 그래프와 네트워크를 연구하는 분야로, 점과 선으로 연결된 그래프의 구조와 성질을 연구한다. 종종 조합론의 일부로 간주되지만, 자체적인 문제들을 가지고 독립적인 분야로 여겨질 만큼 충분히 크고 뚜렷하게 성장했다.[14]

그래프는 자연적 및 인공적 구조에 대한 모델 중 하나이며, 물리적, 생물학적 및 사회적 시스템에서 다양한 유형의 관계와 프로세스 역학을 모델링할 수 있다. 컴퓨터 과학에서 그래프는 통신 네트워크, 데이터 구성, 계산 장치, 계산 흐름 등을 나타낼 수 있다.

그래프 이론은 조합론과 관련이 깊다. 예를 들어, 그래프에서 두 정점 사이의 경로에 관한 문제는 다음과 같다.

  • 경로는 존재하는가?
  • 얼마나 많은 수의 경로가 있는가?
  • 최적의 경로를 찾을 수 있는가?


그래프 채색에 관한 문제 등도 조합론과 관련이 깊다.

3. 6. 알고리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나 방법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컴퓨터 과학의 모든 분야에 활용된다.

계산 기하학은 컴퓨터 알고리즘기하학적 객체의 표현에 적용한다.


이론 전산학에는 알고리즘과 자료 구조 연구가 포함된다. 계산 기하학은 알고리즘을 기하학적 문제와 기하학적 객체의 표현에 적용하는 반면, 컴퓨터 이미지 분석은 알고리즘을 이미지의 표현에 적용한다.

이산수학에서 자주 사용되는 공통적인 문제 해결 방법은 알고리즘에 의한 해결 방법이다. 문제의 구조를 알고리즘으로 대체하여 분석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한다. 알고리즘의 이론은 귀납적인 생각을 포함한다. 즉, 알고리즘의 이론 자체도 이산수학의 한 부분을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3. 7. 정보 이론

이진법으로 표시된 "위키백과"라는 단어의 ASCII 코드는 정보 처리 알고리즘뿐만 아니라 정보 이론에서 단어를 나타내는 방법을 제공한다.


정보 이론은 정보의 정량화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이는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및 저장 방법을 설계하는 데 사용되는 부호 이론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정보 이론은 아날로그 신호, 아날로그 부호화, 아날로그 암호화와 같은 연속적인 주제도 다룬다.

4. 이산수학의 응용 분야

이산수학은 컴퓨터 과학, 정보 통신, 암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응용된다.

이산수학은 정수처럼 딱딱 떨어지는 값들을 다루기 때문에, 연속적인 값을 다루는 미적분학과는 다르다. 이산 미적분, 이산 푸리에 변환, 이산 기하학 등 다양한 분야가 있다.

이산 미적분학에서는 수열을 주로 다룬다. 수열은 데이터에서 얻거나, 이산 동적 시스템에서 만들 수 있다. 차분 방정식은 미분 방정식과 비슷하지만, 미분 대신 항들 간의 차이를 이용한다. 시간 척도 미적분학은 차분 방정식과 미분 방정식을 통합하여, 연속적인 데이터와 이산적인 데이터를 함께 다룰 수 있게 해준다.

응용 수학에서 이산 모델링은 연속적인 모델을 이산적으로 만든 것이다. 점화 관계를 사용하며, 이산화는 연속적인 모델을 이산적인 모델로 바꾸는 과정이다. 수치 해석이 그 예시이다.

학교 교육에서는 행렬, 집합, 순열, 조합, 논리, 증명, 수학적 귀납법, 점화식, 수열 등을 가르친다. 그 외에도 게임 이론, 마르코프 연쇄, 사회 선택 이론 등이 활용된다.

4. 1. 컴퓨터 과학

알고리즘 설계, 자료 구조, 프로그래밍 언어,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인공지능 등 컴퓨터 과학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이산수학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론 전산학은 컴퓨팅과 관련된 이산 수학 분야를 포함하며, 그래프 이론과 수리 논리에 크게 의존한다. 이론 전산학에는 알고리즘과 데이터 구조 연구가 포함된다.

계산 가능성은 원칙적으로 무엇을 계산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며, 논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반면, 복잡도는 계산에 소요되는 시간, 공간 및 기타 리소스를 연구한다. 오토마타 이론형식 언어 이론은 계산 가능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페트리 망과 프로세스 대수는 컴퓨터 시스템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되며, 이산 수학의 방법은 VLSI 전자 회로를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계산 기하학은 알고리즘을 기하학적 문제와 기하학적 객체의 표현에 적용하는 반면, 컴퓨터 이미지 분석은 알고리즘을 이미지의 표현에 적용한다. 이론 전산학은 또한 다양한 연속적인 계산 주제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다.[10][11][12]

4. 2. 정보 통신

정보 이론은 정보의 정량화를 다룬다. 부호 이론은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및 저장 방법을 설계하는 데 사용된다.[14] 정보 이론에는 아날로그 신호, 아날로그 부호화, 아날로그 암호화와 같은 연속적인 주제도 포함된다.

4. 3. 암호학

정보 보안을 위한 암호화복호화 알고리즘 개발에 이산수학, 특히 정수론과 조합론이 활용된다. 수론정수의 속성에 관련되며, 암호학 및 암호 분석, 특히 모듈러 산술, 소수 및 소수 판정에 응용된다.[10]

4. 4. 기타 응용 분야

응용 수학에서 이산 모델링은 연속 모델링의 이산적인 형태이다. 이산 모델링에서는 이산 공식이 데이터에 맞춰진다. 이러한 형태의 모델링에서 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점화 관계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산화는 연속적인 모델과 방정식을 이산적인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종종 근사를 사용하여 계산을 더 쉽게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다. 수치 해석은 중요한 예시이다.

학교 교육 영역에서 가르쳐지는 것으로는 행렬, 집합, 순열, 조합, 논리, 증명, 수학적 귀납법, 점화식, 수열 등이 있다. 그 외에, 금융·산업 경제 영역에서 과학 기술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는 게임 이론, 마르코프 연쇄, 사회 선택 이론, 투표 이론, 빈 팩킹 문제, 기호론 등이 있다.

5. 이산수학과 관련된 주요 문제들

이산수학은 많은 중요한 미해결 문제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연구는 학문 발전의 중요한 동력이 된다.[18]

이 지도와 같이 동일한 색상의 영역이 가장자리를 공유하지 않도록 그래프 채색을 사용하여 사색 정리로 4색 정리를 증명하려는 시도에 의해 동기 부여되었다. 케네스 아펠과 볼프강 하켄은 1976년에 이를 증명했다.

  • 4색 정리: 그래프 이론에서, 1852년에 처음 언급되었지만 1976년에야 케네스 아펠과 볼프강 하켄이 컴퓨터를 이용하여 증명하였다.[15] 이 문제는 평면 그래프의 각 영역을 인접한 영역과 다른 색으로 칠할 때 네 가지 색으로 충분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문제이다.
  • 힐베르트의 두 번째 문제: 다비트 힐베르트가 1900년에 제시한 문제로, 산술공리가 무모순임을 증명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1931년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에 의해 이것이 산술 자체 내에서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 힐베르트의 열 번째 문제: 정수 계수를 갖는 다항식 디오판토스 방정식이 정수 해를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문제였다. 1970년에 유리 마티야세비치는 이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했다.
  • P-NP 문제: 이론 전산학에서 가장 유명한 미해결 문제 중 하나로, 복잡도 종류 P (복잡도)NP (복잡도)가 같은지 여부를 묻는 문제이다. 클레이 수학 연구소는 이 문제의 최초 증명에 대해 100만달러의 상금을 제공한다.[18]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의 암호 해독을 위한 노력은 암호학과 이론 전산학의 발전을 이끌었으며, 영국의 블레츨리 파크에서는 앨런 튜링의 연구를 바탕으로 최초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디지털 전자 컴퓨터인 콜로서스 컴퓨터가 개발되었다.[16] 냉전 시대에는 공개 키 암호화와 같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6. 이산수학 교육

현재 많은 대학교 컴퓨터과학 관련 학과에서 이산수학을 전공 과목으로 채택하고 있다.[10] Kenneth H. Rosen이 유명한 저자 중 한 명이다.

다음은 일본의 이산수학 교재 목록이다.

저자서명출판사출판년도
오구라 히사카즈이산수학 입문킨다이 카가쿠샤(近代科学社)2005년
모리야 에츠로이산수학 입문사이언스사(サイエンス社)2006년
이시무라 소노코쉽게 배우는 이산수학쿄리츠 출판(共立出版)2007년
마츠바라 료타 (외)이산수학옴사(オーム社)2010년
모리야 에츠로예제와 연습 이산수학사이언스사(サイエンス社)2011년
요코모리 타카시, 코바야시 사토시응용 정보 수학사이언스사(サイエンス社)2011년
오구라 히사카즈처음 배우는 이산수학킨다이 카가쿠샤(近代科学社)2011년
미야자키 요시노리, 신타니 마코토, 나카타니 히로마사이공학계를 위한 이산수학도쿄도쇼(東京図書)2013년
니시노 테츠로, 와카츠키 미츠오정보공학을 위한 이산수학 입문수리공학사(数理工学社)2015년
첸 웨이, 와다 코이치이산수학 (제2판)모리키타 출판(森北出版)2017년
키모토 카즈후미강의 이산수학 - 그래프의 세계로의 초대사이언스사(サイエンス社)2019년
이토 히로오일러스트로 배우는 이산수학코단샤(講談社)2019년
마키노 카즈히사기초 수학 이산수학 (도쿄 대학 공학 과정)마루젠 출판(丸善出版)2019년
이노마타 토시미츠, 미나미노 켄이치정보계를 위한 이산수학쿄리츠 출판(共立出版)2020년
코우야 토모키, 쿠니모치 요시유키정보 수학의 기초(제2판)모리키타 출판(森北出版)2020년
Seymour Lipschutz, Marc Lipson, 와타나베 히토시(역)이산수학 (개정 2판)옴사(オーム社)2022년
토쿠야마 고공학 기초 이산수학 및 그 응용 [제2판]수리공학사(数理工学社)2022년
쿠로사와 카오루공학을 위한 이산수학 [제2판]수리공학사(数理工学社)2024년 5월 25일


참조

[1] 서적 Discrete Mathematics Prentice Hall 2008
[2] 논문 Discrete and continuous: a fundamental dichotomy in mathematics https://scholarship.[...] 2021-06-30
[3] 웹사이트 Discrete Structures: What is Discrete Math? https://cse.buffalo.[...] 2018-11-16
[4] 서적 Discrete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The Clarendon Press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Resources for Teaching Discrete Mathematics: Classroom Projects, History Modules, and Articles https://books.google[...]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2009
[6] 서적 Applied Discrete Structures https://discretemath[...]
[7] 서적 Mathematics as a Service Subject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Discrete Mathematics in the Schools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9] 웹사이트 UCSMP http://ucsmp.uchicag[...]
[10] 서적 Basic Proof The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07-27
[11] 서적 Handbook of Proof Theory https://books.google[...] Elsevier
[12] 서적 KI 2001: Advances in Artificial Intelligence: Joint German/Austrian Conference on AI, Vienna, Austria, September 19-21, 2001. Proceeding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1-10-16
[13] 논문 Cyclic proofs of program termination in separation logic 2008-01
[14] 서적 Graphs on Surfaces https://www.press.jh[...]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1
[15] 서적 Four Colors Suffice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16] 서적 Alan Turing: The Enigma Random House
[17] 서적 Reconstruction the Tree of Life: Taxonomy And Systematics of Large And Species Rich Taxa https://books.google[...] CRC Press
[18] 웹사이트 Millennium Prize Problems http://www.claymath.[...] 2008-01-12
[19] 서적 入門有限・離散の数学;1 離散数学入門 朝倉書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