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인츠 히틀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인츠 히틀러는 알로이스 히틀러 유니오어의 아들이자 아돌프 히틀러의 조카로, 나치와 아돌프 히틀러를 열렬히 지지했다. 1939년 육군에 입대하여 바르바로사 작전에 참전, 2급 철십자 훈장을 받았으나, 1942년 1월 소련군에 포로로 잡혔다. 이후 모스크바의 부티르카 감옥에서 고문을 받다 1942년 2월 사망했으며, 유해는 발견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고문 피해자 - 카를 리프크네히트
카를 리프크네히트는 독일의 사회주의 혁명가이자 정치인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중 전쟁 반대 운동을 이끌고 독일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을 시도했으며 스파르타쿠스 봉기 진압 과정에서 살해당해 독일 좌파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독일의 고문 피해자 - 빌헬름 카나리스
빌헬름 카나리스는 독일 해군 제독이자 아프베어 수장으로, 나치 정권에 가담했다가 반나치 운동에 참여하여 히틀러 암살 계획에 연루되어 처형당한 인물이며, 그의 행적은 논쟁의 대상이다. - 2급 1939년형 철십자장 수훈자 - 헬무트 슈미트
헬무트 슈미트는 1974년부터 1982년까지 서독의 연방총리를 지낸 독일 정치인으로, 동서독 화해 정책을 계승하면서 서방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유럽 통합에 기여했으며, 경제 위기와 테러에 단호하게 대처하여 서독의 안정을 유지했으나 연정 파트너와의 갈등으로 총리직에서 물러난 후에도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독일 정치사에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2급 1939년형 철십자장 수훈자 - 쿠르트 발트하임
오스트리아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인 쿠르트 발트하임은 제4대 유엔 사무총장과 오스트리아 대통령을 역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 복무 이력으로 인해 나치 범죄 연루 의혹인 "발트하임 사건"에 휘말려 국제적인 논란을 야기했다. - 독일의 군인 -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 백작
페르디난트 폰 체펠린 백작은 독일의 장군이자 항공기 제조자로, 특히 체펠린 비행선 개발로 명성을 얻었으며, 루프트쉬프바우 체펠린을 설립하고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에 비행선을 공급하는 등 항공기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 독일의 군인 - 요하네스 뵐터
요하네스 뵐터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 육군 제502중전차대대에서 복무하며 139대 이상의 적 전차를 격파, 독일군 내 세 번째로 높은 전과를 올려 나뭇잎 장식이 붙은 기사 철십자장을 수여받은 전차 에이스이자, 미하엘 비트만, 오토 카리우스와 함께 독일 최고 전차병 중 한 명으로 꼽힌다.
하인츠 히틀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하인리히 히틀러 |
별칭 | 하인츠 |
출생 | 1920년 3월 14일 |
출생지 | 마그데부르크, 바이마르 공화국 |
사망 | 1942년 2월 21일 |
사망지 | 부티르카 교도소, 모스크바, 소비에트 연방 |
병역 | |
소속 | 나치 독일 |
군종 | 육군 |
복무 기간 | 1939년–1942년 |
계급 | 하사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바르바로사 작전 모스크바 전투 |
훈장 | 철십자 훈장 2급 |
가족 관계 | |
형제자매 | 윌리엄 패트릭 히틀러 (이복형) |
삼촌 | 아돌프 히틀러 (이부 삼촌) |
2. 생애
알로이스 히틀러 유니오어와 그의 두 번째 부인인 헤트비히 하이데만(Hedwig Heidemannde)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돌프 히틀러를 저주한 이복형 빌헬름 파트리크 히틀러와는 달리 하인츠는 히틀러와 나치의 열렬한 지지자였으며, 아돌프도 그를 관심 있게 지켜보았다.[5]
1933년 NSDAP에 의한 권력 장악이 완료되자, 13세였던 하인츠는 총통이 된 숙부 아돌프를 경외하게 되었다. 다른 친족들과 달리 하인츠는 "총통의 친척"이라는 입장을 이용하거나, 반대로 "독재자의 친척"이라는 입장에 대한 속죄를 시도하지 않았다. 아돌프도 하인츠를 자신의 보호 아래 두고 특별 대우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가 친족으로서 받은 "배려"는 국가정치교육학교(나폴라) 입학이 거의 유일했다.[3] 아돌프 히틀러에게는 여러 조카가 있었지만, 대부분과의 관계는 다소 긴장된 것이었다. 그러나 "가장 마음에 드는 조카"였던 하인츠는 레오 라우발 (아돌프의 이복 누이 안젤라의 아들)과 함께 몇 안 되는 예외였다.
2. 1. 군 복무
알로이스 히틀러 유니오어와 그의 두 번째 부인 사이에서 태어난 하인츠는 나치의 열렬한 지지자였다.[5] 그는 독일 국방군의 엘리트 군사학교인 국가정치연구학회(NAPOLA)에 다녔으며, 장교의 꿈을 안고 1941년 제23 포츠담 포병여단에서 통신 부사관으로 군 복무를 시작했다.[6] 바르바로사 작전에 참가했으며, 1942년 1월 10일 전방 통신시설 복구를 위해 파견되었다.그러나 하인츠는 임무 중 붉은 군대에 포로로 붙잡혔고, 모스크바의 부츠카 수용소로 이송되어 심문과 고문을 받다가 1942년 사망했다.[6] 어린 시절부터 군인을 동경했던[2] 하인츠는 나폴라 졸업 후 장교가 되기를 원했지만, 숙부 아돌프 히틀러는 '히틀러'라는 이름이 다른 병사들에게 불필요한 영향을 줄 것을 우려하여 반대했다고 한다.
그럼에도 1939년 말 나폴라를 졸업한 하인츠는 육군에 입대하여[2] 통신병으로 포츠담의 제23 포병 연대에 배속되었다.[3] 1941년, 바르바로사 작전에 참전하여 실전을 통해 2급 철십자 훈장을 받고 하사관(Unteroffizier)까지 진급했으며, 사관학교 추천 후보에도 올랐다.[3]
1942년 1월 10일, 부대의 통신 책임자였던[2] 하인츠는 포기된 진지에서 무선 설비를 회수하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붉은 군대의 기습을 받아 포로가 되었다. 곧 아돌프의 친족임이 밝혀진 후, 부티르카 감옥으로 이송되었다. 소련 측은 하인츠에게 군사적 가치가 있는 정보가 없다는 것을 알았지만, 히틀러 가문이나 아돌프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고문을 반복했다. 1942년 2월 21일, 하인츠는 고문을 견디지 못하고 사망했다.[3][2]
2. 2. 소련군 포로와 사망
1941년 제23 포츠담 포병여단에서 통신 부사관으로 근무를 시작했고, 바르바로사 작전에도 참가하였다.[5]1942년 1월 10일, 하인츠는 전방 위치의 통신시설을 복구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아돌프 히틀러는 그가 좋아하던 조카 하인츠가 위험한 전방에서 복무하는 것을 원치 않았기 때문에 이 임무에 대해 상당히 걱정하였다.[6]
결국 하인츠는 붉은 군대의 기습을 받아 포로가 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아돌프의 친족임이 밝혀졌다. 모스크바의 부티르카 감옥으로 이송되었고, 소련 측은 하인츠가 군사적 가치가 있는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일찍이 알았지만, 히틀러 가문이나 아돌프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집요한 고문을 반복했다. 1942년 2월 21일, 하인리히는 고문을 견디지 못하고 사망했다.[3][2] 유해가 어디에 매장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2]
참조
[1]
서적
Maser
[2]
웹사이트
A insana trajetória de Heinz Hitler, o sobrinho preferido do führer
https://aventurasnah[...]
2023-01-20
[3]
웹사이트
El trágico destino del sobrino favorito de Adolf Hitler
https://www.eldebate[...]
2023-01-20
[4]
Youtube
1944 Hitlers family
https://www.youtube.[...]
[5]
웹인용
Heinrich “Heinz” Hitler
https://www.findagra[...]
2011-03-09
[6]
서적
Molotov Remembers: Inside Kremlin Politic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