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4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 지하철 4호선은 서울특별시 노원구 불암산역에서 서초구 남태령역을 잇는 도시 철도 노선이다. 1980년 착공하여 1985년 상계~사당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이후 당고개 연장 구간과 진접선이 개통되었다.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며, 1호선, 2호선, 3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9호선, 경의중앙선, 과천선, 안산선 등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4호선 - 진접선
진접선은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연장 구간으로,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역에서 서울특별시 노원구 불암산역을 잇는 수도권 전철 노선이며, 2014년 12월 착공하여 2022년 3월 개통되었고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가 운행되며 2028년 풍양역이 개통될 예정이다. - 수도권 전철 4호선 - 안산선
안산선은 금정역과 오이도역을 잇는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지선으로, 안산스마트허브 개발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4호선 및 수인·분당선과 직결 운행한다. - 198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198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전철 3호선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고양시를 연결하는 49.6km 광역철도로, 1985년 개통 이후 일산선 직결, 구간 연장, 환승역 개통 등을 통해 확장되었으며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출퇴근 시간 혼잡이 심하다. - 과천시의 교통 - 과천여객
과천여객은 2016년 설립되어 과천운수로부터 양도받은 6번 노선을 포함, 총 4개의 도시형/따복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자일대우 레스타, 현대 그린시티 등 11대의 버스를 보유한 과천시 시내버스 운송 회사이다. - 과천시의 교통 - 과천대로
과천대로는 경기도 안양시에서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잇는 도로로, 국도 제47호선 및 지방도 제309호선과 일부 구간을 공유하며 수도권 남부의 주요 간선도로 역할을 수행한다.
서울 지하철 4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노선 이름 | 서울 지하철 4호선 |
노선 색상 | #00A2D1 |
![]() | |
국가 | 대한민국 |
노선망 | 서울 지하철 |
기점 | 불암산역 |
종점 | 남태령역 |
역 수 | 26 |
개업일 | 1985년 4월 20일 |
소유자 | 서울특별시 |
운영자 | 서울교통공사 |
노선 거리 | 31.1 km |
궤간 | 1,435 mm |
선로 수 | 복선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V |
노선 정보 | |
종류 | 도시 철도 |
체계 | 수도권 전철(서울 지하철) |
상태 | 영업 중 |
기점 (한글) | 불암산역(서울특별시 노원구) |
종점 (한글) | 남태령역(서울특별시 서초구) |
개통일 (상계~한성대입구) | 1985년 4월 20일 |
개통일 (한성대입구~사당) | 1985년 10월 18일 |
개통일 (당고개~상계) | 1993년 4월 21일 |
개통일 (사당~남태령) | 1994년 4월 1일 |
운영자 (추가) | 한국철도공사 |
영업 거리 | 31.1 |
궤간 (추가) | 1,435 mm (표준궤) |
선로 (추가) | 2 |
전철화 (추가) | 가공전차선, 가공강체가선 직류 1,500 V |
신호 | US&S ATC [수동운전] |
영업 최고 속도 | ATC 구간 80km/h |
한국어 표기 | |
한글 | 서울교통공사 4호선 서울메트로 4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
한자 | 서울交通公社4號線 서울메트로4號線 서울地下鐵4號線 |
가타카나 | 소우루교톤곤사・사호손 소우루메투로・사호손 소우루・치하테츠・사호손 |
히라가나 | 소우루こうつうこうしゃ・よんごうせん 소우루메토로・よんごうせん 소우루・ちかてつ・よんごうせん |
영어 | Seoul Metro Line4 Seoul Subway Line4 |
2. 역사
3호선과 함께 2호선의 효율성을 높이고, 명동, 남대문 등 서울 도심과 수유리, 미아리, 창동, 노원구 등 강북의 도시 교통 음영 지역을 연결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1975년 당시 서울특별시장 구자춘에 의해 기존 지하철 건설 계획이 취소된 이후, 1980년 3호선과 함께 건설업체 컨소시엄에 의해 사설 철도로 건설될 것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1978년 8.8조치로 인해 대기업의 부동산 투자가 제한되면서 사업성이 떨어져 사철 건설은 실패하고,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본부가 건설하고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현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게 되었다.
최초 개통 구간은 상계역 - 한성대입구역이며, 이후 한성대입구역 - 사당역 구간이 개통되어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1993년 4월에는 2기 지하철의 일부인 당고개역이 신설되었고, 1994년 4월에는 과천선과의 연계를 위해 남태령역이 신설되었다. 전 구간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 1. 개통 및 연장
- 1980년 2월: 상계~사당 구간 착공
- 1983년 9월 13일: 상계~사당 구간 역명 결정[2]
- 1985년 3월 1일: 갈월역을 '''숙대입구역'''으로 변경[3]
- 1985년 4월 1일: 돈암역을 '''성신여대입구역'''으로 변경[4]
- 1985년 4월 20일: 상계~한성대입구 11.8km 구간 개통
- 1985년 10월 18일: 한성대입구~사당 16.5km 구간 개통으로 전 구간 개통[5]
- 1985년 10월 24일: 서울운동장역을 '''동대문운동장역'''으로, 삼선교역을 '''한성대입구역'''으로, 이수역을 '''총신대입구역'''으로 변경[6]
- 1989년 12월: 상계~당고개 구간 착공
- 1993년 4월 21일: 상계~당고개 구간 개통
- 1994년 4월 1일: 과천선, 안산선과의 직결 운행을 위해 남태령역 신설
- 2022년 3월 19일: 당고개~진접(경복대) 구간 (진접선) 개통
- 2024년 10월 10일: 당고개역을 '''불암산역'''으로 역명 변경
- 미정: 진접(경복대)~대진대역 구간 (진접선) 개통 예정
2. 2. 역명 변경
1985년 3월 1일 : 갈월역이 '''숙대입구역'''으로 변경되었다.[3]1985년 4월 1일 : 돈암역이 '''성신여대입구역'''으로 변경되었다.[4]
1985년 10월 24일 : 서울운동장역이 '''동대문운동장역'''으로, 삼선교역이 '''한성대입구역'''으로, 이수역이 '''총신대입구역'''으로 변경되었다.[6]
2024년 10월 10일 : 당고개역이 '''불암산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3. 특징
서울 지하철 2호선과 서울 지하철 3호선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명동, 남대문 등 서울 도심과 수유리, 미아리, 창동, 노원구 등 강북 지역의 교통난 해소를 위해 건설되었다.
1975년 당시 서울특별시장 구자춘에 의해 기존 지하철 건설 계획이 폐기된 후, 1980년 3호선과 함께 건설 회사 컨소시엄에 의해 민자 철도로 건설될 것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1978년 8.8 조치에 따라 대기업의 부동산 투자가 제한되면서 민자 철도 건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수익은 대부분 운임이 되어 사업성이 떨어지게 되었고, 민자 철도 건설은 실패했다. 결국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본부가 건설하고,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이후의 서울메트로, 현재의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게 되었다.
최초 준공 구간은 상계역~한성대입구역이며, 1985년 한성대입구역~사당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1993년 4월 당고개역~상계역 구간, 1994년 4월 사당역~남태령역 구간이 개통되었고, 한국철도 과천선, 안산선과 상호 직통 운행을 시작했다. 2022년 3월 19일에는 진접선이 개통되어 직통 운행을 시작했다. 전 구간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노선 거리: 31.1km[1]
- 궤간: 1435mm(표준궤)[1]
- 역 수: 26개 (개업 구간만)[1]
- 복선 구간: 전선[1]
- 전철화 구간: 전선(직류 1500V·가선 집전 방식)[1]
- 폐색 방식: ATC(US&S사 CS-ATC)[1]
- 차량기지: 창동차량기지[1]
- 지상 구간: 불암산역~창동역, 이촌역~동작역[1]
- 주행 방향: 우측통행[1]
3. 1. 노선
서울 지하철 3호선과 함께 서울 지하철 2호선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명동, 남대문 등 서울의 도심과 수유리, 미아리, 창동, 노원구 등의 강북 지역 교통난 해소를 위해 건설되었다. 1975년 당시 서울특별시장 구자춘에 의하여 기존 지하철 건설 계획이 파기된 이후 1980년 3호선과 함께 건설업체 컨소시엄에 의해 사설 철도로 건설될 것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대기업의 부동산 투자를 제한하는 1978년 8.8 조치로 인하여 사철 건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수익은 대부분 운임이 되면서 사업성이 떨어지게 되어 사철 건설은 실패하고,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본부가 건설하고 서울 지하철공사 (現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게 되었다. 최초 준공 구간은 상계역 - 한성대입구역으로, 1985년에 한성대입구역 - 사당역이 개통되어 최종 준공되었으며, 1993년 4월 2기 지하철의 일부로 당고개역이 신설되었다. 또한 1994년 4월 과천선과의 연계를 위하여 남태령역을 신설하여 오늘에 이른다.[1]4호선 계획 당시, 본래 노선은 동대문운동장역에서 남산을 관통하여 용산구를 지난 후 강남으로 이어지는 것이었다. 그러나 주한미군 용산기지의 영내를 통과할 수 없어 서쪽으로 우회하는 형태로 건설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운행 구간이 많이 중복되었고, 모두 환승역으로 건설할 수는 없었기 때문에 양끝의 이촌역과 동대문역, 중간 지점인 지하 서울역에서 환승하도록 하였다. 용산역과 신용산역, 남영역과 숙대입구역은 매우 가깝지만 환승 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 현재는 경원선 용산역~지상 청량리 구간의 운행 계통이 1호선에서 경의중앙선으로 분리되어, 수도권 전철 1호선과의 환승은 동대문역과 서울역, 창동역에서 이루어진다.[1]
4호선의 한강 이남 구간은 동작역~사당역 구간 4.5km로 짧다.[1]
대한민국 철도청(現 한국철도공사) 시절 철도법에 의하여 건설된 과천선과 서울특별시가 도시철도법에 의하여 건설한 4호선의 통행 방식 및 전력 공급 방식이 달라 논의 끝에 입체 교차 터널 및 절연 구간을 신설하였다.[1]
1985년 3·4호선 개통 당시 전동차 반입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1호선 지하 서울역과 4호선 서울역 구간은 역 승강장간 선로 고도 구배 30/1000(경사도 약 1.718358도)를 충족, 임시로 연결 터널과 선로를 활용하여 가설 차량을 반입하려 했으나, 지반 강도 문제로 계획을 취소하고 창동역(당시 경원선 전철도 창동역 종착) 북쪽에 임시 가설 선로와 중랑천 도하 교량을 설치하여 3호선과 4호선 전동차를 창동기지로 반입하였다. 또한 충무로역과 동대문역 사이에서 3호선 충무로역 남단으로 루프식 연결 터널을 설치, 3호선 열차 반입 작업을 하였다. 현재 방학역 연결선은 동부간선도로 건설로 폐선된 상태이다.[1]
- 노선 거리: 31.1km[1]
- 궤간: 1435mm(표준궤)[1]
- 역 수: 26개 (개업 구간만)[1]
- 복선 구간: 전선[1]
- 전철화 구간: 전선(직류 1500V·가선 집전 방식)[1]
- 폐색 방식: ATC(US&S사 CS-ATC)[1]
- 차량기지: 창동차량기지[1]
- 지상 구간: 불암산역~창동역, 이촌역~동작역[1]
- 주행 방향: 우측통행[1]
3. 2. 역 번호
서울 지하철 4호선이 사용하는 역 번호는 409번~434번이다. 405번~408번은 진접선 당고개역~진접역 연장 구간에 부여되었으며, 435번~456번은 과천선과 안산선이 사용한다. 하행(오이도행)은 역 번호가 커지고, 상행(진접행)은 역 번호가 작아진다.3. 3. 운영 데이터 (일본어 위키 참고)
- 노선 거리: 31.1km
- 궤간: 1435mm(표준궤)
- 역 수: 26 (개업 구간만)
- 복선 구간: 전선
- 전철화 구간: 전선 (직류 1500V·가선 집전 방식)
- 폐색 방식: ATC(US&S사 CS-ATC)
- 차량기지: 창동차량기지
- 지상 구간: 불암산역~창동역, 이촌역~동작역
- 주행 방향: 우측통행
- 구 4000호대[1]: 1994년 한국철도공사 과천선·안산선과의 상호 직통 운전을 실시함에 따라 교직류 차량이 필요하게 되었고, 4000호대 도입에 따라 1992년부터 2호선 및 3호선으로 전출되었다. 2호선 전출 시에는 구 3000호대 2000번대로 개번되었다.
4. 운영
서울교통공사에서 서울 지하철 4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서울교통공사 소속 직류전용 전동차는 사당역까지 운행하며[7], 직·교류겸용 전동차는 과천선, 안산선으로 직결 운행하여 안산역, 오이도역까지 운행한다. 평일 러시아워에는 최단 2분 30초 간격, 주간에는 약 5~6분 간격(1시간당 11편), 토·휴일 주간에는 약 5분 간격(1시간당 12편)으로 운행한다.
4. 1. 차량
서울 지하철 4호선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401~426, 450~470, 481~485편성)
-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4호선 열차의 약 절반은 과천역에서 한국철도공사(KORAIL) 과천선·안산선의 안산역·오이도역까지 상호 직통 운행을 한다. 그러나 오이도역에서 연결되는 수인선과는 직통 운행을 하지 않는다. 나머지 절반은 남태령역발 진접선 진접역행이 1편 있는 것을 제외하면 진접선 진접역부터 사당역까지 운행한다. 일부는 중간역에서 종착하는 열차도 운행된다.
4000호대는 급행 전동차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5. 역 목록
역 번호 |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소재지 | |
---|---|---|---|---|---|---|---|---|
↑ 진접선 별내별가람역 방면 | ||||||||
409 | 불암산 | Buramsan | 佛巖山 | - | 0.0 | 서울특별시 | 노원구 | |
410 | 상계 | Sanggye | 上溪 | 1.2 | 1.2 | |||
411 | 노원 | Nowon | 蘆原 | 7호선 | 1.0 | 2.2 | ||
412 | 창동 | Chang-dong | 倉洞 | 1호선 | 1.4 | 3.6 | 도봉구 | |
413 | 쌍문 | Ssangmun | 雙門 | 1.3 | 4.9 | |||
414 | 수유(강북구청) | Suyu (Gangbuk-gu Office) | 水踰(江北區廳) | 1.5 | 6.4 | 강북구 | ||
415 | 미아(서울사이버대학) | Mia (Seoul Cyber Univ.) | 彌阿(서울사이버大學) | 1.4 | 7.8 | |||
416 | 미아사거리 | Miasageori | 彌阿十字路口 | 1.5 | 9.3 | |||
417 | 길음 | Gireum | 吉音 | 1.3 | 10.6 | 성북구 | ||
418 | 성신여대입구(돈암) | Sungshin Women's Univ. (Donam) | 誠信女大入口(敦巖) | 우이신설선 | 1.4 | 12.0 | ||
419 | 한성대입구(삼선교) | Hansung Univ. (Samseongyo) | 漢城大入口(三仙橋) | 1.0 | 13.0 | |||
420 | 혜화(서울대학교병원) | Hyehwa | 惠化 | 0.9 | 13.9 | 종로구 | ||
421 | 동대문 | Dongdaemun | 東大門 | 1호선 | 1.5 | 15.4 | ||
422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Dongdaemun History & Culture Park | 東大門歷史文化公園 | 2호선, 5호선 | 0.7 | 16.1 | 중구 | |
423 | 충무로 | Chungmuro | 忠武路 | 3호선 | 1.3 | 17.4 | ||
424 | 명동 | Myeong-dong | 明洞 | 0.7 | 18.1 | |||
425 | 회현(남대문시장) | Hoehyeon (Namdaemun Market) | 會賢(南大門市場) | 0.7 | 18.8 | |||
426 | 서울역 | Seoul Station | 首爾驛 | 1호선, 공항철도, 경부선, 경의선, 경의·중앙선 | 0.9 | 19.7 | 용산구 | |
427 | 숙대입구(갈월) | Sookmyung Women's Univ. (Garwol) | 淑大入口(葛月) | 1.0 | 20.7 | |||
428 | 삼각지 | Samgakji | 三角地 | 6호선 | 1.2 | 21.9 | ||
429 | 신용산 | Sinyongsan | 新龍山 | 0.7 | 22.6 | |||
430 | 이촌(국립중앙박물관) | Ichon (National Museum of Korea) | 二村(國立中央博物館) | 경의·중앙선 | 1.3 | 23.9 | ||
431 | 동작(현충원) | Dongjak (Seoul National Cemetery) | 銅雀(顯忠院) | 9호선 | 2.7 | 26.6 | 동작구 | |
432 | 총신대입구(이수) | Chongsin Univ. (Isu) | 總神大入口(梨水) | 7호선 | 1.8 | 28.4 | ||
433 | 사당(대항병원) | Sadang | 舍堂 | 2호선 | 1.1 | 29.5 | ||
434 | 남태령 | Namtaeryeong | 南泰嶺 | 1.6 | 31.1 | 서초구 | ||
↓ 과천선 선바위역 방면 |
6. 이용객 변동
진접(경복대) ~ 오이도 구간의 이용객 변동은 다음과 같다.[8]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4호선 | 승차 | 631,638 | 632,293 | 641,039 | 628,342 | 638,702 | 630,800 | 627,585 | 614,859 | 604,256 | 611,036 |
하차 | 630,415 | 632,741 | 639,422 | 630,241 | 641,066 | 635,131 | 631,798 | 619,625 | 614,566 | 620,199 | |
승하차 | 1,262,054 | 1,265,034 | 1,280,461 | 1,258,584 | 1,279,768 | 1,265,931 | 1,259,381 | 1,234,484 | 1,218,822 | 1,231,235 | |
노선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4호선 | 승차 | 622,237 | 632,985 | 626,110 | 626,536 | 631,110 | 615,418 | 614,292 | 596,182 | 577,521 | 577,994 |
하차 | 630,992 | 642,956 | 635,560 | 632,534 | 635,281 | 620,140 | 619,710 | 600,614 | 584,673 | 586,038 | |
승하차 | 1,253,229 | 1,275,941 | 1,261,670 | 1,259,070 | 1,266,391 | 1,235,558 | 1,234,002 | 1,197,096 | 1,162,194 | 1,164,032 | |
노선 | 2020년 | ||||||||||
4호선 | 승차 | 394,908 | |||||||||
하차 | 397,902 | ||||||||||
승하차 | 792,810 |
7. 미래
2019년 2월 20일 ‘제2차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에 따라 전 구간을 급행화할 계획이 있다.[9]
참조
[1]
text
[2]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475호
http://event.seoul.g[...]
1983-09-13
[3]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128호
http://event.seoul.g[...]
1985-02-28
[4]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169호
http://event.seoul.g[...]
1985-03-14
[5]
뉴스
지하철(지하철)3.4호선 완전개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5-10-18
[6]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698호
http://event.seoul.g[...]
1985-10-16
[7]
text
[8]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9]
뉴스
'강남북 균형발전' 강북횡단선 등 서울 도시철도 10개 확충
http://news1.kr/arti[...]
뉴스1
2019-0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