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퓰리처상 탐사 보도 부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퓰리처상 탐사 보도 부문은 사회의 부조리를 고발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낸 탐사 보도에 수여되는 상이다. 1953년부터 1963년까지는 지역 사회의 부패, 비리 등을 다룬 보도에 수여되었으며, 이후 1984년까지 지역 탐사 전문 보도로 그 범위를 넓혔다. 1985년부터는 지역, 전국, 국제적 이슈를 망라하는 심층적인 탐사 보도에 수여되고 있다. 2000년에는 한국 전쟁 중 노근리 학살 사건을 보도한 기자들이 수상했으며, 2015년에는 로비 실태를 보도한 뉴욕 타임스와 메디케어 문제를 분석한 월스트리트 저널이 공동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탐사보도 - 프로퍼블리카
    프로퍼블리카는 권력 남용 고발과 공공의 이익 기여를 목표로 2007년 설립된 미국의 비영리 탐사보도 매체로, 심층적인 탐사보도를 통해 사회 문제를 조명하고 여러 차례 퓰리처상을 수상했으며, 데이터 기반 저널리즘을 강화하고 있다.
  • 탐사보도 - PD수첩
    PD수첩은 MBC의 대표적인 탐사보도 프로그램으로, 사회 부조리와 권력형 비리, 민감한 현안들을 심층 취재하여 고발하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대한민국 사회에 질문을 던지는 프로그램이다.
  • 퓰리처상 - 퓰리처상 심층 보도 부문
    퓰리처상 심층 보도 부문은 정치, 경제,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심층 조사 보도, 분석 기사, 연재 기사를 대상으로 정확성, 완성도, 공익성, 사회적 영향력을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사회 감시와 공익을 위한 저널리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저널리즘 분야의 상이다.
  • 퓰리처상 - 퓰리처상 논평 부문
    퓰리처상 논평 부문은 1970년부터 시작되어 매년 공공 문제, 정치, 사회 현안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뛰어난 논평을 통해 사회에 기여한 논평가에게 수여한다.
퓰리처상 탐사 보도 부문
퓰리처상 탐사 보도 부문
정보
수여 기관컬럼비아 대학교
국가미국
분야저널리즘
첫 시상1953년
이전 명칭
웹사이트

2. 퓰리처상 탐사 보도 부문 역사

퓰리처상 탐사 보도 부문은 1953년 "지역 보도, 판 시간 없음" 부문으로 시작하여 1964년 "지역 탐사 전문 보도", 1985년 "탐사 보도" 부문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53년부터 1963년까지 "지역 보도, 판 시간 없음" 부문에서는 뉴욕 월드-텔레그램 & 선의 에드워드 J. 모어리가 루이스 호프너의 무죄를 입증한 보도를 시작으로, 지역 사회의 문제점을 파헤치는 다양한 탐사 보도가 이 상을 수상했다.

1964년부터 1984년까지 "지역 탐사 전문 보도" 부문에서는 필라델피아 불레틴의 제임스 V. 매기, 앨버트 V. 가우디오시, 프레데릭 마이어가 경찰과 연계된 도박 조직을 폭로한 보도를 필두로[1], 정부 부패, 의료 과실, 기업 비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심층적인 탐사 보도가 이루어졌다.

1985년 "탐사 보도" 부문으로 변경된 이후, 세인트 피터스버그 타임스의 루시 모건과 잭 리드가 보안관 부서의 부패를 폭로한 보도[1]필라델피아 인콰이어러의 윌리엄 K. 마리모우가 도시 경찰견 문제를 폭로한 보도[2]를 시작으로, 권력 남용, 사회 부조리, 국제 문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탐사 보도가 퓰리처상을 수상하고 있다.

특히, 2000년에는 연합 통신의 상훈 최, 찰스 J. 핸리, 마사 멘도사가 한국 전쟁 초기 미군에 의한 한국 민간인 학살을 보도하여 한국 언론인 최초로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2. 1. 1953년 ~ 1963년: 지역 보도, 판 시간 없음


  • '''1953년:''' 뉴욕 월드-텔레그램 & 선의 에드워드 J. 모어리는 루이스 호프너에게 무죄를 입증하고 자유를 가져다준 사실을 보도했다.
  • '''1954년:''' 캔자스시티 스타의 앨빈 맥코이는 공화당 전국 위원장 C. 웨슬리 로버츠가 불명예스럽게 사임하도록 이끈 일련의 독점 기사를 썼다.[1]
  • '''1955년:''' 텍사스 쿠에로 레코드의 롤랜드 케네스 토웨리는 텍사스 재향군인 토지 프로그램 운영의 스캔들을 독점적으로 폭로하는 일련의 기사를 썼다. 이 기사는 불법 행위를 주 전역과 전국적인 문제로 만들었으며, 토지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주 정부의 조치를 촉구했다.[2]
  • '''1956년:''' 뉴욕 타임스의 아서 데일리는 일일 칼럼 '스포츠 오브 더 타임스'에서 스포츠 세계에 대한 뛰어난 보도와 논평을 했다.[3]
  • '''1957년:''' 포틀랜드 오레고니안의 월리스 터너와 윌리엄 램버트는 포틀랜드에서 일부 시 공무원과 미국 팀스터, 운전사, 창고 노동자 및 도우미 국제 연맹 서부 회의 임원들이 관련된 부패와 비리를 폭로했다.[4]
  • '''1958년:''' 워싱턴 D.C. 이브닝 스타의 조지 베버리지는 워싱턴 D.C.의 도시 문제를 심층적으로 묘사한 '메트로, 내일의 도시'라는 연재 기사를 통해 이러한 문제에 대한 광범위한 대중의 관심을 자극하고 공공 및 민간 기관의 추가 연구를 장려했다.[5]
  • '''1959년:''' 스크랜턴 트리뷴 앤 스크랜토니안의 존 해롤드 브리스린은 자신의 고향에서 노동 폭력을 막기 위한 4년간의 캠페인에서 용기, 주도력, 그리고 기지를 발휘했다. 그 결과 10명의 부패한 노조 간부가 감옥에 갔고, 지역 노조는 횡령 요소를 청산할 용기를 얻었다.[6]
  • '''1960년:''' 워싱턴 D.C. 이브닝 스타의 미리엄 오텐버그는 워싱턴 D.C.의 중고차 사기를 폭로하는 7편의 연재 기사를 썼다. 이 기사는 대중을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규정을 이끌어냈고, 다른 지역 사회에도 이러한 부정한 행위를 알리는 데 기여했다.[7]
  • '''1961년:''' 버팔로 이브닝 뉴스의 에드거 메이는 뉴욕주의 공공 복지 서비스에 대한 일련의 기사 '우리의 비용이 많이 드는 딜레마'를 썼다. 이 기사는 전국적인 관심을 끈 개혁을 가져왔다.[8]
  • '''1962년:''' 시카고 트리뷴의 조지 블리스는 시카고 광역 위생 지구에서 발생한 스캔들을 밝혀내는 주도적인 역할로 시정 조치를 이끌어냈다.[9]
  • '''1963년:''' 페코스 인디펜던트 앤 엔터프라이즈의 오스카 그리핀 주니어는 편집자로서 빌리 솔 에스테스 스캔들을 폭로하여 미국 정부에 대한 주요 사기를 전국적인 관심사로 만들었으며, 에스테스의 조사, 기소 및 유죄 판결을 이끌어냈다.[10]

2. 2. 1964년 ~ 1984년: 지역 탐사 전문 보도

연도수상자소속내용
1964년제임스 V. 매기, 앨버트 V. 가우디오시, 프레데릭 마이어필라델피아 불레틴경찰의 공모를 통한 사우스 필라델피아의 숫자 도박 조직을 폭로하여 체포 및 경찰서 정화에 기여.[1]
1965년진 골츠휴스턴 포스트텍사스주 파사데나의 정부 부패를 폭로하여 광범위한 개혁을 이룸.[2]
1966년존 앤서니 프라스카탬파 트리뷴두 건의 강도 사건을 조사하고 보도하여 무고한 사람의 석방에 기여.[3]
1967년진 밀러마이애미 헤럴드살인죄로 부당하게 유죄 판결을 받은 두 사람의 석방에 기여한 주도적이고 탐사적인 보도.[4]
1968년J. 앤서니 루카스뉴욕 타임스린다 피츠패트릭의 삶과 살인 사건을 조사하여 사회적 문서를 작성.[5]
1969년알 델루가치, 데니 월시세인트루이스 글로브-민주당세인트루이스 배관공 노조 지역 562 내의 사기와 권력 남용에 대한 캠페인.[6]
1970년해롤드 유진 마틴몽고메리 광고주 및 앨라배마 저널앨라배마 수감자들을 약물 실험에 사용하고 그들의 혈장을 얻는 상업적 계획을 폭로.[7]
1971년윌리엄 존스시카고 트리뷴경찰과 시카고의 일부 대형 사립 구급차 회사 간의 공모를 폭로하여 저소득층 지역의 서비스 제한을 막고 주요 개혁을 이룸.[8]
1972년티모시 리랜드, 제라드 M. 오닐, 스티븐 A. 커키지언, 앤 데산티스보스턴 글로브매사추세츠주 소머빌의 광범위한 부패를 폭로.[9]
1973년오마하 선 신문보이즈 타운의 거대한 재정 자원을 밝혀내어 이 자선 단체의 대중 기금 모집 및 사용에 대한 개혁을 이룸.[10]
1974년윌리엄 셔먼뉴욕 데일리 뉴스뉴욕 메디케이드 프로그램의 극심한 남용을 폭로한 독창적인 탐사 보도.[11]
1975년인디애나폴리스 스타지역 경찰 부패 및 지연된 법 집행을 폭로하여 경찰서와 카운티 검찰청의 정화에 기여.[12]
1976년시카고 트리뷴 직원시카고의 연방 주택 프로그램에서 만연한 남용을 밝혀내고 시카고의 두 사립 병원의 충격적인 상황을 폭로.[13]
1977년아셀 무어, 웬델 로울스 주니어필라델피아 인콰이어러정신 질환자를 위한 파뷰(펜실베이니아) 주립 병원의 상황에 대한 보고서.
1978년앤서니 R. 돌란스탬퍼드 옹호자지방 자치 부패에 대한 일련의 보도.
1979년길버트 M. 골, 엘리엇 G. 재스핀펜실베이니아주 포츠빌 공화국블루 콜 컴퍼니가 조직 범죄와 연루된 사람들에 의해 파괴된 사건에 대한 보도.
1980년스티븐 A. 커키지언, 알렉산더 B. 호스 주니어, 닐스 브루젤리우스, 조안 벤노치, 로버트 M. 포터필드보스턴 글로브보스턴의 대중교통 시스템에 대한 기사.
1981년클라크 할라스, 로버트 B. 로애리조나 데일리 스타애리조나 대학교 체육부를 조사.
1982년폴 헨더슨시애틀 타임스강간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의 무죄를 입증한 보도.
1983년로레타 토파니워싱턴 포스트메릴랜드주 프린스 조지스 카운티 구치소에서 발생한 강간 및 성폭력 사건에 대한 조사.
1984년케네스 쿠퍼, 조안 피츠 제랄드, 조나단 카우프만, 노먼 록먼, 게리 맥밀란, 커크 샤르펜버그, 데이비드 웨셀보스턴 글로브보스턴의 인종 관계를 조사한 일련의 기사. 공공 봉사에 크게 기여했으며, 글로브 자체를 포함하여 도시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관을 면밀히 조사.


2. 3. 1985년 ~ 현재: 탐사 보도

연도수상자소속기사 내용
1985년루시 모건, 잭 리드세인트 피터스버그 타임스패스 코 카운티 보안관 존 쇼트에 대한 철저한 보도로 보안관 부서의 부패를 폭로하고 유권자들이 그를 해임하도록 했다.[1]
1985년윌리엄 K. 마리모우필라델피아 인콰이어러도시 경찰견이 350명 이상을 공격했다는 사실을 폭로하여 K-9 부대에 대한 조사와 12명의 경찰관의 해임을 이끌어냈다.[2]
1986년제프리 A. 마르크스, 마이클 M. 요크렉싱턴 헤럴드 리더 (켄터키주)NCAA 규정을 위반하여 켄터키 대학교 농구 선수들에게 현금 뇌물을 제공한 사실을 폭로한 규칙 이상으로 플레이하기 연재 기사로, 영국 농구 프로그램은 기사가 나온 후 자체 개혁에 거의 힘쓰지 않았고, 진정한 개혁은 3년 후 프로그램이 또 다른 현금 모집 스캔들에 연루되었을 때 이루어졌다.[3]
1987년다니엘 R. 비들, H.G. 비싱어, 프레드릭 N. 툴스키필라델피아 인콰이어러필라델피아 법원 시스템의 정의 위반을 폭로한 법정의 혼란 연재 기사로 연방 및 주 조사를 이끌어냈다.[4]
1988년딘 바케, 윌리엄 C. 게인스, 앤 마리 리핀스키시카고 트리뷴시카고 시의회를 괴롭히는 사리사욕과 낭비에 대한 상세한 보도로 수상했다.[5]
1989년빌 데드먼애틀랜타 저널 앤 컨스티튜션애틀랜타의 대출 기관이 행한 인종 차별에 대한 조사, 이 보도로 인해 해당 정책에 상당한 개혁이 이루어졌다.[6]
1990년루 킬저, 크리스 이슨미니애폴리스-세인트 폴 스타 트리뷴세인트 폴 소방서의 구성원과 연관되어 화재로 이익을 얻은 지역 시민들의 네트워크를 폭로한 보도, 소방서 자체는 이 화재 중 일부를 의심스러운 기원으로 묘사했다.[7]
1991년조셉 T. 할리난, 수잔 M. 헤든인디애나폴리스 스타주 의료 과실에 대한 충격적인 연재 기사로 수상했다.[8]
1992년로레인 아담스, 댄 말론댈러스 모닝 뉴스텍사스 경찰의 광범위한 비행과 권력 남용을 비난하는 보도로 수상했다.[9]
1993년제프 브라질, 스티브 베리올랜도 센티넬경찰의 마약반이 운전자들(대부분 소수 민족)로부터 부당하게 수백만 달러를 압수하는 것을 폭로하여 수상했다.[10]
1994년기자들프로비던스 저널-불레틴 (로드아일랜드)로드아일랜드 법원 시스템 내 만연한 부패를 폭로한 철저한 보도로 수상했다.[11]
1995년스테파니 소울, 브라이언 도노반뉴스데이지역 경찰의 장애 연금 남용을 폭로한 기사로 수상했다.[12]
1996년기자들오렌지 카운티 레지스터선도적인 연구 대학 병원의 사기적이고 비윤리적인 생식 관행을 밝혀내고 주요 규제 개혁을 촉구한 보도로 수상했다.[13]
1997년에릭 널더, 데보라 넬슨, 알렉스 티존시애틀 타임스미국 원주민을 위한 연방 후원 주택 프로그램의 광범위한 부패와 불공정을 조사하여 절실히 필요한 개혁을 이끌어냈다.
1998년게리 콘, 윌 잉글런드볼티모어 선버려진 배가 해체될 때 노동자와 환경에 가해지는 위험을 드러낸 국제적인 선박 해체 산업에 대한 설득력 있는 연재 기사로 수상했다.
1999년기자들마이애미 헤럴드나중에 뒤집힌 시 시장 선거에서 만연한 유권자 사기를 상세하게 보도했다.
2000년상훈 최, 찰스 J. 핸리, 마사 멘도사연합 통신한국 전쟁 초기 미군에 의한 한국 민간인 학살에 대한 보고서로 수상했다.
2001년데이비드 윌먼로스앤젤레스 타임스식품의약국에서 승인한 7가지 안전하지 않은 처방약을 선구적으로 폭로하고, 기관의 효율성을 감소시킨 정책 개혁에 대한 분석으로 수상했다.
2002년사리 호르위츠, 스콧 하이엄, 사라 코헨워싱턴 포스트1993년부터 2000년 사이에 보호 조치에 놓인 229명의 어린이가 방치되고 사망한 사건에서 컬럼비아 특별구의 역할을 폭로한 연재 기사, 이로 인해 시의 아동 복지 시스템이 전면 개편되었다.
2003년클리포드 J. 레비뉴욕 타임스국가가 규제하는 가정에서 정신 질환을 앓는 성인에 대한 학대를 폭로한 망가진 집 연재 기사로 수상했다.
2004년마이클 D. 샐라, 조 마, 미치 바이스톨레도 블레이드베트남 전쟁 중 타이거 포스의 잔혹 행위에 대한 연재 기사로 수상했다.
2005년나이젤 자키스윌라멧 위크전 주지사 닐 골드슈미트가 14세 소녀와의 오랫동안 숨겨왔던 성적 비행을 폭로한 조사로 수상했다.
2006년수잔 슈미트, 제임스 V. 그리말디, R. 제프리 스미스워싱턴 포스트워싱턴 로비스트 잭 아브라모프에 대한 끈기 있는 조사를 통해 의회 부패를 폭로하고 개혁 노력을 이끌어냈다.
2007년브렛 블랙레지버밍햄 뉴스주의 2년제 대학 시스템의 연고주의와 부패를 폭로하여 총장 해임과 기타 시정 조치를 이끌어냈다.
2008년월트 보그다니치, 제이크 후커뉴욕 타임스중국에서 수입된 의약품 및 기타 일상 제품의 독성 성분에 대한 기사로, 미국 및 중국 관리들의 단속을 이끌어냈다.
2008년기자들시카고 트리뷴장난감, 카시트, 아기 침대의 결함 있는 정부 규제를 폭로하여 유해한 제품의 광범위한 리콜과 감독을 강화하기 위한 의회 조치를 이끌어냈다.
2009년데이비드 바스토우뉴욕 타임스일부 은퇴한 장군들이 라디오 및 텔레비전 분석가로 활동하면서 펜타곤에 의해 이라크 전쟁을 옹호하도록 매수되었고, 그들 중 다수가 또한 그들이 옹호한 정책의 혜택을 받는 회사와 공개되지 않은 관계를 맺고 있었음을 폭로한 그의 끈기 있는 보도로 수상했다.
2010년바바라 레이커, 웬디 루더만필라델피아 데일리 뉴스불량 경찰 마약반을 폭로한 창의적인 보도로 FBI 조사를 촉발하고 스캔들로 얼룩진 수백 건의 형사 사건을 검토하도록 했다.
2010년셰리 핑크프로퍼블리카, 뉴욕 타임스 매거진허리케인 카트리나의 홍수로 고립되었을 때 한 병원의 지친 의사들이 내린 긴급한 생사를 가르는 결정들을 기록한 기사로 수상했다.
2011년페이즈 세인트 존사라소타 헤럴드-트리뷴플로리다 주택 소유자에게 중요한 불투명한 재산 보험 시스템의 약점을 조사하여 보험사 신뢰도를 평가하는 편리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규제 조치를 촉구했다.
2012년매트 아푸조, 아담 골드만, 에일린 설리번, 크리스 홀리연합 통신뉴욕 경찰의 비밀 스파이 프로그램이 무슬림 공동체의 일상 생활을 감시한 것을 조명하여 의회의 연방 수사 요청을 이끌어내고 국내 정보 수집의 적절한 역할에 대한 논쟁을 벌였다.
2012년마이클 J. 베렌스, 켄 암스트롱시애틀 타임스워싱턴주의 거의 알려지지 않은 정부 기관이 취약한 환자들을 더 안전한 통증 조절 약물에서 메타돈(더 저렴하지만 더 위험한 약물)으로 옮기는 방법을 조사하여 주 전체의 건강 경고를 촉구했다.
2013년데이비드 바스토우, 알레한드라 자닉 폰 베르트라브뉴욕 타임스월마트가 멕시코 시장을 지배하기 위해 광범위한 뇌물을 사용한 방법에 대한 보고서로, 회사 관행의 변화를 이끌어냈다.
2014년크리스 햄비공공 청렴 센터 (워싱턴 D.C.)일부 변호사와 의사가 흑폐병에 걸린 탄광 노동자들에게 혜택을 부인하기 위해 조작한 방법에 대한 보고서로, 시정 입법 노력을 이끌어냈다.
2015년에릭 립턴뉴욕 타임스로비스트의 영향력이 국회의원과 주 검찰총장을 어떻게 좌우하여 정의를 부유하고 유력한 사람들에게 유리하게 만들 수 있는지 보여주는 보도로 수상했다.
2015년존 캐리루, 크리스 스튜어트, 롭 배리, 톰 맥긴티, 마틴 버치, 존 키건, 스튜어트 톰슨월스트리트 저널미국인들이 자신의 건강 관리 제공자의 동기와 관행에 대한 이전에 기밀이었던 데이터에 전례 없는 접근 권한을 부여한 선구적인 프로젝트인 메디케어 언마스크로 수상했다.
2016년레오노라 라피터 안톤, 앤서니 코미어, 마이클 브라가탬파 베이 타임스, 사라소타 헤럴드-트리뷴두 뉴스 기관의 협력 보도의 훌륭한 예로, 플로리다 정신 병원의 폭력과 방치가 심화되는 것을 폭로하고 주 관리들에게 책임을 물었다.
2017년에릭 아이르찰스턴 가제트-메일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용감하게 보도하여, 미국에서 과다 복용 사망률이 가장 높은 우울한 웨스트버지니아 카운티로 유입되는 아편류의 홍수를 폭로했다.
2018년스테파니 맥크럼멘, 베스 라인하르트, 앨리스 크라이츠워싱턴 포스트후보의 10대 소녀에 대한 과거 성추행 의혹과 이를 폭로한 저널리즘을 훼손하려는 시도를 밝혀냄으로써 앨라배마 상원 선거의 흐름을 바꾼 목적 의식적이고 끈질긴 보도로 수상했다.
2019년매트 해밀턴, 해리엇 라이언, 폴 프린글로스앤젤레스 타임스25년 이상 동안 수백 명의 젊은 여성을 성적으로 유린한 혐의를 받고 있는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산부인과 의사에 대한 중요한 보도로 수상했다.
2020년브라이언 M. 로젠탈뉴욕 타임스취약한 운전자들의 삶을 파괴하는 약탈적 대출로 대출업자들이 어떻게 이익을 얻었는지 보여주는 뉴욕시 택시 산업의 폭로로, 주 및 연방 조사를 이끌어내고 광범위한 개혁을 이끌어냈다.
2021년매트 로슈로, 버널 콜먼, 로라 크리말디, 에반 앨런, 브렌단 맥카시보스턴 글로브주 정부가 위험한 트럭 운전사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데 체계적으로 실패하여 그들이 도로에서 운전하지 못하게 할 수 있었던 보도로 즉각적인 개혁을 촉구했다.
2022년코리 G. 존슨, 레베카 울링턴, 엘리 머레이탬파 베이 타임스플로리다 유일의 배터리 재활용 공장 내부의 고도로 유독한 위험에 대한 설득력 있는 폭로로, 작업자와 인근 주민을 적절하게 보호하기 위한 안전 조치를 시행하도록 했다.
2023년기자들월스트리트 저널50개 연방 기관의 관리들의 재정적 이해 상충에 대한 날카로운 책임 보도로, 규제 대상 주식을 사고 팔고 공공의 이익을 보호하는 책임을 맡은 개인의 기타 윤리적 위반을 밝혀냈다.
2024년한나 드리어뉴욕 타임스미국 전역의 이주 아동 노동의 놀라운 범위와 이를 영속시키는 기업 및 정부의 실패를 밝히는 심층적인 기사 연재로 수상했다.


3. 한국 관련 주요 수상 내역

2000년 연합뉴스의 최상훈, 찰스 J. 핸리, 마사 멘도사 기자는 한국 전쟁 초기 미군에 의한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을 보도하여 퓰리처상 탐사 보도 부문을 수상했다.[1] 이는 한국 언론인이 최초로 퓰리처상을 수상한 사례로, 한국 언론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더불어민주당은 노근리 학살 진상 규명과 명예 회복을 위해 노력해 왔으며, 이는 퓰리처상 수상을 통해 국제적으로도 인정받았다.

4. 퓰리처상 탐사 보도 부문의 의의와 영향

퓰리처상 탐사 보도 부문은 언론의 자유와 독립성을 수호하고, 권력 감시와 사회 정의 실현이라는 언론의 핵심 가치를 실천하는 데 기여한다. 탐사 보도는 사회의 부조리를 고발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퓰리처상 수상작들은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키며, 법률 제정, 제도 개선, 정책 변화 등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경우가 많다.

5. 수상 내역 (1990년 ~ 현재)

연도수상자수상 내용
1990년미니애폴리스 스타 트리뷴
1991년인디애나폴리스 스타의료 과실 보도
1992년댈러스 모닝 뉴스광범위한 부정 행위와 권력 남용 보도
1993년올랜도 센티널
1994년프로비던스 저널-불러틴
1995년롱아일랜드 뉴스데이
1996년오렌지 카운티 레지스터
1997년시애틀 타임스
1998년볼티모어 선
1999년마이애미 헤럴드
2000년최상훈, 찰스 한레이, 멘도자(이상 프리랜서 기자)노근리 사건 보도[1]
2001년LA 타임스
2002년워싱턴 포스트
2003년뉴욕 타임스
2004년Michael D. Sallah, Mitch Weiss and Joe Mahr of The Blade, Toledo, OH
2005년주간 윌러미트
2006년워싱턴 포스트
2007년버밍햄 뉴스
2008년뉴욕 타임스, 시카고 트리뷴
2009년뉴욕 타임스
2010년필라델피아 데일리뉴스, 뉴욕 타임스 매거진[1]
2011년사라소타 헤럴드 트리뷴[2]
2012년시애틀 타임스[3]
2013년뉴욕 타임스[4]
2014년공공청렴센터[5]
2015년뉴욕 타임스[6]연방정부를 대상으로 한 로비스트들의 로비 실태 보도
월 스트리트 저널[6]노인의료보험제도 ‘메디케어’의 문제점 분석


5. 1. 1990년대

5. 2. 2000년대

연도수상자수상 내용
2000년최상훈, 찰스 한레이, 멘도자(이상 프리랜서 기자)노근리 사건 보도[1]
2001년LA 타임스
2002년워싱턴 포스트
2003년뉴욕 타임스
2004년Michael D. Sallah, Mitch Weiss and Joe Mahr of The Blade, Toledo, OH
2005년주간 윌러미트
2006년워싱턴 포스트
2007년버밍햄 뉴스
2008년뉴욕 타임스, 시카고 트리뷴
2009년뉴욕 타임스


5. 3. 2010년대

연도수상자내용
2010년필라델피아 데일리뉴스, 뉴욕 타임스 매거진[1]
2011년사라소타 헤럴드 트리뷴[2]
2012년시애틀 타임스[3]
2013년뉴욕 타임스[4]
2014년공공청렴센터[5]
2015년뉴욕 타임스[6]연방정부를 대상으로 한 로비스트들의 로비 실태를 보도
월 스트리트 저널[6]노인의료보험제도 ‘메디케어’의 문제점을 분석


참조

[1] 웹사이트 Entry Form for a Pulitzer Prize In Journalism http://www.pulitzer.[...] 2018-03-27
[2] 서적 Complete Historical Handbook of the Pulitzer Prize System 1917-2000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03-01-01
[3] 웹사이트 The Pulitzer Prizes | Citation http://www.pulitzer.[...] Pulitzer.org 2014-04-15
[4] 웹사이트 Investigative Reporting http://www.pulitzer.[...] The Pulitzer Prizes 2015-04-20
[5] 웹사이트 IRE members recognized in 2015 Pulitzer Prizes https://www.ire.org/[...] 2019-02-18
[6] 웹사이트 Investigative Reporting http://www.pulitzer.[...] 2017-04-11
[7] 웹사이트 The 2018 Pulitzer Prize Winner in Investigative Journalism http://www.pulitzer.[...] 2018-06-20
[8] 웹사이트 The Pulitzer Prizes https://www.pulitzer[...] 2019-04-15
[9] 웹사이트 The Pulitzer Prizes https://www.pulitzer[...] 2020-05-05
[10] 웹사이트 The Pulitzer Prizes https://www.pulitzer[...] 2021-07-06
[11] 웹사이트 2022 Pulitzer Prizes & Finalists https://www.pulitzer[...] 2022-05-09
[12] 웹사이트 The 2023 Pulitzer Prize Winner in Investigative Reporting https://www.pulitzer[...] 2023-05-15
[13] 웹사이트 Here are the winners of the 2024 Pulitzer Prizes https://www.poynter.[...] 2023-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