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샤스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라샤스티는 고대 인도에서 왕족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제작된 찬양 시 또는 비문을 의미한다. 각 왕조의 통치와 관련된 내용이 담겨 있으며, 사타바하나 왕조의 나시크 프라샤스티, 굽타 제국의 프라야가 프라샤스티, 판디아 왕조의 벨비쿠디 비문, 세나 왕조의 데오파라 프라샤스티, 시소디아 왕조(메와르 왕국)의 라지 프라샤스티 등이 대표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금석문 - 델리의 철 기둥
델리의 철 기둥은 굽타 왕조 시대에 건설된 높이 7.21미터의 고대 철 구조물로, 높은 순도의 연철로 만들어져 녹슬지 않는 뛰어난 내구성을 자랑하며 찬드라굽타 2세의 업적을 기리는 비문이 새겨져 있고 고대 인도 제철 기술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증거로 평가받는다.
프라샤스티 | |
---|---|
개요 | |
![]() | |
언어 | 산스크리트어 |
유형 | 인도 비문 장르 |
설명 | |
정의 | 고대 인도의 왕과 후원자를 찬양하는 비문 |
특징 | |
내용 | 왕의 업적, 혈통, 문화적 기여 등을 기록 |
양식 | 과장된 언어와 은유적 표현을 사용 |
목적 | 왕의 권위를 강화하고 정통성을 확립 |
중요성 | |
역사적 가치 | 고대 인도 역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 제공 |
사회적 가치 | 당시 사회의 문화, 종교, 정치 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 |
예술적 가치 | 아름다운 문장과 시적 표현으로 문학 작품으로도 평가 |
예시 | |
하티굼파 비문 | 카라벨라 왕의 업적을 기록 |
알라하바드 기둥 비문 | 사무드라굽타 왕의 업적을 기록 |
참고 문헌 | |
Kumkum Roy (2008) | Historical Dictionary of Ancient India |
Richard Salomon (1998) | Indian Epigraphy: A Guide to the Study of Inscriptions in Sanskrit, Prakrit, and the Other Indo-Aryan Languages |
Upinder Singh (2016) |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entury |
Shōhei Ichimura (2001) | Buddhist Critical Spirituality: Prajñā and Śūnyatā |
Bernard Bate (2013) | Tamil Oratory and the Dravidian Aesthetic: Democratic Practice in South India |
2. 주요 프라샤스티
다음은 인도 역사 속 주요 프라샤스티들을 왕조별, 시대별로 분류하여 정리한 표이다.
왕조 | 프라샤스티 | 제작 시기 |
---|---|---|
사타바하나 왕조 | 나시크 프라샤스티 | 2세기 |
굽타 제국 | 프라야가 프라샤스티 | 4세기 |
판디아 왕조 | 벨비쿠디 비문 | 8세기경 |
세나 왕조 | 데오파라 프라샤스티 | 12세기 |
시소디아 왕조 (메와르 왕국) | 라지 프라샤스티 | 17세기 |
각 프라샤스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을 참고하라.
2. 1. 사타바하나 왕조
나시크 프라샤스티는 2세기에 제작되었으며, 사타바하나 왕조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2. 2. 굽타 제국
프라야가 프라샤스티(4세기)는 굽타 제국의 황제 사무드라굽타가 정복한 통치자들과 그들에 대한 정책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1]2. 3. 판디아 왕조
8세기경에 제작된 벨비쿠디 비문은 판디아 왕조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1]2. 4. 세나 왕조
12세기에 제작된 데오파라 프라샤스티는 세나 왕조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1]2. 5. 시소디아 왕조 (메와르 왕국)
라지 프라샤스티(17세기)는 시소디아 왕조(메와르 왕국)의 역사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1]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
서적
Indian Epigraphy
Motilal Banarsidass
[3]
서적
Epigraphia Indica Volume XX
https://archive.org/[...]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4]
서적
Indian Epigraphy
Motilal Banarsidass
[5]
서적
Tamil Oratory and the Dravidian Aesthetic: Democratic Practice in South India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6]
서적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entury
https://books.google[...]
[7]
서적
Tamil Oratory and the Dravidian Aesthetic: Democratic Practice in South India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9]
서적
Indian Epigraphy
Motilal Banarsidass
[10]
서적
Indian Epigraphy
Motilal Banarsidass
[11]
서적
Epigraphia Indica Volume XX
https://archive.org/[...]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12]
서적
Tamil Oratory and the Dravidian Aesthetic: Democratic Practice in South India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14]
인용
Upinder Singh
[15]
서적
Buddhist Critical Spirituality: Prajñā and Śūnyatā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
2001
[16]
서적
Tamil Oratory and the Dravidian Aesthetic: Democratic Practice in South India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