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동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위치한 지역이다. 1394년 한성부 남부에 속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부동', '부골'로 불리다가 한자 지명 '필동'으로 표기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대회정'으로 개칭되었으나, 광복 이후 옛 지명을 되찾았다. 현재 필동은 필동1가, 2가, 3가, 충무로3가, 4가, 5가, 주자동, 남학동, 예장동, 묵정동, 장충동2가 일부를 관할하며, 영화인의 거리, 동국대학교, 남산골 한옥마을 등의 명소가 있다. 교통 시설로는 필동로가 있으며, 서울 지하철 3호선과 4호선 충무로역을 이용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중구의 행정동 - 명동
    명동은 조선 시대 주택가에서 일제강점기 상업 지구를 거쳐 광복 후 서울의 대표적인 번화가이자 관광 명소로 발전했으며, 쇼핑, 문화, 상업 시설과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시설이 밀집해 있다.
  • 서울 중구의 행정동 - 을지로동
    을지로동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위치한 행정동으로, 1985년에 통합 신설되었으며, 을지로3가, 을지로4가, 을지로5가 등 법정동을 관할하고, 방산시장, 세운상가 등 상업 시설과 을지로3가역, 을지로4가역이 위치한다.
  • 서울 중구의 행정 구역 - 명동
    명동은 조선 시대 주택가에서 일제강점기 상업 지구를 거쳐 광복 후 서울의 대표적인 번화가이자 관광 명소로 발전했으며, 쇼핑, 문화, 상업 시설과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시설이 밀집해 있다.
  • 서울 중구의 행정 구역 - 충정로 (서울)
    충정로는 서울 서대문구 아현삼거리에서 서대문역을 잇는 도로로, 민영환의 시호에서 유래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다케조에마치로 불렸다가 1946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 1984년 도로 구간 단축, 2010년 2개 이상 자치구 도로 고시, 2014년 버스전용차로 개통 등의 변화를 거쳤다.
  • 1975년 설치 - 목동 (서울)
    목동은 서울특별시 양천구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조선시대 목장에서 유래되었으며, 1980년대 신시가지 개발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주요 주거 지역이 되었고, SBS 본사 등의 주요 시설과 높은 교육열이 특징이며, 5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된다.
  • 1975년 설치 - 남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남구는 시의 동남쪽에 위치하며, 과거 동래군과 동래부에 속했고, 1975년 부산진구, 동구, 동래구 일부 지역을 관할로 설치되어 1995년 수영구 분구 후 현재 17개 행정동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오륙도, 이기대공원 등 해안선과 대학교, 문화 시설을 갖춘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이다.
필동
지도 정보
필동 지도
필동 지도
기본 정보
한국어 표기필동
한자 표기筆洞
로마자 표기Pil-dong
매큔-라이샤워 표기P'il tong
면적1.14 km²
행정 정보
국가대한민국
수도서울특별시
중구
하위 행정 구역충무로4가, 충무로5가, 묵정동, 필동1가, 필동2가, 필동3가, 남학동, 주자동, 예장동, 장충동2가, 충무로3가
동주민센터 주소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36길 42
동주민센터 홈페이지중구 필동 주민센터
인구 정보
총 인구 (2013년)4,454명
총 인구 (2012년)4,641명
총 인구 (2022년 8월)4,042명
세대 수 (2012년)2,469세대
세대 수 (2017년 6월 30일)2,244세대
기타 정보
12
65
필동주민센터
필동주민센터

2. 연혁

필동은 조선시대부터 이어져 온 유서 깊은 동네이다. 일제강점기에는 잠시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지만, 광복 후 원래 이름을 되찾았다.

연도내용
1914년 3월 13일일제에 의해 대회정으로 개칭됨.
1946년 10월 1일필동(筆洞)으로 개칭됨.
1955년 4월 18일필동1가는 남곡동사무소, 필동2가는 동원동사무소 관할이 됨.[6]
1975년 10월 1일필동1가, 필동2가, 필동3가, 주자동, 예장동을 통합하여 행정동 필동 신설.[7]
1977년 9월 1일충무로3가를 필동으로 편입.[8]
1985년 9월 1일장충동2가 일부를 필동으로 편입.[9]
1992년 1월 1일충무로4가 일부를 필동으로 편입.[10]


2. 1. 조선 시대

필동이라는 이름은 조선시대 이 마을에 남부의 부사무소(部事務所)가 있어 ‘부동’(部洞)으로 부르다 와전되어 ‘붓골’로 바뀌었고, 이 ‘붓골’을 한자로 표기하면서 유래되었다.[5] 조선 초기에는 한성부 남부 성명방, 낙선방, 훈도방 지역에 속했다.[5]

  • 1394년 10월 25일 한성천도 이후 한성 5부의 하나인 남부가 있던 부골로 전해진다.[5]

2. 2. 일제 강점기

1914년 3월 13일 일제에 의해 동명이 대회정(大和町, 야마토초)으로 개칭되었다.[6] 1946년 10월 1일 옛 동명인 붓골을 한자로 적어 필동(筆洞)으로 개칭하였다.[6] 일제 강점기에는 '종회(Jonghoe)'가 설치되면서 대화정 1, 대화정 2·3이 설치되었다.

2. 3. 광복 이후

1946년 10월 1일 옛 동명인 붓골을 한자로 적어 필동(筆洞)으로 고쳤다.[5] 1955년 4월 18일 필동1가는 남학동, 주자동, 예장동, 충무로3가 지역과 함께 남산골의 이름을 따서 신설된 남곡동사무소의 관할이 되었고, 필동2가는 필동3가와 함께 동산골의 이름에서 따온 동원동의 관할이 되었다.[6] 1975년 10월 1일 필동1가, 필동2가, 필동3가, 주자동, 예장동을 통합하여 행정동 필동을 신설하였다.[7] 1977년 9월 1일 을지로3가동에 속해있던 충무로3가를 필동으로 편입하였고,[8] 1985년 9월 1일 장충동2가 192번지 일부를 필동으로 편입하였다.[9] 1992년 1월 1일 충무로4가 116, 125번지를 필동으로 편입하여 9개 법정동(필동 1, 2, 3가동, 주자동, 남학동, 예장동, 충무로3가동, 장충동2가 일부, 충무로4가 일부)으로 구성되었다.[10]

3. 법정동

충무로4가 (チュンムロサガ|충무로4가일본어)[4]

충무로5가 (チュンムロオガ|충무로5가일본어)[4]

묵정동 (ムクチョンドン|묵정동일본어)[4]

필동1가 (ピルトンイルガ|필동1가일본어)[4]

필동2가 (ピルトンイガ|필동2가일본어)[4]

필동3가 (ピルトンサムガ|필동3가일본어)[4]

남학동 (ナマクトン|남학동일본어)[4]

주자동 (チュジャドン|주자동일본어)[4]

예장동 (イェジャンドン|예장동일본어)[4]

장충동2가 (チャンチュンドンイガ|장충동2가일본어)[4]

충무로3가 (チュンムロサムガ|충무로3가일본어)[4]

4. 명소 및 시설

4. 1. 명소


  • '''영화인의 거리''' (충무로3가)


대원빌딩 앞에서 충무로3가 극동빌딩 앞 도로와 중부서 앞으로 통하는 작은 도로는 ‘영화인의 거리’, ‘낭만의 거리’로 유명하다. 본래는 영화인들이 충무로2가를 중심으로 활동하다가 한국전쟁 이후 1951년부터 충무로3가 지역으로 진출,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 지역을 ‘영화인의 거리’로 부르게 된 것은 충무로 인접지 건물에 명화와 관련한 작가, 감독, 배우, 촬영, 조명, 기술, 영화인협회 사무실 및 관련 인쇄소 등이 집중되어 있고, 이에 따라 영화에 종사하는 많은 연예인들이 이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기 때문이다.[5]

4. 2. 교육

필동에는 동국대학교가 있다.

4. 3. 언론

매일경제와 MBN이 있다.

5. 교통

필동은 명동역충무로역 인근에 있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다.

5. 1. 도로

필동로

5. 2. 철도

필동에서는 서울 지하철 3호선서울 지하철 4호선이 지나는 충무로역을 이용할 수 있다.

5. 3. 버스

종류노선 번호
간선버스104, 105, 140, 421, 463, 507, 604
순환버스02, 05


참조

[1] 웹사이트 월별인구통계 | 중구통계 http://www.junggu.se[...] 2013-09-15
[2] 웹사이트 필동 Pil-dong 筆洞 http://www.encyber.c[...] 2008-05-07
[3] 문서 2012년 6월 1일 현재 2012-06-01
[4] 웹사이트 유래 및 연혁(由来と沿革) http://dong.junggu.s[...] 2013-12-17
[5] 웹사이트 유래 및 연혁 http://www.junggu.se[...] 2017-07-09
[6] 조례 동설치 조례
[7] 조례 서울특별시 조례
[8] 조례 서울특별시 조례
[9] 조례 서울특별시 조례
[10] 조례 중구 동사무소설치조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