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는 방송통신발전기본법에 근거하여 설립된 정보통신 분야의 표준화 및 시험 인증 전문 기관이다. 전송통신, 이동통신, 방송, IT 등 정보통신 관련 표준 제·개정 및 보급, 국내외 표준화 제도 연구, 국제표준화기구와의 협력 활동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장비, 디지털 방송, 이동통신 단말기 등 정보통신 제품에 대한 시험 및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고, IT 국제표준 전문가 육성, 표준 정보 DB 구축, 정보통신표준 기술 교육 등도 실시한다. 1988년 한국통신기술협회로 설립되어 1997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WiBro, 지상파DMB 등 한국 기술의 국제 표준 채택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신 및 미디어 단체 - 아시아 태평양 방송 연합
아시아 태평양 방송 연합(ABU)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 방송사 간 협력 증진을 목표로 1964년 설립되어 뉴스 교류, 프로그램 공동 제작, ABU상 시상, 로보콘 개최, 방송 관련 자문, 스포츠 중계권 조정, ABU TV·라디오 송 페스티벌 개최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며, 본부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위치한다. - 통신 및 미디어 단체 - 세계한인언론인협회
세계한인언론인협회는 재외동포 언론인들의 교류 및 언론 발전을 위해 설립되었으며, 재외동포기자대회 개최, 재외동포언론인협회 발족, 세계한인언론인연합회와 통합 등의 과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고, 화합과 역량 강화를 목표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한다. - 특수법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과학기술 발전에 대한 자문 역할을 수행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감독을 받는,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199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학술 기관이다. - 특수법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 국가연구소대학교
국가연구소대학교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캠퍼스로 활용하여 국가 과학기술 전략 분야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대학원대학교이다. - 1988년 설립된 단체 - 알카에다
알카에다는 압둘라 아잠에 의해 1988년 설립되어 오사마 빈 라덴이 이끌었던 국제적인 지하디스트 테러 조직으로, 샤리아 법에 기반한 세계적인 이슬람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며 9·11 테러를 비롯한 수많은 테러에 연루되어 국제사회의 비판과 제재를 받고 있다. - 1988년 설립된 단체 -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KLPGA)는 1988년 한국프로골프협회에서 독립하여 창립된 대한민국의 여자 프로 골프 단체로, 여자 프로 골프 선수들의 권익 보호와 한국 여자 골프 발전을 목표로 다양한 투어 개최, 선수 지원, 사회 공헌, 국제 교류 등의 활동을 한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영어 이름 |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
약칭 | TTA |
결성 | 1988년 12월 |
유형 | NGO |
형태 | 법정 법인 |
목적 | 정보통신분야의 표준 제정 및 표준 제품의 시험인증 |
위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
현재 수장 | 손승현 |
웹사이트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웹사이트 |
2. 설립 근거
방송통신발전기본법 제34조[1]
3. 주요 활동
3. 1. 표준화 활동
TTA는 전송통신, 이동통신, 방송 및 IT 등의 정보통신 관련 표준을 제·개정하고 보급하는 일을 하고 있다.[2][3] 이를 위해 국내외 표준화 제도를 기획 및 분석하고 있으며 ITU와 같은 국제표준화기구와 연계하여 국제표준화기구의 권고안과 국내 표준과의 연계성, 현행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IMT-Advanced 등의 차세대 이동통신 분야에 대한 표준화 작업에 적극 참여하면서, IMT-Advanced 후보 기술에 대한 평가 검증 모델 구축, 국제표준화 전략위원회 운영, ITU-R, 3GPPs 및 IEEE 등의 관련된 국제 표준화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이러한 표준화 활동의 결과로 2007년 10월 WiBro 표준이 국제 표준으로 채택되었으며,[2] 같은 해 11월에는 지상파DMB 국제 표준이 채택되었다.[3]
3. 2. 시험 인증 서비스
TTA는 네트워크 장비, 디지털 방송, 이동통신 단말기, 국내 개발 S/W 등 정보통신 제품에 대한 시험 및 인증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보통신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시험 컨소시엄을 운영한다. 그밖에 국내 통신사업자 유·무선 망에 대한 품질 평가도 수행하고 있다.
3. 3. 기타 활동
TTA는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한다.
4. 연혁
1988년 12월 재단법인 한국통신기술협회가 설립되었고, 1989년 2월에는 민간 주도 정보통신 단체표준 제정기관으로서 표준화업무를 개시하였다. 같은 해 6월, 협회 최초로 "TTA 단체표준"이 제정되었다. 1992년 8월, 전기통신기본법 제30조에 따라 법정법인으로 재출범하였으며, 같은 해 11월에는 세계표준화협의체(GSC)에 가입하였다. 1995년 6월에는 세계전파표준화협의체(RAdio STandardization)에 가입했다.
1997년 1월, 협회 명칭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로 변경하고, 5월에는 정보통신 전 분야로 표준화 업무영역을 확대하였다. 1999년 1월에는 3GPP2 협정을 체결하였고, 2001년 1월 정보통신부로부터 정보통신표준화사업 위탁관리 기관으로 지정되었다. 같은 해 7월에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T) 표준참조기관으로 지정되었으며, 12월에는 분당사옥 이전 및 IT 시험연구소를 개소하였다.
이후 WiBro, 지상파DMB, 휴대폰 충전 단자(20핀) 표준 등 다수의 한국 기술이 국제 표준으로 채택되는데 기여하였다. 2002년부터 2012년까지 블루투스, CDMA, GSM, WiMAX, USB, Wi-Fi, NFC, LTE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공인시험기관 자격을 획득했다. 2012년 12월에는 전자파적합성(EMC) 분야를 확대하고 TTA EMC 센터를 개소하였다.
5. 조직
5. 1.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장
감사실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의 감사를 담당하는 부서이다.5. 2. 소속기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는 정보통신시험인증연구소, 소프트웨어시험인증연구소, TTA아카데미를 소속기관으로 두고 있다.참조
[1]
법률
방송통신발전기본법 제34조(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
뉴스
와이브로, 3세대 국제표준 채택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3]
뉴스
지상파DMB 국제표준 확정
http://www.dt.co.kr/[...]
디지털타임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