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악전돌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악전돌증은 아래턱뼈가 과도하게 성장하여 위턱보다 돌출된 상태를 의미하며, '주걱턱'이라고도 불린다. 치조성 전돌증, 상악 전돌증, 하악 전돌증으로 분류되며, 하악 전돌증은 유전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한다. 과거에는 치료법이 없었으나, 현대에는 교정 치료와 턱교정 수술을 병행하여 치료한다. 하악전돌증은 영장목에서 현생 인류를 제외한 모든 종에서 나타나며, 합스부르크 왕가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 '합스부르크 턱'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인류학 - 저우커우뎬
저우커우뎬은 베이징 교외의 고고학 유적으로, 베이징 원인 화석과 석기, 불 사용 증거 등 인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유물을 제공하여 198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고인류학 - 구인류
구인류는 멸종된 호모 속의 종 또는 아종으로,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 구분되지만 그 진화적 경계는 불분명하며, 뇌 용적 확대 등의 특징을 보이며 생애사와 언어 사용 능력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고, 알타무라 남자, 드래곤 맨, 카브웨 두개골 등이 대표적인 화석이다. - 유전병 - 유전 질환
유전 질환은 유전형질과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며, 멘델의 유전 법칙에 따르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로 나뉘고, 단일 유전자 질환, 다인자 유전 질환, 염색체 이상 질환 등으로 분류된다. - 유전병 - 유전자 치료
유전자 치료는 유전 질환, 바이러스 질환, 암 등을 치료하기 위해 유전 물질을 세포 내로 전달하거나 유전체를 교정하는 치료법으로, 2003년 최초의 상업적 유전자 치료제 승인 이후 희귀 유전 질환 등에 적용되고 있으며, 유전자 전달 방식에 따라 체세포/생식세포 유전자 치료, 생체 내/외 유전자 치료로 나뉘고 CRISPR 기술 도입과 함께 발전하고 있으나 윤리적 논쟁과 과제도 존재한다. - 합스부르크가 - 테르시오
테르시오는 16세기에서 18세기 초까지 스페인 군대의 핵심 보병 부대로, 파이크병, 총병 등으로 구성되어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으나 군사 개혁으로 인해 1704년 연대와 대대 체제로 개편되면서 소멸되었다. - 합스부르크가 - 마리아 아말리아 폰 외스터라이히 (1701년)
마리아 아말리아 폰 외스터라이히는 신성 로마 황제 요제프 1세의 딸로 태어나 바이에른의 카를 알브레히트와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으며, 사후에는 자선 활동을 펼치다 사망했다.
| 하악전돌증 | |
|---|---|
| 질병 정보 | |
![]() | |
| 동의어 | 합스부르크 턱 (하악 전돌증의 경우) |
| 유형 | 치조 상악 하악 또는 전돌증 |
| 원인 | 다인성 |
| 치료 | 치열 교정 구강 및 악안면 외과 |
| 빈도 | 아동: 0.5 ~ 2.0% 성인: 2.0 ~ 4.0% |
| 기타 정보 | |
| DiseasesDB | 29354 |
| ICD10 | K07.1 |
| ICD9 | 524.10 |
| MeshID | D011378 |
2. 분류
전돌증은 돌출된 부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치조성 전돌증: 위턱에서 치아가 위치한 부분(치조)만 돌출된 경우이다.
- 상악 전돌증: 위턱뼈 전체가 앞으로 돌출된 경우이다.
- 하악 전돌증: 아래턱뼈가 과도하게 성장하여 돌출된 경우이다.
부정교합의 한 종류인 과개교합은 위턱이나 치조의 돌출로 인해 위쪽 앞니가 아래쪽 앞니보다 훨씬 앞으로 나오는 상태를 말한다. 반대로 아래턱이 위턱보다 앞으로 나오면 후퇴증(반대 과개교합)이라고 한다.
모든 치조 전돌증이 비정상적인 것은 아니며, 인종에 따라 정상적인 특징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영장목에서 현생 인류를 제외한 모든 종은 아래턱이 돌출된 하악 전돌증을 보이며, 이를 안면성 돌출이라고도 한다.
2. 1. 치조성 전돌증 (Alveolar prognathism)
치조성 전돌증은 위턱뼈에서 치아를 담고 있는 부분인 치조부만 돌출된 경우이다. 엄지 손가락 빨기나 혀 내밀기와 같은 나쁜 습관은 치조 전돌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4] 이러한 습관은 성장기 어린이의 신경 근육 기능을 수정하는 기능적 장치를 통해 교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4]
모든 치조 전돌증이 기형은 아니며, 인종 간에 상당한 차이가 관찰될 수 있다.[16] 흑인에게서는 거의 모든 개체에게서 나타나며, 인종 형질 중 하나로 여겨진다. 황인종에게서도 일부 약한 치조성 돌출이 나타나며,[16] 특히 "남몽골 인종"이라고 불리는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는 일군[17]에게서 그 경향이 강하다. 일본인의 민족 형성에 남몽골 인종이 크게 관여했다고 생각되며, 일본인도 역사적으로 돌출 경향이 강했고, 돌출 입이 많이 보였지만, 20세기 이후 급속히 사라지는 추세이다.[18] 백색 인종에게서는 치조성 돌출이 거의 없다.
치조 전돌증은 고정식 교정 치료로 쉽게 교정할 수 있다. 그러나 원인이 제거되지 않거나 장기간 유지하지 않으면 재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5]
2. 2. 상악 전돌증 (Maxillary prognathism)
상악 전돌증은 위턱뼈 전체가 앞으로 돌출된 경우를 말한다. 코르넬리아 데 란제 증후군과 같은 질병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6] 그러나 아래턱의 성장이 부족하여 상대적으로 위턱이 돌출되어 보이는 하악 후퇴증이 더 흔한 경우도 있다.성장기 환자의 경우 교정 기능 장치나 정형외과 장치로 치료할 수 있다. 성인 환자의 경우에는 수술과 교정 치료를 병행하여 교정할 수 있으며, 대부분 하악 전진술을 시행한다.
2. 3. 하악 전돌증 (Mandibular prognathism, Progenism)
하악전돌증(Mandibular prognathism)은 아래턱뼈가 과도하게 성장하여 돌출된 경우를 말하며, 흔히 '주걱턱'이라고도 불린다.[3] 유전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하며, 근친교배가 심할수록 발생 빈도가 높아진다.하악전돌증은 씹기, 말하기 등에 영향을 주거나, 심각한 안면 미관상의 문제로 사회생활에 지장을 주는 경우 장애로 간주된다.
임상적으로는 비순각(코와 입술 사이 각도), 턱의 연조직과 코의 관계, 윗입술과 아랫입술의 관계 등을 평가하는 연조직 분석과 앵글 분류와 같은 치열 관계 평가를 사용한다. 두부 방사선 계측 분석은 골격 기저, 교합면 각도, 안면 높이, 연조직 평가 및 전치 각도 평가를 포함하여 모든 유형의 전돌증을 결정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이다.
하악전돌증은 소악증과 혼동될 수 있지만, 아래턱이 돌출된 하악전돌증과 달리 소악증은 턱이 작은 증상이다.
하악 전돌증은 아래턱이 위턱보다 과도하게 성장하여 턱이 돌출되고 교차교합을 유발하는 유전 질환이다. 사람과 동물 모두에서 근친교배의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8]
시츄나 복서와 같은 단두종 또는 납작한 얼굴을 가진 개에서는 언더바이트와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사람의 경우, 때때로 '랜턴 턱'이라고 불리는 상태를 유발하기도 한다.[9]
이러한 특징은 합스부르크 왕가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났으며, '합스부르크 턱' 또는 '합스부르크 입술'이라고도 불린다.[11] 마조비아의 킴부르기스에 의해 합스부르크 가문에 도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바르샤바의 성 요한 대성당에 있는 가족 무덤 조각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합스부르크 가문은 정치적 목적의 결혼으로 인해 가문 내 근친결혼 정도가 매우 높았다.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2세는 심한 하악 전돌증을 보인 대표적인 사례로 알려져 있다.[11]
하악전돌증은 영장목에서 현생 인류를 제외한 모든 종에서 나타나며, 안면성 돌출이라고도 한다.
3. 진단
하악전돌증의 진단에는 임상 검사, 연조직 분석, 치열 관계 평가, 두부 방사선 계측 분석 등이 사용된다. 임상 검사에서는 비순각, 턱의 연조직과 코의 관계, 윗입술과 아랫입술의 관계 등을 평가하는 연조직 분석이 이루어진다.[3] 또한 앵글 분류와 같은 치열 관계 평가도 사용된다.
두부 방사선 계측 분석은 골격 기저, 교합면 각도, 안면 높이, 연조직 평가, 전치 각도 등을 평가하여 모든 유형의 전돌증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데 가장 유용한 방법이다.[3] 이 분석을 통해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계산 및 평가를 수행하여 치아 및 골격 관계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4. 치료
전돌증의 치료는 원인, 증상, 환자의 나이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치조성 전돌증은 주로 교정 치료를 통해 개선할 수 있다.[5] 상악 전돌증이나 하악 전돌증은 성장기에는 교정 장치나 정형외과적 장치를 사용하고, 성인의 경우 턱교정 수술과 교정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엄지 손가락 빨기나 혀 내밀기와 같은 나쁜 습관은 치조 전돌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4] 성장기 어린이의 경우 기능적 장치를 사용하여 이러한 습관과 신경 근육 기능을 교정할 수 있다.[4] 그러나 원인이 제거되지 않거나 장기간 유지하지 않으면 재발할 가능성이 높다.[5]
현대 치의학이 발전하기 전에는 하악전돌증과 같은 질환에 대한 치료법이 없었지만, 오늘날에는 교정 치료와 턱교정 수술을 병행하여 치료한다.[12] 교정 치료에는 치아 교정기, 치아 발치, 또는 마우스가드가 포함될 수 있다.[12]
5. 역사 및 문화
하악 전돌증은 유럽의 합스부르크 왕가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났으며, '합스부르크 턱'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11] 이 가문은 정치적 동기에 의한 상호 결혼으로 인해 가문 내의 근친상간 정도가 매우 높았으며, 1661년부터 1700년까지 살았던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2세는 그의 출생 전 왕조의 근친 결혼이 많았던 탓에 기록상 가장 심한 합스부르크 턱 사례를 가졌다고 한다.[11]
과거에는 전돌증, 특히 치조성 전돌증이 인종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흑인에서는 거의 모든 개체에게서 치조성 돌출이 나타나며, 황인종 중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는 일군에서는 그 경향이 강하다.[17] 백색 인종에서는 치조성 돌출은 거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인종 구분은 과학적인 근거가 부족한 차별적인 시각이다.
![]() | ![]() |
6. 기타
곤충학에서 하악전돌증은 입이 아래를 향하는 다른 곤충들과 달리 머리 앞쪽에 위치하여 앞을 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13]
6. 1. 곤충학
곤충학에서 하악전돌증은 입이 아래를 향하는 다른 곤충들과는 달리 머리 앞쪽에 위치하여 앞을 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13]참조
[1]
논문
The Habsburg Jaw-re-examined
2014-09
[2]
논문
A Royal Family Heritage: The Habsburg Jaw
2020
[3]
간행물
Prognathism
[4]
논문
Cephalometric Assessment of Dentoskeletal Characteristics in Children with Digit-sucking Habit
2020
[5]
논문
Challenging Malocclusion in Orthodontics: the Open Bite
https://www.neliti.c[...]
2021-12-31
[6]
웹사이트
Medical Definition of de Lange syndrome
https://www.medicine[...]
[7]
웹사이트
The Neanderthal face is not cold adapted
https://edisciplinas[...]
2024-05-05
[8]
논문
Association Between Mandibular Prognathism and MATRILIN-1 Gene in Central India Population: A Cross-sectional Study
2020
[9]
OMIM
PROGNATHISM, MANDIBULAR
[10]
OED
lantern jaw
[11]
웹사이트
Влияние На Человека Признаков, Передаваемых По Аутосомно-Рецессивному Типу (на Примере Династии Габсбургов)
https://www.elibrary[...]
2020
[12]
웹사이트
Treating Prognathism: Ways to Correct Abnormal Jaw Alignment
https://www.colgate.[...]
[13]
웹사이트
Prognathous
https://www.earthlif[...]
2019-09-11
[14]
논문
矯正臨床における新しい咬合分類
http://www.dent.niig[...]
2010-08-15
[15]
문서
en:Prognathism
[16]
서적
骨を読む
中公新書
[17]
서적
人種とは何か
岩波新書
[18]
서적
日本人の骨
岩波新書
[19]
웹인용
김영호 교수, 한국인 주걱턱 우성 유전 아냐
http://www.medifonew[...]
2023-0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