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트 (게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트(Hearts)는 16세기 유럽에서 시작된 리버시스를 기원으로 하는 카드 게임이다. 1880년대에 독일에서 규칙이 정비되었으며, 미국에서 인기를 얻어 다양한 변형 규칙이 생겼다. 대한민국에서는 블랙 레이디 규칙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으며, 52장의 카드 덱을 사용하여 3~6명이 플레이한다. 게임의 목표는 하트 카드와 스페이드 퀸을 잡지 않는 것이며, 하트 카드는 각 1점, 스페이드 퀸은 13점의 벌점을 받는다. 슛 더 문(Shoot the Moon)과 같은 특수 규칙을 통해 전략적인 플레이가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릭 테이킹 카드 게임 - 휘스트
    휘스트는 17세기 영국에서 시작되어 18세기 런던에서 규칙이 정립된 후 19세기에 발전한 4인 2팀의 트릭 테이킹 카드 게임으로, 브리지의 등장으로 인기가 줄었지만 현재도 여러 변형 규칙과 사교 행사 형태로 즐겨진다.
  • 트릭 테이킹 카드 게임 - 마이티 (카드 게임)
    마이티는 다섯 명이 10장의 카드를 받아 특정 카드와 조커, 기루다를 활용해 점수를 얻는 트릭 테이킹 게임으로, 선거를 통해 선출된 주공이 프렌드와 팀을 이루어 경쟁하며 다양한 전략과 규칙이 존재한다.
하트 (게임)
게임 개요
종류트릭-피하기
인원3–6명 (4명이 가장 적합)
진행 방향시계 방향
카드 순위A K Q J 10 9 8 7 6 5 4 3 2
카드 수52장 (4인 기준)
카드 덱프랑스식
기원미국
관련 게임하트
블랙 마리아
플레이 시간핸드당 10분
무작위성낮음–중간
필요 기술카드 카운팅
전술
목표Q 또는 하트를 획득하지 않기
다른 이름
영어American hearts (아메리칸 하트)
Black lady hearts (블랙 레이디 하트)
Black Maria (블랙 마리아)
Black widow (블랙 위도우)
Slippery Anne (슬리퍼리 앤)
Rickety Kate (리케티 케이트)

2. 역사

하트 게임의 원형은 16세기경 유럽에서 시작된 Reversis|리버시스eng라는 게임이다.[12][13] 리버시스는 하트처럼 벌점이 있는 카드를 얻지 않는 것을 목표로 했지만, 점수 계산 방식이나 대상 카드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모든 트릭을 따내는 것을 "The Reversis"라고 불렀는데, 성공하면 보너스 점수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오늘날 하트의 로컬 룰인 Shoot the Sun|슛 더 선eng의 원형으로 볼 수 있다. 리버시스는 17세기부터 18세기까지 프랑스 귀족 사회에서 유행했다.[14]

현대적인 하트 게임은 리버시스를 바탕으로 1880년대 독일에서 규칙이 정립되었고, 이후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15]

20세기 초 미국에서는 하트를 기반으로 한 '블랙 레이디' 변형 규칙이 개발되었다. 1909년 R. F. 포스터는 '디스카드 하트'라는 변형 게임을 설명하며 '블랙 잭' 또는 '블랙 레이디'라고도 불린다고 언급했다. 이 규칙에서는 스페이드 퀸(블랙 레이디)이 13점의 벌점을 가지게 되었다. (블랙 잭 규칙에서는 스페이드 잭이 10점 벌점) 또한, 게임 시작 시 카드 3장을 다른 플레이어에게 넘기는 규칙도 이때부터 포함되었다. 당시 점수 계산은 하트 카드 1장당 1점, 스페이드 퀸은 13점의 벌점을 부과하는 방식이었다.

블랙 레이디에서 벌점 카드


모든 벌점 카드를 혼자 따내는 것을 목표로 하는 슬램 규칙은 1939년 영국에서 hitting the moon|히팅 더 문eng이라는 하트 변형 게임에서 처음 등장했다. 이는 기본적으로 블랙 레이디 규칙에 슬램 요소를 추가한 것으로, 오늘날 Shoot the Moon|슛 더 문eng으로 알려진 규칙의 기반이 되었다.

하트 게임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 '마이크로소프트 하트'라는 이름으로 기본 게임으로 포함되면서(윈도우 3.1 버전부터) 더욱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3. 게임의 규칙 (블랙 레이디 기준)

블랙 레이디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하트 게임의 변형 규칙 중 하나이다. 이 이름은 게임에서 가장 높은 벌점을 가진 카드인 스페이드 퀸(Q♠)을 '블랙 레이디'라고 부르는 데서 유래했다.

기본적으로 4명의 플레이어가 참여하며, 목표는 벌점이 되는 카드들, 즉 모든 하트 카드(각 1점)와 특히 스페이드 퀸(13점)을 피하여 게임 종료 시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하는 것이다. 이는 점수를 얻는 것이 아니라 벌점을 피하는 마이너스 스코어 방식의 게임이다. 상세한 게임 진행 방식, 점수 계산, 그리고 특별한 경우인 '슛 더 문' 등은 하위 항목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3. 1. 인원

하트는 3명에서 6명까지 플레이할 수 있지만, 4명이 플레이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파트너십이나 트럼프는 없다.

게임에는 표준 52장 카드 덱의 영미식 카드를 사용하며, 카드는 에이스가 가장 높은 일반적인 순서대로 서열이 매겨진다. 모든 플레이어가 같은 수의 카드를 받도록 하기 위해, 인원수에 따라 필요 없는 카드를 제거한다. 보통 가장 낮은 숫자 카드인 2부터 순서대로 제거하는데, 예를 들어 3명이 플레이할 때는 2 카드 하나를, 5명일 때는 2 카드 두 개를, 6명일 때는 2 카드 네 장을 모두 제거하는 식이다. 다만 제거되는 카드의 종류는 규칙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다.

플레이어들은 카드를 컷하여 가장 낮은 카드를 뽑은 사람이 첫 번째 딜러가 된다. 딜러는 자신의 왼쪽 플레이어부터 시작하여 시계 방향으로 모든 카드를 한 장씩 나누어 준다. 딜 순서는 항상 왼쪽으로 넘어간다.

카드를 받은 후, 각 플레이어는 자신이 가진 카드 중에서 3장을 골라 다른 플레이어에게 넘겨준다. 어떤 카드를 넘길지는 넘겨받을 카드를 보기 전에 결정해야 한다. 기본적으로는 왼쪽 플레이어에게 카드를 넘기지만, 다른 규칙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주로 하는 방식에서는 첫 판에는 왼쪽, 두 번째 판에는 오른쪽, 세 번째 판에는 맞은편 플레이어에게 넘기고, 네 번째 판에는 카드를 넘기지 않는 식으로 방향을 바꾸기도 한다.

''대안 규칙:'' 카드를 나누고 남은 카드가 있다면 "키티(kitty)"에 따로 모아두고, 첫 번째 트릭에서 이긴 플레이어가 가져가기도 한다.

3. 2. 준비물

조커를 제외한 표준 카드 1벌(52장)을 사용한다. 플레이어 수에 따라 모든 플레이어가 같은 수의 카드를 받을 수 있도록 일부 카드를 제외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규칙은 다음과 같다.

플레이어 수에 따른 제외 카드[1]
플레이어 수제외하는 카드
3명2♣ 또는 2♦ 중 1장 (다른 초기 규칙에서는 2♠를 제외하기도 했다.)
4명없음 (가장 일반적인 인원수)
5명2♣와 2♦ (다른 초기 규칙에서는 검은색 2 두 장(2♣, 2♠)을 제외하기도 했다.)
6명모든 2 카드 4장 또는 2♣, 3♣, 2♦, 3♦ (다른 초기 규칙에서는 모든 2 카드 4장을 제외하기도 했다.)



카드는 에이스가 가장 높은 순서로 사용된다. 이 외에 점수를 기록하기 위한 필기도구가 필요하다.[1]

3. 3. 게임의 목표



하트 게임의 목표는 벌점이 되는 특정 카드를 가져가지 않아 게임 종료 시 가장 낮은 점수를 얻는 것이다. 이는 점수를 얻는 것이 아니라, 벌점을 피하는 마이너스 스코어 방식 게임이다.

게임에서 벌점을 받는 카드는 다음과 같다.

카드벌점
모든 하트 카드 (A♥, K♥, Q♥, J♥, 10♥, 9♥, 8♥, 7♥, 6♥, 5♥, 4♥, 3♥, 2♥)각각 1점
스페이드 퀸 (Q♠) - 블랙 레이디라고도 불린다.13점



따라서 플레이어는 트릭을 따더라도 하트 카드나 스페이드 퀸(Q♠)을 가져오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게임은 여러 라운드에 걸쳐 진행되며, 한 플레이어의 누적 벌점이 미리 정해진 점수(보통 100점)에 도달하거나 넘어서면 게임이 종료된다. 게임 종료 시 누적 벌점이 가장 적은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3. 4. 게임 진행

딜러로 지정된 플레이어는 카드를 섞어 자신의 왼쪽 옆 플레이어부터 시작하여 시계 방향으로 한 장씩 모든 플레이어에게 표준 52장 카드 덱의 카드를 모두 배분한다. 플레이어 수에 따라 카드를 균등하게 나누기 위해 필요시 낮은 숫자의 카드(주로 2)를 제거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각 딜(패를 나누어 주고 플레이가 종료될 때까지)마다 시계 방향으로 딜러가 교대된다.

카드를 받은 후, 각 플레이어는 자신의 패에서 3장의 카드를 선택하여 정해진 방향으로 다른 플레이어에게 넘겨준다. 동시에 다른 플레이어로부터 3장의 카드를 받아 자신의 패에 추가한다. 카드를 넘겨줄 때는 일반적으로 받은 카드를 확인하기 전에 자신이 넘길 카드 3장을 먼저 선택해야 한다. 가장 일반적인 방식은 4번의 딜에 걸쳐 카드를 넘기는 방향이 순환되는 것이다. 첫 번째 딜에서는 왼쪽 플레이어에게, 두 번째 딜에서는 오른쪽 플레이어에게, 세 번째 딜에서는 맞은편 플레이어에게 카드를 넘긴다. 네 번째 딜에서는 카드를 교환하지 않고 그대로 진행한다. 이 주기가 반복된다.

게임 플레이는 트릭 테이킹 게임 방식으로 진행된다. 첫 번째 트릭의 시작은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클럽 2()를 가진 플레이어가 해당 카드를 내면서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리드 플레이어가 카드를 내면, 다른 플레이어들은 시계 방향 순서대로 카드를 한 장씩 낸다. 이때 리드된 카드와 같은 무늬(수트)의 카드가 있다면 반드시 그 무늬의 카드 중 하나를 내야 한다(팔로우). 같은 무늬의 카드가 없다면 가지고 있는 카드 중 아무 카드나 낼 수 있다(디스카드).

모든 플레이어가 카드를 내면, 리드된 무늬 중에서 가장 높은 서열의 카드를 낸 플레이어가 해당 트릭의 카드들을 모두 가져간다. 카드의 서열은 A(가장 높음), K, Q, J, 10, 9, 8, 7, 6, 5, 4, 3, 2(가장 낮음) 순이다. 트럼프는 없다. 트릭을 가져간 플레이어가 다음 트릭을 리드한다.

단, 첫 번째 트릭에서는 하트 무늬 카드나 스페이드 퀸(, '블랙 레이디')을 리드할 수 없다. 또한, 다른 플레이어가 리드했을 때 같은 무늬 카드가 없어 디스카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아직 하트가 한 번도 나오지 않았다면(하트가 깨지지 않았다면) 하트 카드를 낼 수 없는 규칙도 흔하다.

이 과정을 패가 모두 소진될 때까지 반복한다. 한 딜이 끝나면 각 플레이어는 자신이 가져온 카드 중 벌점 카드(하트는 각 1점, 스페이드 퀸은 13점)의 점수를 계산하여 기록한다. 정해진 점수(예: 100점)에 먼저 도달하는 플레이어가 생기면 게임이 종료되고, 점수가 가장 낮은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3. 5. 점수 계산

모든 카드를 사용하면 각 플레이어는 자신이 가져간 카드 중에서 벌점 카드를 확인한다. 벌점 카드는 모든 하트 카드와 스페이드 퀸(♠Q) 카드이다.

각 하트 카드는 1점의 벌점을 가지며, 스페이드 퀸(♠Q)은 13점의 벌점을 가진다. 따라서 한 라운드에서 나올 수 있는 총 벌점은 26점이다. 게임은 일반적으로 한 플레이어의 누적 점수가 100점에 도달하면 종료되며, 이때 가장 낮은 점수를 가진 플레이어가 승리한다.[16]

=== 슛 더 문 (Shoot the Moon) ===

만약 한 플레이어가 한 라운드에서 모든 하트 카드(13장)와 스페이드 퀸(♠Q)을 모두 가져가는 경우, 이를 슛 더 문(Shoot the Moon영어)이라고 한다. 이는 '슬램', '히팅 더 문'(Hitting the Moon영어), '고잉 포 컨트롤'(Going for Control영어), '러닝 하츠'(Running Hearts영어)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16]

슛 더 문에 성공했을 때의 점수 계산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다.

  • 기본 방식 (으뜸패): 슛 더 문에 성공한 플레이어는 0점을 얻고, 다른 모든 플레이어는 각각 26점의 벌점을 얻는다.
  • 올드 문 (Old Moon영어): 슛 더 문에 성공한 플레이어의 점수는 변동이 없으며, 다른 모든 플레이어의 점수에 각각 26점의 벌점이 추가된다. 이는 미국에서 거의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이다.
  • 뉴 문 (New Moon영어): 슛 더 문에 성공한 플레이어는 다른 플레이어에게 벌점을 주는 대신, 자신의 누적 점수에서 26점을 뺀다.


=== 슛 더 문 하위 변형 ===

슛 더 문 규칙에는 여러 하위 변형이 존재한다.

  • 슛 더 문을 성공한 플레이어가 '올드 문'과 '뉴 문'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 특정 상황에서만 '뉴 문'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올드 문'을 적용했을 때 자신이 게임에서 지게 되는 경우에만 '뉴 문'을 선택할 수 있다.
  • 슛 더 문을 성공해도 해당 라운드에 게임이 끝나지 않고, 최소 한 라운드를 더 진행해야 승리할 수 있다.


=== 슈팅 더 선 (Shooting the Sun) ===

한 플레이어가 13개의 트릭을 모두 가져가는 경우, 이를 슈팅 더 선(Shooting the Sun영어)이라고 한다. 이 경우, 다른 플레이어들의 점수에 52점을 더하는 변형 규칙이 있다.

  • 처벌 규칙: 슈팅 더 선을 성공한 플레이어에게 카드를 넘겨준 플레이어에게 52점을 더하고, 나머지 플레이어에게는 각각 26점을 더한다.
  • 판 정리 (Cleaning the Slate영어): 슈팅 더 선을 성공하면 모든 플레이어의 점수를 0점으로 만든다.
  • 모든 벌점 카드를 가져갔지만 13개 트릭을 모두 가져가지 못했다면(즉, 슈팅 더 선 실패), 일반적인 슛 더 문 규칙에 따라 점수를 계산한다.
  • 첫 번째 트릭은 슈팅 더 선 계산에 포함하지 않고, 나머지 12개 트릭만 가져가도 성공으로 인정하는 변형도 있다. 이는 클럽 2를 가진 플레이어도 슈팅 더 선을 시도할 수 있게 한다.


=== 기타 점수 변형 ===

  • 슈팅 더 빅 문 (Shooting the Big Moon영어): 한 플레이어가 여러 라운드에 걸쳐 누적 260점의 벌점을 얻으면(예: 10라운드 동안 매 라운드 26점), 해당 플레이어의 점수는 0점이 되고 다른 모든 플레이어는 260점을 얻거나[2], 일반 게임에서는 다른 플레이어가 100점을 얻는 변형이다.[3]
  • 한 라운드에서 아무 트릭도 가져가지 못한 플레이어는 -5점의 벌점을 받는다(즉, 5점을 얻는다).
  • 누적 점수가 정확히 100점이 된 플레이어는 점수가 0점으로 감소한다. 이 규칙에서는 게임을 끝내려면 101점 이상을 획득해야 한다.

3. 6. 게임 종료

플레이어 중 누군가의 점수가 미리 정해진 점수(보통 100점)에 도달하거나 넘어서면 게임이 종료된다. 게임 종료 시 점수가 가장 낮은 플레이어가 승리하며, 점수 순서대로 등수가 결정된다.

변형 규칙 중 하나로, 정확히 100점을 얻은 플레이어의 점수를 0점으로 만드는 규칙도 존재한다. 이 규칙을 적용할 경우, 게임을 종료시키려면 플레이어의 점수가 101점 이상이 되어야 한다.

4. 변형 규칙



하트 게임에는 오랜 역사 속에서 다양한 변형 규칙이 생겨났다. 초기의 규칙 형태는 R.F. 포스터(1909)의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당시에는 '블랙 레이디'가 '디스카드 하트'의 다른 이름으로 불렸다. 포스터가 소개한 점수 계산 방식은 플레이어가 가진 카운터를 이용해, 얻은 하트 카드마다 일정 개수를 풀에 내고, 블랙 레이디(스페이드 퀸)는 13개로 계산하는 방식이었다. 풀의 분배 방식도 여러 가지가 존재했다.

이후 미국의 브리지 전문가 엘리 컬버트슨은 점수 계산을 단순화하고 슬램(모든 벌점 카드를 따는 것) 개념을 포함시켰다. 오늘날 미국에서 가장 널리 플레이되는 방식은 각 하트 카드당 1점, 블랙 레이디 13점의 벌점을 적용하며, 한 플레이어가 100점에 먼저 도달하면 게임이 종료되고 가장 점수가 낮은 플레이어가 승리하는 것이다. 또한, 한 플레이어가 모든 벌점 카드를 가져가는 '슛 더 문'(Shoot the Moon)에 성공하면 다른 모든 플레이어가 26점의 벌점을 받는 규칙이 보편적이다.

이러한 기본 규칙 외에도 여러 독특한 변형들이 존재한다.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는 '''캔슬레이션 하트''', '''옴니버스 하트''', '''핑크 레이디''' 등 외에도 다음과 같은 변형들이 있다.


  • '''블랙 잭''': 스페이드 잭(♠J)이 블랙 레이디 대신 10점의 벌점 카드가 된다. 초기 규칙에서는 원하는 때 버릴 수 있었으나, 후기 규칙에서는 해당 무늬가 없을 때 가장 먼저 버려야 한다.
  • '''공주'''(拱豬|Gong Zhuzho): 중국식 변형으로, 카드마다 다른 페널티 또는 보너스 점수가 부여된다 (예: ♥A -50점, ♠Q -100점, ♦J +100점 등).[9]
  • '''리크하''' (Likha 또는 Leekha): 중동 지역의 파트너십 변형 게임이다. ♠Q(13점)와 ♦10(10점)이 '리크하'라는 특별 카드가 되며, 시계 반대 방향으로 진행한다. 게임은 101점까지 플레이한다.[10]


이 외에도 게임 그룹마다 사용하는 하우스 룰이나 세부 규칙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4. 1. 카드 교환 방식

하트 게임의 특징 중 하나는 카드 교환이다. 이는 핸드가 시작되기 전에 각 플레이어가 자신의 패에서 3장의 카드를 선택하여 다른 플레이어에게 뒷면이 보이도록 전달하는 방식이다.[16] 이를 '버리기'(Discarding)라고도 부르며, 이 때문에 초기에 '버리기 하트'(Discard Hearts)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카드는 왼쪽 플레이어에게 전달하지만, 블랙 마리아에서는 오른쪽으로 전달한다. 플레이어는 자신이 받을 카드를 확인하기 전에 먼저 전달할 카드 3장을 선택해야 한다.

초기 규칙에서는 항상 왼쪽으로만 카드를 전달했지만, 오늘날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카드 교환 방식이 존재한다.[16]

  • 4방향 패싱: 컴퓨터 게임을 통해 널리 알려진 가장 일반적인 방식이다. 4번의 딜 동안 순서대로 카드를 전달한다. 첫 번째 딜에서는 왼쪽, 두 번째는 오른쪽, 세 번째는 맞은편 플레이어에게 전달한다. 네 번째 딜에서는 카드를 교환하지 않거나('홀드'), 각 상대방에게 1장씩 전달할 수도 있다('분산 패스' 또는 '스캐터 패스'). 이 주기가 반복된다. 윈도우에 포함된 하트 게임이 이 방식을 사용한다. (참고: 윈도우 버전은 4인 플레이 기준이다.)
  • 좌우 패싱: 매 딜마다 왼쪽과 오른쪽으로 번갈아 카드를 전달한다.
  • 별 모양 패싱: 플레이어 수가 홀수일 때는 맞은편으로 전달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5명이 플레이할 경우, 맞은편에 있는 두 명의 플레이어에게 각각 카드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 섞어 패싱: 플레이어들이 선택한 3장의 카드를 중앙에 모아 딜러가 섞은 뒤 다시 나누어 준다.
  • 두 장 카드 패싱: 4명 이상 플레이할 때 2장만 전달하는 규칙도 있다.
  • 딜러의 선택: 딜러가 자신의 패를 보기 전에 해당 라운드의 카드 전달 방식(매수, 방향 등)을 결정한다. "왼쪽으로 2장, 오른쪽으로 1장"과 같이 자유롭게 정할 수 있다.
  • 회전 패스: 플레이어 순서에 따라 전달 방향을 다르게 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첫 번째 플레이어는 왼쪽으로 1칸, 두 번째 플레이어는 왼쪽으로 2칸 떨어진 플레이어에게 전달하는 식이다.
  • 분할 패스 (로컬 규칙): 홀드(교환 없음) 전에 다른 3명의 플레이어에게 각각 1장씩 카드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일부 규칙에서는 클럽 2(2♣), 스페이드 퀸(Q♠), 하트 에이스(A♥)의 특정 조합을 함께 전달하는 것을 금지하기도 한다.

카드 교환의 주된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특정 무늬의 카드를 모두 없애거나('공백 만들기' 또는 '짧게 만들기') 해당 무늬가 나왔을 때 다른 무늬의 카드를 버릴 수 있도록 한다.
  • 스페이드 에이스(A♠), 스페이드 킹(K♠), 스페이드 퀸(Q♠)이나 높은 하트 카드처럼 벌점을 얻게 할 수 있는 위험한 카드를 제거한다. 특히 스페이드 에이스(A♠)와 스페이드 킹(K♠)은 그 자체로는 점수가 없지만, 스페이드 무늬가 나왔을 때 스페이드 퀸(Q♠)을 강제로 받게 만들 수 있어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높은 하트 카드 역시 하트 무늬가 깨진 후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 무늬를 비울 때는 클럽(♣)이나 다이아몬드(♦) 무늬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유리하다. 높은 하트나 스페이드 카드를 패 없이 받게 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 이런 이유로 스페이드 퀸(Q♠)보다 낮은 스페이드 카드는 문샷 (Shoot the Moon)을 시도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잘 전달하지 않는다.
  • 카드를 너무 많이 전달하여 상대방에게 문샷 기회를 주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이를 막기 위해 낮은 하트 카드 1장을 전달하는 전략이 있다. 특히 하트 에이스(A♥)를 가지고 있을 때 유용한데, 상대방이 하트 카드를 1장이라도 가지고 있으면 문샷을 성공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트 에이스(A♥)는 전달하지 않는 것이 좋을 때가 많다.

4. 2. 트릭 플레이

각 트릭은 트럼프가 없는 일반적인 트릭 테이킹 게임의 규칙을 따른다. 즉, '트릭'이라고 불리는 미니 게임을 패가 없어질 때까지 반복한다.

# 정해진 선 플레이어가 패에서 임의의 카드 1장을 바닥에 앞면으로 내어 트릭을 시작한다(이를 '리드한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첫 트릭은 클럽 2를 가진 플레이어가 해당 카드를 내는 것으로 시작한다. 다른 방식으로는 딜러의 왼쪽 플레이어가 원하는 카드로 리드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벌점 카드는 첫 카드로 낼 수 없다.

# 선 플레이어 다음부터 시계 방향으로 각 플레이어가 패에서 카드 1장씩을 앞면으로 낸다. 이때, 선 플레이어가 낸 카드와 같은 수트의 카드가 있다면 반드시 그중 한 장을 내야 한다(이를 '마스트 팔로우'라고 한다). 같은 수트의 카드가 없다면 가지고 있는 아무 카드나 낼 수 있다(이를 '디스카드한다'고 한다). 리드된 수트의 카드가 있음에도 다른 수트 카드를 내는 것은 반칙이다.

# 모든 플레이어가 카드를 한 장씩 내면 트릭이 종료된다. 리드된 수트 중에서 가장 높은 서열의 카드를 낸 플레이어가 해당 트릭의 승자가 된다. 카드 서열은 일반적으로 에이스(A)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K, Q, J, 10, 9, 8, 7, 6, 5, 4, 3, 2 순서이다.

# 트릭의 승자는 바닥에 놓인 모든 카드를 가져가 자신의 앞에 뒷면으로 모아둔다. 이 카드들은 해당 게임(딜)이 끝날 때까지 다시 사용하지 않는다.

카드를 가져간 플레이어가 다음 트릭을 리드한다. 이 과정을 패가 모두 소진될 때까지 반복한다.
벌점 카드 규칙게임의 목표는 벌점 카드인 하트 카드들과 스페이드 퀸(Q♠, '블랙 레이디'라고도 불림)을 가져가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트릭 플레이 중에는 다음과 같은 특별 규칙이 적용될 수 있다.

  • 첫 트릭 제한: 첫 번째 트릭에서는 하트나 스페이드 퀸(Q♠)을 낼 수 없다. 단, 해당 카드 외에 낼 카드가 없는 경우는 예외이다.
  • 하트 리드 제한 (하트 깨기): 일반적으로 '하트가 깨지기' 전까지는 하트 카드를 리드할 수 없다. 하트가 깨진다는 것은, 다른 수트가 리드된 트릭에서 어떤 플레이어가 마스트 팔로우를 할 수 없어 하트 카드를 버렸을 때를 의미한다. 하트가 깨진 이후부터는 자유롭게 하트를 리드할 수 있다.
  • 만약 자신의 차례에 하트 카드만 가지고 있다면, 하트가 깨지지 않았더라도 하트를 리드할 수 있으며, 이 행동으로 하트가 깨지게 된다.
  • 일부 규칙에서는 스페이드 퀸(Q♠)를 포함한 모든 벌점 카드가 버려졌을 때 하트가 깨진 것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기타 변형 규칙

  • 클럽 2 리드: 클럽 2를 가진 플레이어가 반드시 첫 트릭을 리드해야 하는 규칙이 널리 쓰인다. 만약 클럽 2가 게임에서 제외되었다면 클럽 3으로 시작하기도 한다.
  • 취소 하트: 두 벌 이상의 카드를 사용할 때, 한 트릭에서 동일한 카드가 두 장 나오면 서로 상쇄되어 트릭 승리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규칙이다.

4. 3. 슛 더 문 (Shoot the Moon) 변형

'슛 더 문'(Shoot the Moon)은 하트 게임의 특별한 플레이 방식으로, 한 플레이어가 한 라운드에서 모든 벌점 카드, 즉 13개의 하트 카드 전부와 스페이드 퀸(♠Q)을 가져가는 것을 의미한다.[16] 이는 '슬램(Slam)', '테이크 올(Take All)', '고잉 포 컨트롤(Going for Control)', '러닝 하츠(Running Hearts)'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16]

'달을 쏘는 것'으로 알려진 슬램 개념은 1939년 영국에서 '히팅 더 문(Hitting the Moon)'이라는 하트 변형 게임에서 처음 등장했다. 이는 기본적으로 슬램 규칙이 추가된 블랙 레이디 게임이었으며, 오늘날 하트 게임의 일반적인 요소가 되었다. 미국의 브리지 전문가 엘리 컬버트슨 역시 1950년 자신의 규칙에 슬램을 포함시켰다.

슛 더 문에 성공할 경우, 해당 플레이어는 벌점을 받지 않는 대신, 다른 모든 플레이어에게 각각 26점의 벌점이 부과된다. 이는 가장 일반적인 규칙으로 '올드 문(Old Moon)' 규칙이라고도 불린다. 만약 슛 더 문 시도가 실패하면, 즉 벌점 카드를 하나라도 놓치면, 플레이어는 자신이 획득한 벌점 카드에 대해 정상적으로 점수를 계산받게 되므로 상당한 위험 부담이 따른다.

슛 더 문에는 여러 변형 규칙이 존재한다.

  • 뉴 문 (New Moon): 슛 더 문에 성공한 플레이어가 다른 플레이어에게 벌점을 주는 대신, 자신의 누적 점수에서 26점을 감점하는 방식이다.
  • 선택 규칙:
  • 플레이어가 올드 문과 뉴 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 특정 조건 하에서만 뉴 문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올드 문 규칙을 적용했을 때 점수 차이로 게임에서 패배하게 되는 경우에만 뉴 문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규칙이 있다.
  • 미리 정해진 점수에 도달한 후에만 뉴 문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규칙도 있다.
  • 슛 더 선 (Shooting the Sun): 한 플레이어가 13개의 트릭을 모두 가져가는 경우를 말한다.
  • 성공 시 다른 플레이어들에게 52점의 벌점을 부과한다.
  • 변형 규칙으로, 라운드 시작 시 자신에게 카드를 넘긴 플레이어에게 52점을, 나머지 플레이어에게는 26점을 부과하는 '처벌 규칙'이 있다.
  • 모든 플레이어의 점수를 0으로 만드는 '판을 정리한다(Cleaning the Slate)' 규칙도 있다.
  • 벌점 카드를 모두 가져갔지만 13개 트릭을 모두 따지 못했다면, 슛 더 선이 아닌 일반적인 슛 더 문으로 처리한다.
  • 첫 번째 트릭은 슛 더 선 달성 조건에서 제외하고, 나머지 12개 트릭만 따면 성공으로 인정하는 규칙도 있다. 이는 클럽 2(♣2)를 가진 플레이어도 슛 더 선을 시도할 수 있게 한다.
  • 슛 더 빅 문 (Shooting the Big Moon): 한 플레이어가 10 라운드에 걸쳐 총 260점(매 라운드 26점)을 얻는 경우, 다른 모든 플레이어가 260점을 받거나[2] 100점을 받고 해당 플레이어는 0점이 되는 변형 규칙이다.[3]
  • 기타 변형:
  • 슛 더 문이나 슛 더 선에 성공한 플레이어는 해당 라운드에서 게임에서 승리할 수 없으며, 최소 한 라운드를 더 진행해야 하는 규칙도 있다.


슛 더 문은 성공하면 게임의 흐름을 단번에 유리하게 바꿀 수 있지만, 실패 시 큰 벌점을 안게 되는 위험한 전략이다. 슛 더 문을 시도하기 좋은 패는 일반적으로 높은 순위의 카드가 많고, 특정 무늬의 카드가 길게 이어져 있어 다른 플레이어들이 해당 무늬 카드를 모두 소진했을 때 계속해서 트릭을 딸 수 있는 경우이다. 또한, 하트 카드가 없거나, 하트 에이스(♥A), 하트 킹(♥K), 하트 퀸(♥Q), 하트 잭(♥J) 등 높은 하트 카드를 대부분 가지고 있어야 성공 확률이 높아진다. 예를 들어 하트 에이스(♥A)가 없는 상태에서 하트 킹(♥K), 하트 퀸(♥Q) 및 하트 잭(♥J)만 가지고 있다면, 다른 노련한 플레이어가 하트 에이스(♥A)를 내지 않고 버텨 최소 1점이라도 얻게 만들어 슛 더 문 시도를 무산시킬 수 있다.

옴니버스 하트에서는 다이아몬드 10(♦10)을 포함한 모든 벌점 카드(하트 13장, 스페이드 퀸(♠Q), 다이아몬드 10(♦10))를 한 플레이어가 모두 가져가면 해당 딜에서 26점의 추가 점수를 얻고, 나머지는 0점을 얻는다.

모두의 닌텐도 Wi-Fi 대전에서는 슛 더 문에 성공하면 다른 플레이어에게 26점 벌점을 주는 것 외에, 성공한 플레이어 자신의 누적 마이너스 점수가 모두 상쇄되는 규칙이 추가되었다. 또한, 모든 트릭(13개)을 획득했을 경우(슛 더 선) 보너스는 통상적인 26점의 두 배인 52점이 된다.

4. 4. 기타 변형 규칙

미국의 브리지 전문가 엘리 컬버트슨은 하트 게임의 규칙을 정립하면서, 이를 스페이드 퀸(Q♠)을 13점짜리 벌점 카드로 사용하는 기존 방식과는 다른 게임으로 보았다. 다만, 그는 이 게임이 블랙 레이디/디스카드 하트의 버리기(패스) 기능을 유지한다는 점은 언급하지 않았다. 초기 규칙에서 가장 큰 변화는 점수 계산 방식이 훨씬 단순해졌다는 점이다. 컬버트슨은 슬램(모든 벌점 카드를 한 사람이 가져가는 것) 개념을 포함했지만, 슬램 달성에 대한 별도의 점수는 없었다.

게임이 끝나면 플레이어들은 각자 얻은 벌점 카드의 점수를 합산한다. 하트 카드(♥)는 장당 1점, 스페이드 퀸(Q♠, 블랙 레이디)은 13점의 벌점을 받는다. 만약 한 플레이어가 모든 벌점 카드(하트 13장과 스페이드 퀸)를 전부 가져갔다면(이를 '슬램' 또는 '슛 더 문'이라고도 한다), 해당 플레이어는 0점을 얻고 나머지 플레이어들은 모두 26점씩 벌점을 받는다. (이는 휴버트 필립스가 1939년에 처음 도입한 슬램 규칙과 유사하다.) 게임은 한 플레이어의 누적 점수가 100점에 먼저 도달하면 종료되며, 가장 점수가 낮은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글렌과 덴튼(2003)에 따르면 이 버전은 미국에서 거의 보편적으로 통용된다. 기본적인 규칙은 모어헤드(2001)를 따르지만, 카드 패스 규칙과 '달 쏘기'(Shoot the Moon, 슬램) 점수 계산 방식은 필립스의 초기 규칙을 반영하는 차이가 있다.

블랙 레이디 규칙을 기반으로 한 주요 변형 게임들은 다음과 같다.

  • '''캔슬레이션 하트(Cancellation Hearts)''': 1950년 컬버트슨이 처음 소개한 방식으로, 보통 6명에서 11명까지 많은 인원이 참여할 수 있도록 카드 두 벌을 섞어서 사용한다. 만약 한 트릭에서 똑같은 카드가 두 장 나오면 서로 상쇄되어 효력을 잃고, 해당 카드를 낸 플레이어는 트릭을 가져갈 수 없다. 만약 한 트릭에서 이런 상쇄 쌍이 두 개 나오면 트릭 자체가 무효가 되고, 해당 트릭의 카드들은 다음 트릭의 승자에게 넘어간다.
  • '''옴니버스 하트(Omnibus Hearts)''': 1950년 컬버트슨은 이 변형이 "빠르게 가장 인기 있는 하트 게임이 되고 있다"고 언급했으며, 아놀드(1995)는 별도의 게임으로 설명될 만큼 "충분히 다르고 인기가 있다"고 평가했다. 옴니버스 하트는 블랙 레이디의 변형으로, 다이아몬드 10(10♦) 카드를 추가적인 보너스 카드로 사용한다. 트릭에서 10♦를 따면 벌점 10점을 감점받는다(+10점). 만약 한 플레이어가 모든 벌점 카드(하트 13장, Q♠)와 보너스 카드(10♦)까지 총 15장을 모두 따면('문샷', '테이크-올', '슬램' 등으로 불림) 해당 플레이어는 26점을 얻고(벌점 26점 감점), 나머지 플레이어들은 0점을 얻는다. 게임은 한 플레이어의 누적 벌점이 100점 이상이 되면 종료되고, 가장 점수가 낮은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 '''핑크 레이디(Pink Lady)''': "거의 잊힌 변형"으로 평가받지만, "블랙 레이디의 재미를 두 배로 늘리고" "흥미와 강렬함을 더한다"는 특징이 있다. 핵심은 하트 퀸(Q♥)을 '핑크 레이디'라는 추가적인 고벌점 카드로 사용하는 것이다. 핑크 레이디는 블랙 레이디(Q♠)와 마찬가지로 13점의 벌점을 가진다. 따라서 한 판에서 피해야 할 총 벌점은 38점(하트 11장 11점 + Q♠ 13점 + Q♥ 13점 + 기타 하트 1점씩)이 된다. 핑크 레이디의 존재는 하트 에이스(A♥)와 하트 킹(K♥)을 스페이드의 해당 카드만큼 위험하게 만들며, 블랙 레이디에 대한 대응 카드를 형성하여 한 '레이디'에 갇힌 플레이어가 다른 '레이디'를 상대에게 넘겨 점수를 만회할 기회를 제공한다. 깁슨과 스파다치니는 100점까지 플레이할 것을 권장한다.


그 외 다른 변형 규칙들은 다음과 같다.

  • '''컴플렉스 하트(Complex Hearts)''': 게임 디자이너 리처드 가필드복소수 체계를 사용하여 만든 변형 게임이다.[4] 하트는 각각 1점, 스페이드 퀸(Q♠)은 13i, 다이아몬드 잭(J♦)은 −10점, 그리고 클럽 10(10♣)은 해당 패의 점수를 2i배 한다. 점수의 절댓값이 100에 먼저 도달하는 플레이어가 패배한다.[5]
  • '''데인저 하트(Danger Hearts)''': 표준 점수 계산 방식으로 10 라운드를 진행하며, 각 플레이어는 세 개의 생명을 갖는다. 한 라운드에서 15점 이상의 벌점을 받으면 생명 하나를 잃는다.[6]
  • '''로얄 하트(Royal Hearts)''': 파커 브라더스가 제작한 게임으로,[7] 일반 카드 덱으로도 플레이할 수 있다. 스페이드 퀸(Q♠)은 13점이 아닌 26점의 벌점을 가지며, 하트 퀸(Q♥)은 해당 플레이어가 가져간 모든 하트의 점수를 두 배로 만든다. 다이아몬드 퀸(Q♦)은 −10점(즉, 10점 감점)이며, 클럽 퀸(Q♣)은 스페이드 퀸(Q♠)과 같은 플레이어가 획득할 경우 스페이드 퀸의 벌점을 무효화한다.[8]


또한, 게임 그룹마다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주요 규칙들은 다음과 같다.

# 마이너스 점수 카드가 플레이될 때까지 (또는, 패가 마이너스 점수 카드만 남을 때까지)는 하트 카드를 선두로 낼 수 없다. 마이너스 점수 카드를 플레이하는 것을 "하트를 브레이크한다"라고 한다.

# 라운드의 첫 번째 트릭에서는 페널티 카드를 낼 수 없다. 단, 패가 모두 페널티 카드인 경우에는 예외이다.

# 특정 카드 (통상적으로 클럽 2(2♣)나 스페이드 퀸(Q♠))를 교환할 수 없도록 하는 그룹도 있다.

이상의 규칙은 하츠를 플레이하는 그룹마다 정하는 것이다.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어떤 규칙을 사용할지 확인해두는 것이 좋다.

5. 전략

하트 게임의 기본적인 목표는 벌점을 얻는 것을 피하는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전략은 높은 카드, 특히 높은 하트나 스페이드 카드를 버리는 데 중점을 둔다. 이는 특정 무늬의 카드를 모두 없애는 '무(Void)' 상태를 만들거나, 점수가 없는 트릭에서 마지막으로 높은 카드를 내는 방식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트릭에서 이기지 않으면서 가능한 가장 높은 카드를 내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낮은 카드로 보호할 수 없는 높은 카드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A♠와 낮은 스페이드 네 장(5♠, 4♠, 3♠, 2♠)을 가지고 있다면 A♠는 상대적으로 안전하지만, A♠만 가지고 있다면 스페이드가 처음 나왔을 때 A♠를 내야 하고, 다른 플레이어가 Q♠를 내어 벌점을 받을 위험이 있다.
패싱 전략게임 시작 시 카드를 교환하는 패싱 단계는 매우 중요하다. 패싱의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다.


  • 특정 무늬의 카드를 없애거나 수를 줄여 '무(Void)' 상태를 만드는 것. 이렇게 하면 해당 무늬가 나왔을 때 다른 무늬의 불리한 카드를 버릴 수 있다.
  • A♠, K♠ 같이 그 자체로는 점수가 없지만 Q♠를 가져오게 만들 수 있는 카드나, 높은 하트 카드처럼 벌점을 받을 위험이 큰 카드를 손에서 제거하는 것.


클럽이나 다이아몬드 무늬에서 무(Void)를 만드는 것이 일반적으로 유리하다. 하트나 스페이드 무늬에서 무(Void)를 만들면, 해당 무늬의 높은 카드를 예상치 못하게 받아 벌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Q♠보다 낮은 스페이드 카드는 슛 더 문을 시도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보통 패스하지 않는다. 카드를 패스할 때는 상대방에게 슛 더 문 기회를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낮은 하트 카드 한 장을 패스하는 전략이 유용하며, 특히 자신이 A♥를 가지고 있을 때 효과적이다. A♥는 슛 더 문에 필수적인 카드 중 하나이므로, A♥를 패스하지 않는 것이 현명할 때가 많다.
무(Void) 활용무(Void)는 특정 무늬의 카드를 하나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이는 매우 유리한 상황인데, 해당 무늬가 나왔을 때 벌점을 받을 걱정 없이 다른 무늬의 원치 않는 카드(주로 높은 하트나 Q♠)를 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무(Void)는 의도적인 패스 전략을 통해 만들 수도 있고, 게임 진행 중에 자연스럽게 발생할 수도 있다.
스페이드 퀸 처리: 퀸 태우기 (Smoking the Queen)만약 플레이어가 A♠, K♠, 또는 Q♠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스페이드 카드를 먼저 내어 다른 플레이어가 Q♠를 내도록 유도하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퀸 태우기'라고 부른다. A♠나 K♠는 가지고 있지만 Q♠는 없고 다른 스페이드 카드가 많은 플레이어는, 나중에 자신이 A♠나 K♠를 강제로 내야 할 위험이 적다고 판단되면 퀸 태우기에 동참할 수도 있다. 심지어 Q♠를 가진 플레이어라도 다른 스페이드 카드가 충분히 많다면, 다른 플레이어들의 스페이드를 모두 소진시켜 미래에 자신이 퀸 태우기를 당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스스로 스페이드를 먼저 내는 "셀프 태우기"를 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플레이어가 A♠ 또는 K♠만 달랑 가지고 있는 상황(마른 상태)을 파악했다면, Q♠로 트릭을 시작하여 해당 플레이어가 에이스나 킹을 내도록 강제하고 벌점을 떠넘길 수도 있다.
슛 더 문 (Shooting the Moon)슛 더 문은 한 플레이어가 모든 하트 카드(13장)와 Q♠를 모두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전략이다. 성공하면 해당 플레이어는 0점을 얻고 다른 모든 플레이어는 26점의 벌점을 받거나, 혹은 자신의 누적 점수에서 26점을 감할 수 있다 (규칙에 따라 다름). 하지만 단 하나의 벌점 카드라도 놓치면, 자신이 얻은 모든 벌점(최대 25점)을 그대로 받게 되므로 매우 위험한 전략이다.

슛 더 문을 시도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높은 카드가 많아야 하고, 다른 플레이어들이 특정 무늬를 모두 소진했을 때 계속해서 트릭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한 무늬의 카드를 길게(long suit) 가지고 있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하트 무늬에서 무(Void) 상태이거나, A♥, K♥, Q♥, J♥ 등 높은 하트 카드를 대부분 또는 전부 가지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A♥가 없다면 슛 더 문은 매우 어려운데, 다른 노련한 플레이어들은 최소 한 명 이상이 벌점을 얻기 전까지는 A♥를 버리지 않으려 하기 때문이다.
게임 후반부 협력 전략하트 게임은 보통 누군가 100점 이상의 벌점을 얻으면 종료되고 가장 점수가 낮은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따라서 한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100점에 가까워지면 게임 전략이 바뀔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점수가 낮은 플레이어들이 협력하여 점수가 가장 높은 플레이어에게 Q♠를 넘기려고 시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대로, 어떤 플레이어가 87점 이상(벌점 13점인 Q♠를 받으면 100점이 넘는 점수)을 기록하고 Q♠를 받게 되는 경우, 다른 플레이어들은 (점수가 가장 낮은 플레이어를 제외하고) 그 플레이어가 슛 더 문을 하는 것을 도울 수도 있다. 이는 게임이 즉시 끝나지 않도록 하여 다른 플레이어들에게 점수 차이를 만회할 기회를 주기 위함이다 (단, 이는 슛 더 문 성공 시 점수를 감하는 규칙이 적용될 때 가능하다).

참조

[1] 웹사이트 Rickety Kate https://australianca[...] 2020-02-07
[2] 웹사이트 ARCATM Variant Rules – ARCATM Professional Hearts League http://www.arcatm.co[...] Arcatm.com 2012-04-24
[3] 웹사이트 Rule Variations https://web.archive.[...] Heartsworld 2012-04-24
[4] 웹사이트 Complex Hearts https://web.archive.[...] Math.unl.edu 2012-04-24
[5] 웹사이트 Complex Hearts https://gamerules.co[...] 2022-03-23
[6] 웹사이트 www.arcatm.com/arcatm-variant-rules http://www.arcatm.co[...] Arcatm.com 2012-04-24
[7] 웹사이트 Royal Hearts Instructions http://www.hasbro.co[...] 2012-04-24
[8] 웹사이트 Royal Hearts https://boardgamegee[...] 2022-03-23
[9] 웹사이트 Rules of Card Games: Gong Zhu http://www.pagat.com[...] Pagat.com 2012-04-24
[10] 웹사이트 Leekha Rules https://blog.jawaker[...] 2022-03-23
[11] 서적 トランプゲーム事典
[12] 서적 History of Card Games Oxfo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Researches into the history of playing cards Triphook
[14] 논문 Waterman v. Ayres The Law Times Office
[15] 서적 The Standard Hoyle, A Complete Guide Excelsior Publishing
[16] 문서 英語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