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방스의 리첼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로방스의 리첼다는 9세기 서프랑크 왕국의 인물로, 아르덴 출신이며 대머리 카를 2세의 후궁이자 계비였다. 그녀는 남편의 부재 시 섭정으로 활동하며 정치에 관여했고, 남편 사후에는 섭정 자리를 차지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동생 보소 5세를 왕으로 옹립하려 했으나 귀족들의 반발로 무산되었고, 근친상간 혐의를 받기도 했다. 여러 차례 섭정 자리를 노렸으나 실패하고 프로방스로 추방되었으며, 910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프랑크인의 왕비 - 프레데루나
프레데루나는 베스트팔렌 백작 디트리히의 딸로, 서프랑크 왕국의 샤를 3세와 결혼하여 딸 여섯을 낳았으며 독일 왕 하인리히 1세의 왕비인 링겔하임의 마틸데의 이복 언니이다. - 9세기 여자 통치자 - 진성여왕
진성여왕은 신라 경문왕의 딸로, 정강왕 사후 887년에 즉위하여 음란한 행실과 국정 문란, 민란 발생으로 혼란을 겪다가 897년 효공왕에게 양위하고 사망했다. - 9세기 여자 통치자 - 이리니
이리니는 비잔티움 제국의 황후이자 797년부터 802년까지 제위를 찬탈하여 제국을 통치한 최초의 여성 단독 통치자로, 성상 숭배를 복원하고 제2차 니케아 공의회를 개최하는 등 종교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아들의 살해와 굴욕적인 대외정책으로 폐위되었다. - 910년 사망 - 나은 (당)
당나라 말기 시인 나은은 과거 낙방 후 풍자적 시풍으로 이름을 알렸으며 전류의 막료 등을 지냈고 최치원과 교류했으며 저서로는 《강동갑을집》 등이 있다. - 910년 사망 - 문치미르
문치미르는 9세기 후반 크로아티아의 공작으로, 교황과 비잔티움 제국으로부터 독립적인 통치를 확립하고 크로아티아의 자주성을 강화했으며, 이후 토미슬라브 1세가 그의 뒤를 이어 크로아티아 왕국을 건설했다. 
| 프로방스의 리첼다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리실드 드 프로방스 | 
| 출생 | 845년경 | 
| 사망 | 910년 6월 2일경 | 
| 작위 | |
| 재위 기간 | 875년 12월 29일 – 877년 10월 6일 | 
| 이전 | 엥겔베르가 | 
| 이후 | 슈바벤의 리차르디스 | 
| 재위 기간 | 870년경 – 877년 10월 6일 | 
| 이전 | 오를레앙의 에르멘트루드 | 
| 이후 | 파리의 아델라이드 | 
| 가문 | |
| 가문 | 비비니드 가 | 
| 아버지 | 고르즈의 비뱅 | 
| 어머니 | 리실드 다르르 | 
| 결혼 | |
| 배우자 | 대머리 샤를 | 
| 자녀 | 로틸드 | 
2. 생애
리첼다는 아르덴 출신으로, 서프랑크 왕국의 왕 카를 2세의 두 번째 부인이자 신성 로마 제국의 황후였다. 바이킹, 사라센, 마자르족 등 외부 침입에 맞서 남편이 전쟁에 나갈 때마다 섭정으로서 왕국의 정치에 관여하였다.
910년 6월 2일 친정 조카 맹인왕 루트비히의 왕국에서 사망하였으며,[14] 914년 1월 30일 랭스의 성 레미 수도원에 부고가 기록되었다.
2. 1. 가문 배경
아르덴 출신으로, 아르덴 변경백이자 메츠 변경백 고르즈의 비뱅과 보소의 딸 리첼다의 딸이었다.[2] 그의 남동생은 프로방스와 부르고뉴에서 자립한 보소 5세였다.[3][4][5] 그녀의 친정 이모 토이트베르가는 로타르 2세의 정비였다.[2]서프랑크 왕국의 왕이 되는 라울은 리샤르의 아들로 그의 조카였다. 그밖에 그녀의 외가는 프로방스와 부르고뉴 일대의 실력자 아를의 보소 가문이었다.
2. 2. 카를 2세와의 결혼
869년 서프랑크 왕국의 군주 대머리 카를의 후궁이 되었다. 리첼다의 친척들은 869년 8월 로타르 2세가 사망한 후 동프랑크의 왕 독일인 루트비히와 대머리 카를 간의 영토 분할에 대해 논쟁할 때 대머리 카를을 지지하였다.869년 10월 오를레앙의 이르멘가르트가 죽자, 리첼다와 그의 일족은 이르멘가르트의 장례식 행렬에 참가했다.[15] 리첼다는 곧 대머리 카를 2세의 계비가 되었다. 카를 2세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로는 어려서 죽은 쌍둥이 피핀과 드로고, 태어나자마자 죽은 아들 1명, 아들 카를,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은 딸 로틸드가 있었다.[7]
870년 1월 22일 대머리 카를은 리첼다와 정식 결혼식을 올렸고 왕비로 격상시켰다.[16]
리첼다와 대머리 카를의 결혼은 정략 결혼으로, 대머리 카를은 강력한 귀족이자 토이트베르가의 조카인 리첼다를 통해 로타링기아에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했다.[6]
2. 3. 섭정 활동
875년 대머리 카를 2세가 신성 로마 황제관을 받으러 알프스 산맥을 넘어 이탈리아로 갔을 때 섭정으로서 정무를 관장하였다. 그녀는 카를의 부재를 이용하여 서프랑크에 침입한 독일인 루트비히에 대한 방어를 준비, 지원하고, 루트비히의 첩자와 비밀리에 내통했던 자문관 엥겔람누스를 해임하였다. 876년 10월 폰티온의 종교회의에서 파견한 교황청 사절단을 직접 영접하였다.877년에 대머리 카를의 이탈리아 방문에 동행했고 그해 9월에 로마에서 교황 요한네스 8세에 의해 황후로 축성, 기름 부음받았다.[17]
877년 10월 대머리 카를이 브리데레벵에서 늑막염으로 갑자기 죽고 말더듬이 루이 2세가 즉위하기 직전, 리첼다는 잠시 섭정으로 정무를 주관하였다. 이때 리첼다는 루이 2세의 즉위를 반대, 방해하고 루이 2세에게 충성을 거부하는 귀족들을 지원하였으나 콩피에뉴에서 협상하여 루이 2세의 즉위를 승인하고 왕관과 예복을 보내주었다.
독일인 루트비히의 아들 카를로만이 바이에른 군사를 이끌고 이탈리아로 침공하자, 보소 5세를 보내 대머리 카를의 보물들을 발레의 성 모리스 수도원으로 운반, 숨겨두었다.
879년 4월 10일 말더듬이 루이가 갑작스럽게 죽자 그녀는 서프랑크의 섭정이 되려 하였으나 귀족들에 의해 저지되었다. 그녀는 남동생 보소 5세를 서프랑크의 왕으로 앉히려다가 서프랑크 귀족들의 집단 반발로 무산되었다. 그는 남동생 보소를 프로방스에서 자립하고 왕이 되는 것을 암암리에 도와주었다.
서프랑크의 귀족들은 그를 남동생과 간통했다며 근친상간 혐의를 씌워 재판정에 세웠으나 혐의 없음으로 풀려났다.
882년 루이 3세의 사망과 884년 카를로만 2세가 사망했을 때 그는 섭정의 자리를 차지하려고 시도했다가 실패했다. 그당시 제국은 노르만족, 마자르족의 습격, 약탈을 받고 속수무책으로 당하여 동요했고, 동프랑크의 비만왕 카를 3세와 그를 지지하는 아키텐 귀족들의 반발을 시작으로 서프랑크 귀족들의 반발에 이어 그녀를 추방했다. 그는 프로방스로 가도록 강요했다.
2. 4. 왕위 계승 시도와 실패
877년 10월 대머리 카를이 브리데레벵에서 늑막염으로 갑자기 죽고 말더듬이 루이 2세가 즉위하기 직전, 리첼다는 잠시 섭정으로 정무를 주관하였다.[17] 이때 리첼다는 루이 2세의 즉위를 반대, 방해하고 루이 2세에게 충성을 거부하는 귀족들을 지원하였으나 꽁피에뉴에서 협상하여 루이 2세의 즉위를 승인하고 왕관과 예복을 보내주었다.독일인 루트비히의 아들 카를로만이 바이에른 군사를 이끌고 이탈리아로 침공하자, 보소 5세를 보내 대머리 카를의 보물들을 발레의 성 모리스 수도원으로 운반, 숨겨두었다.
879년 4월 10일 말더듬이 루이가 갑작스럽게 죽자 그녀는 서프랑크의 섭정이 되려 하였으나 귀족들에 의해 저지되었다. 그녀는 남동생 보소 5세를 서프랑크의 왕으로 앉히려다가 서프랑크 귀족들의 집단 반발로 무산되었다. 그는 남동생 보소 5세를 프로방스에서 자립하고 왕이 되는 것을 암암리에 도와주었다.
서프랑크의 귀족들은 그를 남동생과 간통했다며 근친상간 혐의를 씌워 재판정에 세웠으나 혐의 없음으로 풀려났다.
882년 루이 3세의 사망과 884년 카를로만 3세가 사망했을 때 그는 섭정의 자리를 차지하려고 시도했다가 실패했다. 그 당시 제국은 노르만족, 마자르족의 습격, 약탈을 받고 속수무책으로 당하여 동요했고, 동프랑크의 비만왕 카를 3세와 그를 지지하는 아키텐 귀족들의 반발을 시작으로 서프랑크 귀족들의 반발에 이어 그녀는 추방되었다. 그는 프로방스로 가도록 강요받았다.
2. 5. 은퇴와 죽음
877년 10월 대머리 카를이 브리데레벵에서 늑막염으로 갑자기 죽고 말더듬이 루이 2세가 즉위하기 직전, 리첼다는 잠시 섭정으로 정무를 주관하였다.[17] 이때 리첼다는 루이 2세의 즉위를 반대, 방해하고 루이 2세에게 충성을 거부하는 귀족들을 지원하였으나 꽁피에뉴에서 협상하여 루이 2세의 즉위를 승인하고 왕관과 예복을 보내주었다.독일인 루트비히의 아들 카를로만이 바이에른 군사를 이끌고 이탈리아로 침공하자, 보소 5세를 보내 대머리 카를의 보물들을 발레의 성 모리스 수도원으로 운반, 숨겨두었다.
879년 4월 10일 말더듬이 루이가 갑작스럽게 죽자 그녀는 서프랑크의 섭정이 되려 하였으나 귀족들에 의해 저지되었다. 그녀는 남동생 보소 5세를 서프랑크의 왕으로 앉히려다가 서프랑크 귀족들의 집단 반발로 무산되었다. 그는 남동생 보소 5세를 프로방스에서 자립하고 왕이 되는 것을 암암리에 도와주었다.
서프랑크의 귀족들은 그를 남동생과 간통했다며 근친상간 혐의를 씌워 재판정에 세웠으나 혐의 없음으로 풀려났다.
882년 루이 3세의 사망과 884년 카를로만 3세가 사망했을 때 그는 섭정의 자리를 차지하려고 시도했다가 실패했다. 그 당시 제국은 노르만족, 마자르족의 습격, 약탈을 받고 속수무책으로 당하여 동요했고, 동프랑크의 비만왕 카를 3세와 그를 지지하는 아키텐 귀족들의 반발을 시작으로 서프랑크 귀족들의 반발에 이어 그녀를 추방했다. 그는 프로방스로 가도록 강요했다.
그는 친정 조카인 맹인왕 루트비히의 왕국으로 물러났다가 910년 6월 2일에 사망하였다.[14] 914년 1월 30일 랭스의 성 레미 수도원에 그의 부고 소식을 기록한 문서가 보존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Saints, Sinners, and Sisters ": Gender and Northern Art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Europ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7-05
 
[2] 
서적
 
The Carolingians: The Family who forged Europ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83
 
[3] 
간행물
 
Hincmar's influence during Louis the Stammerer's reign
 
https://www.manchest[...]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24-01-29
 
[4] 
학술지
 
John VIII, Pope (872–882) – V 1 {{!}} Taylor & Francis eBooks, Reference W
 
https://www.taylorfr[...] 
2024-01-29
 
[5] 
서적
 
The Capetians: Kings of France 987-1328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7-02-27
 
[6] 
서적
 
After Lavinia: A Literary History of Premodern Marriage Diplomacy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7-05-09
 
[7] 
학술지
 
Queenship, Nunneries and Royal Widowhood in Carolingian Europe
 
https://www.jstor.or[...] 
2003
 
[8] 
간행물
 
"'We are between the hammer and the anvil': Hincmar in the crisis of 875"
 
https://www.manchest[...]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24-01-29
 
[9] 
서적
 
Three Bernards Sent South to Govern
 
https://books.google[...] 
Editions Enlaplage
 
2015-01-27
 
[10] 
서적
 
The Cathars and the Albigensian Crusade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7-11-15
 
[11] 
서적
 
Making and Unmaking the Carolingians: 751-888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0-12-24
 
[12]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Volume 3, C.900-c.102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13] 
서적
 
'"Saints, Sinners, and Sisters ": Gender and Northern Art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Europ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7-05
 
[14] 
서적
 
Die Kaiser des Heiligen Römischen Reiches
 
https://books.google[...] 
marixverlag
 
2013-06-27
 
[15] 
웹사이트
 
Charlemagne1
 
http://genealogy.euw[...] 
[16] 
문서
 
Annalen von St. Bertin zum Jahr 870
 
[17] 
문서
 
Annalen von St. Bertin zum Jahr 87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