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경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경면은 대한민국 제주시에 속하는 면으로, 제주도 서쪽에 위치한다. 1874년 제주목 구우면에 편입된 이후 여러 차례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56년 한림면에서 분리되어 한경면으로 설치되었다. 주요 행정 구역으로는 고산리, 신창리, 두모리, 저지리 등이 있으며, 신창해안도로, 차귀도, 수월봉 등 관광 명소와 고산초등학교, 고산중학교 등 교육 시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특별자치도의 읍·면 - 성산읍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 위치한 성산읍은 1914년 정의면에서 시작하여 1935년 성산면으로 개칭, 1980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성산일출봉을 중심으로 한 관광지와 교육기관을 갖춘 11개 법정리로 구성된 읍이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읍·면 - 안덕면 (서귀포시)
    안덕면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 속하는 면으로, 산방산, 용머리, 화순해수욕장 등 관광 자원과 안덕계곡 상록수림, 대정향교 등 문화재를 보유하며, 안덕계곡에서 명칭이 유래되었고 11개의 행정리를 관할한다.
  • 1956년 설치 - 충주시
    충주시는 충청북도 북부에 위치하며 삼국시대부터 한반도 중부의 거점이었고, 남한강과 충주호, 사과 주산지, 다양한 관광 명소와 축제, 교육기관 및 기업도시를 통해 경제와 산업 발전을 이루는 도시이다.
  • 1956년 설치 - 중원군
    중원군은 충주시 승격 이후 충주군에서 충주시를 제외한 지역을 관할하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신라 시대 지명인 중원경에서 명칭이 유래했고, 1994년 충주시와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 제주시의 행정 구역 - 구좌읍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동쪽에 위치한 구좌읍은 12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름다운 해안 경관과 김녕항, 월정리 해변 등의 관광 명소가 있고, 당근, 마늘, 김 등의 농업 및 어업이 활발한 지역이다.
  • 제주시의 행정 구역 - 조천읍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동쪽에 있는 조천읍은 11개의 법정리와 여러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으며, 함덕해수욕장, 산굼부리, 제주 항일기념관 등 다양한 관광 명소와 역사적인 장소를 포함하고 있다.
한경면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한경면
한자 표기翰京面
로마자 표기Hangyeong-myeon
광역시도제주특별자치도
시군구제주시
면적79.1
세대4,712
세대 조사2019년 12월 31일
인구9428
인구 조사2022년 3월
법정리13
행정리15
187
읍사무소한경면 두신로 84
홈페이지한경면사무소

2. 연혁

1958년 12월 12일 고산출장소가 설치되었다.[2] 1988년 9월 14일 북제주군 조례 제1532호로 고산출장소가 폐지되고, 그 자리에 이동민원실이 설치되어 운영되었다.[2] 1999년 3월 30일 한경면 이동민원실을 고산1리사무소로 이전하였고,[2] 2001년 12월 22일에는 고산문화의집으로 다시 이전하였다.[2] 2006년 7월 1일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하면서 제주시 한경면이 되었다.[2]

2. 1. 조선 시대

1874년 (고종 11년) 귀덕리 서쪽에서 고산리 동쪽을 제주목 구우면으로 편입하였다.[2]

2. 2. 일제 강점기

1915년 도제 실시로 전라남도 제주도 구우면으로 개칭되었다.[2] 1935년 3월 15일 전라남도령 제7호로 구우면을 한림면으로 개칭하였다.[2] 1946년 8월 1일 도 승격에 따라 제주도 북제주군 한림면으로 개칭되었다. 1950년 한림면 신창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56년 7월 8일 법률 제393호로 한림면이 분리되어 한림읍과 한경면이 설치되었다.

2. 3. 대한민국


  • 1874년(고종 11년) : 귀덕리 서쪽에서 고산리 동쪽을 제주목 구우면으로 편입하였다.
  • 1915년 : 도(島)제 실시로 전라남도 제주도 구우면으로 개칭되었다.
  • 1935년 3월 15일 : 전라남도령 제7호로 구우면을 한림면으로 개칭하였다.[2]
  • 1946년 8월 1일 : 도(道) 승격에 따라 제주도 북제주군 한림면으로 개칭되었다.
  • 1950년 : 한림면 신창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1956년 7월 8일 : 법률 제393호로 한림면이 분리되어 한림읍과 한경면이 설치되었다.
  • 1958년 12월 12일 : 고산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1988년 9월 14일 : 북제주군 조례 제1532호로 고산출장소가 폐지되고, 동소에 이동민원실이 설치 운영되었다.
  • 1999년 3월 30일 : 한경면 이동민원실을 고산1리사무소로 이전 운영하였다.
  • 2001년 12월 22일 : 한경면 이동민원실을 고산문화의집으로 이전 운영하였다.
  • 2006년 7월 1일 :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함에 따라 제주시 한경면이 되었다.

3. 행정 구역

한경면에는 13개의 법정리가 있으며, 이들은 다시 여러 행정리로 나뉜다. 1914년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인해, 제주군 구우면(舊友面)의 여러 리(里)들이 현재의 한경면 법정리로 확정되었다.

3. 1. 법정리 및 행정리

법정리한자명행정리비고
고산리高山里고산1리, 고산2리
금등리今藤里금등리
낙천리樂泉里낙천리
두모리頭毛里두모리
산양리山陽里산양리
신창리新昌里신창리면사무소 소재지
용당리龍塘里용당리
용수리龍水里용수리
저지리楮旨里저지리
조수리造水里조수1리, 조수2리
청수리淸水里청수리
판포리板浦里판포리
한원리漢原里한원리


  • '''신창리'''


한경면 서쪽 해안에 있으며, 면적은 1.87km2이다. 2007년 8월 기준 355세대에 860명이 살고 있다. 신창포구를 중심으로 수산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감자와 마늘, 양파가 주요 소득원이다. 일제강점기부터 설치된 마리여등대가 해안은 물론 육지부의 이정표 구실을 하는 마을의 상징물이다.

옛날 두모리에 속했으며, 민간에서는 솔개 또는 솔래라고 불렀는데 이는 신창리 앞바다를 이르는 말이다. 신창리라는 이름은 글자 그대로 새로 번창한 마을(新昌)이라는 뜻이다. 본래 제주군 구우면 지역으로 1910년 두모리에서 분리되어 두모 서남쪽 일부와 신창리 바닷가 일대가 갈려 새로 번창하였기 때문에 신창이라고 하였다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그 명칭이 그대로 리가 되었다. 1946년 북제주군에 속하였다가 1956년에 한경면에 속하게 되었다.[3]

  • '''두모리'''


한경면 북서쪽 해안에 있으며, 면적은 2.67km2이다. 2007년 8월 기준 197세대에 844명이 살고 있다. 두모포구를 중심으로 수산업이 이루어지고 있고, 농업으로는 마늘, 감자, 양배추 등이 생산되고 있으며 보리와 양파 재배도 이루어지고 있다. 한경파출소와 한경농협 본점이 있으며, 문화유적으로는 기념물로 지정된 두모연대가 있다.

옛 이름은 두못개 또는 두묏개이다. 기록에는 두모포, 두모 등으로 표기하고 있으며, 민간에서는 두믜 또는 두미라고 하였다. '두모'는 둥글다는 뜻으로 보이며, 이를 소리만 빌려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16세기 말부터 마을이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본래 제주군 구우면 지역으로 두모, 두모촌, 뒤미, 디미라 하였다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두모리가 되었다.[4]

  • '''저지리'''


한경면 북동쪽 내륙 지역이며, 2007년 8월 기준 427세대에 1,040명이 살고 있다. 밭농사와 감귤 과수원 농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보리와 마늘도 재배한다. 중심에 해발 167m인 저지오름이 있으며 그 외에 3~4개의 오름이 더 있다. 본래 물이 귀해 일반 해안 용천수를 사용할 수 없어 봉천수에 의존했었다고 한다.

옛 명칭은 닥ᄆᆞᄅᆞ 또는 닥ᄆᆞ르라고 하였으며, 닥나무가 많기 때문에 닥몰, 닥모로 또는 저지라 하였는데 여기서 닥나무(楮)와 마르(旨)를 각각 한자로 쓴 것이 '저지'이다. 1500년대에 마을이 형성되었으며, 조선 숙종 때는 당지라는 이름으로 표기되기도 했다가 18세기 초부터 저지라는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저지리가 되었다.[5]

  • '''청수리'''


한경면 동쪽 내륙에 있으며, 면적은 7.19km2이다. 2007년 8월 기준 195세대에 467명이 살고 있다. 지역의 절반 이상이 임야 지대이며, 밭농사와 과수원이 주를 이룬다. 가마오름과 이계오름이라는 기생 화산 2개가 있으며, 일제강점기 역사를 알 수 있는 평화박물관이 있다.

옛 명칭은 청수물이라고 하였으며, 이를 한자로 쓴 것이 청수리이다. 1650년 경에 마을이 형성되었으며 마을 이름은 설물촌이라 하였다. 본래 저지리에 속한 지역이었으나 청수리로 분리되었으며, 제주군 구우면에 속해 맑은 물이 있으므로 청수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청수리가 되었다.[6]

  • '''판포리'''


한경면 북서쪽 해안에 있으며, 면적은 6.61km2이다. 2007년 8월 기준 236세대에 531명이 살고 있다. 바다와 접하고 있지만 대부분 주민들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마늘, 양파, 양배추, 쪽파 재배가 주로 이루어지고 감귤, 감자 재배도 한다. 서부 하수 종말 처리장과 문화 마을이 조성되어 있다.

해발 93.4m인 판포악을 뒤로 하고 바다와 접해 있는 마을인데, 옛날부터 물을 구하기 어려워 봉천수에 의존해 왔다. 1950년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도에서 판포저수지를 만들기도 했으나 물이 잘 고이지 않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옛 이름은 널개라고 하였으며, 이 명칭을 한자로 써서 널(板)과 같이 넓은 개(浦)라 하여 판포라고 한 것이다.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지리지에 판포라는 지명이 있어 이미 15세기 중엽에 마을이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본래 제주군 구우면 지역으로 판을포, 판포라 불리다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판포리가 되었다.[7]

3. 2. 주요 마을 소개


한경면 서쪽 해안에 있으며, 면적은 1.87km2이고 2007년 8월 기준 355세대에 860명이 살고 있다. 신창포구를 중심으로 고기잡이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감자, 마늘, 양파를 주로 생산한다. 일제강점기 때부터 세워진 마리여등대가 마을의 상징이며, 바닷가와 육지의 이정표 역할을 한다.

옛날 두모리에 속했으며, 사람들은 '솔개' 또는 '솔래'라고 불렀는데, 이는 신창리 앞바다를 뜻한다. 신창리라는 이름은 '새로 일어난 마을(新昌)'이라는 뜻으로, 원래 제주군 구우면 지역이었다. 1910년 두모리에서 떨어져 나와 두모 서남쪽 일부와 신창리 바닷가가 새로 번창하면서 '신창'이라 불렸고, 1914년 행정 구역 바뀔 때 리가 되었다. 1946년 북제주군에 들어갔다가 1956년에 한경면에 속하게 되었다.[3]

  • '''고산리''' (1리, 2리)
  • '''금등리'''
  • '''낙천리'''
  • '''두모리'''

한경면 북서쪽 바닷가에 있으며, 면적은 2.67km2이고 2007년 8월 기준 197세대에 844명이 살고 있다. 두모포구를 중심으로 고기잡이를 하며, 마늘, 감자, 양배추, 보리, 양파를 재배한다. 한경파출소와 한경농협 본점이 있고, 문화유산으로는 기념물인 두모연대가 있다.

옛 이름은 '두못개' 또는 '두묏개'이다. 기록에는 두모포, 두모 등으로 적혀 있으며, 사람들은 '두믜' 또는 '두미'라고 불렀다. '두모'는 둥글다는 뜻으로 보이며, 이를 소리 나는 대로 한자로 쓴 것이다. 16세기 말부터 마을이 생겨났으며, 원래 제주군 구우면 지역으로 두모, 두모촌, 뒤미, 디미라 불리다가 1914년 행정 구역이 바뀔 때 두모리가 되었다.[4]

  • '''산양리'''
  • '''용당리'''
  • '''용수리'''
  • '''저지리'''

한경면 북동쪽 내륙에 있으며, 2007년 8월 기준 427세대에 1,040명이 살고 있다. 밭농사와 감귤 농사를 주로 짓고, 보리, 마늘도 재배한다. 가운데에 해발 167m인 저지오름이 있고, 그 밖에 3~4개의 오름이 더 있다. 원래 물이 귀해 바닷가의 용천수를 쓸 수 없어 빗물에 의지했다고 한다.

옛 이름은 '닥ᄆᆞᄅᆞ' 또는 '닥ᄆᆞ르'였으며, 닥나무가 많아 '닥몰', '닥모로' 또는 '저지'라 불렀다. 닥나무(楮)와 마르(旨)를 한자로 쓴 것이 '저지'이다. 1500년대에 마을이 생겼고, 조선 숙종 때는 '당지'라고도 적었다가 18세기 초부터 '저지'라는 이름을 쓰기 시작했다. 1914년 행정 구역이 바뀔 때 저지리가 되었다.[5]

  • '''조수리''' (1리, 2리)
  • '''청수리'''

한경면 동쪽 내륙에 있으며, 면적은 7.19km2이고 2007년 8월 기준 195세대에 467명이 살고 있다. 땅의 절반 이상이 숲이며, 밭농사와 과수원을 주로 한다. 가마오름과 이계오름 2개의 기생 화산이 있고, 일제강점기 역사를 보여주는 평화박물관이 있다.

옛 이름은 '청수물'이었으며, 이를 한자로 써서 '청수리'가 되었다. 1650년 경에 마을이 생겼고, 처음에는 '설물촌'이라 했다. 원래 저지리에 속했다가 청수리로 나뉘었고, 제주군 구우면에 속해 맑은 물이 있어 '청수'라 했는데, 1914년 행정 구역이 바뀔 때 청수리가 되었다.[6]

  • '''판포리'''

한경면 북서쪽 바닷가에 있으며, 면적은 6.61km2이고 2007년 8월 기준 236세대에 531명이 살고 있다. 바다와 닿아 있지만 대부분 사람들이 농사를 짓고, 마늘, 양파, 양배추, 쪽파를 주로 심고 감귤, 감자도 재배한다. 서부 하수 종말 처리장과 문화 마을이 있다.

해발 93.4m인 판포악을 뒤에 두고 바다와 마주한 마을인데, 예전부터 물을 구하기 어려워 빗물에 의지했다. 1950년 제주특별자치도에서 판포저수지를 만들었지만, 물이 잘 고이지 않아 제대로 쓰지 못하고 있다.

옛 이름은 '널개'였으며, 이를 한자로 써서 널(板)처럼 넓은 개(浦)라는 뜻의 '판포'라고 했다.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지리지에 '판포'라는 이름이 있어 이미 15세기 중엽에 마을이 생긴 것으로 보이며, 원래 제주군 구우면 지역으로 판을포, 판포라 불리다가 1914년 행정 구역이 바뀔 때 판포리가 되었다.[7]

4. 관광

한경면에는 신창해안도로, 절부암, 생각하는 정원, 차귀도, 수월봉 등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다.

4. 1. 주요 관광지

5. 교육

한경면에는 초등학교 3곳, 중학교 3곳, 고등학교 1곳이 있다.

5. 1. 학교 목록

참조

[1] 웹사이트 한경면 기본현황 http://www.jejusi.go[...]
[2] 웹사이트 한경면 마을소개 http://www.jejusi.go[...]
[3] 웹사이트 신창리 http://jeju.grandcul[...]
[4] 웹사이트 두모리 http://jeju.grandcul[...]
[5] 웹사이트 저지리 http://jeju.grandcul[...]
[6] 웹사이트 청수리 http://jeju.grandcul[...]
[7] 웹사이트 판포리 http://jeju.grandcu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